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113B1 - 릴 이적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릴 이적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113B1
KR102571113B1 KR1020210102350A KR20210102350A KR102571113B1 KR 102571113 B1 KR102571113 B1 KR 102571113B1 KR 1020210102350 A KR1020210102350 A KR 1020210102350A KR 20210102350 A KR20210102350 A KR 20210102350A KR 102571113 B1 KR102571113 B1 KR 10257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unit
transfer
modu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675A (ko
Inventor
이강호
김의창
장성호
정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10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1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릴 이적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은 소정의 대상 설비로 릴(REEL)을 로딩(loading)하거나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릴 이적재유닛; 릴 이적재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릴 컨베이어 상에 마련되고 릴 컨베이어의 작용으로 이송 가능하며, 릴이 전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전용 트레이; 및 릴 이적재유닛과 또는 릴 컨베이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릴 이적재유닛과 릴 전용 트레이 간으로 릴을 자동으로 전달하는 릴 자동 전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릴 이적재 시스템{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A REEL}
본 발명은, 릴 이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REEL)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릴 이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릴(REEL)은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물이다. 즉 롤 타입(ROLL TYPE)으로 되고 내부가 빈 구조물인 제품, 상품, 물품 등을 릴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 즉 릴은 그 형상, 용도 등에 제한이 없다. 다시 말해, 원통형 구조물에 내부가 빈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이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차전지(secondary cell)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익히 알려진 것처럼 2차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지를 가리킨다. 최근 2차전지를 배터리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2차전지는 전극 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2차전지는 스택형 구조, 권취형(젤리롤형) 구조, 스택/폴딩형 구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분류 중에서 스택형 구조는 양극재, 분리막, 음극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이들을 차례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한 것을 가리킨다. 분리막은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마다 배치된다.
이처럼 2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최근 소재 및 배터리 생산 공정 관련 설비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의 생산 및 포장을 위한 설비 개발이 진행되는 실정이다.
2차전지를 이루는 양극재, 음극재 및 분리막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개별 낱장으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보통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롤 타입(roll type)으로 제조된다. 이처럼 롤 타입으로 제조된 양극재, 음극재 및 분리막 역시,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 다시 말해 릴(REEL)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어떠한 사이즈, 용도, 기능일지라도 릴은 대상 설비로 이적재해야 한다. 대상 설비는 릴을 단순히 보관하는 창고 설비일 수도 있고 혹은 실질적으로 릴을 이용해서 공정을 진행하는, 예컨대 2차전지를 생산하는 생산 설비일 수도 있다.
어떠한 설비일지라도 대상 설비는 클린룸(clean room) 등에 위치 고정된 설비라서 이러한 대상 설비로 릴을 로딩(loading)하거나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려면 그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 즉 릴 이적재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릴 이적재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된 바 없으며, 작업자가 수동 대차를 이용해서 릴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전부여서 릴에 대한 이적재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이거니와 이적재 작업량이 현저히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릴 이적재 시스템에 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23696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릴(REEL)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릴 이적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대상 설비로 릴(REEL)을 로딩(loading)하거나 상기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릴 이적재유닛; 상기 릴 이적재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릴 컨베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릴 컨베이어의 작용으로 이송 가능하며, 릴이 전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전용 트레이; 및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또는 상기 릴 컨베이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상기 릴 전용 트레이 간으로 릴을 자동으로 전달하는 릴 자동 전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이적재유닛 본체; 릴의 중공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릴을 척킹하는 릴 척킹모듈; 및 상기 이적재유닛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릴 척킹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상기 릴 척킹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대; 및 상기 모듈 지지대 상에서 상기 릴 척킹모듈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상기 모듈 지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릴 척킹모듈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듈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바디; 상기 컨베이어 바디 상에서 상호간 이격되고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로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 바디에 탑재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롤러를 그룹별로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릴 전용 트레이가 상기 롤러형 컨베이어의 롤러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은, 릴 전달 프레임; 상기 릴 전달 프레임 상에 연결되거나 상기 릴 전달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되 릴이 안착되는 장소를 이루는 릴 안착기; 및 상기 릴 안착기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릴 전달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릴 안착기에 안착된 릴을 파지하는 릴 파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파지모듈은, 소정의 회전축을 회전하면서 집게 방식으로 릴의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 