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649B1 -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649B1
KR101855649B1 KR1020160046392A KR20160046392A KR101855649B1 KR 101855649 B1 KR101855649 B1 KR 101855649B1 KR 1020160046392 A KR1020160046392 A KR 1020160046392A KR 20160046392 A KR20160046392 A KR 20160046392A KR 101855649 B1 KR101855649 B1 KR 101855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etering
quantitative
hopp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025A (ko
Inventor
김종석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주)젠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푸드 filed Critical (주)젠푸드
Priority to KR102016004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6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20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volum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소포장하기 위하여 가공식품 원재료를 저장하고 하측에 개방된 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정량계량부와; 상기 호퍼와 상기 정량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계량부는 상기 호퍼의 개구를 폐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복수의 정량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 원재료가 다져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포장을 위하여 정량으로 일정하게 가쓰오부시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Katsuobushi Small Quantity Packing Deive Using the Fixed Cup}
본 발명은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패로 얇게 밀어서 칩 형태의 가쓰오부시를 소용량으로 포장하는 과정에서 원재료가 다져져 공급이 되지 않는 브릿지 현상을 예방하고 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원재료를 이용하여 요리 내지 조리를 하여 음식물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을 요리 내지 조리하는 데 식품첨가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첨가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식품첨가물의 원재료도 매우 다양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식품첨가물 내지 가공식품 중 주로 육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가쓰오부시(Katsuobushi)라는 가공식품도 있다.
가쓰오부시는 가다랑이의 살을 찌고, 건조 및 발효시켜 만드는 일본에서 발달한 가공식품이다. 가쓰오부시는 우동 등의 육수를 내는데 사용하며, 해물로 만든 음식 위에 뿌리는 고명으로도 사용한다.
가쓰오부시는 가다랭이를 훈제하여 말린 후 얇게 밀어 4달에서 5달 정도 발효시킨 포이다. 제조 중 풍미를 높이기 위해 푸른곰팡이가 투입되며, 1개월에 1회 이상 발효통을 교체하기도 한다.
가쓰오부시는 감칠맛이 느껴지는 특성상 동양 요리, 특히 일본 요리에 많이 사용되는데, 우동, 타코야끼 등 수많은 일본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장국을 먹기 전에 뿌리기만 하여도 특유의 풍미가 느껴진다.
가쓰오부시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공기나 물과 닿는 면적이 넓고 변화가 쉽게 일어난다는 법칙을 따르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따뜻한 물이나 국에 잠깐만 담가 두어도 특유의 맛과 향이 느껴진다.
최근에는 일인 가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판매되는 음식물이 대부분 1인분 단위로 판매되는 추세이고 인스턴스 식품의 조미용 등으로 가쓰오부시와 같이 얇고 분리된 칩 형태를 소포장으로 할 필요성이 있다.
얇고 칩 형태의 다량의 원재료인 가쓰오부시를 저장용기인 호퍼에 저장하고 이를 소포장으로 하는 경우에는 특히 얇고 칩 형태로 중량이 가벼운 가쓰오부시를 소포장으로 하기 위해서는 매우 주의를 필요로 한다. 특히, 원재료가 적층되어 다져지는 경우 원재료를 일정하게 정량으로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참고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34572호 (2002.08.20)
본 발명의 목적은,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 원재료가 다져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포장을 위하여 정량으로 일정하게 가쓰오부시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소포장하기 위하여 가공식품 원재료를 저장하고 하측에 개방된 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정량계량부와; 상기 호퍼와 상기 정량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계량부는, 상기 호퍼의 개구를 폐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복수의 원통형 정량컵과, 상기 정량컵에 수용되는 원재료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정량컵으로 원재료가 수용되는 것을 예방 가능하게 회전하는 복수의 상기 정량컵 중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개방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정량컵의 상측을 폐쇄 가능하게 상기 호퍼에 결합된 정량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정량높이조절부재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정량컵에 대응하여 둥글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측이 막힌 상태에서 판면과 상기 정량컵 사이에 공간인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상기 정량컵에 수용된 원재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정량컵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량컵보다 높게 상기 정량컵으로 원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분산 가능하게 에어포켓리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정량컵의 개방된 하측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정량컵에 수용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포장하는 포장기로 투입되도록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를 상기 정량컵에 수용하도록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정량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가 하측으로 다져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상기 원재료를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호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정량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정량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도어개방 스토퍼와, 상기 정량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도어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 원재료가 다져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포장을 위하여 정량으로 일정하게 가쓰오부시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포장장치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정량계량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및 횡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소용량 포장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소포장된 가쓰오부시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100, 이하에서 '소용량 포장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포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정량계량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소용량 포장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는 소포장된 가쓰오부시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X 축선으로 상하방향을 Y 축선으로 전후방향을 Z 방향으로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량 포장장치(100)는,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소포장하기 위하여 가공식품 원재료를 저장하고 하측에 개방된 개구(미도시)를 갖는 호퍼(130)와; 상기 호퍼(13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정량계량부(150)와; 상기 호퍼(130)와 상기 정량계량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계량부(150)는 상기 호퍼(130)의 개구를 폐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베이스(15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베이스(151)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호퍼(130)에 저장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복수의 정량컵(153)을 구비한다.
