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461B1 -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461B1
KR102274461B1 KR1020190149677A KR20190149677A KR102274461B1 KR 102274461 B1 KR102274461 B1 KR 102274461B1 KR 1020190149677 A KR1020190149677 A KR 1020190149677A KR 20190149677 A KR20190149677 A KR 20190149677A KR 102274461 B1 KR102274461 B1 KR 10227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container
opening
mixing contain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759A (ko
Inventor
허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코어
Priority to KR102019014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4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여러 종류의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계량되어 정확히 배출되게 함으로서, 요리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념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양념 공급장치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착탈 가능하며,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와, 제1 몸체에 장착된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와,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와,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양념용기 수용된 양념이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와, 제1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들을 배출하도록 혼합용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는 제2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Spice fee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공급할 수 있는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요리할 때 다양한 맛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금, 설탕, 고춧가루, 후추가루, 간장 등 다양한 양념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양념들은 통상 독립적인 양념통에 개별적으로 저장되며, 음식 요리 시 특정 양념통에 보관된 양념을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음식 요리 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나 양에 따라 사용되는 양념의 양이 다르며, 통상 요리하는 사람의 감각에 의하여 스푼이나 손에 의해 계량된 후 사용된다.
그런데 사람의 감각에 의해 계량된 양념의 양은 매번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 동일한 음식을 요리하더라도 항상 균일한 음식 맛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입맛에 맞는 요리가 완성된 경우에도, 그 요리에 사용된 양념의 정확한 양이 계량되어 저장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다음 번 요리 시 개인의 주관적인 기억에 의존하여 양념의 종류 및 양을 다시 설정한 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요리의 경험이 없는 사람은 양념의 종류 및 양을 정확히 설정하지 못하여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념의 종류에 따라서 고춧가루, 깨, 들깨가루, 멸치가루와 같이 변질 염려가 있는 양념들의 경우에는 별도로 냉장고 등에 냉장 보관해야 하며, 음식 요리 시, 냉장고에서 꺼내 와야 하는 불편함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계량되어 정확히 배출되게 함으로서, 요리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요리 별로 자신의 입맛에 맞는 레시피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레시피에 따른 양념을 혼합하여 한번에 배출되게 하는 양념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양념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착탈 가능하며,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와, 상기 제1 몸체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와,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와, 상기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양념용기 수용된 양념이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와, 상기 제1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들을 배출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는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양념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양념용기가 상기 연결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혼합용기가 상기 배출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배출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양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념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과,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가 음식 메뉴 및 양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절밸브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의 양을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몸체를 가지는 양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공급 장치는,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며,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와, 상기 몸체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와,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와, 상기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양념용기 수용된 양념이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장착부는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들을 배출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는 디스펜서부; 를 포함한다.
상기 양념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양념용기가 상기 연결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혼합용기가 상기 디스펜서와 결합되면, 상기 디스펜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착탈 가능한 몸체를 가지는 양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공급 장치는,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며,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와, 상기 몸체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와,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와, 상기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양념용기 수용된 양념이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들을 배출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는 디스펜서부; 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세팅하거나 저장된 레시피 정보에 따라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자동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배출되므로, 양념을 준비하거나 계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빠른 시간내에 요리가 가능하고,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양념 용기들을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양념을 손쉽게 보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양념 공급장치를 간편하게 냉장 보관할 수 있고, 양념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양념 공급장치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양념 용기가 제1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양념 용기가 제1 몸체의 연결통로와 연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몸체가 제2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몸체의 혼합 용기가 제2 몸체의 배출통로와 연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양념 공급장치의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어의 후방에 마련된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어에 양념 공급장치의 제1 몸체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형성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 및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어떤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 및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양념 공급장치의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양념 용기가 제1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양념 용기가 제1 몸체의 연결통로와 연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몸체가 제2 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몸체의 혼합 용기가 제2 몸체의 배출통로와 연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양념 공급장치의 구성들을 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 (100)는 양념 공급장치 (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몸체(110), 제1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념을 수용하는 복수의 양념용기(120), 제1 몸체(110)에 마련되고, 복수의 양념용기(120)와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통로(130), 복수의 연결통로(1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혼합용기(140), 복수의 연결통로(130) 상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조절밸브(150)를 포함한다.
