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67U - 자동 약 제공 기계 - Google Patents

자동 약 제공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67U
KR20200001367U KR2020180005852U KR20180005852U KR20200001367U KR 20200001367 U KR20200001367 U KR 20200001367U KR 2020180005852 U KR2020180005852 U KR 2020180005852U KR 20180005852 U KR20180005852 U KR 20180005852U KR 20200001367 U KR20200001367 U KR 202000013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automatic
machine
temperatur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채
Original Assignee
유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채 filed Critical 유광채
Priority to KR2020180005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67U/ko
Publication of KR20200001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약 제공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을 약국에 제시해 그에 따라 약사가 약을 조제하고 이를 환자가 수령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Description

자동 약 제공 기계 {An automatic medicine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약 제공 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공해야 할 약에 대한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인식해 정보를 읽고 그에 따라 환자에게 바로 약과 복용 방법이 적힌 안내서, 약 봉투를 바로 수령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사람들이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고, 그에 따른 치료를 받은 뒤,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아 약국으로부터 제공받아야 할 약들을 안내받는다. 환자는 이 처방전을 약국에 가서 제출하고 결제를 한 뒤 약을 받아온다. (상기 병원과 이후에 쓰이는 '병원' 이라는 단어는 이비인후과 병원, 내과병원, 소아과 병원 등 한 진료과목만을 다루는 병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병원 등 여러 진료과목이 있는 병원은 이 명세서에서의 '병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약국에서 약을 받을 때까지 환자는 최소 5분 정도를 기다려야 한다. 이 과정에서 약사는 손을 이용해 약을 제조한다. 또한, 종래에는 본 발명과 유사하게 약국에서 약을 제조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전자동 포장기(ATC)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절차에서 환자는 약을 받으러 병원에서 약국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기도 하고, 위독한 상태이거나 거동이 곤란한 환자의 경우 약을 받으러 약국까지 가는 것이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약국에서 약을 수령하기 전까지 환자는 앞서 약국에서 조제를 기다리는 고객이 많은 경우 환자는 약을 받기 위해 본인의 차례가 될 때까지 약국에서 대기를 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약국은 환자들이 방문하는 곳이므로 만약 약국에 독감과 같은 전염성 질환을 가진 고객이 있어 약을 받기 위해 함께 대기할 경우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가 전염성 질환에 감염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 약 수령 절차에서 환자가 약국 내부에서의 약 조제 상황을 알 수 없는 구조를 가진 약국의 경우 약을 약사가 조제하는 것인지, 약사가 아닌 약을 조제할 자격이 없는 자가 약을 조제하는 것은 아닌지, 약을 조제하는 사람이 청결관리를 잘 하고 있는지와 같은 우려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 약사가 약을 직접 조제할 때 손을 사용하므로 손을 아무리 청결하게 유지해도 환자 입장에서는 위생상의 불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는 상기 전자동 포장기(ATC)를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이 전자동 포장기는 초기 구입 비용이 수천만원에 달하고, 관리를 위해 소모품을 계속 교체해야 하므로 적지 않은 비용이 필요해 현재 한국에서는 약 30% 정도의 약국에서만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자동 포장기를 사용하는 약국에서 약을 조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 전자동 포장기를 사용해 약을 조제해 고객들에게 제공한 것이 적발되어 전자동 포장기 사용 과정에서 이와 같은 위법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절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자동 약 제공 기계를 설치하여 종래의 약을 수령하는 절차를 거쳤을 때 걸리는 시간보다 더 적은 시간과 노력이 들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제1목적이 있다.
