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071B1 - 접촉 냉감용 섬유 및 그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접촉 냉감용 섬유 및 그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6071B1 KR102566071B1 KR1020187006922A KR20187006922A KR102566071B1 KR 102566071 B1 KR102566071 B1 KR 102566071B1 KR 1020187006922 A KR1020187006922 A KR 1020187006922A KR 20187006922 A KR20187006922 A KR 20187006922A KR 102566071 B1 KR102566071 B1 KR 1025660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
- polyacetal copolymer
- group
- polyacetal
- fiber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4—Copolyoxymethylen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7—Knitted thread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polyvinyl alcohol, or of their acetals or k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Bedding Item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옥시메틸렌기와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고,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이고,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에 있어서의 보온율이 10% 이하인 접촉 냉감용 섬유는, 접촉 냉감, 속건성, 광택성이 우수한 섬유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촉 냉감이 우수한 섬유 및 해당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세탈은 기계적 물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고, 전기(電機), 자동차, 기계, 건재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섬유로의 성형 가공도 가능하기 때문에, 폴리아세탈의 특성인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을 발휘할 수 있는 브러시, 필터 등의 산업용 자재로서 용도 전개가 도모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비특허문헌 1을 참조).
최근, 하계용의 속옷이나 침구용 시트의 재료로서, 착용 시나 접촉 시에 시원한 감각을 초래하여 청량감을 주는, 접촉 냉감이 우수한 섬유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포지(布地)의 재료인 목면이나 PET 등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한 포지는, 생지(生地)만으로는 접촉 냉감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접촉 냉감이 우수한 포지를 작성할 목적으로, 포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흡수(吸水)성을 향상시키거나, 섬유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를 참조).
오카와 히데토시, 듀라콘(등록상표) 섬유, 섬유학회지(섬유와 공업), vol. 65, No. 4(2009), 22-25페이지
접촉 냉감의 향상을 목적으로 흡수성을 향상시킨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실기나 수산기 등의 친수성기를 도입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을 향상시킨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열전도성이 높은 필러를 이겨 넣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표면에 도금 처리를 실시한 섬유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섬유를 이용한 포지는, 이론적으로는 접촉 냉감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인간에 의한 관능 시험을 행하면, 미처리된 것과 거의 다른 바가 없어, 접촉 냉감을 실감할 수 있는 경우는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4는, 흡수성 폴리머를 내포한 다공질 무기 분말 입자를 섬유에 파지시켜서 이루어지는 접촉 냉감 작용을 구비한 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이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는 확실히 실감할 수 있는 레벨의 접촉 냉감을 갖는다. 그렇지만, 충분한 접촉 냉감을 얻기 위해서는 대량의 다공질 무기 분말 입자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결과, 감촉이나 촉감에 악영향이 나와 속옷이나, 침구용 시트 등에 이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한편, 폴리아세탈의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제품으로서는, 기계적 특성, 접동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폴리아세탈의 특성을 이용한 공업 용도, 산업 용도가 주요하고, 속옷이나 침구용 시트 등에 사용 가능한, 접촉 냉감이 우수한 폴리아세탈의 섬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지로서 이용한 경우라도 접촉 냉감이 우수한 포지로 가공할 수 있는, 접촉 냉감이 우수한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서는, 속건성, 광택성도 우수한 포지로 가공할 수 있는, 속건성, 광택성이 우수한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섬유는 접촉 냉감, 촉감, 속건성이 요구되는 내의(속옷), 외의(예를 들면, 스포츠웨어) 등의 의료(衣料)품, 시트(sheet), 이불 커버, 베개 커버 등의 침장품, 커튼 등의 인테리어품, 자동차 내장품 등의 섬유 제품의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표면에 갖는 섬유이고,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에 있어서의 보온율이 10% 이하인 섬유가,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당해 섬유는 속건성, 광택성도 우수한 섬유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이다.
<1> 옥시메틸렌기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로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이고, 또한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고, 하기 수학식[1]로 정의되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의 보온율이 10% 이하인, 접촉 냉감용 섬유.
(식(1) 중, R0 및 R0'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유기기, 페닐기, 또는 페닐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복수 있는 R0 및 R0'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m은 2∼6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온율(%) = (1-C/D)×100 수학식[1]
(수학식[1] 중, C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했을 때,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을 나타내고, D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하지 않을 때의,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을 나타낸다.)
