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88B1 -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 Google Patents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88B1
KR102570288B1 KR1020230013858A KR20230013858A KR102570288B1 KR 102570288 B1 KR102570288 B1 KR 102570288B1 KR 1020230013858 A KR1020230013858 A KR 1020230013858A KR 20230013858 A KR20230013858 A KR 20230013858A KR 102570288 B1 KR102570288 B1 KR 10257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cover unit
frying
f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주)네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온테크 filed Critical (주)네온테크
Priority to KR102023001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Integrated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튀김 작업이 진행되는 튀김기를 커버로 덮어 작업자가 고온의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줄였고, 커버에 설치된 투명 윈도우를 통해 튀김 작업을 지켜볼 수 있으며, 튀김 작업 중에는 개폐가능하며 유증기를 환풍장치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Frier Cover Module And Fr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 튀김기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및 뜨거운 기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한 커버모듈로, 커버모듈에 설치된 유리를 통해 튀김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은 다양한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데, 연료에서 배출되는 유해 가스도 해롭지만, 조리할 때 생기는 음식 연기는 더욱 위험하다. 특히,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직접 구울 때 나오는 연기는 인체에 유해하다. 음식을 고온에서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구우면 음식 및 요리재료에 들어 있던 성분들이 열분해 되면서 미세한 입자형태의 에어로졸로 되어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그 중에는 기도의 점막이나 폐조직을 자극하고, 기형 및 암, 특히 폐암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이 들어 있다.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크롤레인 등 알데하이드계 물질이 대표적인데, 아크롤레인은 자극적 냄새가 나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담배와 식용유 등에서 발견되는데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아크롤레인은 식용유를 180℃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할 때 많이 발생하며 튀김 음식을 공기 중에 오랫동안 놔 두어 기름이 산패하는 과정에서도 생긴다. 포름알데하이드와 아크롤레인은 기도를 자극하고 궁극적으로 발암물질로 작용한다. 아크롤레인은 담배에 들어 있는 여타 발암물질들보다 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튀김 작업은 일반적으로 튀김유를 150~190℃까지 가열해서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고온의 튀김유에서 나오는 유독한 유증기와 튀김조에서 튀어나오는 고온의 튀김유에 의한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튀김 작업 중인 작업자를 유증기와 화상의 위험으로 보호해주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685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48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96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12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튀김 작업이 진행되는 튀김기를 커버로 덮어 작업자가 고온의 기름이 튀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줄였고, 커버에 설치된 투명 윈도우를 통해 튀김 작업을 지켜볼 수 있으며, 튀김 작업 중에는 개폐가능하며 유증기를 환풍장치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은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기 위한 커버 유닛, 상기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커버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환풍구 및 상기 환풍구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은,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는 제1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2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1 조명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2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2 조명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증기를 배출되는 통로인 환풍구; 및 상기 환풍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환풍구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 유닛은, 제1 커버 몸체,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제1 윈도우부,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수직면의 우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제1 커버 유닛을 개폐할 있도록 하는 제1 핸들부,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상부면 좌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 제1 날개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1 상부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1 하부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버 유닛은, 제2 커버 몸체,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제2 윈도우부,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수직면의 좌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제2 커버 유닛을 개폐할 있도록 하는 제2 핸들부,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상부면 우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 제2 날개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 상부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 하부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을 구비하는 튀김기는, 튀김 재료가 튀김망에 준비되는 튀김 준비부; 상기 튀김 준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튀김망을 튀김유에 투입하여 튀김이 진행되는 튀김 진행부; 상기 튀김 진행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튀김 진행부에서 완성된 튀김을 포장할 수 있는 튀김 완성부; 상기 튀김 준비부, 튀김 진행부 및 튀김 완성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튀김망을 이동시키는 튀김망 이동부; 및 상기 튀김 진행부의 상부 및 전면를 덮어 상기 튀김 진행부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및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튀김기 커버모듈을 포함하는 튀김기 커버모듈을 구비하는 튀김기이며, 상기 튀김기 커버모듈은, 상기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는 제1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과 반대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2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1 