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350B1 -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350B1
KR102572350B1 KR1020217002910A KR20217002910A KR102572350B1 KR 102572350 B1 KR102572350 B1 KR 102572350B1 KR 1020217002910 A KR1020217002910 A KR 1020217002910A KR 20217002910 A KR20217002910 A KR 20217002910A KR 102572350 B1 KR102572350 B1 KR 102572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ehicle
group
focal power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155A (ko
Inventor
웨이지엔 천
쉬밍 류
지융 정
Original Assignee
쟝시 리엔촤앙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쟝시 리엔촤앙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쟝시 리엔촤앙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02B15/143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350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 조리개,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제1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2 그룹은 적어도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3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제4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4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5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3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는 해상도가 높고 이미징 효과가 좋은 등 특징을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본 발명은 2018년 12월 5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2018114813250이고 발명의 명칭이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광학 렌즈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단 운전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ing Assistant System, 약칭 ADAS)이 차량에 점점 더 많이 적용되면서, 차량 탑재 카메라의 응용도 점점 더 많아지고 안전 운전이 차량 탑재 카메라에 대한 수요도 점점 커지며, 광학 렌즈는 차량 탑재 카메라 중의 하나의 중요 구성 부분이다.
차량 탑재 카메라가 운전 보조 시스템에서의 응용은 주로 광학 렌즈에 의해 이미지를 수집한 후 카메라 내의 감광 소자 회로 및 제어 소자에 의해 이미지를 처리하여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차량 주변의 도로 상황을 감지하여 앞 방향 충돌 예고, 차선 편이 경고 및 보행자 검출 등 기능을 실현한다. 차량 탑재 카메라가 차량에 설치되는 위치가 다름에 따라 실현되는 기능도 상이하고 광학 렌즈도 다양한 특수 요구를 구비한다.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 탑재용 이미지 센서도 점점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바 높은 해상도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 차량 탑재 렌즈의 해상도는 보편적으로 낮기에 시장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 과제의 해결수단을 통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 조리개,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제1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2 그룹은 적어도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3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제4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4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5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3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미징 장치를 제공하고, 이미징 장치는 상술한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이미징 소자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형성한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선행기술에 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지 장치는 해상도가 높고 이미징 효과가 좋은 등 특징을 적어도 구비한다.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제1 그룹은 주로 빛의 수집에 사용되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한 것은 주로 렌즈에 더 큰 초점 거리를 제공하여 렌즈가 작은 시야 내에서 더 좋은 식별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그룹은 주로 본 렌즈 광학 시스템의 구면수차 교정에 사용되고, 렌즈의 해상도를 높인다. 제3 그룹은 색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한 것은 본 렌즈 광학 시스템에서 비점수차를 교정하여 렌즈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 설명에서 일부 보여질 것이며, 일부는 아래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해거나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알게될 것이다.
아래 도면을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방면 및 장점은 더 명확하고 이해가 쉬워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상면 만곡 곡선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왜곡 곡선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미징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이 더 명확해지도록,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이런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발명의 공개 내용에 대해 더 철저하고 전면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여러 개의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렌즈의 해상도를 높이고 8M 픽셀 규격의 칩에 매칭되어 차량 탑재 고해상도 렌즈에 대한 절박한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는 차량 탑재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야각이 크고 차량 주변의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사각지대로 인해 초래되는 안전 문제를 감소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그룹의 제1 렌즈가 비구면 렌즈이고 같은 사이즈의 칩에 매칭될 경우 렌즈의 초점 거리를 증가할 수 있어 이미징 면의 중심 영역의 이미징 효과를 향상시키는 차량 탑재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조리개가 큰 특징을 구비하여 렌즈의 빛 투과량을 증가하고 빛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우수한 이미징 효과를 구비하며 어두운 환경에서 운전 시의 안전 문제를 감소할 수 있는 차량 탑재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렌즈가 모두 신뢰도가 높은 유리 재료를 사용하여 차량 탑재 분야에서의 가혹한 작업 환경을 충족시킬 수 있는 차량 탑재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사용하는 과제의 해결 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 조리개,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제1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2 그룹은 