아래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실제 병원에서 적용된다면 약의 제조과정을 환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제2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발명은 인쇄용지와 잉크를 장착해 약 복용 방법 안내서와 약 봉투를 출력하는 프린터와, 약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와, 약을 플라스틱 용기에서 내보내는 용수철과, 약을 담기 위한 약 봉투와, 컨베이어 벨트 및 깔때기로 이루어진 제조부분과, 처방전의 QR코드를 인식하는 QR코드 인식기와,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와 습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존 약 수령 절차에서 환자가 병원을 나와 약국까지 가야 했던 수고를 덜 수 있다. 이는 위독한 상태이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 경우 약국까지 가는 것도 부담이 될 수 있어 이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둘째, 기존 약 수령 절차에서 약을 수령하기 위해 기다렸던 시간보다 환자가 약을 더 빠르게 수령할 수 있다. 기존의 약 수령 절차는 처방전을 받고, 약을 포장하고, 복용 방법을 약사가 환자에게 직접 설명해야 하고, 결제를 하면 약을 수령하도록 되어 있어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약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이미 먼저 처방전을 내고 약을 받으려 대기하는 환자들이 있다면 이 기존 절차에 따라 약을 수령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같은 수의 대기 환자들에게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약을 제공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훨씬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시간 소요를 피할 수 있다.
셋째, 앞서 제시한 것과 같이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실제 병원에서 적용된다면 약의 제조과정을 환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어 기존 약 수령 절차에서 환자가 약국 내부의 약 조제 상황을 알 수 없는 구조를 가진 약국의 경우 약 제조과정을 알 수 없어 환자가 가질 수 있는 여러 우려들을 종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외부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논리 처리 과정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개략적으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형태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뤄지는 처방전의 형태의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자동 약 제공 기계의 외면으로 제공받을 약에 대한 정보를 담은 QR코드를 인식하는 부분과, 약과 복용방법이 적힌 안내서, 약 봉투가 제공되는 부분,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부분,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프린터에서 출력된 약 복용 방법 안내서와 약 봉투가 제공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자가 자동 약 제공 기계를 잘 구분할 수 있도록 기계 상단 중앙에 아라비아 숫자로 번호가 쓰여 있다.
도 2는 자동 약 제공 기계의 내면으로 한쪽에는 해당 병원에서 취급하는 특정 약들이 미리 구비되어 있어, 인식된 정보에 따라 제공해야 할 약들을 한데 모아 약 포장지에 알맞게 담아 이를 제공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약 포장지에는 '아침', '점심', '저녁'과 같이 약을 복용하는 시기에 대한 명시가 들어갈 수 있다. 다른 한쪽에는 QR코드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따라 복용 방법을 안내하는 안내서와 약 봉투를 인쇄하는 컴퓨터와 프린터가 있어 약 봉투와 함께 안내서를 제공하도록 한다. 약 봉투에는 그 처방전에 적힌 환자의 이름과 약 복용방법 및 용량 등을 표기하도록 한다. (이때, 약사법 제56조와 58조에 저촉되지 않도록 사전에 보건복지 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용기나 포장을 사용한다.)
그리고 약사법 제29조와 30조 1항에 따라 약사가 조제한 처방전은 조제한 날부터 2년 동안 보존하여야 하고, 약사는 환자의 인적 사항, 조제 연월일, 처방 약품명과 일수, 조제 내용 및 복약지도 내용, 그 밖에 보건복지 가족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조제기록부(전자 문서로 작성한 것을 포함한다)에 적어 5년 동안 보존하여야 하므로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인식한 처방전의 내용은 전자 문서 형태로 저장해 보관할 수 있도록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에 외장하드를 놓는다.
또한, 약사법 제31조 2항과 42조 1항에 따르기 위해 약사는 의약품 등을 수입하면서 보건복지 가족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품목마다 식품 의약품 안전청장의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하며, 약사가 그 제조한(다른 제조업자에게 제조를 위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의약품을 제공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품목별로 식품 의약품 안전청장의 제조 판매 품목허가(이하 "품목허가"라 한다)를 받거나 제조 판매 품목 신고(이하 "품목신고"라 한다)를 하여야 한다.