조명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2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2 조명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증기를 배출되는 통로인 환풍구 및 상기 환풍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환풍구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튀김기 커버모듈은 서로 분리되게 개폐 가능한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버 유닛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튀김 준비부 및 튀김 진행부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2 커버 유닛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튀김 진행부 및 튀김 완성부 사이를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튀김기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유증기와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을 열지 않고도 커버모듈에 설치된 창문을 통해 튀김기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튀김 작업 중 작업자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 수시로 커버모듈을 열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유닛의 좌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상부 슬라이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 유닛의 좌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의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풍구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환풍구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을 구비하는 튀김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은 제1 커버 유닛(100), 제2 커버 유닛(200),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 제1 조명부(500), 제2 조명부(600), 환풍구(700) 및 환풍 유닛(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커버 유닛(100)은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커버 유닛을 구비하는데, 좌측에는 제1 커버 유닛(100)이 우측에는 제2 커버 유닛(200)이 위치한다. 제1 커버 유닛(100)과 제2 커버 유닛(200)은 대칭되게 위치하며, 구성과 기능이 하기에 설명되는대로 동일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유닛(100)의 좌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유닛(100)의 우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커버 유닛(100)은 제1 커버 몸체(110), 제1 윈도우부(120), 제1 핸들부(130), 제1 날개부(140),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 및 제1 하부 슬라이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몸체(110)는 제1 커버 유닛(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1 커버 몸체(110)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직면을 구비한다. 제1 커버 몸체(110)는 튀김기에서 나오는 유증기와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한 금속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환풍구(700) 및 제1 날개부(140)가 위치하고, 경사면에는 제1 윈도우부(120)가 위치하며, 수직면에는 제1 핸들부(130)가 위치한다.
제1 윈도우부(120)는 제1 커버 몸체(110)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1 커버 유닛(100)은 유해한 유증기와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지만, 작업자는 튀김 및 튀김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튀김기 내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제1 윈도우부(120)를 통해 튀김기 내부의 상태를 지켜볼 수 있다. 제1 윈도우부(12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창문을 구비하여 작업자는 제1 커버 유닛(100)을 개폐하지 않고도 제1 윈도우부(120)를 통해 튀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윈도우부(120)는 제1 커버 몸체(110)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오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튀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제1 핸들부(130)는 제1 커버 몸체(110)의 수직면의 우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제1 커버 유닛(100)을 개폐할 있도록 한다. 작업자가 제1 커버 유닛(100)을 열기 위해서는 제1 핸들부(130)를 잡고 제1 커버 유닛(100)을 좌측으로 밀어야 한다.
제1 날개부(140)는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면 좌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다. 튀김기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고온의 튀김유의 방출을 막기 위해 튀김기의 상부 및 전면에는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면, 경사면, 수직면이 있어 유증기 또는 튀김유를 차단하지만, 제1 커버 몸체(110)의 좌측의 개방된 공간은 제1 날개부(140)에 의해 차단된다. 제1 날개부(140)는 제1 날개부(140) 하부로 펼쳐져 제1 커버 몸체(110)의 좌측면을 차단하는 제1 블라인드부를 구비한다. 제1 블라인드부는 플라스틱 또는 투명 비닐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날개부(140)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블라인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는 튀김기의 높이에 맞게 제1 블라인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블라인드부는 제1 커버 몸체(110)의 좌측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여 유증기가 제1 커버 몸체(110)의 좌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특히, 투명 비닐 재질을 사용하면 제1 커버 몸체(110)가 움직여서 측면에 기계류에 닿아도 충격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를 따라 제1 커버 유닛(100)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의 확대도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제1 고정부(151), 상부 제2 고정부(152), 상부 제1 커넥터부(153), 상부 제1 슬라이드(154) 및 상부 제2 슬라이드(155)를 구비한다. 상부 제1 고정부(151)는 제1 커버 몸체(1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2 커버 유닛(200)과 입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부 제1 슬라이드(154)를 제1 커버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상부 제2 고정부(152)는 제1 커버 몸체(1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2 커버 유닛(2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상부 제2 슬라이드(155)를 제1 커버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상부 제1 커넥터부(153)는 상부 제1 고정부(151)와 상부 제2 고정부(152)를 연결시켜 고정하여 상부 제1 슬라이드(154) 및 상부 제2 슬라이드(155)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상부 제1 슬라이드(154)는 상부 제1 고정부(151)와 연결되며, 제1 커버 유닛(1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제2 슬라이드(155)는 상부 제2 고정부(152)와 연결되며, 상부 제1 슬라이드(154)와 함께 제1 커버 유닛(1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는 2개의 슬라이드를 구비하여 제1 커버 유닛(100)이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개폐되도록 한다.