또한 양념 공급장치 (100)는 제1 몸체(1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몸체(160)를 더 포함한다. 제2 몸체(160)는 혼합용기(140)에 수용된 양념들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통로(162)와 배출통로(162) 상에 배치되는 제2 조절밸브(164)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복수의 양념용기(120)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홈들(112)을 포함한다. 복수의 수용홈들(112) 각각은 복수의 양념용기(120)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양념용기(120)가 제1 몸체(110)의 상면(110a)을 통해 복수의 수용홈들(112)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양념용기(120)가 장착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 몸체(110)의 전면(110b), 측면(110c)에 복수의 수용홈들(11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양념용기(120)가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수용홈들(112)에 각각 삽입되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양념용기(120)의 크기 및 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홈들(112)의 크기 및 형태가 모두 동일할 필요도 없으며, 양념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양념용기(120)의 크기 및 복수의 수용홈들(112)의 크기 및 형태가 서로 각각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양념용기(12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원통 형상의 내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양념들을 수용, 보관하기 위한 수용부(122)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요리에 사용되는 양념은 크게 가루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소금, 설탕, 고추가루, 후추가루 등의 양념과 액상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간장, 식초, 기름 등의 양념과 반죽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된장, 고추장 등의 양념을 포함하는데, 복수의 양념용기(120)의 각각의 수용부(122)에는 가루형태의 양념, 액상형태의 양념, 반죽형태의 양념이 각각 구분되어 수용될 수 있다.
양념용기(120)의 하면(12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2)에 양념을 보충하거나, 수용부(122)에 수용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 개구(124)가 형성된다.
또한, 양념용기(120)는 제1 개구(124)를 개폐하는 제1 커버(126)를 포함한다. 제1 커버(126)는 제1 개구(124)에 인접한 양념용기(120)의 하면(1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커버(126)는 양념용기(120)가 수용홈(112)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개구(124)를 폐쇄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필요 시 양념용기(120)가 수용홈들(112)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커버(126)를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고, 양념을 보충할 수 있다.
제1 커버(126)는 양념용기(120)가 수용홈(112)에 수용되면, 연결통로(130)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제1 개구(124)를 개방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양념용기(120)가 제1 몸체(110)에 장착되면, 양념용기(120)의 수용부(122)의 내부에 수용된 양념은 수용부(122)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커버(126) 이외에 양념을 보충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양념용기(1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양념용기(120)가 제1 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커버를 통해 양념을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통로(130)의 각각의 일단(130a)은 각각 복수의 수용홈들(112)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연결통로(130)의 각각의 타단(130b)은 혼합용기(140)와 연통된다.
연결통로(130)의 일단(130a)은, 양념용기(120)가 제1 몸체(110)에 장착되면 제1 커버(126)를 가압하여 회전시킨다. 제1 커버(126)가 회전되면, 제1 개구(124)가 개방되면서 연결통로(130)와 양념용기(120)의 수용부(122)가 서로 연통된다.
혼합용기(140)는 제1 몸체(1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양념용기들(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혼합용기(140)는 복수의 연결통로(130)의 각각의 타단(130b)과 연통되며, 혼합용기(140)의 하면(140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2 개구(144)가 형성된다.
또한, 혼합용기(140)는 제2 개구(144)를 개폐하는 제2 커버(146)를 포함한다. 제2 커버(146)는 제2 개구(144)에 인접한 혼합용기(140)의 하면(14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커버(146)는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개구(144)를 폐쇄하는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커버(146)는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결합되면, 배출통로(162)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제2 개구(144)를 개방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장착되면, 혼합용기(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은 혼합용기(14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복수의 연결통로(130) 각각에는 제1 조절밸브(150)가 배치된다. 제1 조절밸브(150)는 연결통로(130)의 일단(130a) 및 타단(130b)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통로(130)를 개폐한다. 제1 조절밸브(15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양념용기(120)가 수용홈(1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조절밸브(150)가 연결통로(130)를 개방하면, 양념용기(120)의 수용부(122)에 수용된 양념이 혼합용기(140)로 공급되고, 제1 조절밸브(150)가 연결통로(130)를 폐쇄하면, 혼합용기(140)로의 양념 공급이 차단된다.
제1 몸체(110)는 제2 몸체(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몸체(160)는 제1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몸체(110)를 지지하며, 제1 몸체(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제1 몸체(110)의 돌출부(미도시)와 결합되는 지지홈(160a)을 포함한다.
제2 몸체(160)의 전면에는 인출구(160b)가 마련된다. 인출구(160b)는 제2 몸체(16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술할 배출통로(162)의 타단(162b)과 연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통로(162)의 일단(162a)은 제2 몸체(160)의 상면(160b)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배출통로(162)의 타단(162b)은 인출구(160b)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된다. 사용자는 인출구(160b)를 통해 배출통로(162)의 타단(162b)으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을 공급받아 인출할 수 있다.