핸드; 및 상기 한 쌍의 파지 핸드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 핸드를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핸드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액추에이터가 실린더이며, 양단부가 회전 지지부에 의해 상기 릴 전달 프레임 및 상기 파지 핸드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은, 상기 릴 전달 프레임과 상기 릴 파지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릴 파지모듈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모듈 전후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전후진 구동부가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또는 상기 릴 컨베이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릴을 턴(turn)시켜 적재하는 릴 턴 적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턴 적재유닛은, 적재유닛 본체부;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에 연결되고 릴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릴 안착대; 및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와 상기 릴 안착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릴 안착대를 턴(turn) 구동시키는 안착대 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안착대에는 상기 릴 안착대에 안착되는 릴이 센터로 가이드될 수 있게 센터 쪽으로 하향된 안착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 턴 적재유닛은, 상기 대상 설비로 릴(REEL)을 로딩(loading)하거나 상기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이적재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릴 이적재유닛, 상기 릴 턴 적재유닛 및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전용 트레이는, 상기 릴 컨베이어 상에 탑재되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의 일측에서 기립하게 연장되는 트레이 컬럼; 및 상기 트레이 컬럼의 상단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며, 릴의 중공부에 삽입되면서 릴을 클램핑하는 릴 클램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외팔보 형태로 마련되는 클램핑 바; 상기 클램핑 바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통공을 통해 일부가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상기 클램핑 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노출되면서 상기 클램핑 바 상의 릴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및 상기 클램핑 바에 마련되되 외력으로 상기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일측의 힌지를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회전형 스토퍼로서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에 상기 스토퍼 구동부재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구동부재는 핀(pin) 타입의 구조물로서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회전형 스토퍼의 경사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스토퍼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상기 클램핑 바 내에서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가 원위치 복귀되게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상기 클램핑 바에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클램핑 바의 제2 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클램핑 바에 클램핑되는 릴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릴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REEL)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적재 대상의 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릴 이적재유닛 영역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릴 이적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릴 턴 적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릴 자동 전달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릴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릴 전용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릴 자동 전달유닛이 릴 전용 트레이에 도킹(docking)되기 전의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도킹 후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2의 릴 이적재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 자동 전달유닛이 릴 전용 트레이에 도킹(docking)되기 전의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도킹 후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이적재 대상의 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릴 이적재유닛 영역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릴 이적재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릴 턴 적재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릴 자동 전달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릴 컨베이어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릴 전용 트레이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릴 자동 전달유닛이 릴 전용 트레이에 도킹(docking)되기 전의 구조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도킹 후 구조도이고, 도 16은 도 2의 릴 이적재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릴(10, REEL)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릴 이적재 시스템은 단독 장비로도 사용 가능하고, 또한 도 2처럼 대상 설비(1)와 함께 하나의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을 통해 핸들링되는 대상물은 도 1처럼 지관(12) 내에 중공부(11)가 형성된 릴(10)이다. 이러한 릴(10)은 2차전지를 이루는 양극재, 음극재 및 분리막 중 하나일 수 있다.
물론, 도 1과 형태만 동일하다면 릴(10)이 반드시 2차전지의 재료일 필요는 없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릴(10)을 단순히 릴(10)이라 해서 설명한다. 또한, 지관(12)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지관(12) 없는 릴일지라도 대상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대상 설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10)이 이적재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대상 설비(1)는 릴(10)을 단순히 보관하는 창고 설비일 수도 있고 혹은 실질적으로 릴(10)을 이용해서 공정을 진행하는, 예컨대 2차전지를 생산하는 생산 설비, 예컨대 릴 언/리와인더(un/rewinder)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대상 설비(1)는 개략적인 도면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은 릴 이적재유닛(110), 릴 컨베이어(120), 릴 전용 트레이(130), 릴 턴 적재유닛(150) 및 릴 자동 전달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인해 릴의 이적재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종전의 수작업보다 훨씬 향상된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릴 이적재유닛(110)은 소정의 대상 설비(1)로 릴(10)을 로딩(loading)하거나 대상 설비(1)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일련의 장비 구조물이다.
이러한 릴 이적재유닛(1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적재유닛 본체(111)와, 릴(10)의 중공부(11)에 삽입되면서 릴(10)을 척킹하는 릴 척킹모듈(112)을 포함한다.
