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507B1 -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07B1
KR102255507B1 KR1020200069086A KR20200069086A KR102255507B1 KR 102255507 B1 KR102255507 B1 KR 102255507B1 KR 1020200069086 A KR1020200069086 A KR 1020200069086A KR 20200069086 A KR20200069086 A KR 20200069086A KR 102255507 B1 KR102255507 B1 KR 10225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agent
filler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유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온
Priority to KR102020006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중합체에 열전도용 충전제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방열 확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코팅제와; 무기도료조성물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인산, 강염기 및 물이 혼합되어 이물질의 흡착을 억제하여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코팅제를 포함하고,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혼합되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Heat radiant coating agent for heat sink body of ligh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기구에 구성되어 LED기판의 발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체에 도포 또는 코팅되어 방열체의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를 이용한 조명등기구는, 복수개의 LED들이 실장된 LED모듈에 동작전원의 공급시 LED들이 발광함에 따라 해당 공간을 조명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수명이 길고 전력소비가 낮으며 조도가 높아 종래의 전구, 형광등 등과 같은 조명수단을 대체하는 새로운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조명등기구는, 등록특허 10-1322614호와 공개특허 10-2016-004934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빛을 발생시키는 LED기판과, 상기 LED기판이 저면에 설치되고 LED기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구성되고 방열체의 잔열을 방열시키는 하우징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등기구는, LED기판의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체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요홈이나 방열핀들이 필수적으로 설계에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이 복잡하고 이에 제조 방식도 매우 불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열체가 대부분 알루미늄합금(ALDC12) 재질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LED기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열화(degradation)되거나 염해지역에서 설치사용시 부식이 발생되어 열전도율이 크게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특수 도장이 실시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등기구에 구성되는 방열체에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열코팅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방열체의 열이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방열체의 디자인이 단순하더라도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등기구의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되어 방열체의 부식이나 열화 등을 억제하여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조명등기구용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합체에 열전도용 충전제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방열 확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코팅제와; 무기도료조성물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인산, 강염기 및 물이 혼합되어 이물질의 흡착을 억제하여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코팅제를 포함하고,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혼합되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가 제공된다.
여기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코팅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코팅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등기구에 구성되는 방열체에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열코팅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방열체의 열이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방열체의 디자인이 단순하더라도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기구의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되어 방열체의 부식이나 열화 등을 억제하고 방열체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는, 중합체에 열전도용 충전제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방열 확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코팅제와, 무기도료조성물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인산, 강염기 및 물이 혼합되어 이물질의 흡착을 억제하여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코팅제를 포함하며,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소정의 부피비 일예로, 2:1 내지 4:1의 부피비로 혼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에 있어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 내지 9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광개시제 0.1 내지 3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합체의 기본적인 물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하이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한 모노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를 함유한 단량체, 아크릴 아미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질소성분을 함유한 단량체 등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중합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방열체의 표면에 도포 또는 코팅되기 위한 접착력이 낮아지고 9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서 코팅 두께를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 다양한 종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사용량은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0 중량부 미만을 사용했을 때는 점도가 낮아서 코팅 두께 조절이 어려우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고 접착력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은 나노 실리카와 아크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실리카-아크릴) 하이브리드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내지 1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내열특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때는 내열성 및 재박리특성은 우수하지만 접착력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광개시제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3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 속도가 느리고 전환률이 낮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반응속도는 빠르지만 저분자량의 올리고머가 많이 존재하여 접착제의 물성이 저하된다.
여기서, 광개시제의 종류에는 벤조페논, 벤지온, 벤지온메틸 에테르, 벤지온-n-부틸 에테르, 벤지온-이소-부틸 에테르,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메틸페닐 글리옥실레이트, 에틸페닐필옥실레이트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 조절제로는 티올(-SH)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며, 에틸머캅탄, 부틸머캅탄, 헥실머캅탄, 도데실머캅탄, 페닐머캅탄, 벤질머캅탄 등을 아크릴레이트화합물 100 중량부 대해서 0.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자량 제어가 힘들고,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낮아져서 최종물성이 저하된다.