<2>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가 60% 이상인, <1>에 기재된 섬유.
<3>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단층 섬유인, <1> 또는 <2>에 기재된 섬유.
<4>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 피복한 다층 섬유인, <1> 또는 <2>에 기재된 섬유.
<5>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의 표면에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갖는 복합 섬유인, <1> 또는 <2>에 기재된 섬유.
<6>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아세탈 호모폴리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이외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바이닐 수지, 및 이들의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4> 또는 <5>에 기재된 섬유.
<7>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의료품.
<8>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침장품.
<9>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인테리어품.
<10>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품.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냉감이 우수한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냉감에 더하여, 속건성, 광택성이 우수한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섬유는, 접촉 냉감, 속건성, 광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감촉이나 촉감이 우수한 의료품, 침장품, 인테리어품, 자동차 내장품 등의 섬유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접촉 냉감이 우수한 섬유>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시메틸렌기와 후술하는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로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이고, 또한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고, 후술하는 하기 수학식[1]로 정의되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의 보온율이 10% 이하인 접촉 냉감용 섬유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촉 냉감이란, 섬유, 섬유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포지나 섬유 제품에 닿았을 때에 차갑게 느끼는지 어떤지라고 하는 관능 시험의 지표이다.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는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이는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를 이용한 포지는, 생지로서 이용하더라도, 관능 레벨에 있어서 충분한 접촉 냉감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의료품을 착용했을 때, 대부분의 인간에게 시원한 감각을 주어, 청량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를 이용한 섬유 제품도 관능 레벨에 있어서 충분한 접촉 냉감을 체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 및 당해 섬유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포지나 섬유 제품은 속건성, 광택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섬유>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는 옥시메틸렌기와 후술하는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로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이다.
즉, 본 발명의 섬유는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A]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단층 섬유의 형태, [B] 표면이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 피복된 다층 섬유의 형태, [C]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의 표면에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가 노출되어 있는 복합 섬유의 형태이다.
전술한 [A]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단층 섬유의 형태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 이루어지는 섬유이다. 단층 섬유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용융 방사하여 얻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연신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전술한 [B] 표면이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 피복된 다층 섬유의 형태에 있어서의 심 부분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호모폴리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이외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예를 들면,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값에 대해서 5mol%를 초과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바이닐 수지, 및 이들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적층 또는 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복」이란, 심 섬유의 섬유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면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덮인 형태를 말한다. 표면의 피복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율이 높을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층 섬유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와 전술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얻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연신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얻어진 다층 섬유의 형태는 심 섬유인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주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가 피복하는 심초(core-sheath) 구조가 된다.
전술한 [C]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의 표면에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가 노출되어 있는 복합 섬유의 형태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다층 섬유의 형태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적층 또는 상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의 표면에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가 노출되어 있는 복합 섬유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와 전술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을 용융 방사하여 얻어지고,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연신 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얻어진 복합 섬유의 형태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가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한 상태여도 되고, 해도(海島) 구조 또는 그것에서 유래한 분산 상태가 되어 있는 상태여도 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와 같이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와 열가소성 수지가 표면에 존재하는 상태여도 된다. 상기 복합 섬유 표면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노출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율이 높을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는, 전술한 형태의 섬유 중,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가 60% 이상인 섬유가 바람직하고, 배향도가 70% 이상인 섬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배향도가 80% 이상인 섬유가 더 바람직하며, 배향도가 90% 이상인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배향도가 높을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배향도의 상한은 접촉 냉감의 점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통상 100%이지만, 제조의 용이함의 점에서 배향도는 9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의 접촉 냉감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옥시알킬렌기 함유량 및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의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배향도는 섬유 제품에 부여하는 접촉 냉감의 정도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이 많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접촉 냉감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이 많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일수록, 접촉 냉감에 대한 배향도의 영향이 크므로, 배향도를 높임으로써 접촉 냉감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의 배향도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광각 X선 회절 장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의 단섬도는 그의 용도에 따라 허용값이 상이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피부와 접촉하는 포지 등의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감촉,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10dtex(단위: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고, 5dtex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dtex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는 종래 공지의 섬유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펠릿을 용융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때, 배향도를 높게 하는 관점에서, 용융 방사한 섬유를 추가로 연신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가공의 조건도 종래 공지의 방법,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배향도의 관점에서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배향도의 점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산 시의 안정성(실 절단 방지)이나 과도한 피브릴화 방지의 점에서 15배이다. 한편, 용융 방사, 연신 가공의 장치는 종래 공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의 단면 형상은 용융 방사 시의 노즐 구금의 형상에 의해 여러 가지로 설계가 가능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한 원형이어도 이형(異形) 단면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이형 단면으로 함으로써 접촉 냉감을 더 높일 수 있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분자 중에 옥시메틸렌기(-CH2-O-) 이외에,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조의 옥시알킬렌기를 갖는다.