이적재유닛 본체(111)는 릴 이적재유닛(110)의 외관 구조물이다. 릴 척킹모듈(112), 모듈 이동부(113) 등의 유닛, 장치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적재유닛 본체(111)는 강성이 우수하고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의 용접 혹은 볼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릴 척킹모듈(112)은 실질적으로 릴(10)을 척킹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릴 척킹모듈(112)은 릴(10)의 중공부(11)에 삽입되면서 릴(10)을 파지하는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릴 척킹모듈(112)은 모듈 지지대(114) 상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대상 설비(1)의 릴(10)을 로딩 혹은 언로딩하려면 릴 척킹모듈(112)의 위치와 릴(10)의 중공부(11)의 위치가 서로 맞아야 한다. 따라서, 릴 척킹모듈(112)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모듈 이동부(113), 모듈 업/다운 구동부(115) 및 모듈 회전 구동부(116)가 릴 이적재유닛(110)에 적용된다.
모듈 이동부(113)는 이적재유닛 본체(111)에 마련되며, 릴 척킹모듈(112)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듈 이동부(113)는 리니어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모듈 업/다운 구동부(115)는 모듈 지지대(114) 상에서 릴 척킹모듈(112)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듈 업/다운 구동부(115) 역시, 리니어 모터로 적용될 수 있지만, 실린더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모듈 회전 구동부(116)는 모듈 지지대(114)에 마련되되 릴 척킹모듈(112)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듈 회전 구동부(116)는 회전모터의 적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릴 이적재유닛(110)에 모듈 이동부(113), 모듈 업/다운 구동부(115) 및 모듈 회전 구동부(116)가 마련되고, 이들의 작용으로 릴 척킹모듈(112)이 이동, 업/다운 및 회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릴 척킹모듈(112)의 위치와 릴(10)의 중공부(11)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릴(10)의 이적재 작업에 실패가 없다.
릴 컨베이어(120)는 릴 이적재유닛(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이송수단이며, 실질적으로 릴 전용 트레이(13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릴 컨베이어(120)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처럼 복수 개의 릴 컨베이어(120)가 마련된다. 이럴 경우, 릴 컨베이어(120) 상에 탑재되는 릴 전용 트레이(130)를 회수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물류시스템의 관리에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릴 컨베이어(120)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바디(121)와, 컨베이어 바디(121) 상에서 상호간 이격되고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로 마련되는 롤러(122)와, 컨베이어 바디(121)에 탑재되며, 해당 위치에서 롤러(122)를 그룹별로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회전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처럼 롤러 회전 구동부(123)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이의 작용으로 롤러(122)들을 그룹별로 회전 구동시킬 경우, 실질적으로 구동이 필요한 롤러(122)만을 회전시키면 되고, 또한 해당 롤러(122)의 회전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어서 장비의 운용에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릴 전용 트레이(130)는 릴 컨베이어(120) 상에 마련되고 릴 컨베이어(120)의 작용으로 이송 가능하며, 릴(10)이 전용으로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즉 릴 전용 트레이(130)는 릴 컨베이어(120)의 롤러(122) 상에 탑재될 수 있으며, 릴(10)을 하나씩 전용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릴 컨베이어(120)를 통해 메인 컨베이어(3)를 경유해서 릴(10)이 후공정으로 배출될 수 있게끔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릴(10)을 단순히 컨베이어에 올려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장비인 릴 전용 트레이(130)를 통해 이송하는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릴(1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후공정에서의 릴(10) 처리에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릴 전용 트레이(130)는 도 2,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컨베이어(120) 상에 탑재되는 트레이 베이스(131)와, 트레이 베이스(131)의 일측에서 기립하게 연장되는 트레이 컬럼(132)과, 트레이 컬럼(132)의 상단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며, 릴(10)의 중공부(11)에 삽입되면서 릴(10)을 클램핑하는 릴 클램핑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지만, 릴 클램핑 유닛(140)에 하나의 릴(10)이 클램핑될 수 있다. 다만, 릴 전용 트레이(130)가 릴 컨베이어(120) 상에서 릴 컨베이어(120)의 작용으로 움직이는 구조물이라서, 릴 클램핑 유닛(140)에 릴(10)이 견고하게 클램핑되지 않으면 이송 중 릴(10)이 이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릴 클램핑 유닛(140)에 대한 아래 구조가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릴 클램핑 유닛(140)은 외팔보 형태로 마련되는 클램핑 바(141)와, 클램핑 바(141)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통공(141a)을 통해 일부가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클램핑 바(141)에 연결되며, 제1 통공(141a)을 통해 노출되면서 클램핑 바(141) 상의 릴(1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토퍼(143)와, 클램핑 바(141)에 마련되되 외력으로 스토퍼(143)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부재(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143)는 일측의 힌지(143a)를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회전형 스토퍼(143)이다. 이러한 스토퍼(143)의 일측에는 경사부(143b)가 형성되는데, 경사부(143b)에 스토퍼 구동부재(144)의 단부가 배치된다.
