KR102409676B1 - 라이스 쿠커 - Google Patents

라이스 쿠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76B1
KR102409676B1 KR1020170059930A KR20170059930A KR102409676B1 KR 102409676 B1 KR102409676 B1 KR 102409676B1 KR 1020170059930 A KR1020170059930 A KR 1020170059930A KR 20170059930 A KR20170059930 A KR 20170059930A KR 102409676 B1 KR102409676 B1 KR 10240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ice cooker
grain
coo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265A (ko
Inventor
기현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스 쿠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슬롯에 여러 종류의 곡물을 나누어 보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의 곡물을 포트에 투입하며, 복수의 포트 내의 곡물을 동시에 조리하는 라이스 쿠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이스 쿠커는, 곡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에 보관된 곡물을 포트에 제공받고, 열원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포트에서 밥을 동시에 취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스 쿠커{Rice cooker}
<1> 본 발명은 라이스 쿠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슬롯에 여러 종류의 곡물을 나누어 보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의 곡물을 포트에 투입하며, 복수의 포트 내의 곡물을 동시에 조리하는 라이스 쿠커에 관한 것이다.
<2> 소형 가구의 급속한 증가와 불규칙한 식습관이 보편화 된 현대인의 식생활문화로 인해 조리관련 가전제품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밥솥,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용 가전제품이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산업 각계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관련 제품시장이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가전제품 중 밥솥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크다 할 것이다.
<3>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조리하는 미곡밥은 소수인원 분량의 보온밥통에서부터 대용량 밥솥에 의해 다양하게 조리되며, 밥을 짓는 사람이나 기온 등의 영향에 의해 밥맛이 일정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에 오랫동안 밥을 보관할 경우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밥의 색깔이 변질 될 뿐만 아니라 밥맛도 현저하게 떨어지며, 남은 밥을 냉장고에 장기간 보관할 경우 냉장고 내의 다른 음식물에서 발생 된 냄새가 남은 밥에 흡수되어 밥맛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4> 또한, 최근 들어 핵가족, 미혼인구, 독신, 노인세대 등 소수인원으로 이루어진 세대가 증가하고 있고 또한 구성원들의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지고 있으므로, 그에 따른 개개인의 식사성향에 맞는 개별적인 취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전기압력밥솥의 경우, 다인 가구에서 다양한 취향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며, 예약 취사 기능을 지원하더라도, 매번 쌀을 씻고 밥통에 미리 준비를 해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 및 산지의 곡물을 서로 다른 복수의 슬롯에 보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의 곡물을 이용하여 밥을 취사하되, 복수의 포트에서 서로 다른 곡물의 밥을 동시에 취사할 수 있는 라이스 쿠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6>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 및 산지의 곡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포트에서 서로 다른 곡물의 곡물을 동시에 취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동작하도록 취사 예약을 할 수 있는 라이스 쿠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7>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쿠커는, 곡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에 보관된 곡물을 포트에 제공받고, 열원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포트에서 밥을 동시에 취사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쿠커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을 제공받아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포트 중 어느 하나에 거치하고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캡슐을 취사하되,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캡슐의 종류, 물의 양, 및 취사 시작 시간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9>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쿠커는, 서로 다른 종류 및 산지의 곡물을 서로 다른 양으로 조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취향을 갖는 사람들을 모두 만족시키도록 동시에 여러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미리 슬롯에 보관해놓고, 자판기 방식으로 원하는 곡물의 양과 취사 정도를 선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조리부에 선택된 양의 곡물이 투입되고, 물의 양도 자동으로 맞추어 사용자에게 가장 맛있는 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큰 용량의 미리 세척된 곡물을 각 슬롯마다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만 사용함으로써, 곡물을 미리 씻어놓고 준비해야 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고, 밥을 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노동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스 쿠커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곡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시간에 취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취사 예약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가장 맛있는 밥이 취사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집에서 밥을 직접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밖에서 밥을 사먹는 대신 집에서 편하게 식사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식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밥을 하고 설거지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11>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2> 도 2는 도 1의 라이스 쿠커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13> 도 3은 도 1의 보관부에 거치되는 곡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나타내는 부분 투영도이다.