식(1) 중, R0 및 R0'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유기기, 페닐기, 또는 페닐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복수 있는 R0 및 R0'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m은 2∼6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아이소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유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아이소프로폭시기, 뷰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닐기를 갖는 유기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옥시알킬렌기로서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및 옥시뷰틸렌기가 바람직하고, 옥시에틸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옥시알킬렌기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에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2원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다원 공중합체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옥시메틸렌기, 옥시알킬렌기 이외의 블록 구조를 추가로 갖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여도 되고, 또는 분자 내에 분기 구조를 추가로 갖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여도 된다. 이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와 같은 활성 수소를 갖는 작용기를 분자 말단 또는 분자 중에 갖는 열가소성 수지나 올리고머를 연쇄 이동제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말단에 상기 연쇄 이동제의 구조가 도입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바이닐폼알과 같은 공중합 반응성을 갖는 환상 폼알 부위를 주쇄 중에 포함하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중합 반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터모노머로서 글리시딜 에터와 같은 에폭시 화합물이나 알릴 에터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되고,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중에 이들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은 0.01∼20mol%로 폭넓은 범위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은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4.0mol%이다.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0.2mol% 이상 5.0mol% 이하이면,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그 중에서,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0.2mol% 이상 4.0mol% 이하이면, 접촉 냉감이 특히 우수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를 포지 등으로 했을 때의 접촉 냉감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 함유량과 섬유의 배향도의 영향을 받으므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은, 배향도와 맞추어, 전술한 범위 중에서, 요구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특히,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이 적고, 분자쇄의 배향도가 높은 섬유일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옥시알킬렌기의 종류가 상이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고,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상이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옥시알킬렌기의 종류 또는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가 상용한 상태여도 되고, 해도 구조 또는 그것에서 유래한 분산 상태가 되어 있는 상태여도 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와 같은 상태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ISO1133에 따른 MVR(Melt Volume Rate)이 100cm3/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cm3/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cm3/10분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VR값이 클수록 용융 방사에 있어서 가는 섬유를 얻는 데 적합하지만, 100cm3/10분 이하이면, 기계 물성(특히 인성)도 우수한 섬유가 얻어진다. MVR값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MVR값이 작을수록 용융 방사에 있어서 용융 점도가 높아져, 변형에 대해 추종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가는 섬유를 효율적으로 얻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MVR값의 하한으로서는, 3cm3/10분이 바람직하고, 보다 가는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8cm3/10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제조 방법은 임의이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옥시메틸렌기와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옥시알킬렌기를 구성 단위로 하는 폴리아세탈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폼알데하이드의 3량체(트라이옥세인)나 4량체(테트라옥세인) 등의 옥시메틸렌기의 환상 아세탈과, 에틸렌 옥사이드, 1,3-다이옥솔레인, 1,3,6-트라이옥소케인, 1,3-다이옥세페인 등의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환상 아세탈을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서는, 트라이옥세인이나 테트라옥세인 등의 환상 아세탈과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1,3-다이옥솔레인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라이옥세인과 1,3-다이옥솔레인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옥시메틸렌기의 환상 아세탈과, 코모노머인 탄소수 2 이상 4 이하의 옥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환상 아세탈을,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괴상 중합시키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중합 촉매 및 중합 성장 말단의 실활 처리를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반응 정지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분자량 조절제를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중합 촉매, 반응 정지제, 분자량 조절제의 종류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중합 촉매, 반응 정지제, 분자량 조절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삼불화 붕소, 사염화 주석, 사염화 타이타늄, 오염화 인, 오불화 인, 오불화 비소 및 오불화 안티모니 등의 루이스산, 및 이들 루이스산의 착화합물 또는 염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퍼클로르산 등의 프로톤산; 퍼클로르산과 저급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터 등의 프로톤산의 에스터; 퍼클로르산과 저급 지방족 카복실산의 혼합 무수물 등의 프로톤산의 무수물 등도 들 수 있다. 이 밖에, 트라이에틸옥소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메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아세틸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헤테로폴리산 또는 그의 산성염, 아이소폴리산 또는 그의 산성염, 퍼플루오로알킬설폰산 또는 그의 산성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삼불화 붕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에터류와의 배위 착체인 삼불화 붕소 다이에틸에터레이트, 삼불화 붕소 다이뷰틸에터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라이옥세인과 코모노머의 합계의 전체 모노머 1mol에 대해서, 통상 1.0×10-8∼2.0×10-3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10-8∼8.0×10-4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8∼1.0×10-4mol의 범위이다.