그리고, 스토퍼 구동부재(144)는 핀(pin) 타입의 구조물로서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즉 도 15처럼 릴 파지모듈(163)이 릴 전용 트레이(130)의 릴 클램핑 유닛(140)으로 접근 가압될 때 즉 도킹될 때, 회전형 스토퍼(143)의 경사부(143b)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회전형 스토퍼(143)가 힌지(143a)를 축으로 회전되게 한다.
릴 클램핑 유닛(140)에는 탄성부재(145)와 릴 가이드부재(146)가 더 마련된다. 탄성부재(145)는 클램핑 바(141) 내에서 스토퍼(143)에 연결되며, 스토퍼(143)가 원위치 복귀되게 탄성바이어스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릴 가이드부재(146)는 클램핑 바(141)에 복수 개로 마련되고 클램핑 바(141)의 제2 통공(141b)을 통해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클램핑 바(141)에 클램핑되는 릴(10)을 가이드하는 일종의 가이드 볼이다.
릴 턴 적재유닛(150)은 릴 이적재유닛(110)와 또는 릴 컨베이어(120)의 주변에 배치되며, 릴을 턴(turn)시켜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릴 턴 적재유닛(15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유닛 본체부(151)와, 적재유닛 본체부(151)에 연결되고 릴(10)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릴 안착대(152)와, 적재유닛 본체부(151)와 릴 안착대(152) 사이에 마련되며, 적재유닛 본체부(151)에 대하여 릴 안착대(152)를 턴(turn) 구동시키는 안착대 턴 구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릴 안착대(152)에는 릴 안착대(152)에 안착되는 릴(10)이 센터로 가이드될 수 있게 센터 쪽으로 하향된 안착 경사면(152a)이 형성된다. 릴 안착대(152)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착 경사면(152a) 역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안착대 턴 구동부(153)는 적재유닛 본체부(151)에 대하여 릴 안착대(152)를 턴(tur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착대 턴 구동부(153)는 회전 모터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릴 자동 전달유닛(160)은 릴 이적재유닛(110)와 또는 릴 컨베이어(120)의 주변에 배치되며, 릴 이적재유닛(110)와 릴 전용 트레이(130) 간으로 릴(10)을 자동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릴 자동 전달유닛(160)은 도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전달 프레임(161)과, 릴 전달 프레임(161) 상에 연결되거나 릴 전달 프레임(161)의 주변에 배치되되 릴(10)이 안착되는 장소를 이루는 릴 안착기(162)와, 릴 안착기(162)의 상부 영역에서 릴 전달 프레임(161)에 마련되며, 릴 안착기(162)에 안착된 릴(10)을 파지하는 릴 파지모듈(163)을 포함한다.
릴 안착기(162)는 전술한 것처럼 릴 전달 프레임(161) 상에 직접 연결되게 마련될 수도 있고, 혹은 릴 전달 프레임(161)의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다.
릴 파지모듈(163)은 소정의 회전축(164)을 회전하면서 집게 방식으로 릴(10)의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 핸드(165)와, 한 쌍의 파지 핸드(165)에 연결되고 한 쌍의 파지 핸드(165)를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핸드 액추에이터(166)를 포함할 수 있다.
