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92B1 - 라면 자판기 - Google Patents

라면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92B1
KR102427492B1 KR1020220031509A KR20220031509A KR102427492B1 KR 102427492 B1 KR102427492 B1 KR 102427492B1 KR 1020220031509 A KR1020220031509 A KR 1020220031509A KR 20220031509 A KR20220031509 A KR 20220031509A KR 102427492 B1 KR102427492 B1 KR 10242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sub
module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안상근
Original Assignee
김태영
안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안상근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22003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07F7/025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by means, e.g. cards, providing bill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e.g. identification of seller or purchaser, quantity of goods delivered or to be deliver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함체형으로 되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본체(1); 여러 종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봉지라면을 배출하는 라면디스펜서모듈(2); 봉지라면을 끓일 용기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용기디스펜서모듈(3);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부재료를 배출하는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봉지라면을 끓일 물을 보관하고, 정량 배출하는 물공급모듈(5);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1)을 구비하여 라면을 끓이는 가열모듈(6); 자판기 이용을 위한 결제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라면과 부재료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원하는 봉지라면을 선택하여 직접 끓일 수 있으며, 라면을 끓일 때 원하는 종류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함께 끓일 수 있어 사용자의 입맛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라면을 조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면 자판기{Rame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원하는 봉지라면을 선택하여 직접 끓일 수 있으며, 라면을 끓일 때 원하는 종류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함께 끓일 수 있게 한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라면은 국수를 증기로 익힌 뒤 기름에 튀겨 말린 것에 양념스프를 별도로 첨부한 즉석식품으로써, 용기 내부에 라면과 양념스프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일정 시간 익히는 컵라면(용기라면)과 냄비 등으로 물을 끓인 후 끓는 물에 라면과 양념스프를 넣고 일정 시간 끓여서 조리하는 봉지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용기라면은 용기 내에 라면과 양념스프가 내장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용기를 개봉한 후, 용기 내에 뜨거운 물만 부어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리면 라면을 바로 먹을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쉽게 먹을 수 있는 간식 또는 부식으로서 실생활에 많이 친숙해져 있다.
그러나, 용기라면은 조리방법이 뜨거운 물에 라면을 불려서 익히는 방식이기 때문에 라면 면발의 식감이나 맛이 봉지라면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봉지라면은 냄비에 물을 끓이고, 끓는 물에 라면과 양념스프를 넣어 조리함으로써 라면 본연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물을 끓이기 위한 냄비와 물, 그리고 가열수단이 모두 있어서 라면의 조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준비를 미리 하지 않으면 실외에서 봉지라면을 끓여 먹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물을 끓이기 위한 알루미늄이나 종이로 된 간이용기와, 봉지라면을 세트로 구성한 상품이 개발되어 편의점 등에 구비된 핫플레이트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을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편의점 등에서 쉽게 끓여 먹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간이용기와 봉지라면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이라 하더라도 가정이 아닌 편의점 등에서 끓여 먹기 위해서는 반드시 핫플레이트와 같은 가열수단이 별도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 라면을 끓여 먹을 때,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 즉 고춧가루나 고추, 마늘, 파, 달걀, 숙주나물, 치즈, 햄 등을 라면에 넣어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간이용기와 봉지라면이 세트로 구성된 상품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가 함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넣어 라면을 끓여 먹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16848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원하는 봉지라면을 선택하여 직접 끓일 수 있으며, 라면을 끓일 때 원하는 종류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함께 끓일 수 있게 한 라면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는,
사각 함체형으로 되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본체(1);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여러 종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봉지라면을 배출하는 라면디스펜서모듈(2);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용기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용기디스펜서모듈(3);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부재료를 배출하는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물을 보관하고, 정량 배출하는 물공급모듈(5);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1)을 구비하여 라면을 끓이는 가열모듈(6);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되, 자판기 이용을 위한 결제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라면과 부재료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 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는,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에 적재되는 봉지라면의 종류가 진열되게 본체(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라면진열부(11);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에 적재되는 부재료의 종류가 표시되게 본체(1)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부재료진열부(12);
상기 전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사각홈 형태로 되어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에서 각각 배출되는 봉지라면, 용기, 부재료의 배출구가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가열모듈(6)의 가열수단(61)이 설치된 조리대(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은,
