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195B1 -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195B1
KR102572195B1 KR1020220056416A KR20220056416A KR102572195B1 KR 102572195 B1 KR102572195 B1 KR 102572195B1 KR 1020220056416 A KR1020220056416 A KR 1020220056416A KR 20220056416 A KR20220056416 A KR 20220056416A KR 102572195 B1 KR102572195 B1 KR 10257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parking space
he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소윤
문완식
Original Assignee
여주도시관리공단
주식회사 위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주도시관리공단, 주식회사 위드마 filed Critical 여주도시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22005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장의 주차를 관제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경우 차량을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특정 높이 이상인 경우 차량을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하는 차량 분류 단계와;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1종 차량인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주차장 진입 차량을 인도하고,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2종 차량인 경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주차장 진입 차량을 가이드하는 진입 가이드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입 가이드 단계에서,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선택적으로 제1종 차량을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인도하거나 또는 제1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고,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제2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여 차량의 높이와 주차 공간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METHOD FOR INTELLIGENT PARKING CONTROL}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를 관제하는 주차 관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와 주차 공간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관제 방법이라고 하는 것은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차량의 출입 통제 및 주차 장소로의 유도 등을 위한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주차 관제 방법은 예를 들어 주차 가능한 주차 장소의 개수 또는 주차장 내부 혼잡도에 따라 주차장 차단기를 제어하는 관제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로의 바닥 등에 설치된 유도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유도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은 차고가 높은 차량(예를 들어 화물 차량)도 있고 차고가 낮은 차량(예를 들어 세단 등)도 있다. 또한, 동일한 화물 차량이라고 하더라도 화물을 적재한 경우가 있고 화물을 적재하지 않아 차량의 실제 높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차 장소에 차량을 유도할 때 실제 주차 장소의 높이가 낮아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차할 수 없어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사용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주차 관제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등록특허공보 10-1949857(공고일:2019.02.19.) 공개특허공보 10-2021-0137896(공개일: 2021.11.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특정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하는 차량 분류 단계와,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1종 차량인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인도하고,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2종 차량인 경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가이드하는 진입 가이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에서, 상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선택적으로 제1종 차량을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인도하거나 또는 제1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여 차량의 높이와 주차 공간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주차를 관제하는 방법으로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특정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하는 차량 분류 단계(S200)와,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1종 차량인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인도하고,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2종 차량인 경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가이드하는 진입 가이드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300)에서, 상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선택적으로 제1종 차량을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인도하거나 또는 제1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고, 상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제2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분류 단계(S200)는 주차장 진입로에 구비되는 센싱부(100)와, 상기 센싱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에 의해 구현되고, 센싱부(100)는 상기 주차장 진입로에 배치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센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10)는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직 지지부(111)와, 상기 수직 지지부(111)의 상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수직 지지부(111)에 구비되고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센서부(121)와, 상기 수평 지지부(112)에 구비되고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2센서부(122)를 포함하여, 상기 각 센서부(121,122)에서 측정된 높이 중 최고의 높이를 상기 차량의 높이로 판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300)는 제1종 전용 주차 공간과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의 빈 공간을 확인하는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와,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에 의해 파악된 빈 공간 중 최적의 주차 공간을 선별하는 선별 단계(S320)와, 상기 선별 단계(S320)에 의해 선별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는 주차 공간의 일 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310)와, 상기 주차 감지부(31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선별 단계(S320)는 빈 공간 중 차량이 진입하는 위치에서 제일 근접하는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선별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단계(S330)는 주차 공간의 주소를 안내하는 주소 안내 단계(S331)와, 상기 주차장 일 측에 구비되어 노면에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단계(S332)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 안내 단계(S331)는 주차장 진입로 일 측에 구비된 표시부(331)에 의해 주소가 디스플레이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주소를 안내하고, 상기 방향 표시 단계(S322)는 방향 표시부(332)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방향 표시부(322)는 지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차량의 넘버를 인식하는 차량 식별 장치(3221)와, 주차장 천장에 구비되어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 특정의 이미지를 투사하는 이미지 송출 장치(3222)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이미 설정된 주차 공간을 파악한 후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에 의해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송출한다.
