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54B1 -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54B1
KR101439954B1 KR20140049285A KR20140049285A KR101439954B1 KR 101439954 B1 KR101439954 B1 KR 101439954B1 KR 20140049285 A KR20140049285 A KR 20140049285A KR 20140049285 A KR20140049285 A KR 20140049285A KR 101439954 B1 KR101439954 B1 KR 10143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se
parts
heat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배
Original Assignee
(주)일광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광조명 filed Critical (주)일광조명
Priority to KR2014004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0Arrangement of heat-generating components to reduce thermal damage, e.g. by distancing heat-generating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to be protected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된 기판이 내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확산판으로 구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장치{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방열구조에 의해 기기고장, 조명효율저하를 제어할 수 있고, 음영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외에서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명등으로 형광등은 형광물질이 도포된 진공의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시켜 조명용도로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그러나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하면 소비전력은 작지만 수명이 짧아 교체주기가 다소 짧은 문제도 있다. 더욱이 형광등의 초기 방전을 위하여 고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안정기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형광등의 소비전력 및 수명과 대비하여 오랜 수명과 저전력에서의 발광, 그리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제조에 따른 친환경성을 강조한 엘이디(발광다이오드)가 주요 조명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엘이디 조명등은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은 있지만 적용범위의 확대에 따른 양산의 경우에는 낮은 가격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고, 특히 통상 10만 시간의 수명을 자랑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은 다소 높지만 전력절감과 더불어 사용시간에 따른 사용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종래에 다양한 엘이디 조명등에 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464호에서는 베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엘이디가 PCB에 실장되어 구성된 광원모듈이 설치되고, 빛이 출사되는 베이스의 개방부분에 투과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의 내부벽면과 PCB의 표면에는 재반사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등기구를 제시하고 있는 바, 재반사 코팅층이 구성되도록 하여 재반사 효율을 향상시켜 투과커버에 음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 반사효율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엘이디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베이스와 투과커버에 축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열은 전원장치 등이 포함된 컨트롤러를 과열시켜 기기고장, 조명효율 저하, 엘이디소자 수명단축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투과커버에서 특히 모서리 부분에 음영을 충분히 제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기술에서 제시된 바는 없으나 투과커버를 장착하는 외각프레임이 유닛프레임 간 부착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접합부분에서 열에 의한 변형발생으로 조명누설에 의해 조명효율의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4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견고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공기가 단축되며 접합부분의 하자가 제어될 수 있고, 방열구조에 의해 컨트롤러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확산판의 모서리부분에서 음영을 제어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된 기판이 내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확산판으로 구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이격판은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양측에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부착단이 절곡되며, 상기 몸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개단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단이 절곡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선이 절곡되어 직립된 절개단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이격판에 있어 베이스에 대향하는 면에는 차열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차열코팅층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소성가공한 질석 50 내지 150중량부, 상기 질석보다 입경이 작은 소수성 실리카 50 내지 150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스테아릴 인산칼슘 0.5 내지 1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 레블링첨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외각프레임은 복수의 유닛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유닛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은 양측으로 돌출된 가압단에 의해 개구되며, 인접하는 유닛프레임 각각의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닛프레임 간을 연결하되 가압단의 가압에 의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조립바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립바에는 모서리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의 반사단이 돌출되어 인접하는 유닛프레임에 있어 각각의 가압단 사이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베이스 후면에 이격판 등 방열구조에 의해 컨트롤러 등이 열에 의한 기기고장, 효율저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덮개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제조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확산판의 모서리에 발생하기 쉬운 음영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 엘이디 조명장치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격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격판이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외곽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외곽프레임에 있어 일 유닛프레임에 조립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조립바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엘이디 조명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엘이디(112)가 장착된 기판(111)이 내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의 외면에서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격판(13); 상기 이격판(13)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112)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 