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951B1 -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951B1
KR102571951B1 KR1020227037840A KR20227037840A KR102571951B1 KR 102571951 B1 KR102571951 B1 KR 102571951B1 KR 1020227037840 A KR1020227037840 A KR 1020227037840A KR 20227037840 A KR20227037840 A KR 20227037840A KR 102571951 B1 KR102571951 B1 KR 10257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e
fluorine oil
composition
356mmz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093A (ko
Inventor
쓰바사 나카우에
다이스케 가루베
아사코 요시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03533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719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2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579A/ko
Publication of KR2022015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07C43/12Saturated eth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5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10M105/54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3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10M131/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and oxygen
    • C10M131/10Alcohols; Ethers; 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8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11D7/30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18Halogenated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36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 C11D7/504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all solvents be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C11D7/5063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heteroatoms, e.g. fluoro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1/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1/04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and oxygen
    • C10M2211/042Alcohols; Ethers; 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3/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22Degreas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0Soluble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Lubrica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A)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 그리고 (B)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본 개시는,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년,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HFE)는, 지구 온난화 계수(GWP:Global Warming Potential) 및 오존층 파괴 계수(ODP:Ozone Depletion Potential)가 작고, 독성이 낮기 때문에,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의 대체품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HFE의 일종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와,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그 외의 HFE인 1,1,1,2,3,3-헥사플루오로-3-메톡시-프로판과, 1-브로모프로판을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형 조성물을, 세정 프로세스에 있어서, 냉매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5-14335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11-506681호 공보
본 개시는,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 그리고,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개시는,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불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항에 기재된 발명을 포함한다.
항 1.
(A)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 그리고
(B) 불소 오일
을 포함하는, 조성물.
항 2.
상기 불소 오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항 1에 기재된 조성물.
항 3.
상기 (A) 성분 및 상기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상기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 99.99질량% 이하이고,
상기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0.01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조성물.
항 4.
코팅제용인,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항 5.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
항 6.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세정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제거하는, 세정 방법.
항 7.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용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용해시키는, 용해 방법.
항 8.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 방법.
본 개시에 의하면,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와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신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의하면,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불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A) 성분과 (B) 성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A) 성분이란,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B) 성분이란, 불소 오일이다.
(B) 성분인 불소 오일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OCnF2n)-
[당해 식 중, n은 1, 2, 3 또는 4를 나타낸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제품명 「크라이톡스(등록상표) GPL 오일, 143 오일, 진공 펌프 오일」(케무어스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뎀넘 S-20」, 「뎀넘 S-65」, 「뎀넘 S-200」(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폼블린 M」, 「폼블린 Z」, 「폼블린 Y」(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재팬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바리에르타」(NOK 크뤼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2):(Rf2-PEPE2-Z2)x-A
[당해 식 중, PFPE2은, 각 출현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식:
-(OC6F12)a-(OC5F10)b-(OC4F8)c-(OC3F6)d-(OC2F4)e-(OCF2)f-
(식 중, a, b, c, d, e 및 f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200 이하의 정수이며, a, b, c, d, e 및 f의 합은 적어도 1이고, a, b, c, d, e 또는 f를 부여하여 괄호로 묶인 각 반복 단위의 존재 순서는 식 중에 있어서 임의이다.)으로 표시되는 기이며;
Rf2은, 각 출현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1개 또는 그 이상의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16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Z2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내며;
x는 1 또는 2이고;