상기에서, 상기 방향 표시부(322)는 제어부(CON)와 연동되어,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차량(이하 메인 차량이라 함)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다른 차량(이하 상대방 차량이라 함)이 있는 경우 상기 상대방 차량을 위한 방향 안내 이미지도 같이 송출하되, 상기 메인 차량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을 위한 이미지의 색채를 달리하고, 상기 메인 차량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을 위한 이미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투사하되, 상기 메인 차량과 상대방 차량이 일정 지점에서 동선이 겹치는 경우 상기 동선이 겹치는 지점에 상대방 차량의 방향 안내 이미지 또는 충돌 경고 이미지를 송출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차량이 아닌 이동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물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예상 이동 동선을 산출하고, 상기 예상 이동 동선과 메인 차량의 이동 동선이 일정 지점에서 겹치는 경우 상기 지점에 경고 표시의 이미지와 상기 이동물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송출한다.
상기에서,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넘버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스캔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이 아닌 다른 주차 공간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차량 운전자에게 이미 정해진 통신 수단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혹은 주차장 관리 직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에서, 상기 주차장을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S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적화 단계(S100)는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천장 높이와 주차 공간 중 차량의 길이 방향 길이 및 차량의 폭 방향 길이를 각각 측정하는 측정 단계(S110)와, 상기 측정된 천장 높이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을 제1종 차량을 위한 제1종 주차 공간과 제2종 차량을 위한 제2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단계(S120)와, 상기 제1종 주차 공간 및 제2종 주차 공간을 제1종 차량과 제2종 차량의 폭에 맞추어 분할하는 분할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종 주차 공간과 제2종 주차 공간 및 이동 통로의 차량 길이 방향 길이의 전체 합계 길이(이하 요구 길이라 함)와, 주차 공간 중 차량의 길이 방향 길이(이하 실제 길이라 함)를 비교하여, 상기 요구 길이가 실제 길이보다 크므로, 주차 공간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보다 큰 경우 상기 주차 공간은 제2종 주차 공간과 이동 통로로 구획한 후, 상기 제2종 주차 공간을 제2종 차량의 폭에 맞추어 분할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차량의 높이와 주차 공간의 높이를 모두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의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이 적용되는 주차장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의 제어부와 관련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의해 차량의 식별하고 방향 안내 이미지를 표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의해 소정의 이미지를 표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의해 주차장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의해 주차장을 구획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제 방법(S10)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주차를 관제하는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분류 단계(S200)와, 진입 가이드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분류 단계(S200)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특정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승용차인 경우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차량의 높이가 특정 높이 이상인 화물차의 경우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200)는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1종 차량인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인도하고,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이 제2종 차량인 경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주차장 진입 차량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량 분류 단계(S200)와 진입 가이드 단계(S300)를 포함하여 차량의 차고(높이)에 따라 적절한 주차 장소를 안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제가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주차장(P)은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주차장(P)의 천장은 여러 사정에 의해 주차장 높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천장에 구비되는 설비 등의 이유로 인해 천장이 낮은 경우(P-1)가 있고, 상대적으로 천장이 높은 경우(P-2)가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천장이 낮은 경우(P-1)에는 차고가 낮은 제1종 차량이 주차하는 제1종 주차 공간(P1)으로 이용하고, 천장이 높은 경우(P-2)에는 차고가 높은 제2종 차량이 주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주차 공간을 제1종 전용 주차 공간(P1)과 제2종 전용 주차 공간(P2)으로 분류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적절한 주차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차량의 높이에 따라 최적의 주차 가이드가 가능해져서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300)에서, 상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제1종 차량(V1)을 제2종 전용 주차 공간(P2)으로 인도할 수 있다. 