제1 하부 슬라이드부(160)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를 따라 제1 커버 유닛(100)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하부 슬라이드부(160)는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와 함께 제1 커버 유닛(100)이 작업자가 제1 핸들부(130)를 이용하여 좌측으로 열리도록 한다. 제1 하부 슬라이드부(16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제1 고정부, 하부 제2 고정부, 하부 제1 커넥터부, 하부 제1 슬라이드 및 하부 제2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하부 제1 고정부는 제1 커버 몸체(1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2 커버 유닛(200)과 입접한 곳에 위치하며, 하부 제1 슬라이드를 제1 커버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하부 제2 고정부는 제1 커버 몸체(1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2 커버 유닛(2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하부 제2 슬라이드를 제1 커버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하부 제1 커넥터부는 하부 제1 고정부와 하부 제2 고정부를 연결시켜 고정하여 하부 제1 슬라이드 및 하부 제2 슬라이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하부 제1 슬라이드는 하부 제1 고정부와 연결되며, 제1 커버 유닛(1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제2 슬라이드는 하부 제2 고정부와 연결되며, 하부 제1 슬라이드와 함께 제1 커버 유닛(1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하부 슬라이드부(160)는 2개의 슬라이드를 구비하여 제1 커버 유닛(100)이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개폐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커버 유닛(200)은 제1 커버 유닛(100)의 우측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개폐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유닛(100)의 진행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개폐된다. 제2 커버 유닛(200)은 제1 커버 유닛(100)과 함께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 유닛(200)의 좌측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 유닛(200)의 우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커버 유닛(200)은 제2 커버 몸체(210), 제2 윈도우부(220), 제2 핸들부(230), 제2 날개부(240), 제2 상부 슬라이드부(250) 및 제2 하부 슬라이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버 몸체(210)는 제2 커버 유닛(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2 커버 몸체(210)는 제1 커버 몸체(110)와 동일하게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수직면을 구비한다. 제2 커버 몸체(210)는 튀김기에서 나오는 유증기와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견고한 금속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면에는 환풍구(700) 및 제2 날개부(240)가 위치하고, 경사면에는 제2 윈도우부(220)가 위치하며, 수직면에는 제2 핸들부(230)가 위치한다.
제2 윈도우부(220)는 제2 커버 몸체(210)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2 커버 유닛(200)은 유해한 유증기와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지만, 작업자는 튀김 및 튀김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튀김기 내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제2 윈도우부(220)를 통해 튀김기 내부의 상태를 지켜볼 수 있다. 제2 윈도우부(22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창문을 구비하여 작업자는 제2 커버 유닛(200)을 개폐하지 않고도 제2 윈도우부(220)를 통해 튀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윈도우부(220)는 제2 커버 몸체(210)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오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튀김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제2 핸들부(230)는 제2 커버 몸체(210)의 수직면의 좌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제2 커버 유닛(200)을 개폐할 있도록 한다. 작업자가 제2 커버 유닛(200)을 열기 위해서는 제2 핸들부(230)를 잡고 제2 커버 유닛(200)을 우측으로 밀어야 한다.