A는, 각 출현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OH, -SH, -NR2, -COOR, -SO3H, -PO(OR3)2, 또는 -SO2(OR3)이며;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에스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히드록실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아미노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아미드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티올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설폰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포스폰산에스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설폰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중에서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카르복실산 화합물(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에스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히드록실 화합물 및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에스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의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3):X1-O-Rf-Y
[당해 식 중, -Rf는, (C2F4O), (CF2O), (C3F6O) 타입(여기서, (C3F6O) 단위는 식 -(CF2CF(CF3)O) 또는 (CF(CF3)CF2O)-의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CF2(CF2)zCF2O)-(여기서, z는 1 또는 2의 정수이다);
-CR4R5CF2CF2O-(여기서, R4 및 R5는, 서로 같거나 또는 상이하고, H, Cl 또는 예를 들면 1~4의 탄소 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에서 선택된다);의 단위를 포함하는, 수평균 분자량 500~10,000을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옥시알킬렌쇄이며, 상기의 단위는 주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X1 및 Y는 말단기이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에스테르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하나인 경우의 편말단은 CF3기를 갖는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킨 공업사 제조의 「HOOCCF2-O-[(CF2CF2O)28-(CF2O)22]-CF2COOH」 등을 들 수 있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킨 공업사 제조의 「CF3-O-[(CF2CF2O)28-(CF2O)22]-CF2COOH」 등을 들 수 있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신에쓰 화학 공업사 제조의 KY-100 시리즈(KY-178, KY-185, KY-195 등), 다이킨 공업사 제조의 옵툴(등록상표) DSX, 옵툴(등록상표) AES, 옵툴(등록상표) UF503, 옵툴(등록상표) UD509, 아사히 유리사 제조의 Afluid(등록상표) S550을 들 수 있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킨 공업사 제조의 옵툴(등록상표) UD500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이란, 수평균 분자량이 1만 이하인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중합물을 의미한다.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제품명 「다이프로일#1」, 「다이프로일#3」, 「다이프로일#10」, 「다이프로일#20」, 「다이프로일#50」, 「다이프로일#100」(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충분한 윤활성 및 충분한 도막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B) 성분으로서, 2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30cst 이상 2000cst 이하인 불소 오일 또는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100cst 이상 2000cst 이하인 불소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보다 충분한 윤활성 및 보다 충분한 도막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B) 성분으로서, 20℃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50cst 이상 1500cst 이하인 불소 오일 또는 25℃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300cst 이상 1500cst 이하인 불소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B) 성분인 불소 오일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 99.99질량% 이하이고, 또한,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0.01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 내이면, 조성물 중의 (A) 성분 및 (B) 성분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고, 또한, 균일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이란, 조성물 중의 (A) 성분의 함유 비율 및 (B) 성분의 함유 비율의 합계가 100질량%인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 99.9질량% 이하이고, 또한,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0.1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20질량% 이상 99.5질량% 이하이고, 또한,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0.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A) 성분 및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50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이고, 또한,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비교예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HFE-356mmz를 불소 오일에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본 개시의 조성물은 HFIP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량 100질량% 중, (A) 성분 및 (B) 성분의 합계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5질량% 이상이다.
본 개시의 조성물, (A) 성분 및 (B) 성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단, (A) 성분 및 (B) 성분 이외의 불가피적 불순물의 함유는 허용된다).
지금까지, HFE-356mmz 또는 HFE-356mec와, 불소 오일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개시의 발명자들은, 방대 수의 HFE와 오일의 조합을 시행착오 한 결과, 놀랍게도, HFE-356mmz 또는 HFE-356mec와, 불소 오일을 조합한 조성물이면, 불소 오일의 함유량을 상술한 바와 같이 고농도로 설정해도 탁함이 발생하지 않고, HFE-356mmz 또는 HFE-356mec와, 불소 오일의 높은 상용성에 의해, 투명색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색이란, 조성물이 균일하고, 탁함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HFE-356mmz 또는 HFE-356mec와, 불소 오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이들 혼합액의 비점이 적당히 높기 때문에, 코팅제로서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 이러한 우수한 상용성을 얻기 위해, 본 개시의 조성물의 비점은,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90℃ 이하이다. 본 개시의 조성물을 코팅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의 비점이 이 온도 범위이면, 용해성이 좋고, 증발이 보다 억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코팅제란, 상온하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주로 물품의 표면의 보호, 광택 내기 등을 목적으로 한 코팅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포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 방법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는,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이다.
제거 대상인 불소 오일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상기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임의의 첨가물)
본 개시의 조성물은, HFE-356mmz 또는 HFE-356mec에 더하여, HFE-356mmz 또는 HFE-356mec 이외의 그 외의 용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방부제 및 계면 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해도 된다.