단, 이 자동 약 제공 기계를 병원 내부에 설치하고자 사전에 시장, 군수, 구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는 약사법 제23조 2항을 준수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자동 약 제공 기계를 설치하게 되면 약사가 기계 앞에서 대기하도록 한다. 약사는 환자에게 병원에 내원한 이유를 묻고, 환자가 제출한 처방전을 확인해 환자의 증상에 알맞게 약이 처방된 것인지를 확인한다. 별다른 이상이 없다면 약사는 지문 인식 기계를 통해 미리 등록받은 환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본인 확인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문 인식 기계와 컴퓨터 등은 이 자동 약 제공 기계와 따로 둔다.) 이는 약사 및 한약사가 아니면 의약품을 조제할 수 없다는 약사법 제23조 1항을 준수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을 통해 환자가 본인임이 확인되면 약 처방에 대한 승인을 약사가 하게 되고, 이 승인에 따라 합법적으로 자동 약 제공 기계를 약 조제 과정에 참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약사는 약 값을 환자로부터 받고, 결제가 완료되면 환자가 처방전의 QR코드를 자동 약 제공 기계에 읽히도록 한다. 그리고, 환자가 자동 약 제공 기계로부터 약과 약 봉투, 복용방법이 적힌 안내서를 제공받도록 지도한다.
또, 약은 생명과 직결되는 것이므로 약이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잘 보관되는 것이 중요한데, 약의 원활한 보관을 위해서는 알맞은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에 열평형을 이용해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 측정기를 설치하고, 측정한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한 온도를 나타내는 전광판을 설치하고, 냉각기가 냉매를 이용해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하는 온도에 맞게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희망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조절 장치도 설치한다. 냉각기는 이 장치와 연결되어 있어 설정한 희망온도에 알맞게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매를 이용한 냉각효과의 적용 정도를 조절한다.
마찬가지로 유기물이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수증기를 흡수했을 때 나타나는 무게, 용량, 길이 변화를 이용해 자동 약 제공 기계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기를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에 설치하고, 측정한 습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측정한 습도를 나타내는 전광판을 설치하고, 가습기나 제습기와 같은 원리를 적용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습도 조절 장치가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원하는 습도에 맞게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희망습도를 설정하는 컴퓨터도 설치한다. 습도 조절 장치는 이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어 설정한 희망습도에 알맞게 자동 약 제공기계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 조절 장치의 습도 조절 정도를 조절한다.
앞서 나열한 작용들을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기 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해 전기를 공급받아 이를 동력으로 하여 작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논리 처리과정으로, 앞서 도 2에서 제시했던 자동 약 제공 기계가 환자에게 약을 제공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알아보기 쉽도록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적용된 경우 병원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모습과 약사들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이다. 각 의약품들은 온도나 습도 등 관리 방법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각 의약품들의 특성에 맞게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과 관련된 장치라 생명과 직결되므로 온도나 습도 등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 환경을 다르게 한 자동 약 제공 기계를 필요한 경우 병원에 여러 대 설치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약사들은 각 자동 약 제공 기계 앞에서 대기하고, 약사 옆에는 지문 인식 기계와 컴퓨터,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리더기와 계산대를 설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뤄지는 처방전의 형태의 예시이다. 각 약품과 이 약들을 받을 수 있는 자동 약 제공 기계에 대한 안내가 나와 있어 환자가 어느 자동 약 제공 기계에 가서 약을 받을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왼쪽 위에 처방전의 내용을 담은 정사각형 모양의 QR코드가 있어 이를 자동 약 제공 기계에 읽히면 자동 약 제공 기계가 정보를 받아 약을 제조하도록 한다.
1. 약이 지급되는 곳. 2. 약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인식하는 곳. 3. 현재 온도/ 희망 온도 표시 전광판.
4. 현재 습도/ 희망 습도. 5. 희망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으로 버튼을 눌러 희망 온도의 값을 조절할 수 있음. 6. 희망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으로 버튼을 눌러 희망 습도의 값을 조절할 수 있음.