여러 종류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적재하는 다수의 라면적재부(21);
상기 다수의 적재부 중 하나의 적재부에서 봉지라면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라면적재부(21)의 하단에 설치되는 라면배출수단(22);
상기 라면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된 봉지라면이 최종 배출되는 라면배출구(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은,
라면적재부(21)에 적재된 라면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하는 라면재고감지센서(2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7)은 라면재고감지센서(24)에서 제공된 라면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디스펜서모듈(3)은,
컵 형상으로 된 다수의 용기를 적재하는 용기적재부(31);
상기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 중 최하단의 용기를 배출하도록 용기적재부(31)의 하단에 설치되는 용기배출수단(32);
상기 용기배출수단(32)에 의해 배출된 용기가 최종 배출되는 용기배출구(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디스펜서모듈(3)은,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하는 용기재고감지센서(3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7)은 용기재고감지센서(34)에서 제공된 용기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여러 종류의 부재료를 종류별로 적재하는 부재료적재부(41);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를 선택적으로 정량 배출하도록 부재료적재부(41)의 하단에 설치되는 부재료배출수단(42);
상기 부재료배출수단(42)에 의해 배출되는 부재료가 최종 배출되도록 부재료배출수단(4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되는 부재료배출구(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하는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7)은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에서 제공된 부재료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장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장유지수단(4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동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동유지수단(4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모듈(5)은,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물탱크(51)의 물을 정량 배출하는 물배출수단(52);
상기 물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최종 배출되도록 물배출수단(5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되는 배출관(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배출수단은,
물을 일정한 압력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여 펌프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정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모듈(5)은 물탱크(51)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5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모듈(5)은,
상기 물탱크(51)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체(55);
상기 물탱크(5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열체(5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는 온도센서(56);
상기 물탱크(51)의 타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압력을 자동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5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모듈(6)은,
상기 조리대(13)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1);
상기 가열수단(61)의 상부에 설치되되, 용기가 끼워지는 거치공(62a)이 형성되어 전후로 인-아웃되는 배출부재(62);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부재(62)가 조리대(13)에서 인-아웃 되게 하는 액추에이터(6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모듈(7)은,
결제수단을 투입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패널(71);
결제 진행 후 라면의 종류, 부재료의 종류를 선택하는 입력수단(72);
상기 결제패널(71)의 결제 진행 과정과, 입력수단(72)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패널은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 제어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수단(7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원하는 봉지라면을 선택하여 직접 끓일 수 있으며, 라면을 끓일 때 원하는 종류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함께 끓일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입맛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라면을 조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관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라면 자판기는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원하는 봉지라면을 선택하여 직접 끓일 수 있으며, 라면을 끓일 때 원하는 종류의 부재료를 선택하여 함께 끓일 수 있도록 본체(1),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가열모듈(6), 제어모듈(7)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사각 함체형으로 되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되, 라면진열부(11), 부재료진열부(12), 조리대(13)를 포함한다.
상기 라면진열부(11)는 라면디스펜서모듈(2)에 적재되는 봉지라면의 종류가 진열되게 본체(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다.
라면진열부(11)는 다층의 선반 형태로 되어 각 선반에 각각의 봉지라면을 진열하고, 내부에는 조명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료진열부(12)는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에 적재되는 부재료의 종류가 표시되게 본체(1)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다.
부재료진열부(12)는 다층의 선반 형태로 되어 각 선반에 각각의 부재료를 진열하거나, 부재료의 이름표만 진열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조명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리대(13)는 전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사각홈 형태로 되어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에서 각각 배출되는 봉지라면, 용기, 부재료의 배출구가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가열모듈(6)의 가열수단(61)이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제어모듈(7)의 결제패널(71)에서 결제를 수행하고, 라면과 부재료를 각각 선택하면, 조리대(13)의 일측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봉지라면이 조리대(13)의 바닥면으로 배출되고, 사용자가 라면을 꺼내고 나면, 용기가 조리대(13)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사용자가 봉지라면을 뜯어 용기에 라면과 양념스프를 투입하고 나면 사용자가 선택한 부재료와 일정량의 물이 자동으로 용기 내부로 공급된 후 가열모듈(6)에 의해 용기가 가열되면서 라면 조리가 시작된다.