그 외의 용제로서는, 알칸 화합물, 알켄 화합물, 클로로알칸 화합물, 클로로알켄 화합물,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화합물, 플루오로알켄 화합물, 클로로플루오로알켄 화합물, 알코올 화합물 등, 부가하고 싶은 특성에 맞추어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 그 외의 용제로서,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광물유를 용해시킬 목적으로, 클로로알켄 화합물인 1,2-디클로로에틸렌, 클로로플루오로알켄 화합물인 1,2-디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펜 등을 첨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알코올 화합물인 이소프로필알코올(IPA), 1-부탄올, 2,2,3,3,4,4,5,5,6,6,7,7-도데카플루오로-1-헵탄올 등을 첨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그 외의 용제로서는, 알코올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 화합물로서는, 이소프로필알코올(IPA), 1-부탄올 및 2,2,3,3,4,4,5,5,6,6,7,7-도데카플루오로-1-헵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IPA)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외의 용제를 혼합하는 경우, 본 개시의 조성물은, 조성물 100질량%에 대해서, 그 외의 용제를 0.1질량% 이상 50질량% 미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안정제는, 안정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이른바 수산제 또는 산화 방지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안정화 효과로서는, 계 내에 발생하는 라디칼을 보충함으로써 HFE-356mmz 또는 HFE-356mec의 분해를 방지하는 효과, 계 내에 발생한 산을 포착함으로써, 산에 의한 가일층의 HFE-356mmz 또는 HFE-356mec의 분해 등을 방지하는 수산 효과 등을 주요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안정제를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조성물에 의한 금속의 부식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포화 알코올계 안정제, 니트로계 안정제, 아민계 안정제, 페놀계 안정제 및 에폭시계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알코올계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3-부텐-2-올, 2-부텐-1-올, 4-프로펜-1-올, 1-프로펜-3-올, 2-메틸-3-부텐-2-올, 3-메틸-3-부텐-2-올, 3-메틸-2-부텐-1-올, 2-헥센-1-올, 2,4-헥사디엔-1-올 및 올레일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니트로계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방족니트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1-니트로프로판, 2-니트로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니트로벤젠, o-, m- 또는 p-디니트로벤젠, o-, m- 또는 p-니트로톨루엔, 디메틸니트로벤젠, m-니트로아세토페논, o-, m- 또는 p-니트로페놀, o-니트로아니솔, m-니트로아니솔 및 p-니트로아니솔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민계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펜틸아민, 헥실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디알릴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아닐린, 피리딘, 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트리알릴아민, 알릴아민, α-메틸벤질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프로필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벤틸아민, 트리벤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벤질아민, 디벤질아민, 디페닐아민 및 디에틸히드록실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계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2,6-디터셔리부틸-4-메틸페놀, 3-크레졸, 페놀, 1,2-벤젠디올, 2-이소프로필-5-메틸페놀, 및 2-메톡시페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안정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틸렌옥시드, 1,2-프로필렌옥시드, 1,2-부틸렌옥시드, 부틸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및 1,2-에폭시-3-페녹시프로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안정화 효과를 갖는 안정제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 HFE-356mmz 또는 HFE-356mec의 분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이유로, 상기한 에폭시계 안정제, 그리고, 불포화 알코올계 안정제, 니트로계 안정제, 및 페놀계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HFE-356mmz 또는 HFE-356mec로부터의 산 유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액상 조성물에 의한 금속의 부식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조성물 100질량% 중에 있어서의 안정제의 함유량은, 0.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안정제의 과잉한 첨가에 의한 액상 조성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물성 변화를 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성물 100질량% 중에 있어서의 안정제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는,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함유하는 세정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제거하는, 세정 방법이다.
제거 대상인 불소 오일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상기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는,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용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용해시키는, 용해 방법이다.
용해 대상인 불소 오일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상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상기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불소 오일을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하 혼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조성물을 용제 또는 세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용제 또는 세정제로서 사용한 후, HFE-356mmz 및/또는 HFE-356mec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불소 오일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 조성물을 재차 용제 또는 세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이하의 불소 오일을 사용했다.