즉, 제2종 전용 주차 공간(P2)은 상대적으로 천장이 높은 관계로 제2종 차량 뿐만 아니라 제1종 차량도 이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P1)이 만차인 경우 제1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여 추후 진입하는 제2종 차량이 주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량 분류 단계(S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진입로에 구비되는 센싱부(100)와, 상기 센싱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00)는 상기 주차장 진입로(R)에 배치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센서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직 지지부(111)와, 상기 수직 지지부(111)의 상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 지지부(111) 사이 공간을 통해 차량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수직 지지부(111)에 구비되고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1센서부(121)와, 상기 수평 지지부(112)에 구비되고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제2센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부(111)에 구비된 제1센서부(121)에 의해 차량의 상면 높이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112)에 구비된 제2센서부(122)에 의해 차량의 측면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부(121)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어 다수 지점의 차량 상면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122)에 의해 차량의 측면 높이를 측정하며, 상기 제2센서부(122)에 의해 차량의 다수 지점의 측면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부(121)와 제2센서부(122)에 의해 차량의 실제 높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용차인 경우에도 루프에 다양한 적재물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실제 높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화물차인 경우에도 적재되는 화물이 균일한 높이를 가지지 않고 불규칙한 형상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최고 높이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 센서부(121,122)에서 측정된 높이 중 최고의 높이를 상기 차량의 높이로 판단하여 보다 정확한 주차 장소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 선별 단계(S320) 그리고 가이드 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는 제1종 전용 주차 공간과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의 빈 공간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제1종 전용 주차 공간과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의 빈 공간을 확인하여 수용 가능한 제1종 차량과 제2종 차량의 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선별 단계(S320)는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에 의해 파악된 빈 공간 중 최적의 주차 공간을 선별한다. 예를 들어 제1종 차량이 진입한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 중 제일 가까운 주차 공간을 최적의 주차 공간으로 선별하는 것이다. 물론 최적의 주차 공간을 거리가 가까운 기준으로 선별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차 대수가 제일 적은 층을 기준으로 선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2층의 주차 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2층의 주차 공간 중 제일 가까운 주차 공간을 최적의 주차 공간으로 선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단계(S330)는 상기 선별 단계(S320)에 의해 선별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가이드 한다.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310)와, 상기 주차 감지부(310)가 연결되는 제어부(CON)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차 감지부(310)는 주차 공간의 천장에 매립된 센서(311)에 의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거나, 혹은 주차 공간의 바닥에 매립된 센서(312)에 의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311,312)는 널리 알려진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311,312)에서 나온 신호는 제어부(CON)에서 판독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된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 수행 후, 선별 단계(S320)를 거쳐 가이드 단게(S330)를 수행한다. 이러한 가이드 단계(S330)는 주차 공간의 주소를 안내하는 주소 안내 단계(S331)와, 상기 주차장 일 측에 구비되어 노면에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단계(S332)를 포함한다.