제2 날개부(240)는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면 우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다. 튀김기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또는 고온의 튀김유의 방출을 막기 위해 튀김기의 상부 및 전면에는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면, 경사면, 수직면이 있어 유증기 또는 튀김유를 차단하지만, 제2 커버 몸체(210)의 우측의 개방된 공간은 제2 날개부(240)에 의해 차단된다. 제2 날개부(240)는 제2 날개부(240) 하부로 펼쳐져 제2 커버 몸체(210)의 우측면을 차단하는 제2 블라인드부를 구비한다. 제2 블라인드부는 플라스틱 또는 투명 비닐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제2 날개부(240)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블라인드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는 튀김기의 높이에 맞게 제2 블라인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블라인드부는 제2 커버 몸체(210)의 우측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여 유증기가 제2 커버 몸체(210)의 우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 상부 슬라이드부(25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를 따라 제2 커버 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 상부 슬라이드부(15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제3 고정부, 상부 제4 고정부, 상부 제2 커넥터부, 상부 제3 슬라이드 및 상부 제4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상부 제3 고정부는 제2 커버 몸체(2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1 커버 유닛(100)과 입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부 제3 슬라이드를 제2 커버 몸체(210)에 고정시킨다. 상부 제4 고정부는 제2 커버 몸체(2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1 커버 유닛(1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상부 제4 슬라이드를 제2 커버 몸체(210)에 고정시킨다. 상부 제2 커넥터부는 상부 제3 고정부와 상부 제4 고정부를 연결시켜 고정하여 상부 제3 슬라이드 및 상부 제4 슬라이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상부 제3 슬라이드는 상부 제3 고정부와 연결되며, 제2 커버 유닛(2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제4 슬라이드는 상부 제4 고정부와 연결되며, 상부 제3 슬라이드와 함께 제2 커버 유닛(2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상부 슬라이드부(250)는 2개의 슬라이드를 구비하여 제2 커버 유닛(200)이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개폐되도록 한다.
제2 하부 슬라이드부(260)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를 따라 제2 커버 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2 하부 슬라이드부(260)는 제2 상부 슬라이드부(250)와 함께 제2 커버 유닛(200)이 작업자가 제2 핸들부(230)를 이용하여 우측으로 열리도록 한다. 제2 하부 슬라이드부(26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제3 고정부, 하부 제4 고정부, 하부 제2 커넥터부, 하부 제3 슬라이드 및 하부 제4 슬라이드를 구비한다. 하부 제3 고정부는 제2 커버 몸체(2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1 커버 유닛(100)과 입접한 곳에 위치하며, 하부 제3 슬라이드를 제2 커버 몸체(210)에 고정시킨다. 하부 제4 고정부는 제2 커버 몸체(210) 수직면의 하부에서 제1 커버 유닛(1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하부 제4 슬라이드를 제2 커버 몸체(210)에 고정시킨다. 하부 제2 커넥터부는 하부 제3 고정부와 하부 제4 고정부를 연결시켜 고정하여 하부 제3 슬라이드 및 하부 제4 슬라이드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다. 하부 제3 슬라이드는 하부 제3 고정부와 연결되며, 제2 커버 유닛(2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제4 슬라이드는 하부 제4 고정부와 연결되며, 하부 제3 슬라이드와 함께 제2 커버 유닛(200)이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하부 슬라이드부(260)는 2개의 슬라이드를 구비하여 제2 커버 유닛(200)이 작업자의 적은 힘으로도 개폐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는 파이프의 형태로, 제1 커버 유닛(100)의 상부 제1 슬라이드(154), 상부 제2 슬라이드(155),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 제3 슬라이드, 상부 제4 슬라이드를 관통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의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상부 제1 슬라이드(154) 내지 상부 제4 슬라이드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한다.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양끝단은 튀김기에 고정된다. 상부 제1 슬라이드(154), 상부 제2 슬라이드(155), 상부 제3 슬라이드 및 상부 제4 슬라이드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제1 슬라이드(154), 상부 제2 슬라이드(155), 상부 제3 슬라이드 및 상부 제4 슬라이드 내부에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는 파이프 또는 속이 찬 봉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는 견고한 강철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는 파이프의 형태로, 제1 커버 유닛(100)의 하부 제1 슬라이드, 하부 제2 슬라이드, 제2 커버 유닛(200)의 하부 제3 슬라이드, 하부 제4 슬라이드를 관통한다. 하부 제1 슬라이드 내지 하부 제4 슬라이드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를 따라 이동한다.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의 양끝단은 튀김기에 고정된다. 