이때, 조리대(13)의 내면에 형성된 라면배출구(23), 용기배출구(33), 부재료배출구(43)에는 라면이나 용기, 부재료의 배출 시 각각 자동으로 개폐되는 셔터를 더 구비하여 외부에서 각 배출구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여러 종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봉지라면을 배출하도록 라면적재부(21), 라면배출수단(22), 라면배출구(23)를 포함한다.
상기 라면적재부(21)는 여러 종류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적재하도록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라면배출수단(22)은 다수의 적재부 중 하나의 적재부에서 봉지라면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라면적재부(21)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라면배출구(23)는 라면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된 봉지라면이 최종 배출되도록 라면배출수단(2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은 라면재고감지센서(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라면재고감지센서(24)는 라면적재부(21)에 적재된 라면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한다.
라면재고감지센서(24)는 라면적재부(21)에 적재된 라면의 무게 또는 라면의 적재 높이 등을 감지하여 라면의 재고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7)은 라면재고감지센서(24)에서 제공된 라면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일일이 라면적재부(21)를 확인하지 않고도 라면적재부(21)에 적재되는 각 봉지라면의 재고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디스펜서모듈(3)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용기를 보관하고, 배출하도록 용기적재부(31), 용기배출수단(32), 용기배출구(33)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적재부(31)는 컵 형상으로 된 다수의 용기를 적재한다.
상기 용기배출수단(32)은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 중 최하단의 용기를 배출하도록 용기적재부(31)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용기배출구(33)는 용기배출수단(32)에 의해 배출된 용기가 최종 배출되도록 용기배출수단(3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디스펜서모듈(3)은 용기재고감지센서(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용기재고감지센서(34)는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한다.
용기재고감지센서(34)는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의 무게 또는 용기의 적재 높이 등을 감지하여 용기의 재고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7)은 용기재고감지센서(34)에서 제공된 용기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일일이 용기적재부(31)를 확인하지 않고도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되는 용기의 재고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부재료를 배출하도록 부재료적재부(41), 부재료배출수단(42), 부재료배출구(43)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료적재부(41)는 여러 종류의 부재료를 종류별로 적재한다.
상기 부재료는 고춧가루, 마늘가루, 후춧가루, 편마늘, 편고추, 파, 떡, 어묵, 만두, 해산물, 치즈 등과 같이 봉지라면을 끓일 때 함께 넣어 먹을 수 있는 식재료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부재료적재부(41)는 다량의 부재료를 적재하거나, 별도의 포장재로 정량 포장된 부재료를 다수 적재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배출수단(42)은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를 선택적으로 정량 배출하도록 부재료적재부(41)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부재료배출구(43)는 부재료배출수단(42)에 의해 배출되는 부재료가 최종 배출되도록 부재료배출수단(4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는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한다.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는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의 무게 또는 부재료의 적재 높이 등을 감지하여 부재료의 재고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7)은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에서 제공된 부재료재고정보를 통신수단(74)을 이용해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일일이 부재료적재부(41)를 확인하지 않고도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되는 부재료의 재고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장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장유지수단(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 보관이 필요한 부재료를 냉장 상태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부재료의 변질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케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동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동유지수단(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 보관이 필요한 부재료를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부재료의 변질을 방지하면서, 장기 보관이 가능케 된다.
상기 물공급모듈(5)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물을 보관하고, 정량 배출하도록 물탱크(51), 물배출수단(52), 배출관(53)을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51)는 일측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출수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일정량의 음용수를 보관하고, 배출한다.