배출통로(162)에는 제2 조절밸브(164)가 배치된다. 제2 조절밸브(164)는 배출통로(162)의 일단(162a) 및 타단(162b) 사이에 배치되어 배출통로(162)를 개폐한다. 제2 조절밸브(164)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조절밸브(164)가 배출통로(162)를 개방하면, 혼합용기(140)에 수용된 양념이 배출통로(162)를 거쳐 인출구(160b)로 배출되고, 제2 조절밸브(164)가 배출통로(162)를 폐쇄하면, 인출구(160b)로의 양념 배출이 차단된다.
양념 공급장치(100)는 제1 몸체(1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170)과, 디스플레이(18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 패널(170)은 사용자가 복수의 양념용기(120)에 수용된 각각의 양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념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171)과,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72)과, 사용자가 음식 메뉴 및 양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버튼(173)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172)은 각각 티스푼 단위로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들(172a)과, 그램(g) 단위로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들(172b)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컨트롤 패널(170)은 사용자가 매운 맛 정도, 단맛 정도, 짠 맛 정도 등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요리의 맛의 정도를 선택하는 맛 선택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사용자가 제1 버튼(171) 또는 제2 버튼(172) 또는 제3 버튼(173)을 통해 선택한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 또는 음식 메뉴 및 음식의 양의 정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컨트롤 패널(170)과 디스플레이(180)가 별도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180)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컨트롤 패널(170)과 디스플레이(18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념 공급장치(100)는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19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0)는 제1 버튼(171) 또는 제2 버튼(172) 또는 제3 버튼(173)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 또는 음식 메뉴 및 음식의 양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 또는 음식 메뉴 및 음식의 양의 정보 등을 기초로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해당되는 양념들 만을 설정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제1 조절밸브(150) 및 제2 조절밸브(164)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90)는 여러 가지 음식에 사용되는 양념의 조합 정보 및 여러 가지 음식의 레시피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9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3 버튼(173)을 통해 만들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와 양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90)는 저장부(192)에서 선택된 음식에 필요한 양념의 조합 정보 검색하고, 검색된 양념의 조합 정보 따라 각각의 제1 조절밸브(150) 및 제2 조절밸브(164)를 제어하여, 필요한 음식의 양념에 맞게 정확한 양의 양념들이 혼합 및 배출되도록 한다.
프로세서(190)는 선택된 음식의 제시피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에 출력된 방법대로 음식을 만들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부(192)에 저장된 여러 가지 음식에 사용되는 양념의 조합 정보 및 여러 가지 음식의 레시피 등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수정하여 저장부(192)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1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94)는 블루투스, WIFI,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통신부(194)를 통해 데이터(문자, 이미지, 동영상, 암호화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함) 전송으로 저장부(192)에 저장된 레시피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 저장부(192)에 자신의 기호에 맞는 레시피를 추가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스마트폰이 포함된 모바일 및 휴대용 단말기기(PAD, PMP, TAB 등)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 양념 공급장치 (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 저장부(192)에 저장된 음식 레시피를 저장부(192)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자신의 기호에 맞게 수정된 음식의 레시피를 제작하여 저장부(192)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PC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동될 수 있다.
PC(210)는 양념 공급장치 (100) 및 저장매체(USB 메모리, 외장하드를 포함한 HDD 등)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반대로 PC(210)를 통해 양념 공급장치 (100) 및 저장매체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양념 공급장치(100)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70)의 제1 버튼(171) 또는 제2 버튼(172)을 통해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90)는 제1 버튼(171) 또는 제2 버튼(172)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 등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의 종류 및 양념의 양의 정보 등을 기초로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해당되는 양념들 만을 설정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제1 조절밸브(150) 및 제2 조절밸브(164)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들은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각각 이동하여 제1 조절밸브(150)를 통해 혼합용기(140)로 유입되어 혼합된 후, 제2 조절밸브(164) 및 배출통로(162)를 거쳐 인출구(160b)로 배출되고, 사용자는 인출구(160b)에서 별도의 용기 등을 통해 혼합된 양념을 공급받아 요리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70)의 제3 버튼(173)을 통해 음식 메뉴 및 음식의 양을 선택하면, 프로세서(190)는 제3 버튼(173)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 메뉴 및 음식의 양 등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저장부(192)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에 필요한 양념의 조합 정보 검색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의 레시피 및 필요한 양념의 조합 정보를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프로세서(190)는 검색된 양념의 조합 정보 등을 기초로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해당되는 양념들 만을 설정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제1 조절밸브(150) 및 제2 조절밸브(164)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양념들은 복수의 양념용기(120)로부터 각각 이동하여 제1 조절밸브(150)를 통해 혼합용기(140)로 유입되어 혼합된 후, 제2 조절밸브(164) 및 배출통로(162)를 거쳐 인출구(160b)로 배출되고, 사용자는 인출구(160b)에서 별도의 용기 등을 통해 혼합된 양념을 공급받아 요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념 공급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 또는 PC(210) 등의 외부 장치들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어의 후방에 마련된 장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어에 양념 공급장치의 제1 몸체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냉장고(10)는 캐비닛(11)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2, 14)와, 도어(12, 14)에 장착되는 양념 공급장치(100)를 포함한다.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저장실(미도시)이 마련된다. 저장실은 중간격벽(미도시)에 의해 구획된 냉장실(미도시) 및 냉동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냉장실 및 냉동실의 전면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2) 및 냉동실 도어(14)가 배치된다.
