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508B1 -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 Google Patents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508B1
KR102568508B1 KR1020230045501A KR20230045501A KR102568508B1 KR 102568508 B1 KR102568508 B1 KR 102568508B1 KR 1020230045501 A KR1020230045501 A KR 1020230045501A KR 20230045501 A KR20230045501 A KR 20230045501A KR 102568508 B1 KR102568508 B1 KR 102568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weight
base
part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하
박용규
김성수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
Priority to KR102023004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기판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덮는 투광성의 덮개;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마련되는 방열체; 및 상기 방열체에 부착 또는 도포되고, 수지바인더,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방열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LED lamp with special heat dissipation function with added nano material}
본 발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균열을 제어하여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LED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외에서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명등으로 형광등은 형광물질이 도포된 진공의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시켜 조명용도로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그러나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하면 소비전력은 작지만 수명이 짧아 교체주기가 다소 짧은 문제도 있다. 더욱이 형광등의 초기 방전을 위하여 고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안정기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형광등의 소비전력 및 수명과 대비하여 오랜 수명과 저전력에서의 발광, 그리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제조에 따른 친환경성을 강조한 엘이디(발광다이오드)가 주요 조명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엘이디 조명등은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은 있지만 적용범위의 확대에 따른 양산의 경우에는 낮은 가격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고, 특히 통상 10만 시간의 수명을 자랑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은 다소 높지만 전력절감과 더불어 사용시간에 따른 사용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종래에 다양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464호에서는 베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엘이디가 PCB에 실장되어 구성된 광원모듈이 설치되고, 빛이 출사되는 베이스의 개방부분에 투과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의 내부벽면과 PCB의 표면에는 재반사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등기구를 제시하고 있는 바, 재반사 코팅층이 구성되도록 하여 재반사 효율을 향상시켜 투과커버에 음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 반사효율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엘이디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베이스와 투과커버에 축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열은 상기 기술에서 제시된 바는 없으나 방열패드를 통해 발생된 열을 외부로 충분히 배출할 수 없어 LED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기기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열코팅층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열코팅층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미세균열이 발생되는 바, 이러한 미세균열은 방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4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미세균열을 제어하여 방열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이하, "본 발명의 조명등"이라 함)은 복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기판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덮는 투광성의 덮개;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마련되는 방열체; 및 상기 방열체에 부착 또는 도포되고, 수지바인더,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방열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부틸렌글라이콜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마그네슘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마그네슘염은 스테아린산에 의해 개질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산화붕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등은 방열조성물이 방열체에 부착 또는 도포되어 그 재질자체로 방열기능이 발현되는 것은 물론 각종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균열을 제어하여 방열성능을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체와 방열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등(1)은, 복수의 엘이디(11)가 실장된 기판(10)이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를 덮는 투광성의 덮개(200)와, 상기 베이스(100)의 배면에 마련되는 방열체(300) 및 상기 방열체(300)에 부착 또는 도포되고, 나노다이아몬드 분말을 포함하는 방열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기판(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기판(10)에 실장된 복수의 엘이디(11)의 빛이 개구된 상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100)는 기판(10)이 장착되는 고정면(101)과 상기 고정면(101)의 양단에서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경사면(102)으로 구성되는 역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102)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반사코팅층이 도포되어 베이스(100)의 내부에서 광원의 반사 성능이 향상되게 함으로써, 엘이디(11) 수를 줄이면서도 상기 덮개(200) 전체 영역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음영 발생이 최소화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10)은 공지의 구성으로 상기 엘이디(11) 소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도록 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엘이디(11) 소자로 전달하여 엘이디 광원이 조사되게 한다.
상기 방열체(300)는 상기 베이스(200)의 배면에 마련되어 엘이디(11)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베이스(200)의 배면으로 발산시킨다.