외각프레임(121)과 상기 외곽프레임(121)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확산판(122)으로 구성된 덮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1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단에서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측면부로 구성되는 바, 상기 베이스(11)는 정단면이 상면이 개구된 역사다리꼴의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면에는 복수의 엘이디(112)가 장착된 기판(111)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에 있어 바닥면에 복수의 엘이디(112)가 장착된 기판(111)이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측면부에는 반사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하여(베이스(11) 내면 전체에 코팅하여도 무방) 엘이디(112)수를 줄이면서도 상기 덮개(12)에 있어 확산판(122) 전체 영역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음영없이 면 발광이 감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단, 이렇게 하더라도 확산판(122)의 모서리부분에는 음영이 발생될 수 있는 소지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덮개(12)는 상기 베이스(11)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구성으로 외각프레임(121)과 상기 외곽프레임(121)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확산판(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확산판은 엘이디(112)에 의해 투영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것으로, 이는 바람직하게 엠보스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엠보스형상이란 램덤한 요철형상을 확산판(122) 표면에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베이스(11) 및 상기 외곽프레임(121)은 알루미늄 기재로 구성되어 히트싱크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방열기능이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1) 외면 즉 기판(111)이 장착된 바닥면의 반대면에 이격판(13)이 형성되도록 하는 바, 상기 이격판(13)은 판형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 양측에 상기 베이스(11)에 부착되는 부착단(132)이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131)와 상기 베이스(11) 외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11)의 외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격판(13)을 구성하는 이유는 베이스(11)로부터 방열에 의해 배출되는 열이 상기 컨트롤러(1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컨트롤러(14)의 가열에 의한 기기고장, 효율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기판(111)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은 베이스(11)를 관통하여 컨트롤러(14)와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컨크롤러(14)에 의해 엘이디(112)가 제어되도록 할 것인데 상기 이격판(13)에 의해 베이스(11)와 컨트롤러(14)를 이격시킨다고 하더라도 전선이 연결과정에서 가열된 베이스(11)에 접촉되는 경우 전선의 산화, 화재 등 다양한 문제에 노출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전선이 정리가 되도록 하면서 베이스(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31)에는 절개단(133)이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31)에는 관통공(134)이 형성된 절개단(133)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단(133)은 몸체(131)에 형성된 절개공(135)에 의해 형성되며 몸체(131)와 절개단(133)은 접힘부(136)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이격판(13)의 단순 조립과정에서는 상기 절개단(133)이 상기 몸체(131)에 연한 상태로 조립과정을 용이하게 하면서 기판(111)과 컨트롤러(14) 연결시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단(133)을 상기 접힘부(136)를 기준으로 직립시켜 기판(111)과 연결된 복수의 전선(a)이 상기 관통공(134)을 통과 하여 상기 컨트롤러(14)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전선이 정리가 되도록 하면서 베이스(11)와 접촉을 방지하여 전선(a)에서 과열로 발생하는 문제를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격판(13)에 있어 베이스(11)에 대향하는 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열코팅층(137)이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이격판(13)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컨트롤러(14)에 열전달이 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차열코팅층(137)이 더 구성됨으로써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열까지도 차단토록 하여 방열효율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열코팅층(137)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소성가공한 질석 50 내지 150중량부, 상기 질석보다 입경이 작은 소수성 실리카 50 내지 150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스테아릴 인산칼슘 0.5 내지 1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 레블링첨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수지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어 기계적 강도의 증진을 도모하는 바인더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에폭시 수지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화제로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차열코팅층(137)의 일조성으로 소성가공한 질석은 일반 질석을 700 ∼ 1000 ℃에서 가열하여 소성시킨 것으로 소성가공에 의해 부피가 10배이상 팽창시킨 광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소성가공한 질석은 무수한 기공(Air Cell)을 가지고 있어 열전도율이 아주 낮으며, 경량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진다. 즉 상기 차열코팅층(137)에는 골재로서 소성가공한 질석이 첨가되어 차열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전체 코팅층이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성가공한 질석을 상기 배합비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배합비를 초과하여 배합하는 경우 코팅층 전체 강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차열코팅층(137)에는 상기 질석보다 입경이 작은 소수성 실리카가 더 배합되는데, 이렇게 질석보다 입경이 작은 실리카가 질석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에 충진제로서 첨가됨으로써 코팅층은 밀실한 구조에 의해 내구성, 방수성 및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실리카 자체가 무수한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가공한 질석에 입경이 작은 실리카가 충진되어 전체 코팅층이 차열층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실리카를 첨가하되 소수성 실리카를 첨가하도록 함에 따라 매트릭스 내에서 친화성을 높여 더욱 견고한 충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 방수성 및 강도가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소수성 실리카는 친수성 실리카의 표면을 유기 실릴기로 소수화 처리하여 얻어지는 미분말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소수화 처리는 예로 오르가노클로로실란, 오르가노디실라잔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로 친수성 실리카를 처리함으로써 실리카를 소수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차열코팅층(137)에는 수지 등에 의한 메트릭스에도 미세기포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코팅층(137) 전체가 차열층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열코팅층(137)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한다.