하부 제1 슬라이드, 하부 제2 슬라이드, 하부 제3 슬라이드 및 하부 제4 슬라이드가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에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제1 슬라이드, 하부 제2 슬라이드, 하부 제3 슬라이드 및 하부 제4 슬라이드 내부에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는 파이프 또는 속이 찬 봉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는 견고한 강철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의 원통형 직경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원통형 직경보다 큰 것이 하중을 아래에서 받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조명부(50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커버 유닛(10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튀김기는 튀김모듈(1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내부가 어두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명부(500)를 이용하여 제1 커버 유닛(100)쪽의 튀김기를 비춰주면 작업자는 제1 조명부(500)의 조명을 통해 제1 윈도우부(120)를 들여다보며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조명부(60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2 커버 유닛(20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튀김기는 튀김모듈(1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어두울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명부(600)를 이용하여 제2 커버 유닛(100)쪽의 튀김기를 비춰주면 작업자는 제2 조명부(500)의 조명을 통해 제2 윈도우부(220)를 들여다보며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제1 조명부(500)은 제1 커버 유닛(100)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제1 조명부(500)의 조명의 밝기를 더 밝게 조절하는 제1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유닛(100)이 닫힌 상태에서의 제1 조명부(500)의 조도를 1,000 럭스라고 하면, 제1 커버 유닛(100)이 열린 상태에서의 제1 조명부(500)의 조도를 1,500 내지 2,000 럭스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윈도우부(120)를 통하여 튀김기 내의 튀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오랫동안 튀김을 하게 되면 유증기의 일부가 제1 윈도우부(120)의 창문에 쌓여서 내부의 튀김 상태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제1 커버 유닛(100)을 슬라이딩할 때 제1 조명부(500)의 조명이 밝아져서 내부 상태를 확인하게 되며, 제1 커버 유닛(100)이 닫히면 조명의 밝기가 원래대로 복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명부(600)은 제2 커버 유닛(200)이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조명부(600)의 조명의 밝기를 더 밝게 조절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 유닛(200)이 닫힌 상태에서의 제2 조명부(600)의 조도를 1,000 럭스라고 하면, 제2 커버 유닛(200)이 열린 상태에서의 제2 조명부(600)의 조도를 1,500 내지 2,000 럭스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윈도우부(220)를 통하여 튀김기 내의 튀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오랫동안 튀김을 하게 되면 유증기의 일부가 제2 윈도우부(220)의 창문에 쌓여서 내부의 튀김 상태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제2 커버 유닛(200)을 슬라이딩할 때 제2 조명부(600)의 조명이 밝아져서 내부 상태를 확인하게 되며, 제2 커버 유닛(200)이 닫히면 조명의 밝기가 원래대로 복귀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유닛(100) 또는 제2 커버 유닛(200) 중 하나만 열려도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가 작동하여 제1 조명부(500) 및 제2 조명부(600) 모두 튀김기로 더 밝은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주위의 조명 정도를 고려하여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풍구(7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에서 위치하여 유증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환풍부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에 환풍 유닛(800)의 환풍기와 유증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환풍기의 단면적과 비슷한 모양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환풍구(700)가 형성될 수 있다. 환풍 유닛(800)과 환풍구(700)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환풍 유닛(800)이 환풍구(700)와 연결되면, 환풍 유닛(800)이 환풍구(700)를 통해서 배출되는 유증기만 흡입할 수 있지만, 환풍 유닛(800)이 환풍구(700)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 환풍 유닛(800)이 환풍구(700)뿐만 아니라 튀김기에서 나오는 환풍구(700)와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는 유증기까지 흡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풍구(700)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환풍구(7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100)이 결합될 때 윗변(700u), 아랫변(700d), 좌측변(700l), 우측변(700r)으로 연결된 직사각형 형태의 열린 공간을 구비한다. 환풍구(700)의 크기는 환풍 유닛(80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환풍구(700)의 크기가 환풍 유닛(800)의 환풍기의 흡입구 단면적보다 작아야 유증기가 환풍기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환풍기에 흡입될 수 있다. 