냉장실 도어(12)의 내측에는 양념을 공급하기 위한 양념 공급장치(100)가 장착되며, 냉장실 도어(12)의 외측에는 양념 공급장치(100)에서 혼합되어 배출되는 양념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펜서부(16)가 마련된다. 양념 공급장치(100)와 디스펜서부(16)는 배출덕트(18)에 의해 연통된다.
냉장실 도어(12)의 내측에는 장착부(12a)가 마련된다. 장착부(12a)는 양념 공급장치(100)가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양념 공급장치(1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양념 공급장치(100)는 냉장실 도어(12)의 내측에 형성된 장착부(1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장착부(1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장착부(12a)에 장착되면, 혼합용기(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버(146)는 배출덕트(18)의 일단(18a)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제2 개구(144)를 개방한다. 따라서 제1 몸체(110)가 장착부(12a)에 장착되면, 혼합용기(140)의 내부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은 혼합용기(14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냉장실 도어(12)는 배출덕트(18)를 포함한다. 배출덕트(18)는 양념 공급장치(100)와 디스펜서부(16)를 연통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배출덕트(18)의 일단(18a)은 장착부(12a)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배출덕트(18)의 타단(18b)은 디스펜서부(16)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된다. 사용자는 디스펜서부(16)를 통해 배출덕트(18)의 타단(18b)으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을 공급받아 인출할 수 있다.
배출덕트(18)에는 조절밸브(19)가 배치된다. 조절밸브(19)는 배출덕트(18)의 일단(18a) 및 타단(18b) 사이에 배치되어 배출덕트(18)를 개폐한다. 제2 조절밸브(19)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장착부(12a)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밸브(19)가 배출덕트(18)를 개방하면, 혼합용기(140)에 수용된 양념이 배출덕트(18)를 거쳐 디스펜서부(16)로 배출되고, 조절밸브(19)가 배출덕트(18)를 폐쇄하면, 디스펜서부(16)로의 양념 배출이 차단된다.
장착부(12a)에는 양념 공급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미도시)와, 각종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 수신하기 위한 신호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몸체(110)에는 장착부(12a)에 배치된 전원공급단자(미도시) 및 신호단자(미도시)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자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10)가 장착부(12a)에 장착되면, 제1 몸체(110)에 배치된 제1 조절밸브(150), 프로세서(190) 등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냉장고(10)의 제어부(미도시)와 프로세서(190)가 각종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 수신하고, 공유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2)의 외측에는 양념 공급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입력 버튼부(21)와, 양념 공급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보관된 양념들의 종류, 양 또는 음식의 레시피 등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2)가 마련된다.