상기 소듐라우릴 설페이트는 메트릭스에서 미세기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3중량부 미만이면 미세기포 발생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기포의 과다발생으로 오히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차열코팅층(137)은 골재 및 충진제에 무수한 기공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지 등에 의한 메트릭스에도 미세기포가 형성되도록 하여 코팅층 전체가 차열기능이 발현되도록 하여 결국 컨트롤러(14)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듐라우릴 설페이트가 상기 배합범위에서 첨가가 되더라도 경우에 따라 미세기포간 결합으로 비교적 입경이 큰 기포가 메트릭스에 내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경이 큰 기포는 코팅층의 강도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안정되지 않은 구조에 의해 기포가 터지기 쉬우며 이로 인해 가스가 배출되어 내부 산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듐라우릴 설페이트에 더하여 스테아릴 인산칼슘 0.5 내지 1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바, 스테아릴 인산칼슘은 메트릭스에서 입경이 큰 기포를 제거토록 하기 위한 조성으로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입경이 큰 기포는 물론 미세기포도 제거하여 차열성을 약화시키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소듐라우릴 설페이트를 첨가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불안정한 입경이 큰 기포는 미량의 스테아릴 인산칼슘을 첨가하여 제거하는데, 잔존하는 미세기포의 경우도 시간경과에 따라 메트릭스 내에서 터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트릭스 내에서 기포가 터지는 경우 가스방출에 의해 내부에서 산화 등이 발생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를 더 배합하여 메트릭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를 방지토록 하여 미세기포가 터지는 경우에도 내구성 저하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분체도료의 경우 입자가 불균일하므로 평활도를 유지하기가 어려운데 이러한 불균일한 면은 균일한 차열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바, 이에 본 발명의 차열코팅층(137)에는 레블링 첨가제가 더 첨가되도록 하는데 예로 아크릴계 레블링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확산판이 장착되는 외각프레임은 일체형으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아 횡,종으로 유닛프레임을 프라이머에 의해 접착방식으로 조립을 하거나 각각을 볼트결합에 의해 조립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 바, 이러한 방식은 많은 공기를 소요할 뿐 아니라 접합부가 계속적으로 열에 노출됨에 따라 프라이머가 변형됨에 의해 벌어지는 부분이 발생되고 이러한 부분으로 빛이 누설되어 결국 조명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면서 견고한 외각프레임의 조립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곽프레임은 복수의 유닛프레임(1211, 1212)으로 구성되며 유닛프레임은 도면상 횡유닛프레임(1211)과 종유닛프레임(1212)으로 총 4개의 유닛프레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총 4개의 유닛프레임은 접합부에서 각각 조립바(1213)에 의해 조립되는데, 그 조립구조는 유닛프레임(1211, 1212)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의 요홈(1214)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요홈(1214)은 양측으로 돌출된 가압단(1215)에 의해 개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립바(1213)는 "ㄱ"자 형상으로 인접하는 유닛프레임(1211, 1212) 각각의 요홈(1214)에 삽입되어 상기 유닛프레임(1211, 1212) 간을 연결하되 가압단(1215)의 가압에 의해 돌출되는 돌출부(1215-1)를 수용하는 수용홈(1213-1)이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여 유닛프레임(1211, 1212) 간에 조립바(1213)를 게재한 상태에서 각각의 가압단(1215)에서 수용홈(1213-1)에 대향하는 위치를 가압하여 가압단(1215)에 수용홈(1213-1)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15-1)가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유닛프레임(1211, 1212)을 조립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립바(1213)는 유닛프레임(1211, 1212)을 알루미늄 기재로 하는 경우 이 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진 철 등의 기재로 함으로써 접합부에서 강성이 더욱 보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립바(1213)의 다른 실시 예를 도 6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의 조립바(1213)는 모서리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의 반사단(1213-2)이 돌출되어 인접하는 유닛프레임(1211, 1212)에 있어 각각의 가압단(1215) 사이로 상기 반사단(1213-2)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조립바(1213)에는 가압단(1215) 사이에 돌출되도록 곡면을 형성하는 반사단(1213-2)이 조립바(1213)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ㄱ"자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단(1213-2)은 조립바(1213)가 스텐레스 등 재질자체로 반사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반사단(1213-2)이 재질자체로 반사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반사단(1213-2)에만 반사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하여 반사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반사단(1213-2)을 구성하는 이유는 확산판(122)에 있어 음영이 발생되기 가장 쉬운 부분으로 인접하는 유닛프레임(1211, 1212)의 접합부로 확산판(122)의 모서리부분(A)에 음영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사단(1213-2)이 곡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엘이디(11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A부분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모서리부분(A)에서 음영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이 상기 반사단(1213-2)은 "ㄱ"자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2방향에서 반사를 하여 모서리부분(A)에서 음영제거효율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외곽프레임(121)의 내부로 부피가 큰 4개의 포인트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반사단(1213-2)이 방열포인트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덮개(12)와 베이스(11) 내부를 대류하는 뜨거운 공기가 내부에서 돌출되는 반사단(1213-2)을 통해 각각의 유닛프레임(1211, 1212)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대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조속히 방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반사단(1213-2)을 통해 음영을 제거함과 더불어 내부 대류공기를 조속히 외부로 방열토록 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상기 컨트롤러(14)는 상기 엘이디(112)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제어한다는 것은 전원장치에 의해 엘이디를 ON,OFF하는 것은 물론 엘이디(112)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렇게 컨트롤러(14)에 의해 상기 엘이디(112)를 제어토록 하는 것인데 이러한 컨트롤러(14)가 계속적으로 열에 노출되는 경우 제어효율이 저하되는 것인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에서 언급한 다양한 방열구조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엘이디 조명장치 11 : 베이스