상기 반응 정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3가의 유기 인 화합물, 아민 화합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반응 정지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3가의 유기 인 화합물, 3급 아민, 힌더드 아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정지제의 사용량은 중합 촉매를 실활시키는 데 충분한 양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중합 촉매에 대한 몰비로서, 통상 1.0×10-1∼1.0×101의 범위이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틸알, 메톡시메틸알, 다이메톡시메틸알, 트라이메톡시메틸알, 옥시메틸렌 다이-n-뷰틸 에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알이 바람직하다. 이들 분자량 조절제의 사용량은 목표로 하는 분자량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통상, 전체 모노머에 대해서 0∼0.1질량%의 범위에서 첨가량이 조정된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에 첨가해도 되는 임의 성분, 그 밖의 성분>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힌더드 페놀 화합물, 힌더드 아민 화합물, 아미노 치환 트라이아진 화합물, 인계 안정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지방산 염, 무기산 염 또는 알콕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나타내지는 금속 함유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힌더드 페놀 화합물, 힌더드 아민 화합물, 아미노 치환 트라이아진 화합물, 인계 안정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지방산 염, 무기산 염 또는 알콕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나타내지는 금속 함유 화합물」을 「임의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 임의 성분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임의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핵화제, 이형제, 충전제, 안료, 염료, 활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유제, 집속제, 사이징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난연 조제 등의 각종 첨가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 엘라스토머 등을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안정제, 핵화제, 이형제, 충전제, 안료, 염료, 활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유제, 집속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난연 조제 등의 각종 첨가제, 다른 수지, 엘라스토머 등」을 「그 밖의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충전제로서는 유리 플레이크, 유리 비즈, 월라스토나이트, 마이카, 탤크, 질화 붕소, 탄산 칼슘, 카올린, 이산화 규소, 클레이, 실리카, 규조토, 그래파이트, 이황화 몰리브데넘 등의 광물질 충전제, 추가로 카본 블랙,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임의 성분이나 그 밖의 성분을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에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임의 성분 및/또는 그 밖의 성분을 임의의 순서로 혼합, 혼련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혼합·혼련의 온도, 압력 등의 조건은 종래 공지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혼련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용융 온도 이상에서 행하면 되고, 통상은 180℃ 이상 26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제조 장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이 종류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는 혼합, 혼련 장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임의 성분이나 그 밖의 성분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함유하는 섬유에 별도로 혼합, 침투, 흡착, 부착시켜도 된다.
<보온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촉 냉감은 JIS L 1096 A법(항온법)에 따라 구해지는 보온율과 상관이 있다. 상기 보온율은 열을 전달하기 어렵게 하는 공기의 층을 섬유의 내부에 가짐으로써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목면은 섬유의 중심부가 중공이 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고, 열이 방출되기 어려운 특징이 있어, 상기 보온율은 20∼30%와 같은 높은 값을 나타낸다. 즉, 보온율이 낮을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는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고, 하기 수학식[1]로 정의되는, 포지로 했을 때의 보온율(%)이 10% 이하이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포지란, 직물, 편물, 부직포의 형태이면 되고, 그의 짜는 방법이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온율(%) = (1-C/D)×100 수학식[1]
수학식[1] 중, C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알루미늄 합금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했을 때,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단위: J/cm2)을 나타낸다. D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알루미늄 합금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하지 않을 때의,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단위: J/cm2)을 나타낸다.