릴 이적재유닛(110)의 릴 척킹모듈(112)이 릴(10)의 중공부(11)에 삽입되는 형태로 릴(10)을 척킹했기 때문에, 릴 파지모듈(163)은 한 쌍의 파지 핸드(165)로 릴(10)의 외면을 파지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때, 핸드 액추에이터(166)가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파지 핸드(165)에 대한 집게 작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실린더로서의 핸드 액추에이터(166)는 그 양단부가 회전 지지부(166a,166b)에 의해 릴 전달 프레임(161) 및 파지 핸드(165)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릴 자동 전달유닛(160)은 릴 전달 프레임(161)과 릴 파지모듈(163)에 연결되며, 릴 파지모듈(163)을 전후진 구동시키는 모듈 전후진 구동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전후진 구동부(168)가 리니어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4에서 도 15의 그림은 모듈 전후진 구동부(168)의 작용으로 릴 파지모듈(163)이 릴 전용 트레이(130)의 릴 클램핑 유닛(140)으로 접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시스템 컨트롤러(190)가 더 탑재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대상 설비(1)로 릴(10)을 로딩(loading)하거나 대상 설비(1)에서 릴(10)을 언로딩(unloading)하는 이적재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릴 이적재유닛(110), 릴 턴 적재유닛(150) 및 릴 자동 전달유닛(16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한다.
이러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새로운 릴(10)을 대상 설비(1)로 자동 로딩(loading)하는 한편 대상 설비(1) 측의 릴(10)을 대상 설비(1)에서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해 가동형 이적재 유닛(140)과 고정형 이적재 유닛(11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새로운 릴(10)을 대상 설비(1)로 자동 로딩(loading)하는 한편 대상 설비(1) 측의 릴(10)을 대상 설비(1)에서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해 가동형 이적재 유닛(140)과 고정형 이적재 유닛(11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시스템 컨트롤러(190)의 컨트롤에 의한 릴 이적재유닛(110), 릴 컨베이어(120), 릴 전용 트레이(130), 릴 턴 적재유닛(150) 및 릴 자동 전달유닛(160)의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릴 클램핑 유닛(140)의 클램핑 바(141)에 끼워질 수 있으며(도 15 참조), 이후에 릴 자동 전달유닛(160)이 퇴거함에 따라 도 14처럼 스토퍼(143)의 단부가 돌출되면서 릴(10)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중에 릴(10)이 자리이탈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릴(10)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이적재 시스템에 적용되는 릴 자동 전달유닛이 릴 전용 트레이에 도킹(docking)되기 전의 구조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도킹 후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릴(10)을 클램핑하는 수단으로서의 릴 클램핑 유닛(240)이 적용된다.
릴 클램핑 유닛(240)은 외팔보 형태로 마련되는 클램핑 바(241)와, 클램핑 바(241)의 단부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일부분이 노출되면서 클램핑 바(241) 상의 릴(1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토퍼(243)와, 클램핑 바(241)에 마련되되 외력으로 스토퍼(243)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부재(244)를 포함한다. 이들의 작용와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 구조가 약간 상이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토퍼(143)는 ㄴ자 형태의 구조물로서 회전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는데 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토퍼(243)는 업/다운(up/down) 구동된다. 즉 스토퍼(243)는 스토퍼 핀 헤드부(240a)와 라운딩 테일부(240b)를 포함한다. 스토퍼 핀 헤드부(240a)가 클램핑 바(241)의 상부로 노출되면서 릴(10)을 클램핑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43)에 대응하는 스토퍼 구동부재(244)는 스토퍼(243)와 대응되는 부분에 가압부(244a), 경사부(244b) 및 파킹부(244c)가 형성된다.