적어도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제2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제3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제4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4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5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3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은 오목면이며, 제1 렌즈는 비구면 렌즈이고,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3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3 렌즈는 비구면 렌즈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2 그룹은 하나의 제7 렌즈를 더 포함하고, 제7 렌즈는 제3 렌즈 및 제3 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제7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7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3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4 렌즈 및 제5 렌즈는 접착되어 접합체를 형성하고, 제6 렌즈의 물체측 면은 볼록면이며, 제6 렌즈는 비구면 렌즈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 (1)
식에서, 은 제1 렌즈의 최대 유효 구경을 가리키고, θ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최대 시야각을 가리키며, 단위는 라디안이고,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킨다. 조건식 (1)을 만족하면 렌즈의 선단 구경이 작고 렌즈의 이미징 시스템 부피가 작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2)
(3)
식에서, 은 제1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를 가리키고, 는 제2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를 가리키며,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킨다. 조건식 (2)를 만족하면 제1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가 0보다 작은 값을 가지기에 큰 시야각 특성에 더 유리하며; 제2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가 조건식 (3)을 만족하면 빛을 더 잘 수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4)
식에서, 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최대 시야각에 대응되는 상의 높이를 가리키고, θ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최대 시야각을 가리키며, 단위는 라디안이고,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킨다. 조건식 (4)를 만족하면 렌즈 시야각 및 이미징 면의 크기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증가하여 렌즈 이미징 면 중심 영역의 이미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5)
(6)
식에서, 은 제1 렌즈 물체측 면 중심의 곡률 반경을 가리키고, 은 제2 렌즈 물체측 면 중심의 곡률 반경을 가리키며,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킨다. 조건식 (5) 및 (6)을 만족하면,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백 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어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광학 총 길이를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7)
; (8)
식에서, 는 제2 그룹 각 렌즈의 중심 두께값 총합을 가리키고 ,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며,는 제2 그룹 각 렌즈의 굴절률 온도 계수 총합을 가리킨다. 조건식 (7) 및 (8)을 만족하면 렌즈 해상도의 향상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렌즈가 상이한 온도 환경에서 우수한 이미징 품질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9)
식에서, TTL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광학 계수 총 길이를 가리키고, f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킨다. 조건식 (9)를 만족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차량 탑재 촬영 렌즈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각 렌즈는 모두 유리 렌즈를 사용한다. 유리 렌즈를 사용하면 렌즈의 노화를 지연시킬수 있고 온도 제어가 좋으며 상이한 온도 상황에 적용될 수 있고 사용 수명 및 안정성이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조리개 수는 1.5보다 작거나 같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이미징 장치를 더 제공하고, 이미징 장치는 상기 임의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이미징 소자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형성한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비구면 렌즈의 표면 형상은 아래 방정식을 만족한다.
여기서 z는 곡면과 곡면 꼭지점이 광축 방향에서의 거리를 가리키고, h는 광축으로부터 곡면까지의 거리를 가리키며, c는 곡면 꼭지점의 곡률을 가리키고, K는 2차 곡면 계수를 가리키며, B, C, D, E, F는 각각 4X4, 6X6, 8X8, 10X10, 12X12 구면 계수를 가리킨다.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유리 구면과 비구면을 조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이미징 시스템의 다양한 상 차이를 더 잘 교정할 수 있고, 기존의 차량 탑재 렌즈에 비해 해상도가 높고 이미징 효과가 좋은 특징을 구비하기에, 차량 보조 운전 시스템이 주변 정보를 더 큰 범위에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고 해상도 및 큰 조리개는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정보를 더 잘 식별하고 판단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운전 안전성을 높인다.
아래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 각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중의 각각의 렌즈의 두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고, 구체적인 사항은 각 실시예 중의 파라미터 표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를 제공하고, 이는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4)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Q1), 조리개(ST),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Q2)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Q3)을 포함한다.
제1 그룹(Q1)은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4)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를 포함하고, 제1 렌즈(L1)은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며,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S1)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S2)은 오목면이며, 제1 렌즈(L1)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고, 제2 렌즈(L2)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동심원에 가까운 렌즈이며, 제2 렌즈(L2)의 물체측 면(S3)은 오목면이고 상측 면(S4)은 볼록면이며, 제2 렌즈(L2)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2 그룹(Q2)은 제3 렌즈(L3)로 이루어지고, 제3 렌즈(L3)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며,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S5) 및 상측 면(S6)은 모두 볼록면이고, 제3 렌즈(L3)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다.