·불소 오일(A1):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뎀넘 S-20」(20℃에 있어서의 동점도=53cst)
·불소 오일(A2):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뎀넘 S-65」(20℃에 있어서의 동점도=150cst)
·불소 오일(A3):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뎀넘 S-200」(20℃에 있어서의 동점도=500cst)
·불소 오일(A4):NOK 크뤼버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바리에르타 J100」(20℃에 있어서의 동점도=280cst)
·불소 오일(A5):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재팬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폼블린 M30」(20℃에 있어서의 동점도=280cst)
·불소 오일(A6):솔베이 스페셜티 폴리머스 재팬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폼블린 Y140/13」(20℃에 있어서의 동점도=1400cst)
·불소 오일(A7):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화합물 「옵툴 UD500」
·불소 오일(A8):다이킨 공업사 제조,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 「다이프로일#20」(25℃에 있어서의 동점도=350~1500cst)
·불소 오일(A9):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HOOCCF2-O-[(CF2CF2O)28-(CF2O)22]-CF2COOH
·불소 오일(A10):다이킨 공업사 제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화합물, CF3-O-[(CF2CF2O)28-(CF2O)22]-CF2COOH
<상용성 시험>
(실시예 1)
유리 시험관에,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을 넣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상기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50질량%, 불소 오일(A1):50질량%로 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1)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HFE-356mmz:20질량%, 불소 오일(A1):8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1)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HFE-356mmz:80질량%, 불소 오일(A1):2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1)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1)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2)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2)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2)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3)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3)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3)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4)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4)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4)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4)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5)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5)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5)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6)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6)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6)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7)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7)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7)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8)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8)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8)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9)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9)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9)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mz와 불소 오일(A10)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mz와 불소 오일(A10)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mz에 대해서 불소 오일(A10)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유리 시험관에,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와 불소 오일(A1)을 넣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상기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ec:50질량%, 불소 오일(A1):50질량%로 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1)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1)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2)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2)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2)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4)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4)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4)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4)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5)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5)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5)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5)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7)
유리 시험관에, HFE-356mec와 불소 오일(A6)을 넣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상기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ec:0.1질량%, 불소 오일(A6):99.9질량%로 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6)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6)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8)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7)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7)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7)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9)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8)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8)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8)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0)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9)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9)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9)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9)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
불소 오일(A1) 대신에, 불소 오일(A1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 조건으로 조성물을 조정하고, HFE-356mec와 불소 오일(A10)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ec와 불소 오일(A10)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HFE-356mec에 대해서 불소 오일(A10)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2)
유리 시험관에, HFE-356mec와 이소프로필알코올(IPA)을 넣어, 혼합물을 조제했다. 상기 혼합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ec:92질량%, IPA:8질량%로 했다. 또한, 상기 유리 시험관에, 불소 오일(A1)을,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1)의 조성비가 각각 95질량% 및 5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1)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1)의 조성물이 1개의 층이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했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에 대해서 불소 오일(A1)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유리 시험관에, HFE-356mmz와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FIP)을 넣어, 혼합물을 조제했다. 상기 혼합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50질량%, HFIP:50질량%로 했다. 또한, 상기 유리 시험관에, 불소 오일(A3)을,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3)의 조성비가 각각 50질량% 및 50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3)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3)은 서로 용해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유리 시험관에, HFE-356mmz와 HFIP를 넣어, 혼합물을 조제했다. 상기 혼합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90질량%, HFIP:10질량%로 했다. 또한, 상기 유리 시험관에, 불소 오일(A3)을, 상기 혼합물과 상기 불소 오일(A3)의 조성비가 각각 50질량% 및 50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3)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상기 혼합물과 불소 오일(A3)은 서로 용해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HFE-356mmz 및 HFIP의 혼합물은, 불소 오일(A3)에 대해서, 상용성을 갖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는, HFE 화합물로서, 비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테르(HFE-356mff2, CF3CH2OCH2CF3)를 사용했다. 또한, HFE-356mff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HFE-356mmz 및 HFE-356mec와 동일하게, 탄소 원자 4개, 불소 원자 6개, 수소 원자 4개 및 산소 원자 1개로 구성되어 있는 HFE 화합물이다.
유리 시험관에, 비스(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테르(HFE-356mff2, CF3CH2OCH2CF3)와 불소 오일(A2)을 넣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HFE-356mff2와 불소 오일(A2)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상기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ff2:50질량%, 불소 오일(A2):50질량%로 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56mff2와 불소 오일(A2)은 서로 용해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HFE-356mff2는, 불소 오일(A2)에 대해서, 상용성을 갖지 않는 것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HFE-356mmz, HFE-356mec 및 HFE-356mff2와 같이, 동일한 구성 원소로 이루어지고, 그들 원소의 수도 동일한 경우(즉, 구조 이성체의 관계인 경우)에도, 불소 오일에 용해되는 HFE 화합물과 불소 오일에 용해되지 않는 HFE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
본 비교예에서는, HFE 화합물로서 1,1,2,2-테트라플루오로-1-(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에탄(HFE-347pcf, CF2HCF2OCH2CF3)을 사용했다.