물탱크(51) 내부에는 항상 적정량의 물이 보관되도록 입수구는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관과 직접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배출수단(52)은 물탱크(51)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물탱크(51)의 물을 정량 배출하도록 펌프, 정량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는 물탱크(51) 내부의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한다.
상기 정량밸브는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여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 물이 배출되면, 펌프의 동작이 멈추도록 제어한다.
상기 배출관(53)은 물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최종 배출되도록 물배출수단(5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모듈(5)은 물탱크(51)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5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물탱크(51)의 입수구를 상수관과 직접 연결하고, 입수구에 수위조절수단(54)을 설치하고, 수위조절수단(54)에 물탱크(51) 내부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설정함으로써 물탱크(51)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조절수단(54)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상수관을 통해 물탱크(51) 내부로 물이 공급되고, 물탱크(51) 내부의 수위가 고수위에 도달하면, 수위조절수단(54)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상수관을 통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게 함으로써 물탱크(51) 내부에 적정량의 물을 항상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모듈(5)은 가열체(55), 온도센서(56), 압력조절수단(5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체(55)는 물탱크(51)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물을 가열한다.
상기 온도센서(56)는 물탱크(5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열체(5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에 물탱크(51) 내부 물의 최저온도와 최고온도를 설정함으로써, 물탱크(51) 내부의 물이 최저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체(55)가 작동하여 물탱크(51)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물탱크(51) 내부의 물이 최고온도에 도달하면 가열체(55)의 동작이 멈추게 됨으로써 가열체(55)의 효율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케 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57)은 물탱크(51)의 타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압력을 자동 제어한다.
즉, 가열체(55)에 의해 물탱크(51)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물탱크(51)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압력조절수단(57)이 이를 감지하여 물탱크(51) 내부의 압력을 낮춰줌으로써 과압에 의한 물탱크(51)의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가열모듈(6)은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라면을 끓일 수 있도록 가열수단(61), 배출부재(62), 액추에이터(63)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수단(61)은 조리대(13)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도록 코일 방식으로 가열하는 핫플레이트나 하이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재(62)는 가열수단(61)의 상부에 설치되되, 용기가 끼워지는 거치공(62a)이 형성되어 전후로 인-아웃된다.
상기 액추에이터(63)는 본체(1)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부재(62)가 조리대(13)에서 인-아웃 되게 한다.
즉, 용기디스펜서모듈(3)에서 배출된 용기는 배출부재(62)의 거치공(62a)에 끼워지면서 용기의 바닥면이 가열수단(61)에 밀착됨에 따라 가열수단(61)에 의한 조리가 가능케 되고, 조리가 완료되면, 액추에이터(63)에 의해 배출부재(62)가 조리대(13) 밖으로 아웃(배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용기를 배출부재(62)의 거치공(62a)에서 쉽게 들어 올려 배출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액추에이터(63)에 의해 배출부재(62)는 다시 조리대(13)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제어모듈(7)은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되, 자판기 이용을 위한 결제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라면과 부재료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결제패널(71), 입력수단(72), 디스플레이(73)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패널(71)은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한다.
상기 결제수단은 사용자가 구매한 라면과 부재료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결제 방식(신용카드, 직불카드, 체크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결제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패널(71)은 다양한 결제수단을 지원하도록 카드 리더기, 마그네틱 리더기, QR코드리더기, NFC 통신모듈, 현금결제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72)은 결제 진행 후 라면의 종류, 부재료의 종류를 선택한다.