제3 그룹(Q3)은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4)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L4),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를 구비하되, 제4 렌즈(L4)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4 렌즈(L4)의 물체측 면(S7) 및 상측 면(S8)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4 렌즈(L4)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5 렌즈(L5)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5 렌즈(L5)의 물체측 면(S8)은 오목면이고 상측 면(S9)은 오목면이며, 제5 렌즈(L5)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6 렌즈(L6)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6 렌즈(L6)의 물체측 면(S10)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S11)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L6)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다. 제4 렌즈(L4) 및 제5 렌즈(L5)는 접착되어 접합체를 형성하고 S8이 접착면이다.
제3 그룹(Q3)과 이미징 면(S16) 사이에 설치된 광 필터(G1)는 그 물체측 면이 S12이고, 상측 면이 S13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 중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8.363 1.219 1.81 40.7
S2 비구면 3.299 2.825 - -
S3 L2 구면 -7.174 3.975 1.91 35.3
S4 구면 -8.533 -0.239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2.540 - -
S5 L3 비구면 13.069 6.192 1.50 81.6
S6 비구면 -9.982 1.870 - -
S7 L4 구면 13.088 5.9 1.59 61.2
S8 L5 구면 -13.088 0.892 1.92 18.9
S9 구면 24.319 0.194 - -
S10 L6 비구면 7.510 3.807 1.59 61.3
S11 비구면 54.182 0.523 - -
S12 G1 평면 무한대 0.5 1.52 64.2
S13 평면 무한대 2.53 - -
S14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2와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5.65 -0.00333 0.000162 -3.9E-06 2.6E-08 4.37E-10
S2 -3.91 0.005303 -0.00072 9.22E-05 -5.74E-06 1.61E-07
S5 -9.91 0.000282 -6.73E-06 9.25E-08 -1.45E-10 -1.15E-11
S6 -6.30 -0.0009 2.09E-05 -4.75E-07 7.57E-09 -5.57E-11
S10 -2.95 0.000233 1.61E-06 1.11E-08 -2.66E-09 1.04E-10
S11 23.02 -0.00058 1.67E-05 -2.51E-07 6.15E-10 1.35E-10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20)는 제1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각 렌즈의 곡률 반경, 재료 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3과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8.239 1.112 1.81 40.7
S2 비구면 3.401 2.580 - -
S3 L2 구면 -7.494 4.193 2.00 25.4
S4 구면 -9.523 0.101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2.312 - -
S5 L3 비구면 13.467 6.508 1.50 81.6
S6 비구면 -10.127 2.096 - -
S7 L4 구면 13.876 5.390 1.64 60.2
S8 L5 구면 -14.702 0.639 1.92 18.9
S9 구면 24.929 0.110 - -
S10 L6 비구면 7.649 4.667 1.59 61.3
S11 비구면 36.991 0.523 - -
S12 G1 평면 무한대 0.5 1.52 64.2
S13 평면 무한대 2.877 - -
S14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4와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6.91045 -0.00302 0.000162 -4.23E-06 4.22E-08 1.18E-10
S2 -4.193879 0.005271 -0.00068 8.78E-05 -5.51E-06 1.68E-07
S5 -9.559317 0.00025 -6.50E-06 1.60E-07 -1.83E-09 3.67E-12
S6 -6.723054 -0.00092 2.16E-05 -4.76E-07 7.79E-09 -5.54E-11
S10 -2.872546 0.000203 2.42E-06 -7.89E-08 1.94E-09 2.17E-11