상기 보온율은 9%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율이 10% 이하이면,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보온율의 하한은 접촉 냉감의 점에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0%이다. 보온율은 실시예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보온율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보온율의 점에서, 본 발명의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은 5mol% 이하가 바람직하고, 4mol%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보온율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경향이 있다. 보온율의 점에서, 배향도는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9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속건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의 속건성이란, 수분을 포함한 섬유가 빠르게 마르는 성질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속건성이 우수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에스터(PET) 섬유보다도 빠르게 마르는 섬유가, 속옷이나 침구와 같이 인간의 피부에 접하는 용도로서 청량감을 주어, 보다 접촉 냉감을 느끼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이는 피부로부터 섬유에 흡수된 수분이 증발할 때에, 잠열을 빼앗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속건성은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의 건조 속도를 기준(1.0)으로 한 경우, 0.9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속건성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우수한 경향이 있다. 속건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은 5mol% 이하가 바람직하고, 2mol%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속건성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경향이 있다. 속건성의 점에서, 배향도는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더 바람직하며, 9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택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의 광택성이란, 섬유의 표면이 광을 받았을 때의 빛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수치가 클수록, 표면이 매끄럽고 윤기가 있어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광택성은 실시예에서 기술한 가시광선의 반사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PET 섬유의 광택성을 기준(1.0)으로 한 경우, 1.1 이상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택성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5mol% 이하이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섬유에 있어서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은 5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섬유 제품>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섬유 제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직물, 편물 등의 포지, 부직포와 같은 일차 가공품, 상기한 직물 등을 추가로 가공하여 얻어지는 이차 가공품(후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차 가공품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날실과 씨실을 직각으로 조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평면상으로 하는 직물이나, 코(루프)를 연결해서 평면상으로 하는 편물의 형태를 들 수 있고, 꼰 것, 조물(組物), 레이스, 펠트의 형태도 이것에 포함된다. 특히, 직물, 편물의 형태가 접촉 냉감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섬유는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다. 이것을 포지 등의 섬유 제품으로 가공할 때에는,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만을 이용해도 되고,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와,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이하, 「다른 섬유」라고 함)를 아울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를 높은 비율로 이용할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전술한 「다른 섬유」로서는,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 이외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등의 합성 섬유, 목면, 마, 견 등의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다른 섬유의 단면 형상은 용융 방사 시의 노즐 구금의 형상에 의해 여러 가지로 설계가 가능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한 원형이어도 이형 단면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이형 단면으로 함으로써 접촉 냉감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섬유는,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와,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등의 합성 섬유, 또는 목면, 마, 견 등의 천연 섬유를 복합시켜서 합연사나 커버링사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특정량의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와,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유레테인 등의 합성 섬유, 또는 목면, 마, 견 등의 천연 섬유를 혼섬, 혼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를 포지 등의 섬유 제품으로 가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날실과 씨실을 직각으로 조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평면상으로 하는 직물이나, 코(루프)를 연결해서 평면상으로 하는 편물, 레이스, 조물, 펠트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물, 편물의 경우, 그의 짜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물이면, 예를 들면 평직, 능직, 주자직, 매트직, 문직 등의 형태여도 된다. 편물이면, 종편, 횡편 외, 평편, 리브편, 양면편, 펄편 등의 형태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로부터 얻어지는 포지 등의 일차 가공품도 접촉 냉감이 우수하므로, 나아가 의료품, 침장품, 인테리어품, 생활 잡화품, 자동차 내장품 등의 이차 가공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촉 냉감용 섬유는 접촉 냉감의 효과를 갖는 첨가제나 표면 처리제를 섬유에 첨가 또는 표면 처리하여 얻어지는 섬유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세탁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여러 가지의 섬유 제품의 원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섬유는 속옷 등의 내의, 스포츠웨어, 바지, 스커트 등의 외의, 와이셔츠, 나이트웨어, 스타킹, 타이츠 등의 의료품, 시트(sheet), 이불 커버, 베개 커버 등의 침장품, 매트, 커튼, 카펫 등의 인테리어품, 손수건, 타월 등의 생활 잡화품, 시트(seat), 시트 커버 등의 자동차 내장품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그 실시형태와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는 이하와 같다. 한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옥시에틸렌기의 몰량)은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에틸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한 값이다.