입력수단(72)은 버튼형, 터치형, 음성인식형, 동작인식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수단(72)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봉지라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수단(72)에는 해당 메뉴의 명칭과 가격, 그리고 사진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73)는 결제패널(71)의 결제 진행 과정과, 입력수단(72)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73)는 라면의 종류 및 가격, 부재료의 종류 및 가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라면의 종류에 따른 추천 조리시간, 추천 조리방법, 추천 부재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73)는 라면이 조리되는 동안 다양한 광고, 홍보, 안내, 마케팅 관련 이미지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73)는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패널은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 제어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수단(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수단(74)을 이용하여 라면디스펜서모듈(2)의 라면적재부(21)에 적재된 라면재고정보나, 용기디스펜서모듈(3)의 용기적재부(31)에 적재된 용기재고정보나,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의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재고정보나, 물공급모듈(5)의 물탱크(51) 내부 수위정보나, 가열모듈(6)의 가열수단(61)의 상태나 액추에이터(63)의 상태 등 각종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74)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용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데이터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통신사의 인터넷(Internet)망이나, WCDMA망, 3G LTE망, 4G망, 5G망 등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원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의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나 전용통신모듈을 구비하여 근거리무선통신이나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유·무선 방식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함과 동시에 화면표시부, 입력부, 출력부를 모두 가지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데스크톱,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체 11: 라면진열부
12: 부재료진열부 13: 조리대
2: 라면디스펜서모듈 21: 라면적재부
22: 라면배출수단 23: 라면배출구
24: 라면재고감지센서 3: 용기디스펜서모듈
31: 용기적재부 32: 용기배출수단
33: 용기배출구 34: 용기재고감지센서
4: 부재료디스펜서모듈 41: 부재료적재부
42: 부재료배출수단 43: 부재료배출구
44: 부재료재고감지센서 45: 냉장유지수단
46: 냉동유지수단 5: 물공급모듈
51: 물탱크 52: 물배출수단
53: 배출관 54: 수위조절수단
55: 가열체 56: 온도센서
57: 압력조절수단 6: 가열모듈
61: 가열수단 62: 배출부재
62a: 거치공 63: 액추에이터
7: 제어모듈 71: 결제패널
72: 입력수단 73: 디스플레이
74: 통신수단

Claims (5)

  1. 사각 함체형으로 되어 일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본체(1);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여러 종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봉지라면을 배출하는 라면디스펜서모듈(2);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용기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용기디스펜서모듈(3);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를 보관하고, 제어모듈(7)에서 선택된 부재료를 배출하는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봉지라면을 끓일 물을 보관하고, 정량 배출하는 물공급모듈(5);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되,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1)을 구비하여 라면을 끓이는 가열모듈(6);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되되, 자판기 이용을 위한 결제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라면과 부재료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는,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에 적재되는 봉지라면의 종류가 진열되게 본체(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라면진열부(11);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에 적재되는 부재료의 종류가 표시되게 본체(1)의 전면 타측에 형성된 부재료진열부(12);
    상기 전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사각홈 형태로 되어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에서 각각 배출되는 봉지라면, 용기, 부재료의 배출구가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가열모듈(6)의 가열수단(61)이 설치된 조리대(13); 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료디스펜서모듈(4)은,
    여러 종류의 부재료를 종류별로 적재하는 부재료적재부(41);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를 선택적으로 정량 배출하도록 부재료적재부(41)의 하단에 설치되는 부재료배출수단(42);
    상기 부재료배출수단(42)에 의해 배출되는 부재료가 최종 배출되도록 부재료배출수단(4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되는 부재료배출구(43);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의 재고량을 감지하여 제어모듈(7)로 전송하는 부재료재고감지센서(44);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장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장유지수단(45);
    상기 부재료적재부(41)에 적재된 부재료가 냉동 상태로 보관되게 하는 냉동유지수단(46);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모듈(5)은,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51);
    상기 물탱크(51)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물탱크(51)의 물을 정량 배출하는 물배출수단(52);
    상기 물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최종 배출되도록 물배출수단(52)과 본체(1)의 조리대(13) 간에 설치되는 배출관(53);
    상기 물탱크(51)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54);
    상기 물탱크(51)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체(55);
    상기 물탱크(51)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열체(5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는 온도센서(56);
    상기 물탱크(51)의 타측에 설치되어 물탱크(51) 내부의 압력을 자동 제어하는 압력조절수단(57); 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6)은,
    상기 조리대(13)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라면과 부재료, 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1);
    상기 가열수단(61)의 상부에 설치되되, 용기가 끼워지는 거치공(62a)이 형성되어 전후로 인-아웃되는 배출부재(62);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되어 배출부재(62)가 조리대(13)에서 인-아웃 되게 하는 액추에이터(63);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7)은,
    결제수단을 투입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패널(71);
    결제 진행 후 라면의 종류, 부재료의 종류를 선택하는 입력수단(72);
    상기 결제패널(71)의 결제 진행 과정과, 입력수단(72)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3); 및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 용기디스펜서모듈(3), 부재료디스펜서모듈(4), 물공급모듈(5) 및 가열모듈(6)의 동작 제어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수단(7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면디스펜서모듈(2)은,
    여러 종류의 봉지라면을 종류별로 적재하는 다수의 라면적재부(21);
    상기 다수의 적재부 중 하나의 적재부에서 봉지라면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라면적재부(21)의 하단에 설치되는 라면배출수단(22);
    상기 라면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된 봉지라면이 최종 배출되는 라면배출구(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판기.