S11 -39.10663 -0.00055 1.75E-05 -3.49E-07 7.22E-09 6.00E-11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2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30)는 제1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본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30)의 제2 렌즈(L2)가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그 상측 면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L6)의 상측 면은 볼록면이고, 각 렌즈의 곡률 반경, 재료 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5와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5.871 1.149 1.81 40.7
S2 비구면 2.941 2.297 - -
S3 L2 구면 -10.531 1.905 1.52 64.2
S4 구면 40.461 0.605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0.993 - -
S5 L3 비구면 15.655 6.631 1.62 63.9
S6 비구면 -7.523 2.054 - -
S7 L4 구면 11.042 7.005 1.73 51.5
S8 L5 구면 -12.461 0.700 1.92 18.9
S9 구면 15.625 0.120 - -
S10 L6 비구면 8.440 3.418 1.59 61.3
S11 비구면 -74.067 0.523 - -
S12 G1 평면 무한대 0.500 1.52 64.2
S13 평면 무한대 3.17 - -
S14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6과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0.67 -0.004873453 0.000128807 1.21E-06 -1.76E-07 3.21E-09
S2 -3.49 0.00642303 -0.001067309 0.000136135 -8.58E-06 2.60E-07
S5 -4.91 -0.000318204 6.65E-06 -2.02E-07 -2.60E-10 4.90E-11
S6 -0.68 -0.000125531 7.29E-07 -1.15E-07 3.54E-09 -5.73E-11
S10 -0.45 -5.95E-05 4.73E-06 -1.40E-07 3.64E-09 -1.12E-10
S11 -28.72 8.86E-05 1.29E-05 -1.54E-09 -1.21E-08 1.15E-10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3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40)를 제공하고, 이는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6)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Q1), 조리개(ST),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Q2)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Q3)을 포함한다.
제1 그룹(Q1)은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6)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를 포함하고, 제1 렌즈(L1)은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며,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S1)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S2)은 오목면이며, 제1 렌즈(L1)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고, 제2 렌즈(L2)의 물체측 면(S3)은 오목면이고 상측 면(S4)은 볼록면이며, 제2 렌즈(L2)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2 그룹(Q2)은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6)까지 순차적으로 제3 렌즈(L3) 및 제7 렌즈(L7)를 포함하고, 제3 렌즈(L3)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며,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S5) 및 상측 면(S6)은 모두 볼록면이고, 제3 렌즈(L3)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다. 제7 렌즈(L7)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7 렌즈(L7)의 물체측 면(S7) 및 상측 면(S8)은 모두 볼록면이고, 제7 렌즈(L7)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다.
제3 그룹(Q3)은 물체측(S0)으로부터 상측(S16)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L4), 제5 렌즈(L5) 및 제6 렌즈(L6)를 구비하되, 제4 렌즈(L4)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4 렌즈(L4)의 물체측 면(S9) 및 상측 면(S10)은 모두 볼록면이며, 제4 렌즈(L4)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5 렌즈(L5)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5 렌즈(L5)의 물체측 면(S10)은 오목면이고 상측 면(S11)은 볼록면이며, 제5 렌즈(L5)는 유리 구면 렌즈이다. 제6 렌즈(L6)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제6 렌즈(L6)의 물체측 면(S12)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S13)은 오목면이며, 제6 렌즈(L6)는 유리 비구면 렌즈이다. 제4 렌즈(L4) 및 제5 렌즈(L5)는 접착되어 접합체를 형성하고 S10이 접착면이다.