지지부(110)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외관을 갖는 지지케이스(113)와, 지지케이스(113)에 후술하는 호퍼(130)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호퍼결합가이드(137)와 결합하는 가이드바(115)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미도시되고 공지된 소용량으로 포장할 수 있는 포장기와 결합될 수도 있다.
호퍼(130)는 대패 등으로 얇게 밀어 칩 형태의 가쓰오부시 원재료를 저장하고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원통 형상의 호퍼하우징(131)을 구비하고 하측은 개방된 개구(미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에는 정량계량부(150)의 회전베이스(15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호퍼(130)는 상측에 호퍼구동부(135)가 결합되고 호퍼구동부(135)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호퍼구동축(132)과, 호퍼구동축(132)에 결합되어 호퍼구동축(132)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원재료가 다져지지 않도록 원재료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호퍼구동축(132)에 결합된 호퍼블레이드(1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블레이드(133)는 호퍼구동축(132)으로부터 이격된 스크류 타입이나 날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130)에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컵(153)에 수용되는 원재료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개방위치(도 3c의 'Cup 6' 참조)에서 정량컵(153)으로 원재료가 수용되는 것을 예방 가능하고 회전하는 복수의 상기 정량컵(153) 중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개방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정량컵(도 3c의 'Cup 5' 및 'Cup 6' 참조) 상측을 폐쇄 가능하게 호퍼(130)의 내측벽에 결합된 정량높이조절부재(139)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정량높이조절부재(139)가 결합된 위치는 회전베이스(151)의 판면으로부터 근접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량컵(153)에 수용된 원재료가 폐쇄위치(도 3b의 'Cup 5' 및 도 3c의 'Cup 5' 확대 단면도 참조)에 근접하는 경우 원재료가 쌓여진 높이 'H2'가 정량높이조절부재(139)에 의해 정량도어(155)의 판면으로부터 정량높이조절부재(139)까지의 높이인 'H1' 사이에서 정량컵(153)에 원재료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원재료를 정량컵(153)의 항상 일정한 공간에 수용하여 이를 개방위치에서 정량슈트(159)를 통해 포장기로 공급하여 정량 소포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량높이조절부재(139)의 하측에는 정량높이조절부재(139)의 하측에 상기 개방위치에서 판면과 상기 정량컵(15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판면으로부터 상기 정량컵(153)을 향하여 돌출된 에어포켓리브(139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정량컵(153) 상측에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있어 정량도어(155)가 개방되면 수용된 적정량의 원재료 모두가 순간적으로 자중에 의하여 정량슈트(159)로 안내되어 포장기에서 정량컵(153)에 수용된 소용량씩 포장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정량계량부(150)는 전술한 회전베이스(151)의 판면으로부터 원재료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의 정량컵(153)과, 정량컵(153)의 하측 개구를 개폐하여 정량컵(153)에 원재료를 수용하는 폐쇄위치와 수용된 원재료를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정량컵(153)에 결합된 정량도어(155)와, 정량도어(155)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탄성 가압하는 도어탄성부재(155b)와, 회전베이스(151)에 결합되어 회전베이스(1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정량구동부(157)와, 정량구동부(157)에 결합되어 회전베이스(1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정량구동축(157a)과, 개방위치에서 정량도어(155)가 개방되도록 정량도어(155)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개방스토퍼(15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량도어(155)는 도어힌지(155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도어탄성부재(155b)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도어힌지(155a)에 결합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량컵(153)은 회전베이스(151)의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회전함에 따라 호퍼(130)에 저장된 원재료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향하며, 외주에 가까운 부분이 원주의 길이도 길어 정량컵(153)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량계량부(150)는 폐쇄위치에서 호퍼(130) 내부에 수용된 원재료를 정량컵(153)에 수용하고 정량높이조절부재(139)에 의해 정량컵(153) 내부에 수용된 원재료가 개방위치에서 배출되고, 개방위치 하측에서 배출된 소용량으로 구분된 원재료는 개방위치 하측에 마련된 정량슈트(159)를 따라 포장기로 안내되어 포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115는 