환풍구(700)의 크기가 크기가 환풍 유닛(800)의 환풍기의 흡입구 단면적보다 크면 환풍구(700)의 통해서 일부 유증기가 환풍기를 통해 흡입되지 않고 환풍구(700)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환풍구(700)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버 유닛(100)은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환풍구(700) 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환풍구(700)를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제1 슬라이드 커버(710)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 커버(710) 제1 커버 유닛(100)에 형성된 환풍구(700)를 슬라이드식으로 덮을 수 있어, 제1 커버 유닛(100)에 형성된 환풍구(7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커버(710)는 제1 슬라이드 커버(710)가 환풍 유닛(800)의 강한 바람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제1 슬라이드 커버(710)를 고정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커버 유닛(200)은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환풍구(700) 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환풍구(700)를 일부 또는 전부를 덮을 수 있는 제2 슬라이드 커버(720)를 구비한다. 제2 슬라이드 커버(720) 제2 커버 유닛(200)에 형성된 환풍구(700)를 슬라이드식으로 덮을 수 있어, 제2 커버 유닛(200)에 형성된 환풍구(7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커버(720)는 제2 슬라이드 커버(720)가 환풍 유닛(800)의 강한 바람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제2 슬라이드 커버(720)를 고정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드 커버(710) 및 제2 슬라이드 커버(720)를 구비하면, 환풍구(100)와 환풍 유닛(800)의 크기가 다른 경우, 환풍구(100)의 크기를 조절하여 환풍 유닛(800)을 설계 변경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환풍구(700)의 크기가 환풍 유닛(80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큰 경우, 환풍구(700)의 유증기가 환풍 유닛(800)으로 모두 흡입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이럴 경우, 환풍구(700)의 크기를 제1 슬라이드 커버(710) 및 제2 슬라이드 커버(720)를 통해 조절하여 환풍 유닛(800)의 하단의 단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풍 유닛(800)은 환풍구(7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환풍구(700)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환풍 유닛(800)은 환풍구(700)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모터를 구동시켜 흡입하여 필터로 기름을 여과하는 환풍기와 환풍기로 흡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주름관을 구비한다. 튀김기에서 발생한 유증기에는 기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필터로 기름을 걸러내고 기름이 제거된 유증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식으로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공압식으로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다. 제1 커버 유닛(100)의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에는 제1 파이프 위치한다. 제1 파이프는 제1 커버 유닛의 상부에 좌측에 형성된 제1 공압 피스톤를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 위치한 컴프레서는 제1 공압 피스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제1 커버 유닛(100)이 공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커버 몸체(110)의 수직면의 우측에는 작동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자는 작동 버튼을 눌러 제1 커버 유닛(100)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유닛(200)의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에는 제2 파이프 위치한다. 제2 파이프는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우측에 형성된 제2 공압 피스톤를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 위치한 컴프레서는 제2 공압 피스톤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여 제2 커버 유닛(200)이 공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커버 몸체(210)의 수직면의 좌측에는 작동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자는 작동 버튼을 눌러 제2 커버 유닛(200)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유압식으로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다. 제1 커버 유닛(100)의 제1 커버 몸체(110)의 상부에는 제1 파이프 위치한다. 제1 파이프는 제1 커버 유닛의 상부에 좌측에 형성된 제1 유압 피스톤를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 위치한 컴프레서는 제1 공압 피스톤에 압축된 오일을 공급하여 제1 커버 유닛(100)이 유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커버 몸체(110)의 수직면의 우측에는 작동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자는 작동 버튼을 눌러 제1 커버 유닛(100)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 유닛(200)의 제2 커버 몸체(210)의 상부에는 제2 파이프 위치한다. 제2 파이프는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우측에 형성된 제2 유압 피스톤를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 위치한 컴프레서는 제2 유압 피스톤에 압축된 오일을 공급하여 제2 커버 유닛(200)이 유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커버 몸체(210)의 수직면의 좌측에는 작동 버튼이 위치하여 작업자는 작동 버튼을 눌러 제2 커버 유닛(200)을 개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을 구비하는 튀김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을 구비하는 튀김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을 구비하는 튀김기는 튀김 준비부(20) 튀김 진행부(30), 튀김 완성부(40), 튀김망 이동부(50) 및 튀김기 커버모듈(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튀김 준비부(20)에서는 튀김망을 거치하고 튀김 재료를 튀김망에 투입하여 튀김이 준비된다. 