제3 그룹(Q3)과 이미징 면(S16) 사이에 설치된 광 필터(G1)는 그 물체측 면이 S14이고, 상측 면이 S15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중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7과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5.750 1.061 1.81 40.7
S2 비구면 2.785 2.917 - -
S3 L2 구면 -5.726 4.849 1.71 53.9
S4 구면 -8.285 -0.620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1.136 1.70 55.5
S5 L3
구면 14.878 4.402
S6 구면 -43.128 0.616
S7 L7 비구면 12.364 4.782 1.50 81.6
S8 비구면 -20.525 0.120 - -
S9 L4 구면 27.200 4.137 1.50 81.6
S10 L5 구면 -7.365 1.033 1.95 17.9
S11 구면 -32.553 0.200 - -
S12 L6 비구면 18.217 4.098 1.69 53.2
S13 비구면 -177.572 0.523 - -
S14 G1 평면 무한대 0.500 1.52 64.2
S15 평면 무한대 2.536 - -
S16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8과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0.17 -0.00676 0.000293 -9.28E-06 1.61E-07 -1.45E-09
S2 -2.49 0.001044 -0.00012 2.72E-05 -1.51E-06 4.30E-08
S7 -1.19 5.26E-06 6.17E-06 -1.11E-07 3.18E-09 -7.12E-12
S8 -2.76 -9.60E-05 1.69E-05 -2.54E-07 2.54E-09 9.30E-11
S12 5.84 -0.00092 1.42E-05 -4.56E-07 8.20E-09 -1.96E-11
S13 29.99 -0.00118 2.04E-05 -1.30E-07 -7.30E-09 1.93E-10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4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제5 실시예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50)는 제4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40)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본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50)의 제2 렌즈(L2)의 상측 면(S4)은 오목면이며, 제5 렌즈(L5)의 상측 면(S11)은 오목면이고, 각 렌즈의 곡률 반경, 재료 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9과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6.845 1.120 1.81 40.7
S2 비구면 3.119 2.144 - -
S3 L2 구면 -9.045 1.609 1.60 65.5
S4 구면 34.097 0.503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0.076 1.70 30.1
S5 L3
구면 21.719 4.401
S6 구면 -18.896 0.120
S7 L7 비구면 15.495 5.049 1.55 71.7
S8 비구면 -10.213 0.120 - -
S9 L4 구면 14.960 5.368 1.69 53.3
S10 L5 구면 -8.553 0.700 1.81 22.7
S11 구면 12.831 0.344 - -
S12 L6 비구면 8.241 6.025 1.77 49.5
S13 비구면 -674.096 0.523 - -
S14 G1 평면 무한대 0.400 1.52 64.2
S15 평면 무한대 3.12 - -
S16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10과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0.66 -0.00546 0.000184 -3.96E-06 - -
S2 -0.36 -0.00773 0.000265 -8.01E-06 - -
S7 -7.96 -4.76E-05 9.36E-07 -7.57E-08 8.72E-11 -
S8 0.57 -0.00018 7.37E-06 -7.19E-08 1.14E-10 -
S12 -1.08 -0.00042 1.02E-05 -2.77E-07 3.21E-09 -
S13 29.88 -0.00044 9.04E-06 -2.41E-07 3.24E-09 -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5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제6 실시예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60)는 제4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40)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은 본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60)의 제5 렌즈(L5)의 상측 면(S11)은 오목면이고, 각 렌즈의 곡률 반경, 재료 선택이 다르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렌즈의 관련 파라미터는 표 11과 같다.
표면 번호 코드명 표면 타입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물체 면S0 평면 무한대 무한대 - -
S1 L1 비구면 9.070 1.269 1.81 40.7
S2 비구면 3.456 2.588 - -
S3 L2 구면 -6.026 3.916 1.91 35.3
S4 구면 -9.490 -0.520 - -
ST 조리개 구면 무한대 0.657 1.77 49.6
S5 L3 구면 26.720 3.528
S6 구면 -26.720 1.516
S7 L7 비구면 12.806 5.313 1.50 81.6
S8 비구면 -8.409 0.113 - -
S9 L4 구면 39.966 5.354 1.64 60.2
S10 L5 구면 -8.732 1.366 1.92 18.9
S11 구면 93.247 0.167 - -
S12 L6 비구면 17.433 3.622 1.58 59.5
S13 비구면 -159.769 0.300 - -
S14 G1 평면 무한대 0.500 1.52 64.2
S15 평면 무한대 2.593 - -
S16 이미징 면 평면 무한대 - -
이밖에, 본 실시예 중의 각 비구면 렌즈의 파라미터는 표 12와 같다.
표면 번호 K B C D E F
S1 0.025 -0.00381 0.000161 -3.14E-06 -1.65E-08 1.23E-09
S2 -0.029 -0.00658 0.000244 -2.70E-05 2.51E-06 -1.82E-07
S7 -2.39 -5.01E-05 2.34E-06 -6.77E-08 6.29E-10 4.25E-12
S8 -2.79 -0.00015 4.11E-06 -3.70E-08 -8.45E-10 2.06E-11
S12 -6.58 -0.00014 -3.08E-07 -4.04E-07 5.24E-09 8.06E-11
S13 2.96 -0.0015 3.49E-05 -1.02E-06 2.08E-08 -1.58E-10
본 실시예에서 변조 전달 함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는 각각 도 22,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60)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 곡선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면 만곡 및 왜곡이 아주 잘 교정됨을 설명한다.