POM-1: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0.4mol%이고, MVR이 15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POM-2: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1.6mol%이고, MVR이 15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POM-3: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3.0mol%이고, MVR이 15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POM-4: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4.7mol%이고, MVR이 15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POM-5: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5.7mol%이고, MVR이 15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MVR의 측정>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MVR은 ISO1133에 따라 측정했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판올(d2)에 용해시켜, NMR 측정 시료를 제작하고, 이 측정 시료에 대하여 NMR 스펙트럼을 측정해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중의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을 측정했다.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섬유의 작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포지를 작성하기 위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섬유는 다음과 같이 해서 작성했다. 실린더, 노즐부의 온도를 200℃로 가온하고, 직경이 0.6mm인 홀을 36개 구비한 노즐로부터 0.8∼1.2kg/h의 속도로 용융 수지를 토출했다. 이때, 인취 속도를 약 200∼400m/분으로 연속적으로 미연신 섬유를 채취하고, 얻어진 미연신 섬유를 계속해서 가열 연신 공정으로 유도하고, 롤 온도 120∼140℃에서 연신 처리를 행하여 섬유 시료를 작성했다. 한편, 심초 복합 섬유의 경우는, 노즐로부터의 토출 속도는 심 성분의 수지, 초 성분의 수지 모두 0.4kg/h로 했다.
<그 밖의 섬유>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단섬도 2데시텍스의 멀티필라멘트를 그대로 이용했다.
<섬유의 섬도 측정>
섬유의 섬도[dtex(데시텍스)]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단섬유의 섬경을 측정하고, 섬유의 밀도로부터 섬도를 산출하고, 측정 개수 50본의 평균값을 섬유의 섬도로 했다. 섬유의 밀도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단층 섬유의 경우에는, 1.40g/cm3로 했다. 또한, 다층 섬유의 경우에는,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에 대한 가중 평균값으로 했다. 또한, PET의 단층 섬유의 경우에는 1.37g/cm3로 했다.
<섬유의 배향도 fc(%) 측정>
광각 X선 회절 장치(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 DP-D1)를 이용하고, CuKα(Ni 필터를 사용)를 선원으로 해서 측정했다(출력 45KV, 40mA). 분자쇄의 배향도(fc)는, 2θ=22.2° 부근에서 관찰되는 (100)면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스캔해서 얻어지는 회절 강도의 분포 곡선(방위각 분포 곡선)의 반치폭 FWHM(°)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2]를 이용하여 구했다.
fc(%) = ((180°-FWHM)/180°)×100 수학식[2]
<포지의 작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포지는, 전술의 방법으로 작성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를 표면에 갖는 섬유, 또는 PET 섬유를 이용하여, 세로 밀도 130본/인치, 가로 밀도 96본/인치로 편립(編立)하여 작성했다.
<포지의 보온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포지의 보온율은, JIS L 1096 A법에 따라, 보온성 시험기(주식회사 다이에이과학정기제작소제, 보온·열저항 시험기 ASTM-100A)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했다. 우선,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알루미늄 합금판) 상에, 크기 40×40cm의 시험편(포지)을 세팅하고, 2시간 방치했다. 2시간 동안에 상기 시험편을 개재하여 방산된 단위 표면적당 열량 C(단위: J/cm2)를 구했다. 한편, 상기 시험편을 세팅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여, 2시간 동안에 방산된 단위 표면적당 열량 D(단위: J/cm2)를 별도로 구했다. 포지의 보온율(%)은 하기의 수학식[1]로부터 산출했다. 보온율이 작을수록, 열의 이동 속도가 빨라,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보온율(%) = (1-C/D)×100 수학식[1]
<속건성(잔류 수분율)의 측정>
크기 10cm×10cm의 포지에 0.6g의 물을 스며들게 하고, 온도 20℃, 상대 습도 65%의 환경 중에, 이 포지를 매단 상태로 방치했다. 일정 시간마다, 방치한 포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포지 중의 잔류 수분량을 산출하여, 잔류 수분율(단위: 질량%)로서 구했다. 잔류 수분율이 10질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분)을 속건성의 지표로 했다. 시간이 짧을수록, 속건성이 우수하다.
<광택성(가시광선 반사율)의 측정>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제의 자외·가시·근적외 분광 광도계 UV-3600(적분구: ISR-3100)을 이용하여, 측정 파장역 400∼780nm에서의 광선 반사율로서, 가시광선 반사율을 구했다. 가시광선 반사율이 클수록 광택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접촉 냉감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로부터 얻어진 포지에 닿았을 때의 감촉을 A∼D의 4단계로 평가했다. 이하에 평가의 기준을 나타냈다.