회전베이스(15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예를 들면 베어링과 같은 구성이며 지지부(11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의 재질은 식품과 관련되어 있어 위생 등에 유리한 스테인레스거나 식품 관련 기관의 인증을 받은 플라스틱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소용량 포장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베이스(151)의 외측에 여섯개의 정량컵(153)이 일정한 각도로 배치('Cup 1' 내지 'Cup 6' 참조)되어 있고, Z축선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각도 표시 'θ1' 참조)에 도어개방스토퍼(155c)가 배치되어 있고 현재 정량컵인 'Cup 6'의 정량도어(155)가 정량높이조절부재(139)의 하측에 위치하여 도어개방스토퍼(155c)와 접촉되어 막 개방되려고 하고 정량컵 Cup 5가 정량높이조절부재(139) 하측으로 막 진입하려는 과정이다.
다음, 회전베이스(151)가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3b의 'θ2' 참조)하여 도 3b와 같이 정량컵 'Cup 6'은 더 개방되고 정량컵 'Cup 5'는 더 정량높이조절부재(139)의 하측으로 더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확대된 도면과 같이 정량컵 'Cup 5'에 수용된 원재료의 높이는 정량높이조절부재(139)에 근접하기 전의 높이인 'H1'에서 정량높이조절부재(139)에 의하여 정량컵(153)의 상측이 차단되어 정량컵 'Cup 5'에 수용된 원재료인 가쓰오부시의 수용된 높이가 'H1'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정량컵 'Cup 6'는 도어개방스토퍼(155c)에 접촉된 정량도어(155)가 더 개방되어 정량컵 'Cup 6' 내부에 수용된 원재료인 가쓰오부시가 하측의 개구로 배출되어 하측에 배치된 정량슈트(159)로 떨어진다.
계속하여 회전베이스(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3c와 같은 위치에 도달하면, 정량컵 'Cup 6'의 중심이 Z 축선방향에 위치하고 정량컵 'Cup 5'는 거의 정량높이조절부재(139)의 하측으로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는 정량컵 'Cup 6'의 정량도어(155)는 완전하게 개방되어 정량컵 'Cup 6'에 수용된 원재료인 가쓰오부시가 전부 정량슈트(159)로 떨어져 포장기로 원재료를 안내한다. 이 과정에서 에어포켓리브(139a)에 의하여 정량컵(153) 상측에 형성된 공간인 에어포켓은 개방위치에서 정량컵에 수용된 가쓰오부시가 자중에 의하여 빠르게 정량슈트(159)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를 지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정량컵 'Cup 6'은 도어개방스토퍼(155c)를 이탈하여 도어탄성부재(155b)에 의하여 정량컵 'Cup 6'의 하측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이동하고 정량높이조절부재(139)를 벗어나 정량컵(153)의 비어있는 공간에 호퍼(130)에 저장된 원재료인 가쓰오부시를 수용한다. 이 과정에서 호퍼블레이드(133)가 작동하여 호퍼(130)에 저장된 원재료인 가쓰오부시가 다져지지 않도록 하여 일정한 공간인 체적인 정량컵(153)의 공간에 채워지는 원재료도 다져지지 않는 일정한 체적을 유지하여 예를 들면 0.8g 과 같은 소용량으로 일정하게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후방의 정량컵 'Cup 5'가 개방위치에 도달하여 일정량의 원재료를 정량슈트(159)로 배출하여 포장기로 투입하여 각 단위 소포장으로 포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소용량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 포장장치에 따라 0.8g 단위로 포장된 가쓰오부시를 펼쳐 놓은 사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 원재료가 다져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소포장을 위하여 정량으로 일정하게 가쓰오부시 원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편리하고 간단한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소용량 포장장치 110 : 지지부
113 : 지지케이스 115 : 가이드바
130 : 호퍼 131 : 호퍼 하우징
132 : 호퍼축 133 : 호퍼 블레이드
135 : 호퍼 구동부 137 : 호퍼 결합가이드
139 : 정량높이조절부재 139a : 에어포켓리브
150 : 정량계량부 151 : 회전베이스
153 : 정량컵 155 : 정량도어
155a : 도어힌지 155b : 도어탄성부재
155c : 도어개방스토퍼 157 : 정량구동부
157a : 정량구동축 159 : 정량슈트

Claims (6)

  1. 얇고 가벼운 가쓰오부시를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소포장하기 위하여 가공식품 원재료를 저장하고 하측에 개방된 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정량계량부와;
    상기 호퍼와 상기 정량계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계량부는, 상기 호퍼의 개구를 폐쇄시키고 회전하는 회전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복수의 원통형 정량컵과, 상기 정량컵에 수용되는 원재료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정량컵으로 원재료가 수용되는 것을 예방 가능하게 회전하는 복수의 상기 정량컵 중 상기 개방위치 및 상기 개방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정량컵의 상측을 폐쇄 가능하게 상기 호퍼에 결합된 정량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정량높이조절부재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정량컵에 대응하여 둥글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측이 막힌 상태에서 판면과 상기 정량컵 사이에 공간인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상기 