표 13은 상기 6개의 실시예 및 대응되는 광학적 특성을 보여주고, 시스템 초점 거리 f, 조리개 수 F#, 시야각 FOV 및 시스템 총 길이 TTL 및 전술한 각 조건식에 대응되는 수치를 포함한다.
관계식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제5
실시예
제6
실시예
f(mm) 5.12 5.10 5.13 5.11 5.10 5.12
TTL(mm) 33.23 33.78 31.24 32.47 31.67 32.46
F# 1.45 1.5 1.5 1.48 1.48 1.43
FOV 120° 124° 120° 118° 124° 120°
f)/D 1 2.28 2.32 2.42 2.33 2.53 2.33
f Q1 /f -2.11 -2.03 -1.03 -1.85 -0.86 -1.42
f Q2 /f 2.43 2.5 1.78 1.81 1.5 1.6
(1H max - f θ)/ f θ -0.248 -0.256 -0.237 -0.235 -0.257 -0.248
R 11 /f 1.63 1.61 1.14 1.12 1.34 1.77
R 21 /f -1.4 -1.47 -2.05 -1.12 -1.77 -1.18
T Q2 /f 1.2 1.27 1.29 1.8 1.85 1.72
(dn/dt) Q2 (/℃)
-5.6×10-6 -5.6×10-6 -4.2×10-6 -2.7×10-6 -4.5×10-6 -1×10-6
TTL/f 6.48 6.62 6.09 6.35 6.21 6.34
상기 실시예 중의 변조 전달 함수 곡선도를 참조하면, 변조 전달 함수값이 아주 높은 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높은 해상도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F# 조리개 수는 모두 1.5보다 작거나 같기에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조리개가 큰 특징을 구비함을 설명하고, F# 조리개 수가 작을 수록 렌즈의 빛 투과량이 크고 어두운 환경에서 이미징 효과가 더 좋다.
제7실시예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이미징 장치(100)를 제공하고, 이는 상술한 임의의 하나의 실시예 중의 차량 탑재 촬영 렌즈(예를 들면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 및 이미징 소자(70)를 포함하고, 이미징 소자(70)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가 형성한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미징 소자(7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상보성 금속산화물 반도체) 이미지 센서일 수 있고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결합소자) 이미지 센서일 수도 있다.
이미징 장치(100)는 차량 탑재 카메라, 차량 탑재 모니터링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미징 장치(100)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를 포함하고, 차량 탑재 촬영 렌즈(10)가 유리 구면과 비구면을 조합한 방식을 사용하여 이미징 시스템의 다양한 상 차이를 더 잘 교정할 수 있기에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이미징 장치(100)는 해상도가 높고 이미징 효과가 좋은 등 특징을 적어도 구비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보여주었고 그 설명은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 범위가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언급해야 할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한 변형 또는 개선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 또는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Q1: 제1 그룹;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Q2: 제2 그룹;
L3: 제3 렌즈;
L7: 제7 렌즈
Q3: 제3 그룹;
L4: 제4 렌즈;
L5: 제5 렌즈;
L6: 제6 렌즈;
ST: 조리개;
G1: 광 필터.