유리 시험관에, HFE-347pcf와 불소 오일(A2)을 넣어 조성물을 조제하고, HFE-347pcf와 불소 오일(A2)이 25℃에 있어서 서로 용해되어 있는지를 관찰했다. 상기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47pcf:50질량%, 불소 오일(A2):50질량%로 했다. 유리 시험관을 관찰한 결과, HFE-347pcf와 불소 오일(A2)은 서로 용해되지 않고, 2층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성 시험>
(실시예 23)
유리 시험관에서, HFE-356mmz와 윤활제로서의 불소 오일(A2)을 혼합하여, 윤활제 용액을 조제했다. 상기 윤활제 용액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97질량%, 불소 오일(A2):3질량%로 했다. 다음에, 알루미늄 기판의 표면에, 상기의 윤활제 용액을 평균 두께 0.5mm가 되도록 도포하고, 24~27℃의 조건하에서 풍건함으로써, 알루미늄 기판 표면에 윤활제 도막을 형성했다. 상기 윤활제 도막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결과, 균일한 도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정성 시험>
(실시예 24)
유리 시험관에서, HFE-356mmz와 불소 오일(A2)을 혼합하여, 용액을 조제했다. 상기 용액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50질량%, 불소 오일(A2):50질량%로 했다. 얻어진 용액을 25℃의 환경하 30일간 방치한 후, 상기 용액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결과, 색, 침전 생성 등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정성 시험>
(실시예 25)
50mm×5mm×2mm의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불소 오일(A2) 중에 30초 침지했다. 그 후,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100ml의 HFE-356mmz 중에 25℃의 조건하 1분간 침지하고,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끌어올리고 나서 실온에서 5분 정도 풍건시켰다. 그 결과,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 상에 잔존하는 불소 오일(A2)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성 시험>
(실시예 26)
유리 시험관에서, HFE-356mec와 윤활제로서의 불소 오일(A2)을 혼합하여, 윤활제 용액을 조제했다. 상기 윤활제 용액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ec:97질량%, 불소 오일(A2):3질량%로 했다. 다음에, 알루미늄 기판의 표면에, 상기의 윤활제 용액을 평균 두께 0.5mm가 되도록 도포하고, 24~27℃의 조건하에서 풍건함으로써, 알루미늄 기판 표면에 윤활제 도막을 형성했다. 상기 윤활제 도막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결과, 균일한 도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정성 시험>
(실시예 27)
유리 시험관에서, HFE-356mec와 불소 오일(A2)을 혼합하여, 용액을 조제했다. 상기 용액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HFE-356mmz:50질량%, 불소 오일(A2):50질량%로 했다. 얻어진 용액을 25℃의 환경하 30일간 방치한 후, 상기 용액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 결과, 색, 침전 생성 등의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정성 시험>
(실시예 28)
50mm×5mm×2mm의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불소 오일(A2) 중에 30초 침지했다. 그 후,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100ml의 HFE-356mec 중에 25℃의 조건하 1분간 침지하고,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를 끌어올리고 나서 실온에서 5분 정도 풍건시켰다. 그 결과, 상기 유리제 테스트 피스 상에 잔존하는 불소 오일(A2)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A)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 그리고
    (B) 불소 오일
    을 포함하고,
    상기 불소 오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성분 및 상기 (B) 성분의 총량에 대해서,
    상기 (A) 성분의 함유 비율이 1질량% 이상 99.99질량% 이하이고,
    상기 (B) 성분의 함유 비율이 0.01질량% 이상 99질량% 이하인,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코팅제용인, 조성물.
  4.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로서,
    상기 불소 오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용제용 조성물 또는 세정용 조성물.
  5.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세정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제거하는, 세정 방법으로서,
    상기 불소 오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세정 방법.
  6.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mz) 및/또는 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틸에테르(HFE-356mec)를 포함하는 용제를 이용하여, 불소 오일을 용해시키는, 용해 방법으로서,
    상기 불소 오일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및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그리고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저중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용해 방법.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 방법.