상기 주소 안내 단계(S331)는 주차장 사용자에게 주소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진입로(R) 일 측에 구비된 표시부(331)에 의해 주소가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휴대전화)에 디스플레이 되어 주소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센싱부(100)는 진입하는 차량의 넘버를 인식하는 차량 식별 장치(130)를 포함하여 제어부(CON)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차량 넘버를 기준으로 주차 공간을 선별하여 지정할 수 있고 가이드 단계(S330)의 방향 표시 단계(S33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향 표시 단계(S332)는 방향 표시부(322)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표시부(32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ON)에 연결되는 차량 식별 장치(3221)과 이미지 송출 장치(3222)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는 지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차량의 넘버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는 주차장 천장에 구비되어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 특정의 이미지를 투사하게 된다. 즉,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지정된 주차 공간을 파악하고, 현재 차량 위치에서 지정된 주차 공간까지의 최단 경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에 의해 지면에 특정 이미지(예를 들어 화살표)를 송출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V1)에 대해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공간(P1)이 선별되었다고 가정하면, 앞서 설명된 차량 식별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넘버가 확인되면 제어부에 의해 주차 공간이 P1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 식별 장치에 의해 차량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고 이에 의해 주차 공간까지의 최단 경로를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에 의해 지면에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송출 단계에 의해 차량의 직진을 가이드하는 경우 직선형상의 화살표를 송출하고 차량의 경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절곡 된 형태의 화살표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 표시부는 제어부와 연동되어,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차량(V1, 이하 메인 차량이라 함)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다른 차량(V2, 이하 상대방 차량이라 함)이 있는 경우 상기 상대방 차량을 위한 방향 안내 이미지도 같이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차량(V1)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V2)을 위한 이미지의 색채를 달리하고, 상기 메인 차량(V1)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V2)을 위한 이미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투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차량(V1)의 안내 이미지는 청색으로 하고, 상대방 차량(V2)의 안내 이미지는 적색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차량의 안내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의 안내 이미지는 일정 간격 이격 되도록 하여 상호 식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차량과 상대방 차량이 일정 지점에서 동선이 겹치는 경우 상기 동선이 겹치는 지점에 상대방 차량의 방향 안내 이미지 또는 충돌 경고 이미지를 송출하는것도 가능하다. 즉, 상대방 차량(V2)의 안내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충돌 경고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에는 차량이 아닌 화물이나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차량이 아닌 이동물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물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예상 이동 동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예상 이동 동선과 메인 차량의 이동 동선이 일정 지점에서 겹치는 경우 상기 지점에 경고 표시의 이미지와 상기 이동물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차량 식별 장치에 의해 이동물의 차량 넘버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아닌 사람이나 화물 등과 같은 이동물로 판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이미지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분류 단계와 진입 가이드 단계에 의해 차량을 정해진 주차 위치에 가이드 할 수 있으나, 주차 후 차량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 식별 장치에 의해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넘버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스캔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공간에 설치된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상기 차량을 스캔하여 차량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이 아닌 다른 주차 공간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차량 운전자에게 이미 정해진 통신 수단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혹은 주차장 관리 직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차량 분류 단계(S200)와 진입 가이드 단계(S300)를 포함하여 차량의 차고(높이)에 따라 적절한 주차 장소를 안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주차장 관제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주차장을 최적화하는 최적화 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최적화 단계(S100)는 측정 단계(110)와, 구획 단계(S120) 그리고 분할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 단계(S11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천장 높이(H)와 주차 공간 중 차량의 길이 방향 길이(L1) 및 차량의 폭 방향 길이(L2)를 각각 측정한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차량(VC)에 천장 높이(H)를 측정하는 제1센서(VC1)와, 주차장의 길이(L1, L2)를 측정하는 제2센서(VC2)를 구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널리 알려진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센서(VC1)와 제2센서(VC2)는 제어부(CON)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단계(S120)는 상기 측정된 천장 높이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을 제1종 차량을 위한 제1종 주차 공간과 제2종 차량을 위한 제2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천장 높이가 설정된 값보다 낮으면 차고가 낮은 차량이 주차해야 하므로 제1종 차량이 주차하는 제1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하고, 천장 높이가 설정된 값보다 높으면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차해야 하므로 제2종 차량이 주차하는 제2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 부분의 천장이 높아 제2종 주차 공간(P2)으로 구획하고, 도면상 우측 부분의 천장이 낮아 제1종 주차 공간(P1)으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제1종 주차 공간(P1)과 제2종 주차 공간(P2) 사이에는 소정의 폭(L3)을 가지는 이동 통로가 필요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제1종 주차 공간(P1)의 차량 길이 방향 길이(L5)와 제2종 주차 공간(P2)의 차량 길이 방향 길이(L4)를 분배한다.
이후, 상기 제1종 주차 공간(P1) 및 제2종 주차 공간(P2)을 제1종 차량과 제2종 차량의 폭에 맞추어 각각 분할한다(L7, L6).