7. 약 봉투가 출력되는 곳. 8. 약 복용 방법이 적힌 안내서가 출력되는 곳.
10. 미리 구비된 알약들. 10-1. 알약들이 잘 모일 수 있도록 돕는 깔때기.
20. (30)을 통해 들어온 정보에 따라 알약을 제공하기 위해 용수철을 회전시키는 곳.
30.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인식하는 곳. (도 1의 2번과 동일.)
40. 약이 약 포장지에 담기고 있는 모습. 40-1. 포장지에 담긴 약을 제공하는 곳. (도 1의 1번과 동일.) 50. 약을 알맞게 포장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컨베이어 벨트.
60. 온도 측정기. 60-1. 온도 조절 장치. 60-2. 현재 온도/ 희망온도 표시 전광판. (도 1의 3번과 동일.)
70. 습도 측정기. 70-1. 습도 조절 장치. 70-2. 현재 습도/ 희망 습도 표시 전광판. (도 1의 4번과 동일.)
80. 약 봉투를 출력하는 컴퓨터와 프린터의 예시. 80-1. 약 복용 방법 안내서를 출력하는 컴퓨터와 프린터의 예시. 80-2. 처방전의 내용을 저장하는 외장하드의 예시.
90. (30)을 통해 들어온 정보들을 각 장치에 전달하는 회로의 예시.

Claims (4)

  1. 자동 약 제공 기계에 있어서, 제조부분과, 프린터와, QR코드 인식기와,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온도, 습도 조절장치를 포함해 구성되고, 상기 제조부분은 원기둥을 반으로 자른 형태로 속이 비어있어 약들을 담을 수 있고, 투명해 약이 얼마나 남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컨베이어 벨트 및 깔때기로 약들을 약 봉투에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과, 인식한 정보에 따라 알맞게 약을 배분하도록 용수철이 회전함에 따라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약들을 내보내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인쇄용지와 잉크를 장착해 약 복용 방법이 적힌 용지와 약 봉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에 기재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인식기는 환자에게 제공해야 할 약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갖는 QR코드가 인쇄된 처방전의 QR코드 부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기재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 습도 조절 장치는 자동 약 제공 기계 외부의 희망온도, 희망 습도 설정 부분에서 설정한 값에 알맞게 자동 약 제공 기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20180005852U 2018-12-14 2018-12-14 자동 약 제공 기계 KR202000013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52U KR20200001367U (ko) 2018-12-14 2018-12-14 자동 약 제공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52U KR20200001367U (ko) 2018-12-14 2018-12-14 자동 약 제공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67U true KR20200001367U (ko) 2020-06-24

Family

ID=7112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52U KR20200001367U (ko) 2018-12-14 2018-12-14 자동 약 제공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79A (ko) * 2021-10-21 2023-04-28 이혜수 티백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79A (ko) * 2021-10-21 2023-04-28 이혜수 티백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948B2 (en) Medical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AU783204B2 (en) Package with integrated circuit chip embedded therein and system for using same
JP7417134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9280863B2 (en) Automated dispensing system for pharmaceuticals and other medical items
US748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bing and conveying pharmaceuticals within the premises of a healthcare provider
US786060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segregating dispensed items
JP7147939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JP2016024621A (ja) 介護施設入居者管理システム
KR20200001367U (ko) 자동 약 제공 기계
US200800862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segregating dispensed items
TW202119344A (zh) 裸錠藥品自動分包機單次條碼輔助正確藥品補充暨自動倉儲管理系統及方法
EP3723097A1 (en) Method for personalised management of pharmacological therapy
KR20190130870A (ko) 알약 분배 장치 및 시스템
JP3213724U (ja) 介護施設入居者管理システム
WO2021230318A1 (ja) 持参薬仕分装置及び持参薬仕分方法
AU2013201317B2 (en) Medical product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JP2005204686A (ja) 投薬管理システム
EP3246862A1 (en) Dispensing process of medical products in a healthcar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