이러한 방열체(30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 내지 재질 등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열체(3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0)의 재질 자체가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300-1)으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직접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방열체(3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0)의 배면에 밀착 장착되어 베이스(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히트싱크(heat sink)(300-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일반적인 인도어 형태의 조명등을 실시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되는 아웃도어 형태의 투광등에도 상술한 실시 예의 방열체(300)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방열층(400)은 상기 방열체(300)의 표면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것으로, 방열체(300)를 통한 방열 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방열층(400)을 형성하는 방열조성물의 재질에 의해 전자파가 흡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층(400)을 구성하는 방열조성물은, 수지 바인더,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5 내지 50중량부, 산화알루미늄 1 내지 10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배합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방열층(400)의 형성성분은 주제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수지가 경화형 수지일 경우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기타 경화촉진제, 경화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수지로서 수지바인더는 상기 방열층(40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성분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열체(300) 기재와의 접착성, 발열 기재의 열에 의해 취화 되지 않는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기타 조성들과의 상용성 개선에 따른 방열성능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주제수지는 실리콘, 수성 아크릴 에멀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아크릴 에멀젼은 내구성, 코스트면, 수지설계 자유도의 높이 등이 뛰어난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수성 아크릴 에멀젼은 상기 배합범위로 배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수성 아크릴 에멀젼의 양이 상기 배합범위 미만이면 부착성, 내수성이 불량해지며,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면 전체 페이스트의 열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바, 적정의 배합범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 분말은 우수한 열전도 특성과 함께 미세 공극(micro pore)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적 증대를 통한 방열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노 다이아몬드의 배합량을 한정하는 이유는 배합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충분한 방열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배합량을 초과하는 경우 타 조성간 결합력이 약화로 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열층(400)은 도포 후 경화과정 등에서 온도차 등에 의해 미세균열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균열은 열전도율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방열 기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미세균열을 통해 부식원이 유입되므로 방청기능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방열조성물에서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더 첨가되도록 하여 페이스트의 가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화과정 등에서 페이스트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완화시켜 페이스트의 미세균열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란 원료인 목재 펄프에서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와 리그닌(lignin)을 제거한 후 전단력을 가하여 나노화된 것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며 특히 열 안정성, 기계적 강도, 탄성계수가 높아 가교작용에 의한 미세균열의 제어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물에 펄프를 분산시킨 후, 그라인더(grinder) 또는 고압 균질기인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처리를 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호모게나이져 등의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섬유에 전단력, 마찰력, 또는 충격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어 펄프의 나노화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전체 수용액 100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부인 수용액이 제조된다. 펄프의 나노화는 해섬화를 의미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들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90nm일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길이는 100nm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은 내열 안정성 및 코팅 시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외에도 부틸렌글라이콜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데, 수지바인더로 수성 아크릴 에멀젼 등이 사용되는 경우 조기경화를 위해 경화제가 첨가될 수 있는데, 조기 경화의 경우 수분의 증발에 의해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조성물에 부틸렌글라이콜이 더 첨가되도록 하여 보수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미세균열의 제어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수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방열조성물에 의한 방열층(400)은 상기 방열체(300)의 표면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것인데 상기 방열체(300)가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열층(400)은 상기 방열체(300)와 열팽창율을 달리(방열층(400)의 열팽창율이 방열체(300)보다 큼)함에 따라 방열층(400)이 박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박리에 의해 방열층(400)과 방열체(300) 사이에서는 공극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공극은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특히 공극에 의해 열흡수가 되어 방열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열조성물에 산화붕소(B2O3)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예가 제시되는데, 상기 방열조성물에 산화붕소가 첨가되어 상기 방열층(400)의 열팽창을 제어토록 함으로써 온도가 급변할 때 상기 방열층(400)이 박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화붕소는 수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열조성물에는 방수성, 내염성, 부착성 등의 향상을 위해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이 더 첨가되는 예를 제시하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은 수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에서 기 언급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에 의해 물리적으로 미세균열을 제어하고, 부틸렌글라이콜에 의해 건조수축에 의한 미세균열을 제어하더라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방열조성물을 도포한 후 또는 사후적으로 미세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균열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구성 저하요인은 물론 방열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방열조성물에는 마그네슘염이 더 포함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마그네슘염은 미세균열 발생에 의해 수분과 접촉시 팽창성 수화물로서 브루사이트(Brucite)가 생성되어 균열이 메워지는 효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후적으로 미세균열을 치유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브루사이트는 수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열전도성이 높아 방열효율의 저하없이 미세균열의 치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슘염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로 규산마그네슘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그네슘염은 수지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2중량부가 배합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런데 상기 마그네슘염은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화반응을 유발하는 것인 바, 보관과정, 배합과정 등에서 조기 수화반응을 일으켜 상기와 같이 미세균열을 사후적으로 메워주는 기능이 불활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그네슘염은 첨가제에 의해 표면이 소수화 개질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표면의 소수화에 의해 보관과정 및 배합과정에서 수분과의 반응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며, 사후적으로만 수분과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수화에 의한 표면개질의 정도를 조절하여 배합과정에서 교반 등을 통해 소수화에 의한 개질층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사후적으로 미세균열에 의한 수분접촉시 수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가제에 의해 표면이 소수화 개질된 마그네슘염은 소수화 처리된(hydrophobised) 마그네슘염으로, 마그네슘염 입자 표면의 소수성이 더 크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제에 의해 개질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첨가제는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노난산, 데칸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트리데칸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헵타데칸산, 스테아린산, 노나데칸산, 아라키드산 등 공지의 소수화제가 적용될 수 있다.