이에, 스토퍼(243)의 라운딩 테일부(240b)가 도 17처럼 가압부(244a)에 배치되면 스토퍼(243)의 스토퍼 핀 헤드부(240a)가 노출되면서 릴(10)을 클램핑할 수 있다. 반대로, 스토퍼(243)의 라운딩 테일부(240b)가 도 18처럼 경사부(244b)를 경유해서 파킹부(244c)에 파킹되면 스토퍼(243)의 스토퍼 핀 헤드부(240a)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클램핑 바(241)로 릴(10)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릴 클램핑 유닛(240)이 적용되더라도 릴(10)에 대한 이적재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대상 설비 10 : 릴
11 : 중공부 12 : 지관
110 : 릴 이적재유닛 111 : 이적재유닛 본체
112 : 릴 척킹모듈 113 : 모듈 이동부
114 : 모듈 지지대 115 : 모듈 업/다운 구동부
116 : 모듈 회전 구동부 120 : 릴 컨베이어
121 : 컨베이어 바디 122 : 롤러
123 : 롤러 회전 구동부 130 : 릴 전용 트레이
131 : 트레이 베이스 132 : 트레이 컬럼
140 : 릴 클램핑 유닛 141 : 클램핑 바
141a : 제1 통공 141b : 제2 통공
142 : 클램핑 바 143 : 스토퍼
143a : 힌지 143b : 경사부
144 : 스토퍼 구동부재 145 : 탄성부재
146 : 릴 가이드부재 150 : 릴 턴 적재유닛
151 : 적재유닛 본체부 152 : 릴 안착대
152a : 안착 경사면 153 : 안착대 턴 구동부
160 : 릴 자동 전달유닛 161 : 릴 전달 프레임
162 : 릴 안착기 163 : 릴 파지모듈
164 : 회전축 165 : 파지 핸드
166 : 핸드 액추에이터 166a,166b : 회전 지지부
168 : 모듈 전후진 구동부 190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19)

  1. 소정의 대상 설비로 릴(REEL)을 로딩(loading)하거나 상기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릴 이적재유닛;
    상기 릴 이적재유닛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릴 컨베이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릴 컨베이어의 작용으로 이송 가능하며, 릴이 전용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전용 트레이; 및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또는 상기 릴 컨베이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상기 릴 전용 트레이 간으로 릴을 자동으로 전달하는 릴 자동 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은,
    릴 전달 프레임;
    상기 릴 전달 프레임 상에 연결되거나 상기 릴 전달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되되 릴이 안착되는 장소를 이루는 릴 안착기; 및
    소정의 회전축을 회전하면서 집게 방식으로 릴의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 핸드와, 상기 한 쌍의 파지 핸드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파지 핸드를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핸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릴 안착기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릴 전달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릴 안착기에 안착된 릴을 파지하는 릴 파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이적재유닛 본체;
    릴의 중공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릴을 척킹하는 릴 척킹모듈; 및
    상기 이적재유닛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릴 척킹모듈을 이동시키는 모듈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상기 릴 척킹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대; 및
    상기 모듈 지지대 상에서 상기 릴 척킹모듈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이적재유닛은,
    상기 모듈 지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릴 척킹모듈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듈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바디;
    상기 컨베이어 바디 상에서 상호간 이격되고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 개로 마련되는 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 바디에 탑재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롤러를 그룹별로 회전 구동시키는 롤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 전용 트레이가 롤러형 컨베이어의 롤러 상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액추에이터가 실린더이며, 양단부가 회전 지지부에 의해 상기 릴 전달 프레임 및 상기 파지 핸드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은,
    상기 릴 전달 프레임과 상기 릴 파지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릴 파지모듈를 전후진 구동시키는 모듈 전후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전후진 구동부가 리니어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이적재유닛과 또는 상기 릴 컨베이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릴을 턴(turn)시켜 적재하는 릴 턴 적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릴 턴 적재유닛은,
    적재유닛 본체부;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에 연결되고 릴이 안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릴 안착대; 및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와 상기 릴 안착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적재유닛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릴 안착대를 턴(turn) 구동시키는 안착대 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릴 안착대에는 상기 릴 안착대에 안착되는 릴이 센터로 가이드될 수 있게 센터 쪽으로 하향된 안착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릴 턴 적재유닛은,
    상기 대상 설비로 릴(REEL)을 로딩(loading)하거나 상기 대상 설비에서 릴을 언로딩(unloading)하는 이적재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릴 이적재유닛, 상기 릴 턴 적재유닛 및 상기 릴 자동 전달유닛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전용 트레이는,
    상기 릴 컨베이어 상에 탑재되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의 일측에서 기립하게 연장되는 트레이 컬럼; 및
    상기 트레이 컬럼의 상단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며, 릴의 중공부에 삽입되면서 릴을 클램핑하는 릴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외팔보 형태로 마련되는 클램핑 바;
    상기 클램핑 바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통공을 통해 일부가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상기 클램핑 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노출되면서 상기 클램핑 바 상의 릴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및
    상기 클램핑 바에 마련되되 외력으로 상기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의 힌지를 축으로 해서 회전하는 회전형 스토퍼로서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경사부에 상기 스토퍼 구동부재의 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 구동부재는 핀(pin) 타입의 구조물로서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회전형 스토퍼의 경사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스토퍼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상기 클램핑 바 내에서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가 원위치 복귀되게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릴 클램핑 유닛은,
    상기 클램핑 바에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클램핑 바의 제2 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클램핑 바에 클램핑되는 릴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릴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적재 시스템.