만일, 상기 제1종 주차 공간과 제2종 차량을 위한 제2종 주차 공간 및 이동 통로의 차량 길이 방향 길이의 전체 합계 길이(이하 요구 길이라 함)와, 주차 공간 중 차량의 길이 방향 길이(L1, 이하 실제 길이라 함)를 비교하여, 상기 요구 길이가 실제 길이(L1)보다 크고, 천정 높이가 설정된 높이 보다 큰 경우 상기 주차 공간은 제2종 주차 공간과 이동 통로로 구획한다. 다시 말해서, 제1종 차량과 제2종 차량을 동시에 주차하기 위해 필요한 요구 길이보다 실제 주차장의 길이(L1)가 작은 경우 공간이 부족하므로 제2종 주차 공간과 이동 통로로 구획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하면 제1종 차량도 주차할 수 있으므로 제2종 주차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후, 상기 제2종 주차 공간을 제2종 차량의 폭에 맞추어 분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 방법은 사전 주차 예약 시스템을 갖춘 캠핑장, 공공시설 주차장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주차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진입 차량이 예약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진입차량이 예약 차량인 경우는 게이트를 개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제 방법에 따라 진입 차량을 주차 가능한 장소로 안내한다. 한편,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이 예약 차량이 아닌 경우 또는 차량 높이가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제한 높이 이상의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는 관리자에게 알려 관리자의 지시를 받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센싱부 110 : 지지부
120 : 센서부 130 : 차량 식별 장치

Claims (10)

  1.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주차를 관제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에 있어서,
    주차장 진입로에 구비되는 센싱부(100)와, 상기 센싱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높이가 특정 높이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1종 차량으로 분류하고, 특정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을 제2종 차량으로 분류하는 차량 분류 단계(S200)와;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 특정의 이미지를 투사하는 이미지 송출 장치(3222)를 구비한 방향 표시부(322)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이 제1종 차량인 경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가이드하고, 제2종 차량인 경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진입 가이드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진입 가이드 단계(S300)는,
    주차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 감지부(310)와, 상기 주차 감지부(310)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의 빈 공간을 확인하는 주차 현황 파악단계(S310)와;
    상기 제어부(CON)에 의하여, 상기 주차 현황 파악 단계(S310)에 의해 파악된 빈 공간 중 차량이 진입하는 위치에서 제일 근접하는 공간을 최적의 주차 공간으로 선별하는 선별 단계(S320)와;
    상기 방향 표시부(322)에 의하여, 상기 선별 단계(S320)에 의해 선별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선택적으로 제1종 차량을 상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으로 인도하거나 또는 제1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고, 상기 제2종 전용 주차 공간이 만차인 경우 제2종 차량의 진입을 금지하며,
    상기 가이드 단계(S330)는,
    상기 제어부(CON)에 의하여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메인 차량으로부터 일정 범위 이내에 다른 상대방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 차량을 위한 방향 안내 이미지도 같이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에 의해 송출하되,
    상기 메인 차량을 위한 이미지와 상기 상대방 차량을 위한 이미지를 상기 주차 공간의 지면에 투사하고, 상기 메인 차량과 상기 상대방 차량이 일정 지점에서 동선이 겹치는 경우 상기 동선이 겹치는 지점에 상대방 차량의 방향 안내 이미지 또는 충돌 경고 이미지를 송출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주차장 진입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부(110)는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직 지지부(111)와, 상기 수직 지지부(111)의 상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12)를 구비한 지지부(110)와;
    상기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지지부(111)에 마련되는 다수 개의 제1센서부(121)와, 상기 수평 지지부(112)에 마련되는 다수 개의 제2센서부(122)를 구비 한 다수 개의 센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제1 및 제2센서부(121,122) 각각에서 측정된 높이 중 최고의 높이를 상기 차량의 높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단계(S330)는,
    주차 공간의 주소가 상기 주차장 진입로 일 측에 구비된 표시부(331)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안내하는 주소 안내 단계(S331)와;
    상기 방향 표시부(322)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는 방향 표시단계(S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표시부(322)는,
    지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차량의 넘버를 인식하는 차량 식별 장치(3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이미 설정된 주차 공간을 파악한 후,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에 의해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이미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는,