표면이 소수화 개질된 마그네슘염은 마그네슘염의 비표면적의 5% 내지 10%가 5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및 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코팅으로 피복된 소수화 처리된 마그네슘염으로, 바람직하게 마그네슘염의 비표면적의 5% 내지 10%는 스테아린산 및 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코팅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비표면적의 5% 내지 10%로 한정하는 이유는 5%미만인 경우 보관 및 배합중 수분과 선반응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0%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균열 발생에 의해서도 수분과 반응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즉 소수화에 의한 표면개질의 정도를 조절하여 배합과정에서 교반 등을 통해 소수화에 의한 개질층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사후적으로 미세균열에 의한 수분접촉시 수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슘염과 상기 첨가제의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슘염과 상기 첨가제의 혼합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혼합"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통상의 혼합 공정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염 100중량부에 대해 첨가제 3 내지 15중량부가 혼합되도록 하여 혼합과정을 통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그네슘염 비표면적의 5% 내지 10%가 첨가제로 코팅되어 표면의 소수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가제는 스테아린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스테아린산은 상변이물질로서 일정한 상전이온도(phase transition temp)에서 상변화에 필요한 열량을 외부에서 흡수하는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방열조성물의 도포후 경화과정에서 경화열을 흡수함에 따라 상기 방열층(400)의 온도균열에 의한 미세균열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즉 첨가제로 스테아린산이 적용됨에 의해 마그네슘염의 표면 소수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더하여 경화열의 흡수에 의해 미세균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스테아린산에 의해 표면이 소수화 된 마그네슘염의 첨가로 미세균열의 발생을 제어하며 발생된 미세균열의 치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를 설명한다.
<비교예>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페라이트 분말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페라이트 분말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5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0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페라이트 분말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5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01중량부, 규산마그네슘 0.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페라이트 분말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5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01중량부, 스테아린산으로 표면이 소수화된 규산마그네슘 0.1중량부(규산마그네슘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아린산 8중량부를 혼합하여 개질시킴)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수성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30중량부, 산화알루미늄페라이트 분말 5중량부,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 0.01중량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0.5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01중량부, 스테아린산으로 표면이 소수화된 규산마그네슘 0.1중량부(규산마그네슘 100중량부에 대해 스테아린산 8중량부를 혼합하여 개질시킴), 산화붕소 0.0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료에 대해 열전도도 실험을 하였는 바, 열전도도는 ASTM D 5470 방법에 따라 W/m·K 단위로 측정하였다.
코팅층 두께(mm) 열전도도(W/m·k)
비교예 0.3 1.5
실시예1 0.3 2.7
실시예2 0.3 3.1
실시예3 0.3 3.0
실시예4 0.3 3.4
실시예5 0.3 3.6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를 대비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더 첨가된 시료가 열전도도가 훨씬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가교작용에 의해 미세균열을 제어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가 열전도도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부틸렌글라이콜의 첨가에 의해 건조에 의해 수축을 제어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열전도도에서 거의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실시예 4의 경우가 열전도도에서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스테아린산에 의한 코팅층에 의해 경화열을 흡수하여 미세균열의 제어가 이루어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5가 가장 유리한 효과가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산화붕소(B2O3)가 더 포함되어 열적안정성의 향상에 의해 미세균열의 제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표 2는 실시예 2 내지 4의 시료 도포 후 0℃에서 50℃ 사이에서 온도를 계속적으로 가변시키면서 30일이 경과되도록 하고, 표면을 수분과 3일 동안 접촉시킨 후에 각 시료에 대해 열전도도 실험을 하였는 바, 열전도도는 ASTM D 5470 방법에 따라 W/m·K 단위로 측정하였다.