A: 접촉 냉감이 특히 우수하다.
B: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
C: 접촉 냉감은 양호하다.
D: 접촉 냉감이 뒤떨어진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 1에, 옥시에틸렌기의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단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 옥시에틸렌기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다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 옥시에틸렌기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와 폴리락트산 수지(PLA)의 다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에 관한 실시예, 및 PET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 옥시에틸렌기 함유량이 소정 범위보다도 많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단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에 관한 비교예를 나타냈다.
실시예 1∼8로부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단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의 다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 옥시알킬렌기 함유량이 소정 범위 내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와 PLA의 다층 섬유를 이용하여 작성한 포지로서, 포지의 보온율이 10% 이하이면,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와 5로부터, 알킬렌기의 함유량이 동일하더라도, 섬유의 배향도가 높을수록 접촉 냉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1)
- 옥시메틸렌기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옥시알킬렌기를 함유하는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로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의 단섬도가 2.5dtex 이하이고,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중의 상기 옥시알킬렌기의 함유량이 옥시메틸렌기의 몰량과 옥시알킬렌기의 몰량의 합계에 대해서 0.2∼5.0mol%이고, 또한
JIS L 1096 A법에 따라 측정되고, 하기 수학식[1]로 정의되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포지(布地)의 보온율이 10% 이하인, 접촉 냉감용 섬유.
(식(1) 중, R0 및 R0'는 각각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갖는 유기기, 페닐기, 또는 페닐기를 갖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복수의 R0 및 R0'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m은 2∼6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온율(%) = (1-C/D)×100 수학식[1]
(수학식[1] 중, C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했을 때,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을 나타내고, D는, 온도 36±0.5℃로 설정한 열판 상에,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포지를 설치하지 않을 때의, 2시간 동안에 상기 열판으로부터 방산되는 단위 표면적당 열량을 나타낸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분자쇄의 배향도가 60% 이상인,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의 단층 섬유인,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로 피복한 다층 섬유인,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표면에 갖는 섬유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의 표면에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를 갖는 복합 섬유인, 섬유.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아세탈 호모폴리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이외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바이닐 수지, 및 이들의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섬유.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아세탈 호모폴리머, 폴리아세탈 코폴리머(X) 이외의 폴리아세탈 코폴리머,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바이닐 수지, 및 이들의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섬유.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의료(衣料)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침장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인테리어품.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84686 | 2015-09-18 | ||
JP2015184686 | 2015-09-18 | ||
PCT/JP2016/076234 WO2017047460A1 (ja) | 2015-09-18 | 2016-09-07 | 接触冷感用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813A KR20180055813A (ko) | 2018-05-25 |
KR102566071B1 true KR102566071B1 (ko) | 2023-08-10 |
Family
ID=5828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6922A KR102566071B1 (ko) | 2015-09-18 | 2016-09-07 | 접촉 냉감용 섬유 및 그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266018A1 (ko) |
EP (1) | EP3351662A4 (ko) |
JP (1) | JP6806067B2 (ko) |
KR (1) | KR102566071B1 (ko) |
CN (1) | CN108026669B (ko) |
MY (1) | MY192177A (ko) |
TW (1) | TWI701365B (ko) |
WO (1) | WO20170474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38863B2 (en) * | 2015-09-18 | 2020-01-21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Cloth having excellent contact cold sensation and colorfastness |
US11441242B2 (en) | 2017-07-14 | 2022-09-13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acetal fiber |
CN110017699B (zh) * | 2019-04-03 | 2020-07-24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 一种抽气器换热管振动的控制方法及系统 |