열전도용 충전제는, 중합체와 혼합되어 방열체에 도포 또는 코팅시 LED기판으로부터 방열체에 전달된 열이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평균입경을 갖는 제1충전, 제2평균입경을 갖는 제2충전제 및 제3평균입경을 갖는 제3충전제를 포함하고, 제1평균입경값은 10 내지 30㎛로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며,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17 내지 0.26이고,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09 내지 0.11이며,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의 부피저항은 104Ωcm 이상 이고,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이고, 상기 제2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인 특성을 가진다.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충전제는, 충전제 중 가장 큰 충전제로서, 평균입경이 10 내지 30㎛의 범위를 가지는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중합체와의 혼합시 적절한 점도 범위를 유지할 수 없어 방열체의 표면이 매끈하게 유지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충전제는, 중합체와 제1충전제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이 0.17 내지 0.26에 대응되는 평균입경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은 평균입경을 가지지 않는 경우 제1충전제와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되어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3충전제는, 제1충전제와 제2충전제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이 0.09 내지 0.11에 대응되는 평균입경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은 평균입경을 가지지 않는 경우 제1충전제와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되어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의 부피 저항은 104Ωcm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 저항이 104Ωcm 미만이면 방열체 표면에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단경/장경의 평균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큰 충전제 입자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아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질량비를 가지지 않는 경우 작은 충전제가 큰 충전제가 형성하는 공간을 채울 정도만 첨가되지 않고 많이 첨가되거나 적게 첨가되어 큰 충전제가 이격되어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열전도용 충전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데, 6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방열체에 전달된 열을 흡수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와의 교반성이 크게 저하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표면 마감도가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난연제는,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시 고온의 열과 열전도율에 의해 방열코팅제가 연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메틸아이오다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난연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데, 2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보습성, 투습성 및 열전도율이 낮아져 난연 기능이 저하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들뜸 형상이 발생되어 오히려 투습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코팅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70 중량부 및 난연제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방열체의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팅제에 의하면, 방열체의 표면에 도포 또는 코팅시 방열체에 전도된 LED기판의 열을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방열체의 디자인이 단순한 형상과 구조로 설계되더라도 향상된 방열 성능을 제공하여 방열체의 작업성 향상과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도표제에 있어서,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인산, KOH, NaOH 및 LiOH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강염기 및 물을 포함하여, 바람직하게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기 도료 조성물은, 방열체에 상기 방열코팅제의 혼합물이 도포 및 코팅되도록 하는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공지의 무기 도료 조성물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시 외부의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탈착 작업 중 충돌 등에 대한 내구성과 부식방지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지 보수에 의한 방열코팅제의 박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상기와 같이 내구성과 부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공지의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여도 무방하다.
인산은,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방열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착 방지 부재로서,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교반성 및 결합성이 저하되어 방열체에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강염기는, 방열체의 도포 및 코팅시 방열체에 흡착된 얼룩이나 먼지 등이 유지보수 과정에서 세척액 등과 접촉시 쉽게 제거되도록 하여 부식 발생을 억제하는 부재로서,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빗물 자국이나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흡착된 이물질의 단백질 등을 변형시켜 흡착에 의한 부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물은, 상기 조성물들의 혼합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점도를 조절하는 부재로서,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4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교반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 및 코팅시 건조 시간이 증가하여 소정 두께의 코팅층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코팅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50 중량부, 인산 5 중량부, 강염기 7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방열체의 오염 방지를 극대화하고 이물질에 의한 부식이나 열화를 억제하여 방열체의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코팅제에 의하면, 방열체가 외부 조건에 의해 이물질의 흡착 등에 따른 오염과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오염이 발생되더라도 세척액이나 고압의 에어를 통하여 쉽게 제거되도록 하여 방열체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열코팅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2:1 내지 4:1의 부피비로 혼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의 혼합 부피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방열체에 도포된 후 경화시간 조절 및 무게평균분자량의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경화불량, 들뜸 및 물성 저하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이에 난연 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이물질 제거 기능도 저하되어 방열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 등의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의 제조방법은,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코팅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코팅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2:1 내지 4:1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70 중량부 및 난연제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50 중량부, 인산 5 중량부, 강염기 7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포함하며,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의 부피비는 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중량부 및 난연제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2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중량부, 인산 2 중량부, 강염기 6 중량부 및 물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를 2: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방열코팅제를 제조한다.
