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496B1 -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 Google Patents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496B1
KR102565496B1 KR1020217028013A KR20217028013A KR102565496B1 KR 102565496 B1 KR102565496 B1 KR 102565496B1 KR 1020217028013 A KR1020217028013 A KR 1020217028013A KR 20217028013 A KR20217028013 A KR 20217028013A KR 102565496 B1 KR102565496 B1 KR 10256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layer
layer
crimped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825A (ko
Inventor
유스케 세키오카
쇼헤이 사이타
고스케 오타
고이치 시마다
다이이치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04H1/439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nonlinear fibres, e.g. crimped or coiled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7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spunbond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 B32B5/269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next to a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spunbond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71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characterised by 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that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s or fibr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04H1/64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onding ag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06M13/17Polyoxyalkyleneglycol 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6Sulfonated compounds esters thereof, e.g. sul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8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46Acrylic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2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or side-by-side
    • B32B2262/124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6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filaments or yarns e.g. wrapped, coiled, crimped or co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1Ole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50Modified hand or grip properties; Soften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Abstract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평균 권축 직경이 800μm 이하인 권축 섬유(A)를 포함하는 제 1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친수화제를 함유하는 부직포 적층체.

Description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본 발명은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에 관한 것이다.
근년, 부직포는 통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용도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부직포에는, 그 용도에 따른 각종 특성이 요구됨과 함께, 그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피부에 직접 닿는 부재에 이용되는 부직포(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등)는, 유연성이 우수할 것과 함께, 친수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특정한 친수성 벌키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 친수성 벌키 부직포에는, 특정한 권축 섬유가 적용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친수성 벌키 부직포에 투수제를 함유시키는 것 또는 도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부직포 웹으로서, 복수의 연속 스펀본드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부가 상기 부직포 웹을 관통해서 연재되는, 부직포 웹이 개시되어 있고, 부직포 웹이 유연성을 위한 첨가제, 친수성 첨가제, 소수성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7/145999호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6/0166443호 명세서
그런데,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니딩법, 및 도포법이 알려져 있다. 니딩법은,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약제(이하,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약제를 친수화제라고 칭한다)를 이겨 넣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도포법은, 친수화제를 섬유 표면에 부착시켜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친수화제가 부여된 부직포를, 예를 들면, 기저귀의 톱 시트에 적용한 경우, 기저귀의 톱 시트와 접촉하는 부재(개더 등)에 친수화제가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개더에 친수화제가 이행하는 것에 의해, 개더가 친수화되어 버리면, 기저귀에 액 누출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친수화제가 부여된 부직포를, 기저귀 등의 후가공(예를 들면, 연신 가공, 펀칭 가공)이 수반되는 용도에 적용한 경우, 가공기에 친수화제가 이행하는 경우가 있다. 친수화제가 장기에 걸쳐 가공기에 계속 이행하면, 친수화제의 이행에 기인하는 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생각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 가능한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 가능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복합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태양에 관계된다.
<1>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평균 권축 직경이 800μm 이하인 권축 섬유(A)를 포함하는 제 1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친수화제를 함유하는 부직포 적층체.
<2> 상기 제 1 부직포층이 최외층이고,
상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600μm 이하인, <1>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3>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4>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올레핀계 중합체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에틸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3>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5>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으로, 0.1N/mm의 인장 응력을 가한 경우의 폭 유지율이 75% 이상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6>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의 5% 연신 시의 인장 강도가 2.2N/50mm 이상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7>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이 0.015g/m2이하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8> 질소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질소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질소 흡착 면적에 대한 수증기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수증기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비(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표면 질소 흡착 면적)가 1.5∼9.0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9> 상기 친수화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0>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상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과는 상이한 평균 권축 직경을 갖고, 평균 권축 직경이 500μm 이상인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를 포함하는 제 2 부직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1>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섬유가 상기 비권축 섬유(C)인, <10>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2> 상기 제 1 부직포층 및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이고,
상기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상기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차가, ±15℃ 이내인, <10> 또는 <11>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3>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상기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각각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그의 조합인 <12>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4> 상기 제 1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상기 제 2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며, 압착부와 비압착부를 갖고, 상기 압착부의 면적률이 7%∼20%인, <10>∼<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5>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6>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8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3μm 미만이며,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3g/m2 미만인, <15>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7>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2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혼합물이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5g/m2 미만인, <15> 또는 <16>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18>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복합 적층체.