<15> 도 5는 도 4의 A - A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6> 도 6은 도 5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17>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조리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8>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가 설치된 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9>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포함하는 원격 취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0>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취사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1>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23>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이스 쿠커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관부에 거치되는 곡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4>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1)는 하우징(100), 보관부(110), 입력부(120), 조리부(130), 물 공급부(140), 센서부(150),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 메모리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25> 하우징(100)은 보관부(110), 입력부(120), 조리부(130), 및 물 공급부(140)의 외면을 감싸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면이 개방되고 나머지면은 막혀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보관부(11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조리부(130) 및 물 공급부(140)가 배치되며, 중간 부분에 입력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26> 보관부(110)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을 각각 보관하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각각의 슬롯에 서로 다른 종류의 용기(200)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27> 도면에 명확하게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보관부(110)의 내측에는 용기(200)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센서부(150)가 장착되어, 각 슬롯에 거치된 곡물이 포함된 용기(200)의 바코드를 인식하여, 곡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 메모리부(170) 또는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후술하도록 한다.
<28>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보관부(110)의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복수의 슬롯에 할당된 각각의 버튼(121, 123, 125, 12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버튼(121, 123, 125, 127)을 누르는 경우, 해당 슬롯에 대한 선택 정보로 판단하고, 상기 슬롯에 보관된 용기(200) 내의 곡물을 조리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29> 또한, 입력부(120)는 메뉴 선택을 위한 조그 다이얼(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그 다이얼(125)을 회전시키거나,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전방으로 힘을 가압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곡물의 종류(예를 들어, 현미, 오곡, 백미, 잡곡) 및 산지(예를 들어, 여주, 이천, 철원), 밥의 양(예를 들어, 많은양, 보통양, 적은양), 물의 종류(예를 들어, 생수, 탄산수), 취사 종류(예를 들어, 된밥, 보통밥, 진밥)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1> 조리부(130)는 보관부(11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곡물을 포트의 내솥 용기에 제공받고, 열원을 이용하여 포트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부(130)는 포트 내의 내솥 용기에 밥을 지을 수 있다. 조리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후에서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32> 조리부(130)는 서랍 방식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130)는 보관부(110)의 정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어 내부에 조리된 밥을 꺼낼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조리부(130)의 도어는 앞 부분의 도어가 하단 힌지 결합에 의해 이동하는 오븐 방식, 또는 측면 힌지 결합에 의해 개폐되는 냉장고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3> 물 공급부(140)는 밥을 짓기 위해 필요한 물을 조리부(130)에 공급할 수 있다. 물 공급부(140)는 생수 또는 탄산수를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당량의 생수 또는 탄산수를 조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34> 물 공급부(140)는 외부의 수전과 연결되어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자동으로 수전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5> 센서부(150)는 용기(200)에 포함된 바코드를 읽어 용기(200)의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거나, 물 공급부(140)의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정보는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에 표시되거나, 메모리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36>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는 라이스 쿠커(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보관부(110)의 각 슬롯에 보관되고 있는 내용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는 보관부(110)의 각각의 슬롯에 보관된 용기(200)의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보관부(110)에서 보관된 용기(200) 내에 포함된 곡물의 종류 및 선택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37> 여기에서, 도면 상에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는 물 공급부(140)의 앞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는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가 각 슬롯에 일대일 대응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38> 메모리부(170)는 보관부(110)에 저장된 용기(200)에 포함된 곡물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용기(200)에 포함된 내용물의 종류, 내용물의 양, 내용물에 따른 조리부(130)의 동작 방법(즉, 조리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9> 메모리부(170)는 DDR SDRAM(Double Data Rate Static DRAM), SDR SDRAM(Single Data Rate SDRAM)과 같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EEPROM(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40>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보관부(110)에 보관된 복수의 용기(200) 내의 곡물 중에서 특정 곡물을 선택하여 조리부(130)에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선택 정보는 곡물의 산지, 종류, 밥량, 물의 종류, 취사 종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취사 종류는 진밥, 일반밥, 된밥과 같은 완성된 밥의 상태를 의미한다.