튀김 진행부(30)에서는 튀김 준비부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튀김 준비부(20)에서 튀김 재료를 준비한 튀김망을 튀김유에 투입하여 튀김이 진행된다. 튀김 완성부(40)에서는 튀김 진행부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튀김 진행부에서 완성된 튀김의 포장이 이루어진다. 튀김망 이동부(50)는 튀김 준비부(20), 튀김 진행부(30) 및 튀김 완성부(40)의 후면에 위치하며, 자동으로 튀김망을 이동시켜 튀김을 진행한다. 튀김기 커버모듈(10)은 튀김 진행부의 상부 및 전면를 덮어 튀김 진행부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및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튀김기 커버모듈(10)은 제1 커버 유닛(100), 제2 커버 유닛(200),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 제1 조명부(500), 제2 조명부(600), 환풍구(700) 및 환풍 유닛(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유닛(100)은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다. 제2 커버 유닛(200)은 제1 커버 유닛(100)의 우측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과 반대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4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조명부(50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커버 유닛(10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제2 조명부(600)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300)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2 커버 유닛(20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환풍구(700)는 제1 커버 유닛(100) 및 제2 커버 유닛(200)의 상부에서 위치하여 유증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환풍 유닛(800)은 환풍구(7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환풍구(700)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커버모듈
20 : 튀김 준비부
30 : 튀김 진행부
40 : 튀김 완성부
50 : 튀김망 이동부
100 : 제1 커버 유닛
110 : 제1 커버 몸체
120 : 제1 윈도우부
130 : 제1 핸들부
140 : 제1 날개부
150 : 제1 상부 슬라이드부
151 : 상부 제1 고정부
152 : 상부 제2 고정부
153 : 상부 제1 커넥터부
154 : 상부 제1 슬라이드
155 : 상부 제2 슬라이드
160 : 제1 하부 슬라이드부
200 : 제2 커버 유닛
210 : 제2 커버 몸체
220 : 제2 윈도우부
230 : 제2 핸들부
240 : 제2 날개부
250 : 제2 상부 슬라이드부
260 : 제2 하부 슬라이드부
300 :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400 :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
500 : 제1 조명부
600 : 제2 조명부
700 : 환풍구
700u : 윗변
700d : 아랫변
700l : 좌측변
700r : 우측변
710 : 제1 슬라이드 커버
720 : 제2 슬라이드 커버
800 : 환풍 유닛

Claims (6)

  1. 삭제
  2. 튀김기의 튀김유와 유증기를 차단하며,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있는 제1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제2 커버 유닛;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1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1 조명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며, 제2 커버 유닛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제2 조명부;
    상기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증기를 배출되는 통로인 환풍구; 및
    상기 환풍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환풍구로부터 유입된 유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 유닛을 포함하는 튀김기 커버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유닛은,
    제1 커버 몸체,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제1 윈도우부,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수직면의 우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제1 커버 유닛을 개폐할 있도록 하는 제1 핸들부,
    상기 제1 커버 몸체의 상부 좌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 제1 날개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1 상부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1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1 하부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튀김기 커버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유닛은,
    제2 커버 몸체,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중앙의 경사면에 위치하며, 창문이 설치되어 내부의 튀김기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제2 윈도우부,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수직면의 좌측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제2 커버 유닛을 개폐할 있도록 하는 제2 핸들부,
    상기 제2 커버 몸체의 상부 우측면에 형성되어 유증기가 측면으로 방출되지 못하게 막는 제2 날개부,
    상기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 상부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상기 제2 커버 유닛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 하부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튀김기 커버모듈.