<19> <14>∼<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 또는 <18>에 기재된 복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피복 시트.
본 개시에 의하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 가능한(이행 억제 효과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부직포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 가능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복합 적층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그 공정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종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종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MD」(Machine Direction) 방향이란, 부직포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부직웹의 진행 방향을 가리킨다. 「CD」(Cross Direction) 방향이란, MD 방향에 수직이고, 주면(主面)(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평행한 방향을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 주체로서 포함한다란, 대상이 되는 물질이, 전체에 대해서 가장 많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로서, 대상이 되는 물질의 함유 비율이 50질량%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부직포 적층체>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평균 권축 직경이 800μm 이하인 권축 섬유(A)를 포함하는 제 1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친수화제를 함유한다.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큰 것은, 섬유의 권축의 정도가 작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을 특정한 값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 적층체에 포함되는 친수화제의 이행 억제 효과가 적합하게 발휘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이행 억제 효과가 적합하게 발휘되는 이유로서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평균 권축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섬유의 권축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부직포 적층체에 포함되는 친수화제의 이행 억제 효과가 낮아진다. 한편, 평균 권축 직경이 작으면, 섬유의 권축의 정도가 크기 때문에, 친수화제의 이행 억제 효과가 발휘된다.
제 1 부직포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권축 섬유(A)를 포함한다. 그리고,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은 800μm 이하이며, 7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0μm 이하인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800μm 이하이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 가능한 부직포 적층체가 얻어진다. 권축 부분의 쿠션성을 높게 하고,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은 20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70μ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권축 직경이란, 1주(周) 이상의 크림프를 형성하는 권축 섬유에 있어서, 크림프의 크기를 나타내고, 평균 권축 직경은, 크림프의 크기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평균 권축 직경은,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우선, 측정 대상이 되는 부직포층으로부터, 측정용 샘플을 채취한다. 다음으로, 측정용 샘플을, 광학식 현미경(니콘사제, 「ECLIPSE E400」)의 현미경 스테이지에 배치한다. 이어서, 배율 4배로, 부직포의 표면(평면)을 관찰하고, 권축 섬유 중, 권축 섬유의 크림프 형상이, 반원 이상의 원의 형상이 되어 있는 권축 섬유에 대하여, 무작위로 50점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선택한 권축 섬유의 직경을, 광학식 현미경에 부속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Pixs2000」에 의해 측정한다. 권축 섬유의 직경은,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의 직경 측정 기능에 의해, 원주 상의 3점을 선택해서 계측한다. 권축 섬유의 직경을 50개소 계측하고, 이 평균치를 산출하여, 평균 권축 직경으로 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제 2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직포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종래 공지된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은,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카드식 에어 스루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니들 펀치식 스펀본드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에는,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과는 상이한 평균 권축 직경을 갖고 있고, 평균 권축 직경이 500μm 이상인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과 친수성을 겸비한 부직포로 하기 위해서 권축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친수화제를 포함시킨 경우, 부직포가 CD 방향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보인다. 한편,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전술한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를 제조할 때에, CD 방향의 줄어듦이 억제되고, 안정된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 2 부직포층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는,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경향이 있다.
제 2 부직포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비권축 섬유(C)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이,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비권축 섬유(C)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은, 7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500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제 2 부직포층이,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비권축 섬유(C)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상기 제 1 부직포층이 최외층이어도 된다. 이 경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6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이와 같은 층 구조이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제 2 부직포층이 비권축 섬유(C)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제 2 부직포층은 비권축 섬유(C) 이외의 그 밖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권축 섬유(B), 권축 섬유(B) 이외의 권축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섬유는, 장섬유여도 되고, 단섬유여도 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단섬유」란, 대략 평균 섬유 길이 200mm 이하의 섬유를 의미한다.