<41> 이어서, 제어부(180)는 투입된 용기(200)의 정보 및 상기 선택 정보를 기초로 조리부(130)의 동작 방법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받은 취사 정보에 따라 조리부(130)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입력받은 취사 정보에 따라 조리부(130)의 동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42> 이어서, 제어부(180)는 물 공급부(140)를 통해 용기(200)에서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조리부(130)를 동작시켜 용기(200)의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다.
<43> 도 3을 참조하면, 용기(200)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44> 용기(200)는 패트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파우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200)는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미리 세정된 곡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200)는 다양한 종류(예를 들어, 현미, 오곡, 백미, 잡곡) 및 산지(예를 들어, 여주, 이천, 철원 등)의 곡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곡물은 미리 세정되어 추가적인 세정과정 없이 그대로 밥을 짓는데 이용될 수 있다.
<45> 각각의 용기(200)는 1인분 이상의 곡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만 슬롯에 거치된 용기(200)에서 곡물이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용기(200)는 1주일 분량, 10일 분량 등 다회용으로 포장된 상태로 구성되며, 라이스 쿠커(1)에 장착되면 적당량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용기(200)는 보관부(110) 내에 거꾸로 꽂아서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46> 용기(200) 내의 곡물이 모두 소진된 경우, 사용자는 다른 새로운 용기(200)로 교환함으로써, 라이스 쿠커(1)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패트병 형상의 용기(200, 201, 202) 또는 파우치 형상의 용기(203)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7> 용기(200)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210)는, 용기(200)에 들어있는 곡물의 산지, 종류, 무게 또는 취사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가 포함된 링크 주소(link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8>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나타내는 부분 투영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 A 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조리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9>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라이스 쿠커(1)의 동작 방법은, 우선 사용자는 보관부(110)에 복수의 용기(200)을 거치한다. 이때, 보관부(110)는 복수의 슬롯(111, 113, 115, 117)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슬롯마다 다른 종류의 곡물을 포함하는 용기(200)이 보관될 수 있다.
<50> 센서부(150)는 보관부(110) 내의 용기(200)에 부착된 바코드(210)의 정보를 인식하여, 용기(200)에 포함된 곡물의 정보를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51> 이를 기초로, 제어부(180)는 현재 각각의 슬롯(111, 113, 115, 117)에 거치된 용기(200) 내의 곡물의 정보를 각각의 슬롯(111, 113, 115, 117)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롯(111)에 배치된 용기(200)의 내용물의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부(161)에 표시되고, 제2 슬롯(113)에 배치된 용기(200)의 내용물의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부(163)에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2> 이때, 입력부(12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에 대응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슬롯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3> 이때, 본 발명의 라이스 쿠커(1)는 복수의 내솥 용기에 밥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고, 여러 곡물을 섞어서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버튼(120)을 선택할 수 있다.
<5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에 포함된 곡물이 조리부(130)에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5> 보관부(110)는 하단에 용기(200)를 거치하고, 용기(200) 내의 곡물을 토출할 수 있는 거치홈(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홈(113)의 하부에 형성된 곡물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너비(D1)을 조절하는 조절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56> 거치홈(113)은 용기(20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홈(113)의 양 옆에는 거치홈(113)을 정의하는 지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57> 조절부(114)는 지지부(112)의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며, 두개의 조절 패드가 거치홈(113)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114)는 유압식, 피니언 기어,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거치홈(113)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의 너비(D1)을 조절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조절부(114)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외에, 토출구의 너비(D1)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인 바,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58> 조절부(114)의 하부에는 보관부(1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용기(200) 내의 곡물이 조리부(130)의 포트에 거치된 내솥 용기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는 곡물이 토출되는 도중 사방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9>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슬롯에 있는 용기(200) 내의 곡물은 조절부(114)에 의해 토출되는 양이 조절되며, 토출된 곡물은 가이드부(116)의 내면을 따라 조리부(130)로 가이드될 수 있다.
<60>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거치홈(113), 조절부(114), 및 가이드부(116)는 각 슬롯마다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슬롯에 포함된 곡물을 토출시키는 경우에만, 해당 슬롯의 조절부(114)가 동작할 수 있다.