먼저, 제1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70 중량부 및 난연제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2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50 중량부, 인산 5 중량부, 강염기 7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를 3: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방열코팅제를 제조한다.
먼저, 제1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1코팅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80 중량부 및 난연제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2코팅제를 제조한다.
여기서, 제2코팅제는, 무기 도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40 중량부, 인산 4 중량부, 강염기 6.5 중량부 및 물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후,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를 4: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방열코팅제를 제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를 시제품 A(공개특허 10-2016-0078340호에 따라 제조된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하였고, 물리적 특성,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시험을 공지의 방식에 의해 실시하였고, 10시간 이상 전원을 연결하고 LED를 발광시킨 후 LED기판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시제품 A와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58712683-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시중의 시제품에 비해 물리적 특성,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모두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등기구에 구성되는 방열체에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열코팅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어 방열체의 열이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방열체의 디자인이 단순하더라도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기구의 방열체에 도포 및 코팅되고 방열체의 부식이나 열화 등을 억제하여 방열체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무기도료조성물 및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방열코팅제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0 내지 90 중량부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광개시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분자량 조절제 0.01 내지 1 중량부가 첨가된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코팅제와;
    상기 무기도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상기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KOH, NaOH 및 LiOH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코팅제를 포함하고,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2:1 내지 4: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제1코팅제와 제2코팅제가 2:1 내지 4: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의 제조방법.
KR1020200069086A 2020-06-08 2020-06-08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086A KR10225550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086A KR10225550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07B1 true KR102255507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086A KR10225550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69A (ko) * 2001-10-20 2003-04-26 김우식 방열시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의제조방법
KR20110119256A (ko) * 2010-04-27 2011-11-02 나노캠텍주식회사 열전도성 방열시트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 및 동박적층판
KR20140063447A (ko) * 2012-11-16 2014-05-27 김희곤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KR20180080086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절연성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절연성 방열 물품
KR20190011072A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절연성 방열복합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769A (ko) * 2001-10-20 2003-04-26 김우식 방열시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의제조방법
KR20110119256A (ko) * 2010-04-27 2011-11-02 나노캠텍주식회사 열전도성 방열시트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열시트 및 동박적층판
KR20140063447A (ko) * 2012-11-16 2014-05-27 김희곤 무기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 도막의 형성방법
KR20180080086A (ko) * 2017-01-03 2018-07-11 주식회사 아모센스 절연성 방열 코팅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절연성 방열 물품
KR20190011072A (ko) * 2017-07-24 2019-02-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절연성 방열복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5808B2 (en) Heat dissipation coating agent and heat-dissipating plate including same
US9243777B2 (en) Rare earth optical elements for LED lamp
KR102255123B1 (ko) 열 전도성 복합 시트
US9657922B2 (en) Electrically insulative coatings for LED lamp and elements
KR101342287B1 (ko) 반도체 발광 장치용 패키지 및 발광 장치
HUE024106T2 (hu) Világító eszköz
US20100213881A1 (en) Light source apparatus
KR100623442B1 (ko) 방열부재
KR102237256B1 (ko) 엘이디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CN110573798B (zh) 发光二极管模块及包括其的发光二极管照明装置
TW201535802A (zh) 發光二極體密封劑
US20130241390A1 (en) Metal-containing encapsulant compositions and methods
JP5919903B2 (ja) 半導体発光装置用パッケージ及び該パッケージを有してなる半導体発光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004922A (ja) 半導体発光装置用樹脂パッケージ及び該樹脂パッケージを有してなる半導体発光装置
US9570661B2 (en) Protective coating for LED lamp
KR101689693B1 (ko) 방열기능이 향상된 조명등
KR102255507B1 (ko)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80588B1 (ko) 라인 등기구
KR102360609B1 (ko) 소화용 스티커 및 이를 가지는 조명등기구
KR102280591B1 (ko) Led 스틱바
JP2009099336A (ja) Led用塗装金属板
US20130241404A1 (en) Encapsula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ighting devices
KR102253189B1 (ko) 조명등기구 방열체용 방열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480B1 (ko) 방열기능이 구비된 조명 장치
KR102360624B1 (ko) 발화소화용 방열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