코팅층 두께(mm) 열전도도(W/m·k)
실시예2 0.3 2.2
실시예3 0.3 2.5
실시예4 0.3 3.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는 실험에 의해 미세균열이 유도됨에 따라 열전도도가 표 1과 대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2와 대비 열전도도의 저하폭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규산알루미늄이 수분과 반응으로 브루사이트의 생성에 의해 미세균열을 어느 정도 충진시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고, 실시예4가 열전도도의 저하폭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규산알루미늄의 표면 소수화에 의해 선수화반응을 제어하여 사후적으로 미세균열의 발생시 미세균열에서 브루사이트의 생성효율을 높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조명등 10 : 기판
11 : 엘이디 100 : 베이스
101 : 고정면 102 : 경사면
200 : 덮개 300 : 방열체
400 : 방열층

Claims (6)

  1. 복수의 엘이디가 실장된 기판이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덮는 투광성의 덮개;
    상기 베이스의 배면에 마련되는 방열체; 및
    상기 방열체에 부착 또는 도포되고, 수지바인더,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방열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아세틸레이티드라놀린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부틸렌글라이콜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마그네슘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염은 스테아린산에 의해 개질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조성물에는,
    산화붕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KR1020230045501A 2023-04-06 2023-04-06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KR102568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501A KR102568508B1 (ko) 2023-04-06 2023-04-06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501A KR102568508B1 (ko) 2023-04-06 2023-04-06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508B1 true KR102568508B1 (ko) 2023-08-23

Family

ID=8784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501A KR102568508B1 (ko) 2023-04-06 2023-04-06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5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447A (ja) * 2008-12-22 2010-07-01 Trion:Kk Led搭載用全周発光型基板、led搭載全周発光型基板及び発光モジュール
KR101217464B1 (ko) 2012-07-04 2013-01-02 (주)코리아반도체조명 엘이디 등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5286A (ja) * 2012-08-10 2014-03-27 Toray Ind Inc 照明用放熱部材
KR102237256B1 (ko) * 2017-07-19 2021-04-07 주식회사 아모센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2374330B1 (ko) * 2021-08-25 2022-03-16 주식회사 젬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기능과 전자파 흡수기능이 접목된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447A (ja) * 2008-12-22 2010-07-01 Trion:Kk Led搭載用全周発光型基板、led搭載全周発光型基板及び発光モジュール
KR101217464B1 (ko) 2012-07-04 2013-01-02 (주)코리아반도체조명 엘이디 등기구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5286A (ja) * 2012-08-10 2014-03-27 Toray Ind Inc 照明用放熱部材
KR102237256B1 (ko) * 2017-07-19 2021-04-07 주식회사 아모센스 엘이디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2374330B1 (ko) * 2021-08-25 2022-03-16 주식회사 젬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기능과 전자파 흡수기능이 접목된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0138A2 (en) Lighting device
EP2450625B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photoluminescent plate
JP2010199145A (ja) 光源装置
US9657922B2 (en) Electrically insulative coatings for LED lamp and elements
TW201118310A (en) Lighting device
KR101689693B1 (ko) 방열기능이 향상된 조명등
JP2003277479A (ja) Ledベアチップ搭載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TW201432198A (zh) 用於發光二極體燈之保護擴散性塗層
KR102374330B1 (ko)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기능과 전자파 흡수기능이 접목된 led 조명등
JP4873024B2 (ja) 光源装置
KR102568508B1 (ko) 나노소재가 첨가된 특수방열도료를 이용한 led조명등
JP7065382B2 (ja) 光反射体用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光反射体、ベース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
US9570661B2 (en) Protective coating for LED lamp
JP2012191047A (ja) 照明器具用の熱伝導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725851A (zh) 新型无汞led节能荧光灯及其制造工艺
KR102314224B1 (ko) Led 조명등
JP2010272687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43995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777890B2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ing module
CN203415623U (zh) 发光装置及照明装置
KR102663993B1 (ko) 고반사 및 고방열을 갖는 led 등기구
KR20100099941A (ko) 방열 효율이 뛰어난 백열등형 엘이디 램프
JP2010097763A (ja) Led照明装置
KR102255507B1 (ko)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1153106A1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