  8. 삭제
KR1020227037840A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8704A KR20230128579A (ko)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6120 2020-08-31
JPJP-P-2020-146120 2020-08-31
PCT/JP2021/030945 WO2022045115A1 (ja) 2020-08-31 2021-08-24 フッ素オイルを含む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704A Division KR20230128579A (ko)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093A KR20220153093A (ko) 2022-11-17
KR102571951B1 true KR102571951B1 (ko) 2023-08-30

Family

ID=80353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840A KR102571951B1 (ko)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37028704A KR20230128579A (ko)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704A KR20230128579A (ko) 2020-08-31 2021-08-24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48615A1 (ko)
EP (1) EP4130177A4 (ko)
JP (1) JP7068598B2 (ko)
KR (2) KR102571951B1 (ko)
CN (1) CN115461426B (ko)
MX (1) MX2022013644A (ko)
TW (1) TW202221105A (ko)
WO (1) WO2022045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2798B (zh) * 2022-08-22 2023-09-05 苏州中科医疗器械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氟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359A (ja) * 2013-12-26 2015-08-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共沸混合物様の組成物、熱伝達組成物、洗浄剤、高温ヒートポンプ装置、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及び熱伝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5543A (en) * 1984-04-13 1985-11-26 Chemical Fabrics Corporation Fluoropolymer coating and casting compositions and films derived therefrom
JP2881191B2 (ja) * 1996-10-25 1999-04-12 工業技術院長 共沸及び共沸様組成物
CN101166804B (zh) * 2005-04-26 2011-06-08 纳幕尔杜邦公司 包含3,3,4,4,5,5,6,6,6-九氟-1-己烯和氟醚的传热和制冷组合物
EP2231811B1 (en) 2007-12-14 2011-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zeotropic-like compositions with 1,1,1,2,3,3-hexafluoro-3-methoxy-propane and 1-bromopropane
JP5903998B2 (ja) * 2012-04-19 2016-04-1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沸騰冷却器用媒体及びその使用方法
JP6635118B2 (ja) * 2015-09-04 2020-01-22 Agc株式会社 溶剤組成物、洗浄方法および塗膜の形成方法
WO2017130973A1 (ja) * 2016-01-26 2017-08-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
CN109890870B (zh) * 2016-10-27 2021-08-24 大金工业株式会社 含全氟(聚)醚基的硅烷化合物
JP6888685B2 (ja) * 2017-10-20 2021-06-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表面処理剤及び物品
JP7132485B2 (ja) * 2018-03-23 2022-09-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1,1,1,3,3,3-ヘキサフルオロイソプロピルメチルエーテルを製造する方法、固液不均一組成物及び1,1,1,3,3,3-ヘキサフルオロイソプロピルメチルエーテル製品
CN110317286A (zh) * 2018-03-30 2019-10-11 浙江蓝天环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聚偏氟乙烯树脂纯净度的方法
JP7128418B2 (ja) * 2019-02-14 2022-08-3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溶剤組成物
CN112126327B (zh) * 2020-08-19 2021-12-14 浙江巨化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全氟聚醚型疏水疏油涂层组合物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3359A (ja) * 2013-12-26 2015-08-0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共沸混合物様の組成物、熱伝達組成物、洗浄剤、高温ヒートポンプ装置、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及び熱伝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8598B2 (ja) 2022-05-17
KR20230128579A (ko) 2023-09-05
EP4130177A4 (en) 2024-04-10
CN115461426A (zh) 2022-12-09
WO2022045115A1 (ja) 2022-03-03
EP4130177A1 (en) 2023-02-08
KR20220153093A (ko) 2022-11-17
US20230048615A1 (en) 2023-02-16
CN115461426B (zh) 2024-03-12
TW202221105A (zh) 2022-06-01
MX2022013644A (es) 2022-11-16
JP2022041936A (ja)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7772B2 (en) Solvent composition
US8399713B2 (en) Alkyl perfluoroalkene ethers
JP7417144B2 (ja) 組成物
EP3564349A1 (en) Solvent compositions comprising unsaturated fluorinated hydrocarbons
US20130244922A1 (en) Azeotropic compositions comprising methyl perfluoropentene ethers for cleaning applications
KR102571951B1 (ko) 불소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WO2020022474A1 (ja) 共沸(様)組成物
CN113444492B (zh) 溶剂组合物、气溶胶组合物、清洗剂及物品的清洗方法
US7566409B1 (en) Replacement solvents having improved properties for refrigeration flushes
CN114846129B (zh) 溶剂组合物及其用途
US6262006B1 (en) De-oiling composition of perfluoropolyethers and hydrofluoropolyethreal surfactants
EP0805199B1 (en) Solvents utilizable as cleaning agents
US1198188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1,2-dichloro-3,3,3-trifluoropropene
JP2023158658A (ja) 溶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6020298A (en) Solvent cleaning agents including additives of the formula Rf -CFX-L containing perfluoroalkylenic units
EP0867429B1 (en) Compositions to remove water and/or solvents and/or oils
JP7299453B2 (ja) 液状組成物
CN116669762A (zh) 不燃液体组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