입력 버튼부(21)는 앞서 설명한 컨트롤 패널(170)과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양념용기(120)에 수용된 각각의 양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념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들과,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들과, 사용자가 음식 메뉴 및 양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매운 맛 정도, 단맛 정도, 짠 맛 정도 등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요리의 맛의 정도를 선택하는 맛 선택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에 장착된 양념 공급장치(100)가 동작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결합된 양념 공급장치(100)가 동작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는 냉장실 도어(12) 대신 저장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실의 일 부분에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장착되는 장착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미도시)는 냉장실 도어(12)에 마련된 배출덕트(18)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상기 장착부(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몸체(110)의 혼합용기(140)가 배출덕트(18)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미도시)가 저장실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장실 도어(12)가 저장실을 폐쇄하면, 냉장실 도어(12)에 마련된 배출덕트(18)가 혼합용기(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커버(146)를 가압하여 혼합용기(140)를 개방함으로써, 배출덕트(18)를 통해 혼합된 양념이 배출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념 공급장치(100)의 제1 몸체(110)가 제2 몸체(16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제1 몸체(110)가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12) 또는 저장실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양념들을 상온이나 냉장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냉장고
100. 양념 공급장치
110. 제1 몸체
120. 복수의 양념용기
130. 복수의 연결통로
140. 혼합용기
150. 복수의 제1 조절밸브
160. 제2 몸체
164. 제2 조절밸브

Claims (12)

  1.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착탈 가능하며,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
    상기 제1 몸체에 장착된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
    상기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양념용기에 수용된 양념이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 조절밸브;
    상기 제1 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양념들을 배출하도록 상기 혼합용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는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배출통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된 양념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제2 조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2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제2 몸체에 결합 시 상기 배출통로의 일단이 상기 혼합용기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배출통로와 상기 혼합용기가 연통되는 양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양념용기가 상기 연결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는 양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혼합용기가 상기 배출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배출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는 양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양념 중 적어도 하나의 양념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과,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양념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양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가 음식 메뉴 및 양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버튼을 더 포함하는 양념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조절밸브 및 제2 조절밸브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혼합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의 양을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양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양념 공급 장치.
  8.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장착부를 가지는 도어;
    상기 도어의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양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 공급 장치는, 양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양념용기;와,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연결통로;와,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를 거친 양념들이 모여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통로와 연통되는 혼합용기;와, 상기 연결통로 상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양념용기에 수용된 양념이 상기 혼합용기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조절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혼합용기에 수용되어 혼합된 양념들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펜서부; 및
    일단은 상기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펜서부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배출덕트; 를 포함하며,
    상기 양념공급장치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양념용기와 상기 혼합용기를 수용하는 제1 몸체; 와,
    상기 제1 몸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제1 몸체와 결합 시 상기 혼합용기를 개방하는 배출통로를 가지는 제2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제2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도어의 장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혼합용기는 상기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배출덕트의 일단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디스펜서부와 연통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1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양념용기가 상기 연결통로와 결합되면,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개구를 개방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기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제2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혼합용기가 상기 디스펜서부와 결합되면, 상기 디스펜서부의 일단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제2 개구를 개방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49677A 2019-11-20 2019-11-20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227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77A KR102274461B1 (ko) 2019-11-20 2019-11-20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677A KR102274461B1 (ko) 2019-11-20 2019-11-20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59A KR20210061759A (ko) 2021-05-28
KR102274461B1 true KR102274461B1 (ko) 2021-07-07

Family

ID=7614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677A KR102274461B1 (ko) 2019-11-20 2019-11-20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4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54B1 (ko) * 2006-12-11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21A (ko) * 2008-06-27 2010-01-06 문재성 요리의 토탈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30015512A (ko) * 2011-08-04 2013-02-14 조은형 사용자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재료 혼합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54B1 (ko) * 2006-12-11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59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180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ic cooking device
US11832758B2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KR101552084B1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US20100276442A1 (en) Personalized dry or bulk dispensing system
US20210196074A1 (en) Juic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RU27333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двумя жидкостными контурами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233092B1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의 양념 공급장치
KR101121647B1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 및 방법
CN206603702U (zh) 调料重量调配装置及调料自动调配系统
CN112513547A (zh) 用于冰箱设备的电连接单次服务饮料分配器
KR101462045B1 (ko) 음식물 양념 자동 토출기 및 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13951731A (zh) 智能烹饪加料方法、智能烹饪系统及智能烹饪设备
KR102274461B1 (ko) 양념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01512942B1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CN102640888A (zh) 新的粥烹调方法
WO2018042463A1 (en) Automated pani-puri(water-hollow bread) vending machine
KR101233108B1 (ko) 인터넷 연동 요리 조력시스템의 액상양념 공급장치
JP2013141439A (ja) 即時自動配合機
CN107468108A (zh) 一种配料添加设备、方法及橱柜
CN206548402U (zh) 调料重量调配装置及调料自动调配系统
US20170071403A1 (en) Programmable Self-Cooker
KR102427492B1 (ko) 라면 자판기
CN108185802B (zh) 蒸汽烹饪器具
KR20190066320A (ko) 토핑과 즉석밥을 제공하는 즉석 컵밥 자판기
KR20180124596A (ko) 멀티 캡슐 쿠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