12 : 덮개 13 : 이격판
14 :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의 엘이디가 장착된 기판이 내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내부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이격판;
    상기 이격판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에 장착되는 투광성의 확산판으로 구성된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이격판은,
    판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 양측에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부착단이 절곡되며, 상기 몸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개단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단이 절곡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선이 절곡되어 직립된 절개단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판에 있어 베이스에 대향하는 면에는 차열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차열코팅층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소성가공한 질석 50 내지 150중량부, 상기 질석보다 입경이 작은 소수성 실리카 50 내지 150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스테아릴 인산칼슘 0.5 내지 1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 레블링첨가제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은,
    복수의 유닛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유닛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요홈은 양측으로 돌출된 가압단에 의해 개구되고, 인접하는 유닛프레임의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닛프레임 간을 연결하되 가압단의 가압에 의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조립바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바에는 모서리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의 반사단이 돌출되어 인접하는 유닛프레임에 있어 각각의 가압단 사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5. 삭제
KR20140049285A 2014-04-24 2014-04-24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3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9285A KR101439954B1 (ko) 2014-04-24 2014-04-24 엘이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9285A KR101439954B1 (ko) 2014-04-24 2014-04-24 엘이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954B1 true KR101439954B1 (ko) 2014-11-04

Family

ID=5228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9285A KR101439954B1 (ko) 2014-04-24 2014-04-24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57B1 (ko) 2015-08-05 2015-11-26 주식회사 젬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기반 조명 시스템
EP4345371A1 (en) * 2022-09-29 2024-04-03 Signify Holding B.V.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hermal diodes for heat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65B1 (ko) * 2011-03-10 2011-05-17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Led 조명기구
KR101364471B1 (ko) * 2013-07-24 2014-02-19 박정욱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65B1 (ko) * 2011-03-10 2011-05-17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Led 조명기구
KR101364471B1 (ko) * 2013-07-24 2014-02-19 박정욱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157B1 (ko) 2015-08-05 2015-11-26 주식회사 젬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기반 조명 시스템
EP4345371A1 (en) * 2022-09-29 2024-04-03 Signify Holding B.V.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thermal diodes for heat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3117B2 (en) LED fixture with heat pipe
KR101579220B1 (ko) 엘이디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램프
TWI568966B (zh) 嵌燈式固定架
JP3139714U (ja) Ledランプ
EP2752617B1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JP2009266780A (ja)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JP5415019B2 (ja) Led光源装置
KR10143995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32373B1 (ko) 다단 결합식 방열체가 구비된 고천정등용 엘이디 조명등
KR200464527Y1 (ko)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101212743B1 (ko) 발광 빛이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구조의 엘이디 형광등
RU268569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ильник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JP2008123721A (ja) 照明装置
JP2012199163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055720B1 (ko)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가진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552629B1 (ko) 초슬림 엣지 타입 구조를 갖는 led 등기구의 제조공정
US20100182794A1 (en) Spot light
KR101051150B1 (ko) 다운 라이트 조명장치
KR101298287B1 (ko) 엘이디 조명등용 피라미드적층방열판 및 이를 장착한 엘이디조명등
CN203784683U (zh) Led灯具
CN203068233U (zh) Led球泡灯
JP2010097763A (ja) Led照明装置
FI119704B (fi) LED-valaisin
KR101620891B1 (ko) 광균일성이 우수한 엘이디 조명등
KR101433365B1 (ko) 렌즈 커버를 갖는 led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