    상기 메인 차량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을 위한 이미지의 색채를 달리하고, 상기 메인 차량을 위한 이미지와 상대방 차량을 위한 이미지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면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0)에 의해 방향 표시 대상이 되는 차량이 아닌 이동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상기 이동물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예상 이동 동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송출 장치(3222)는 상기 이동물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상기 지면에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 장치(3221)에 의해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넘버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스캔하여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이 지정된 주차 공간이 아닌 다른 주차 공간에 주차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차량 운전자에게 이미 정해진 통신 수단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혹은 주차장 관리 직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56416A 2022-05-09 2022-05-09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KR10257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16A KR102572195B1 (ko) 2022-05-09 2022-05-09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416A KR102572195B1 (ko) 2022-05-09 2022-05-09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195B1 true KR102572195B1 (ko) 2023-08-30

Family

ID=8784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416A KR102572195B1 (ko) 2022-05-09 2022-05-09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1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582A (ko) * 1997-12-31 1999-07-26 김헌출 주차관리 시스템의 차량 유도방법
KR101200327B1 (ko) * 2011-07-15 2012-11-13 주식회사 국제관제시스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8080457A (ja) * 2016-11-14 2018-05-24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KR101949857B1 (ko) 2018-06-14 2019-02-19 안덕영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7896A (ko) 2020-05-11 2021-11-18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을 유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582A (ko) * 1997-12-31 1999-07-26 김헌출 주차관리 시스템의 차량 유도방법
KR101200327B1 (ko) * 2011-07-15 2012-11-13 주식회사 국제관제시스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8080457A (ja) * 2016-11-14 2018-05-24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KR101949857B1 (ko) 2018-06-14 2019-02-19 안덕영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7896A (ko) 2020-05-11 2021-11-18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을 유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9148B2 (ja) 自動バレー駐車システム、ゲート開閉制御装置、自動バレー駐車制御方法
JP2019077441A (ja) 乗客輸送システムの使用のための、乗客のための利用可能なスペース及び座席を管理するシステム
CN103337196A (zh) 车位引导和反向寻车方法及其系统
CN101910866A (zh) 用于显示车辆环境的方法和装置
KR102448460B1 (ko) 주차안내시스템
KR20140118361A (ko) 종합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60132531A (ko) 주차장의 주차 안내 유도시스템
CN110880241A (zh) 智能卡口通道系统以及采集在通道内通过的车辆的信息的方法
KR101724865B1 (ko) 차량 진출입 통제시스템
JP2007280073A (ja) 駐車場内誘導システム、駐車場側誘導装置、自動車側誘導装置及び駐車場内誘導方法
JP2828398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701232B1 (ko) 버스 승객 수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2195B1 (ko) 지능형 주차 관제 방법
KR20070035782A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067517A (ja) 駐車場システム
WO2017022265A1 (ja) 車載器、通信装置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KR100887322B1 (ko)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고려한 주차관리방법
JP6864320B2 (ja) 車両ナンバー認識システムによる駐車場利用状況管理システム
KR20200009446A (ko) 스마트 주차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JP3749944B2 (ja) 通過車両自動計測システム及び車両交通量集計システム
KR101390774B1 (ko) 기계식 주차장 관리 시스템
US11106213B2 (en) Method for assisting bay parking maneuvers of a vehicle and a parking assistant for a vehicle
KR101431671B1 (ko) 카페리선의 화물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200018167A (ko) 비콘을 이용한 유휴 주차장 스마트 예약 및 이용 시스템
KR20190080257A (ko) 주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자율 주행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