정량컵에 수용된 원재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정량컵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정량컵보다 높게 상기 정량컵으로 원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회전 방향을 따라 분산 가능하게 에어포켓리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컵의 개방된 하측을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정량컵에 수용된 원재료를 소포장 단위로 포장하는 포장기로 투입되도록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를 상기 정량컵에 수용하도록 상기 정량컵의 하측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정량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저장된 원재료가 하측으로 다져지는 것을 예방하도록 상기 원재료를 상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호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개방되도록 상기 정량도어와 접촉 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도어개방 스토퍼와,
    상기 정량도어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가압하는 도어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6. 삭제
KR1020160046392A 2016-04-15 2016-04-15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KR10185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92A KR101855649B1 (ko) 2016-04-15 2016-04-15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92A KR101855649B1 (ko) 2016-04-15 2016-04-15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25A KR20170119025A (ko) 2017-10-26
KR101855649B1 true KR101855649B1 (ko) 2018-05-09

Family

ID=603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92A KR101855649B1 (ko) 2016-04-15 2016-04-15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26B1 (ko) 2019-11-28 2020-09-03 이종관 반조리 식품 제조 및 포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454B2 (ja) * 1993-12-02 2001-04-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454B2 (ja) * 1993-12-02 2001-04-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26B1 (ko) 2019-11-28 2020-09-03 이종관 반조리 식품 제조 및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25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545C2 (ru)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дозированного количества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выдачи
RU2521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замкну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дозирова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машин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упомянут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512364B2 (en) Grinder for preparing brewing materials
JP5847072B2 (ja) コーヒー豆パッケージ、及び一定量のコーヒー豆を小出しする方法
US8534507B2 (en) Granule dispensers
US200900419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expanded food
US5833097A (en) No-mess bulk dispenser/measurer
RU240385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кофе
KR101846008B1 (ko) 얇은 가쓰오부시의 소용량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KR101855649B1 (ko) 정량컵을 이용한 가쓰오부시 소용량 포장장치
CN1636839A (zh) 在杯形容器中带粉状汤料的小麦食品及其食用方法
JP2022520147A (ja) 調製されるべき媒体を投薬および/または調製するための装置、成分を受け入れて投薬するための容器、流体を受け入れて投薬するための容器、および対応するシステム
CN104058179A (zh) 粉状食品定量供给装置及其供给方法
LT6399B (lt) Automatinis arbatos virimo aparatas ir jo veikimo būdas
JP4780759B2 (ja) 定量ソフト充填装置及び定量ソフト充填装置を用いた定量ソフト充填方法
JP7446646B2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抽出方法
US11918151B2 (en) Coffee storage container
US10806172B2 (en) Compaction system and methods for making food bars
CN210582218U (zh) 一种桶形炒饭装置及自助炒饭售卖机
CN209882909U (zh) 一种披萨售货机
CN203903139U (zh) 粉状食品定量供给装置
KR200410383Y1 (ko) 팝콘 자동 판매기용 옥수수 공급장치
CN209995906U (zh) 烹饪器具
CN210236488U (zh) 一种辅料添加机构及自助炒饭售卖机
CN218773732U (zh) 一种自动冲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