KR1020210102350A 2021-08-04 2021-08-04 릴 이적재 시스템 KR10257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50A KR102571113B1 (ko) 2021-08-04 2021-08-04 릴 이적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50A KR102571113B1 (ko) 2021-08-04 2021-08-04 릴 이적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75A KR20230020675A (ko) 2023-02-13
KR102571113B1 true KR102571113B1 (ko) 2023-08-25

Family

ID=8520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350A KR102571113B1 (ko) 2021-08-04 2021-08-04 릴 이적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1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039A (ja) * 2003-04-17 2004-11-11 Murata Mach Ltd 巻糸パッケージの箱詰めシステム
JP2012254843A (ja) 2011-06-08 2012-12-27 Disco Corp シートフィーダ装置
KR101443075B1 (ko) 2013-03-28 2014-09-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교정장치
KR102008306B1 (ko) 2018-03-05 2019-08-07 박준희 플랫보드 자동 공급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300B2 (ja) * 1993-12-28 1999-01-06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プールの搬送移載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307319A (ja) * 1994-05-10 1995-11-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整列装置及び方法
JP2953330B2 (ja) * 1994-12-15 1999-09-27 東レ株式会社 物品群の移載方法および装置
JP3037618B2 (ja) * 1996-07-17 2000-04-24 株式会社フジキカイ 製袋充填機のフィルムロール保持装置
JPH1160072A (ja) * 1997-08-25 1999-03-02 Murata Mach Ltd パッケージの載置方法
CN103221322B (zh) * 2011-02-10 2015-07-01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卷材搬运装置
SG11201408278XA (en) 2012-06-13 2015-01-29 Wilco Ag X-ray detection of flaws in containers and/or in their con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5039A (ja) * 2003-04-17 2004-11-11 Murata Mach Ltd 巻糸パッケージの箱詰めシステム
JP2012254843A (ja) 2011-06-08 2012-12-27 Disco Corp シートフィーダ装置
KR101443075B1 (ko) 2013-03-28 2014-09-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교정장치
KR102008306B1 (ko) 2018-03-05 2019-08-07 박준희 플랫보드 자동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75A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461B1 (ko) 롤 다이렉트 도킹 자동 가이드 운송체
CN107425146A (zh) 一种电芯套钢壳系统及其电芯套钢壳自动化组装设备
KR102571113B1 (ko) 릴 이적재 시스템
JP2024509319A (ja) ロールタイプ資材の自動移送供給設備
KR20220042616A (ko) 2차전지 분리막 롤 반송용 스토커 시스템
KR20220085331A (ko) 분리막 포장용 비닐 자동 공급장치
KR102559374B1 (ko)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 이적재기
KR102559375B1 (ko)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 이적재기
KR102559372B1 (ko) 롤 타입 적재물 이적재 시스템
KR200402696Y1 (ko) 전동형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US7621218B2 (en) Plate feeding apparatus
CN113629287B (zh) 一种电芯上下料移送装置
KR101427594B1 (ko) 기판 적재장치
JP4831951B2 (ja) 工具マガジン
KR102502878B1 (ko) 중공형 롤 타입 적재물 이적재시스템 및 이적재방법
JP3314560B2 (ja) 円筒形金具の整列方法及び整列装置
US20220002086A1 (en) Orientation switching apparatus
KR102203398B1 (ko) 2차전지 스태킹 자동화 시스템
JP2003237583A (ja) ローリフト
JPS5964239A (ja) 自動組立装置
CN216248759U (zh) 双列双面曝光机
KR102606431B1 (ko) 이차전지 고속 셀 스태킹장치
CN220334024U (zh) 自移动转运设备及仓储组件
CN216736540U (zh) 码垛治具及供料装置
KR101108567B1 (ko) 간지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