KR102212470B1 (ko) | 2019-08-12 | 2021-02-04 |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 심초형 접촉 냉감용 복합방사섬유 및 이를 구비하는 원단과 의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9925A (ja) | 2001-09-18 | 2003-03-28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256189A (ja) | 2004-03-09 | 2005-09-22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撚糸 |
JP2006009196A (ja) * | 2004-06-25 | 2006-01-12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36101B1 (ko) * | 1965-08-13 | 1968-03-06 | ||
JPH08144128A (ja) * | 1994-11-15 | 1996-06-04 | Kanebo Ltd | 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および編織物 |
JP2002235278A (ja) | 2001-02-06 | 2002-08-23 | Shikibo Ltd | 接触冷感性繊維及び繊維製品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
JP4260392B2 (ja) * | 2001-12-14 | 2009-04-30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フラットヤーン、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
JP2003268627A (ja) * | 2002-03-07 | 2003-09-25 | Toray Ind Inc | ポリアセタール系繊維 |
JP2004360146A (ja) | 2003-06-09 | 2004-12-24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013829A (ja) | 2003-06-25 | 2005-01-20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フィルター |
JP4468086B2 (ja) * | 2004-06-28 | 2010-05-26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複合繊維 |
JP4907307B2 (ja) * | 2006-11-17 | 2012-03-28 |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オキシメチレン繊維製縫糸の製造方法 |
JP5261933B2 (ja) * | 2006-12-27 | 2013-08-14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オキシメチレン複合繊維 |
WO2009011346A1 (ja) * | 2007-07-19 | 2009-01-22 | Daiwabo Co., Ltd. | 熱接着性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集合物 |
CN202786605U (zh) * | 2012-06-04 | 2013-03-13 | 东洋纺高机能制品贸易株式会社 | 长短复合纺纱丝及其编织布 |
US10253160B2 (en) * | 2012-09-26 | 2019-04-09 |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 Polyacetal stretched fiber |
BR112016017458B1 (pt) * | 2014-01-28 | 2022-03-29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Terminal, adaptador de energia e método para manuseio de anomalia de carregamento |
TWI704259B (zh) * | 2015-03-18 | 2020-09-11 | 日商三菱瓦斯化學股份有限公司 | 纖維之用途 |
-
2016
- 2016-09-07 KR KR1020187006922A patent/KR1025660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7 WO PCT/JP2016/076234 patent/WO201704746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9-07 EP EP16846331.3A patent/EP3351662A4/en active Pending
- 2016-09-07 MY MYPI2018700936A patent/MY192177A/en unknown
- 2016-09-07 TW TW105128974A patent/TWI701365B/zh active
- 2016-09-07 CN CN201680053897.1A patent/CN108026669B/zh active Active
- 2016-09-07 US US15/759,377 patent/US201802660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9-07 JP JP2017539850A patent/JP680606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9925A (ja) | 2001-09-18 | 2003-03-28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5256189A (ja) | 2004-03-09 | 2005-09-22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撚糸 |
JP2006009196A (ja) * | 2004-06-25 | 2006-01-12 | Polyplastics Co |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7047460A1 (ja) | 2018-07-05 |
CN108026669B (zh) | 2020-08-04 |
EP3351662A4 (en) | 2018-10-24 |
TW201712172A (zh) | 2017-04-01 |
MY192177A (en) | 2022-08-04 |
EP3351662A1 (en) | 2018-07-25 |
WO2017047460A1 (ja) | 2017-03-23 |
US20180266018A1 (en) | 2018-09-20 |
JP6806067B2 (ja) | 2021-01-06 |
KR20180055813A (ko) | 2018-05-25 |
TWI701365B (zh) | 2020-08-11 |
CN108026669A (zh) | 2018-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6071B1 (ko) | 접촉 냉감용 섬유 및 그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 |
CN107407010B (zh) | 抗菌用纤维 | |
KR102566068B1 (ko) | 접촉 냉감 및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포지 | |
JP5547474B2 (ja) | 制電性、吸水性及び接触冷感性に優れた複合繊維 | |
EP2873756B1 (en) | Sheath-core bicomponent fibre | |
ES2385426T3 (es) | Textil bacteriostático a base de poliamida 11 | |
CN104903499A (zh) | 具有改进的水分管理性质的纤维混纺物 | |
Khalil et al. | Thermal comfort properties of cotton/spandex single jersey knitted fabric | |
KR101000885B1 (ko) | 물세탁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혼용 실크 직물 및 그제조방법 | |
KR101807000B1 (ko) | 고비중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원단 | |
JP2016194170A (ja) | 芯鞘型複合繊維 | |
WO2017006234A1 (en) | Polyester fiber | |
JP2022178824A (ja) | 抗菌性織物 | |
JP2004360098A (ja) | 耐滅菌用布帛と医療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