Claims (14)

  1. 차량 탑재 촬영 렌즈에 있어서,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1 그룹, 조리개,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2 그룹 및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는 제3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그룹은 적어도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차적으로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4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상기 제5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이며, 상기 제6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식에서, 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최대 시야각에 대응되는 상의 높이를 가리키고, θ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 최대 시야각을 가리키며,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며, 은 상기 제1 렌즈 물체측 면 중심의 곡률 반경을 가리키고, 은 상기 제2 렌즈 물체측 면 중심의 곡률 반경을 가리키며,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음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은 볼록면이고 상측 면은 오목면이며, 상기 제1 렌즈는 비구면 렌즈이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상기 제3 렌즈는 비구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은 하나의 제7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렌즈는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3 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7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7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이며, 상기 제3 렌즈는 양의 초점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볼록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는 접착되어 접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6 렌즈의 물체측 면은 볼록면이며, 상기 제6 렌즈는 비구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식에서, 은 상기 제1 렌즈의 최대 유효 구경을 가리키고, θ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최대 시야각을 가리키며,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식에서, 은 상기 제1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를 가리키고, 는 상기 제2 그룹의 조합 초점 거리를 가리키며,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8. 삭제
  9. 삭제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식에서, 는 상기 제2 그룹 각 렌즈의 중심 두께값 총합을 가리키고 ,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며, 는 상기 제2 그룹 각 렌즈의 굴절률 온도 계수 총합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는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식에서, TTL은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광학 계수 총 길이를 가리키고, f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시스템 초점 거리를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각 렌즈는 모두 유리 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의 조리개 수는 1.5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촬영 렌즈.
  14. 제1항에 따른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징 소자는 상기 차량 탑재 촬영 렌즈가 형성한 광학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징 장치.
KR1020217002910A 2018-12-05 2019-09-19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KR102572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481325.0A CN109445068B (zh) 2018-12-05 2018-12-05 车载摄像镜头及成像设备
CN201811481325.0 2018-12-05
PCT/CN2019/106771 WO2020114040A1 (zh) 2018-12-05 2019-09-19 车载摄像镜头及成像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155A KR20210024155A (ko) 2021-03-04
KR102572350B1 true KR102572350B1 (ko) 2023-08-28

Family

ID=6555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910A KR102572350B1 (ko) 2018-12-05 2019-09-19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25971B2 (ko)
EP (1) EP3865926B1 (ko)
JP (1) JP7161617B2 (ko)
KR (1) KR102572350B1 (ko)
CN (1) CN109445068B (ko)
PL (1) PL3865926T3 (ko)
WO (1) WO2020114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068B (zh) * 2018-12-05 2020-02-18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车载摄像镜头及成像设备
CN113495342B (zh) * 2020-04-02 2024-04-02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电子设备
TWI726734B (zh) 2020-05-29 2021-05-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14063247A (zh) * 2020-08-05 2022-02-18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电子设备
CN113009674B (zh) * 2021-03-12 2024-02-23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电子设备
CN112630945B (zh) * 2020-11-30 2022-09-02 凤凰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高像素长焦距红外共焦光学镜头
CN116724264A (zh) * 2021-04-01 2023-09-0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摄像头组件、拍摄装置和可移动平台
CN113777751B (zh) * 2021-09-10 2023-12-15 江西欧菲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2473476B1 (ko) 2022-03-03 2022-12-02 나노아이텍(주) 고온 압축 성형에 의한 광학 렌즈 모듈
CN114675403B (zh) * 2022-05-30 2022-10-1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CN116299999B (zh) * 2023-01-28 2024-05-07 湖北华鑫光电有限公司 一种2g4p超广角高清车载光学镜头及成像装置
CN115951484B (zh) * 2023-03-15 2023-06-27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镜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86721U (zh) * 2012-07-24 2013-04-17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广视角光学镜头组
CN103676092A (zh) * 2013-10-30 2014-03-2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高像素光学镜头