  5. 청구항 2 내지 4의 어느 한 항의 튀김기 커버모듈을 구비하는 튀김기이며,
    튀김 재료가 튀김망에 준비되는 튀김 준비부;
    상기 튀김 준비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튀김망을 튀김유에 투입하여 튀김이 진행되는 튀김 진행부;
    상기 튀김 진행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튀김 진행부에서 완성된 튀김을 포장할 수 있는 튀김 완성부;
    상기 튀김 준비부, 튀김 진행부 및 튀김 완성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튀김망을 이동시키는 튀김망 이동부; 및
    상기 튀김 진행부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및 고온의 튀김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튀김기 커버모듈을 구비하는 튀김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튀김기 커버모듈은 서로 분리되게 개폐 가능한 제1 커버 유닛 및 제2 커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버 유닛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튀김 진행부 및 튀김 완성부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2 커버 유닛은 상부 슬라이드 레일부 및 하부 슬라이드 레일부를 따라 튀김 준비부 및 튀김 진행부 사이를 이동하는 튀김기.
KR1020230013858A 2023-02-01 2023-02-01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KR10257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858A KR102570288B1 (ko) 2023-02-01 2023-02-01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858A KR102570288B1 (ko) 2023-02-01 2023-02-01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288B1 true KR102570288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858A KR102570288B1 (ko) 2023-02-01 2023-02-01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85B1 (ko) * 2014-08-21 2015-02-06 방은미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KR200492826Y1 (ko) *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102211221B1 (ko) 2018-12-18 2021-02-02 정동영 튀김장치
KR102314857B1 (ko) 2020-07-27 2021-10-19 엄정용 유증기 분리형 친환경 오일회수장치
KR102319627B1 (ko) 2019-10-28 2021-11-01 조선훈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연기 및 유해 물질 차단 시스템
KR102468512B1 (ko) 2020-12-31 2022-11-17 노홍구 전기 튀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85B1 (ko) * 2014-08-21 2015-02-06 방은미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KR102211221B1 (ko) 2018-12-18 2021-02-02 정동영 튀김장치
KR102319627B1 (ko) 2019-10-28 2021-11-01 조선훈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연기 및 유해 물질 차단 시스템
KR200492826Y1 (ko) *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102314857B1 (ko) 2020-07-27 2021-10-19 엄정용 유증기 분리형 친환경 오일회수장치
KR102468512B1 (ko) 2020-12-31 2022-11-17 노홍구 전기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5610A1 (en) Grilling appliance having air jacket for smoke removal and ventilation
JP6062358B2 (ja) 封入型喫煙装置
US20150083107A1 (en) Grilling apparatus
CN105698234A (zh) 供气排气兼用感应换气系统
KR102570288B1 (ko) 튀김기 커버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튀김기
DE1924345A1 (de) Dunstabzugshaube
DE202010011346U1 (de) Kaminofen
PT1712845E (pt) Forno a vapor com conduta de vácuo variável para extracção de vapor
KR100828428B1 (ko) 숯불용 로스터
EP3176511B1 (de) Gargerät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garprogramms
KR102323717B1 (ko) 밀폐형 무연 자동 튀김장치
US9364023B1 (en) Tobacco smoking holder
DE102005034303B4 (de) Garofen
EP3104086B1 (en) Flavoring device for use in a cooking chamber
EP3104085A1 (en) Flavoring device for use in a cooking chamber
KR20170022606A (ko) 자동튀김기
DE1944863A1 (de) Backofen,insbesondere Einbaubackofen
CN104173183B (zh) 一种新颖艾灸点燃工作台
DE202011110072U1 (de) Gargerät zum Garen von Speisen, insbesondere für eine mobile Feldküche
CN106661913B (zh) 消防墙壳体系统
CH631802A5 (en) Baking, roasting and grilling oven
DE3345746C2 (ko)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EP3299727A1 (de)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muldenlüfter und muldenlüftereinlasseinheit mit einer abdeckvorrichtung
JP2016073349A (ja) 真空が誘導された調理用鍋の真空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