<61> 다만, 이러한 본 발명이 도 5 및 도 6의 토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물을 조리부(130)에 토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토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62> 조리부(130)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포트(312)를 포함하고, 중심축(31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거치부(310)와, 복수의 포트(312)에 각각 거치되어 보관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용기(200)이 인입되는 복수의 내솥 용기(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솥 용기(320)를 거치부(310)에서 분리하여 따로 세척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63>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포트(312)의 하단에는 센서가 형성되어, 각각의 포트(312)에 내솥 용기(320)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64> 거치부(310)의 내측에는 복수의 포트(312)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316)와 중심축(315)을 중심으로 거치부(31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65> 이때, 제어부(180)는 거치부(310)를 회전시켜 내솥 용기(320)가 거치된 포트(312)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용기(200)을 선택한 경우라면, 거치부(3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비어있는 포트(312)에 곡물을 투입할 수 있다.
<66> 이어서, 제어부(180)는 취사 선택 옵션을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에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디스플레이부(161, 163, 165, 167)에 대응되는 복수의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취사 방법을 포함하는 취사 정보를 선택 받을 수 있다.
<67>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조리부(130)는 거치부(310)에 커버부(340)를 결합한다.
<68> 커버부(340)는 복수의 용기 뚜껑(330)과, 각각의 용기 뚜껑(330)에 형성된 압력 조절 밸브(335)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330)은 각각의 포트(312)에 내솥 용기(3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솥 용기(320)의 돌출부(325)와 용기 뚜껑(330)은 밀폐 결합되어, 내솥 용기(320)를 가열 시, 내솥 용기(320) 내에 고압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압력 조절 밸브(335)는 내솥 용기(320)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솥 용기(320)는 통상의 압력 밥솥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할 수 있으며, 압력 밥솥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인 바, 여기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69> 커버부(340)는 거치부(310)의 상부 개방면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40)의 중앙에는 거치부(310)의 중앙에 형성된 홀(315)에 결합되는 결합핀(345)이 형성될 수 있다.
<70> 이어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취사 정보와, 용기(20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부(130)의 동작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내솥 용기(320)의 내용물의 종류 및 양과, 사용자가 선택한 취사 정보에 따라, 물 공급부(140)에서 공급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가열부(313)의 온도 및 동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1> 이를 통해,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라이스 쿠커(1)는 서로 다른 종류 및 산지의 곡물을 서로 다른 양으로 조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취향을 갖는 사람들을 모두 만족시키도록 동시에 여러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다.
<72> 또한,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미리 슬롯에 보관해놓고, 자판기 방식으로 원하는 곡물의 양과 취사 정도를 선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조리부에 선택된 양의 곡물이 투입되고, 물의 양도 자동으로 맞추어 사용자에게 가장 맛있는 밥을 제공할 수 있다.
<73>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라이스 쿠커(1)는 사용자의 만족도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큰 용량의 미리 세척된 곡물을 각 슬롯마다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만 사용함으로써, 곡물을 미리 씻어놓고 준비해야 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고, 밥을 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의 노동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74>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가 설치된 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5>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1)는 주방의 상부장(140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라이스 쿠커(1)는 또는 하부장(1200)과도 일체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라이스 쿠커(1)의 보관부(110)와 조리부(130)의 위치는 변경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76> 이때, 라이스 쿠커(1)는 외부의 수전(1300)과 연결되어, 물 공급부(14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물을 보충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77>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78>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이스 쿠커를 포함하는 원격 취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취사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원격 취사 시스템은 라이스 쿠커(2)와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라이스 쿠커(2)는 앞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라이스 쿠커(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라이스 쿠커(2)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도록 한다.