US20160004046A1 (en) * 2013-03-27 2016-01-07 Taro Asami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CN108072966A (zh) * 2016-11-15 2018-05-25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8445611A (zh) * 2018-06-07 2018-08-24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无热化高分辨率的定焦镜头
CN108469667A (zh) * 2018-05-31 2018-08-3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广角镜头
CN108535834A (zh) * 2017-03-01 2018-09-14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成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5767A (ja) * 1997-10-21 1999-05-11 Asahi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系
JP5417219B2 (ja) * 2010-02-25 2014-02-12 株式会社タムロン ズームレンズ
WO2011125539A1 (ja) * 2010-04-07 2011-10-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対物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内視鏡
EP2990847A4 (en) * 2013-04-22 2016-11-30 Olympus Corp OPTICAL WIDE-ANGLE LENS SYSTEM
CN103439785B (zh) * 2013-09-07 2015-11-18 江西联创电子股份有限公司 高像素广角镜头的透镜成像系统
CN203606551U (zh) * 2013-10-30 2014-05-21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高像素光学镜头
TWI534469B (zh) * 2014-06-17 2016-05-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廣角投影鏡頭
JP5896061B1 (ja) * 2015-03-13 2016-03-30 株式会社リコー 光学系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105044885B (zh) * 2015-06-23 2018-03-16 信华精机有限公司 一种用于车载监控的光学成像系统
JP2017173807A (ja) * 2016-03-16 2017-09-28 Hoya株式会社 撮像光学系
TWI582458B (zh) * 2016-04-22 2017-05-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學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7436474B (zh) * 2016-05-26 2021-04-16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投影镜头
CN106199922B (zh) * 2016-07-13 2018-07-24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七片式广角镜头
WO2018066641A1 (ja) * 2016-10-05 2018-04-12 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CN106842500B (zh) * 2016-12-27 2022-08-05 东莞市宇瞳光学科技股份有限公司 高清鱼眼镜头
US10641993B1 (en) * 2017-01-19 2020-05-05 Alex Ning Compact wide angle lens with low distortion
TWI655473B (zh) 2017-05-08 2019-04-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系統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TWI656376B (zh) * 2017-08-30 2019-04-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影像擷取系統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8490584B (zh) * 2018-05-09 2019-10-29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JP7126868B2 (ja) * 2018-06-04 2022-08-29 株式会社タムロン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8681050B (zh) * 2018-06-19 2019-12-03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车载摄像镜头
CN109445068B (zh) * 2018-12-05 2020-02-18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车载摄像镜头及成像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86721U (zh) * 2012-07-24 2013-04-17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广视角光学镜头组
US20160004046A1 (en) * 2013-03-27 2016-01-07 Taro Asami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CN103676092A (zh) * 2013-10-30 2014-03-26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高像素光学镜头
CN108072966A (zh) * 2016-11-15 2018-05-25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8535834A (zh) * 2017-03-01 2018-09-14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成像设备
CN108469667A (zh) * 2018-05-31 2018-08-3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广角镜头
CN108445611A (zh) * 2018-06-07 2018-08-24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无热化高分辨率的定焦镜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5926B1 (en) 2023-08-16
JP2021533422A (ja) 2021-12-02
CN109445068A (zh) 2019-03-08
US11125971B2 (en) 2021-09-21
PL3865926T3 (pl) 2023-10-30
EP3865926A4 (en) 2021-12-15
EP3865926C0 (en) 2023-08-16
EP3865926A1 (en) 2021-08-18
KR20210024155A (ko) 2021-03-04
JP7161617B2 (ja) 2022-10-26
WO2020114040A1 (zh) 2020-06-11
US20200257078A1 (en) 2020-08-13
CN109445068B (zh)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350B1 (ko) 차량 탑재 촬영 렌즈 및 이미징 장치
CN109407279B (zh) 广角镜头及成像设备
US7697220B2 (en) Image forming optical system
EP2860564B1 (en) Lens module
KR101917228B1 (ko) 촬상 렌즈
KR20200119871A (ko) 차량 탑재 촬영 렌즈
CN113253433B (zh) 光学成像镜头及成像设备
KR20190128902A (ko) 촬상 광학계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CN110908097A (zh) 光学镜头、摄像光学装置及车载监控摄像头
JP4268323B2 (ja) 広角レンズ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US20100097710A1 (en) Fixed focus lens
US7782553B2 (en) Imaging lens
JP3595308B2 (ja) 撮像レンズ
KR20190005322A (ko) 저조도 카메라용 광학계
KR102632376B1 (ko) 촬상 광학계
CN113866940B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1183188B1 (ko) 감시용 초광각 카메라 렌즈
CN211086779U (zh) 光学镜头、摄像光学装置及车载监控摄像头
JP3820213B2 (ja) 撮像レンズ
JP2005091513A (ja) 撮像カメラ用光学レンズ
TWI820748B (zh) 成像透鏡組、相機模組與電子裝置
CN115047594B (zh) 光学镜头、摄像模组、电子设备及汽车
US20220390715A1 (en) Optical imag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