  4. 삭제
  5. 삭제
KR1020220031509A 2022-03-14 2022-03-14 라면 자판기 KR10242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09A KR102427492B1 (ko) 2022-03-14 2022-03-14 라면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509A KR102427492B1 (ko) 2022-03-14 2022-03-14 라면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92B1 true KR102427492B1 (ko) 2022-07-29

Family

ID=8260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09A KR102427492B1 (ko) 2022-03-14 2022-03-14 라면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73U (ko) * 1998-11-13 1999-04-26 남상선 자동화된 라면 자판기
KR200169767Y1 (ko) * 1999-08-30 2000-02-15 인터패트주식회사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100075331A (ko) * 2008-12-24 2010-07-02 김용호 부가 첨가물을 선택할 수 있는 라면 자판기
KR101816848B1 (ko)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KR20200101527A (ko) * 2019-01-31 2020-08-28 구진현 라면 자판기를 이용한 무인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73U (ko) * 1998-11-13 1999-04-26 남상선 자동화된 라면 자판기
KR200169767Y1 (ko) * 1999-08-30 2000-02-15 인터패트주식회사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100075331A (ko) * 2008-12-24 2010-07-02 김용호 부가 첨가물을 선택할 수 있는 라면 자판기
KR101816848B1 (ko)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KR20200101527A (ko) * 2019-01-31 2020-08-28 구진현 라면 자판기를 이용한 무인매장 운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27B1 (ko) 2023-05-30 2024-02-23 주식회사 금홍종합상사 대량의 음식물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6733A1 (en) Food vending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70258257A1 (en) Automated cooking device and ordering system
KR102427492B1 (ko) 라면 자판기
US20160253861A1 (en) Multi-kiosk-based automatic tteok vending machine
US1142745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timed preheating for dispensed fluids
US20200154927A1 (en) Catering and cooking device, cooking system and user terminal
CN209947002U (zh) 一种全自动加热型自助售货机
US11849879B2 (en) Systems for measuring usage of consumables in kitchen appliances
JP6765776B1 (ja) 麺類自動調理提供システム
KR20140107068A (ko) 음식물 양념 자동 토출기 및 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978126B1 (ko) 음식 자동판매기
WO2018042463A1 (en) Automated pani-puri(water-hollow bread) vending machine
US20150282659A1 (en) Instant cooking system
KR20130121456A (ko) 떡 자동판매기
CN107468108A (zh) 一种配料添加设备、方法及橱柜
KR20190066320A (ko) 토핑과 즉석밥을 제공하는 즉석 컵밥 자판기
KR102327682B1 (ko) 멀티 캡슐 쿠커
KR102158361B1 (ko) 라면자판기를 이용한 조리라면 제공방법
CN207976951U (zh) 一种自动售货机及其餐桌
KR102225044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라면자판기 조리 및 빅데이터 활용 관리방법
KR20210101733A (ko) 무인조리장치를 이용한 자판기
KR102199748B1 (ko) 토핑 제공 머신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매장 시스템
KR102095934B1 (ko) 라면 조리 판매 시스템
CN212341959U (zh) 一种早餐机
KR102274461B1 (ko)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