<80>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라이스 쿠커(2)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81>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기초로 제어부(180)와 사용자 단말기(400)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여러 통신 규약을 기초로 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82> 구체적으로, 통신부가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혹은, 광대역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이때, 무선 통신망으로는 무선랜(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IEEE802.16,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83>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및 지웨이브(Z-Wav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4>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에게 라이스 쿠커(2)의 보관부(110)에 보관된 복수의 용기(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등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85>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400)는 현재 이용 가능한 슬롯 정보(410)를 표시하고, 밥의 종류 및 산지(420)와, 취사할 밥 량, 물 종류, 및 취사 종류(430), 취사 예약 정보(44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선택 정보 및 취사 정보를 라이스 쿠커(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86> 라이스 쿠커(2)는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밥을 원하는 시간에 지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곡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시간에 취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취사 예약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원격 취사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가장 맛있는 밥이 취사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집에서 밥을 직접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 함으로써, 사용자가 밖에서 밥을 사먹는 대신 집에서 편하게 식사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식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밥을 하고 설거지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87>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라이스 쿠커 100: 하우징
110: 보관부 120: 입력부
130: 조리부 140: 물 공급부
150: 센서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메모리부 180: 제어부

Claims (17)

  1. 곡물을 보관하는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된 곡물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표시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곡물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보관부로부터 상기 곡물을 제공받는 복수의 포트들과,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에 물을 제공하는 물 공급부; 및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곡물의 종류와 양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곡물의 종류와 양에 대응되는 곡물이 일정량 상기 조리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보관부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곡물에 대한 물의 양과 동작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조리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슬롯에 상기 곡물을 포함하는 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의 너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조절부를 통과한 상기 곡물이 상기 조리부의 상기 포트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보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에 거치되는 용기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바코드는, 상기 용기에 포함된 곡물의 산지 또는 종류를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기 복수의 포트들을 포함하고,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거치부와,
    상기 복수의 포트들 각각에 거치되어 상기 보관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곡물이 인입되는 복수의 내솥 용기들을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포트들 중에서 비어있는 포트에 상기 곡물이 인입되도록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라이스 쿠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내솥 용기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되고, 상기 내솥 용기의 압력을 조절 수 있는 압력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더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보관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서랍 방식으로 상기 보관부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움직이는 라이스 쿠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롯들 각각은,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을 보관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들에 각각 할당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12.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라이스 쿠커.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는, 곡물의 산지, 종류, 양 또는 취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 상기 곡물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라이스 쿠커.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59930A 2017-05-15 2017-05-15 라이스 쿠커 KR10240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30A KR102409676B1 (ko) 2017-05-15 2017-05-15 라이스 쿠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30A KR102409676B1 (ko) 2017-05-15 2017-05-15 라이스 쿠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65A KR20180125265A (ko) 2018-11-23
KR102409676B1 true KR102409676B1 (ko) 2022-06-15

Family

ID=6456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930A KR102409676B1 (ko) 2017-05-15 2017-05-15 라이스 쿠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7234A1 (en) * 1999-12-23 2003-03-27 Perez Vales Maria Pilar Automatic equipment for vending whole-grain products such as coffee or other products
KR100633466B1 (ko)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101529047B1 (ko)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72Y1 (ko) * 2011-01-27 2013-02-14 나정환 쌀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7234A1 (en) * 1999-12-23 2003-03-27 Perez Vales Maria Pilar Automatic equipment for vending whole-grain products such as coffee or other products
KR100633466B1 (ko) * 2005-07-19 2006-10-13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101529047B1 (ko)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유도 가열 라면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65A (ko) 201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180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ic cooking device
US8140190B2 (en) Universal controller for a domestic appliance
EP2431690A1 (en) Refrigerator
WO2016193008A1 (en)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system thereof
KR102327682B1 (ko) 멀티 캡슐 쿠커
EP2570757B1 (en) Indic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20027904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83167A (ko) 조리 기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CN104545454A (zh) 一种饮料机
US20150234364A1 (en) Method for operating kitchen appliance
CN106724812A (zh) 智能煮蛋器
KR101765652B1 (ko) Ict 기반 디지털 전통발효식품 제조용기
KR102409676B1 (ko) 라이스 쿠커
KR2015012415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427492B1 (ko) 라면 자판기
CN212326181U (zh) 烤盘及具有其的烤箱
KR20190066320A (ko) 토핑과 즉석밥을 제공하는 즉석 컵밥 자판기
US11805940B2 (en) Food processor for controlling another household appliance
CN110558818A (zh) 一种带菜品保温装置的炒菜机和炒菜机菜品保温方法
KR102274461B1 (ko)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2417837B1 (ko) 세척미를 이용한 간편 취사장치
KR20070005184A (ko) 김치냉장고의 청국장 보관 운전방법
US10912411B1 (en) Roller cooker
JP2013146591A (ja) 炊飯器
JP2012100817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