제 2 부직포층은, 비권축 섬유(C) 및 비권축 섬유(C) 이외의 그 밖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으로서,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카드식 에어 스루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니들 펀치식 스펀본드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또한, 제 2 부직포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전술한 권축 섬유(B)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권축 섬유(B)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우수한 유연성과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권축 섬유(B)의 평균 권축 직경은, 500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μ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650μ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B)의 평균 권축 직경은 1,5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A)와 권축 섬유(B)의 평균 권축 직경이 서로 상이하고, 권축 섬유(A)와 권축 섬유(B)의 평균 권축 직경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한편, 제 2 부직포층에 권축 섬유(B)를 포함하는 경우, 권축 섬유(A)와 권축 섬유(B)의 평균 권축 직경의 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μm 이상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이 전술한 권축 섬유(B)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제 2 부직포층은 권축 섬유(B) 이외의 그 밖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권축 섬유(B) 이외의 권축 섬유, 전술한 비권축 섬유(C)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섬유는, 장섬유여도 되고, 단섬유여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은, 권축 섬유(B) 및 권축 섬유(B) 이외의 그 밖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으로서,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카드식 에어 스루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니들 펀치식 스펀본드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이어도 된다.
제 2 부직포층이,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인 권축 섬유(B)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부직포의 층인 경우, 제 1 부직포층은,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의 최외층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6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400μ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부직포 적층체를,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가 보다 얻어지기 쉬워진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제 1 부직포층을 복수 갖고 있어도 되고, 제 2 부직포층을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의 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후술하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제 1 부직포층 상, 제 2 부직포층 상, 2층의 제 1 부직포층 사이, 2층의 제 2 부직포층 사이, 제 1 부직포층과 제 2 부직포층 사이 등에 멜트블론 부직포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후술하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제 1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부직포 적층체가 제 2 부직포층을 구비하는 경우, 제 1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제 2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부직포층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즉,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A),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섬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스터계 중합체, 폴리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들 중합체를 복수종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1 부직포층에 권축 섬유(A) 이외의 그 밖의 섬유가 포함되는 경우, 혹은 제 2 부직포층에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 이외의 그 밖의 섬유가 포함되는 경우, 당해 그 밖의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각각 독립적으로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스터계 중합체, 폴리아마이드계 중합체, 이들 중합체를 복수종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는 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이고, 폴리에스터계 중합체는 폴리에스터를 구조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이며, 폴리아마이드계 중합체는 폴리아마이드를 구조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올레핀계 중합체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에틸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8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프로필렌과 공중합하는, 바람직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몰%∼1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1몰%∼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상이한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2종 이상 포함해도 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해도 된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 대하여,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동등한 경우, 이와 같은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 분류한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주체로 하는 중합체이고,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α-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중합체는, 상이한 에틸렌계 중합체를 2종 이상 포함해도 되고, 에틸렌계 중합체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해도 된다.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밀도는, 900kg/m3∼980kg/m3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사성의 관점에서, 910kg/m3∼980kg/m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50kg/m3∼980kg/m3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술한 밀도는, 권축 직경의 관점에서, 900kg/m3∼960kg/m3인 것이 바람직하고, 900kg/m3∼940kg/m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밀도는, 방사성과 권축 직경의 균형의 관점에서 910kg/m3∼940kg/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 및 밀도를 전술한 범위로 각각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에 있어서, 밀도와 융점 사이에는 상관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Tm)은, 1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ASTM D-1238, 230℃, 하중 2,160g)는, 방사성의 관점에서, 10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g/10분∼7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중합체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ASTM D-1238, 190℃, 하중 2,160g)는, 방사성의 관점에서, 1g/10분∼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g/10분∼7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가 비권축 섬유(C)인 경우, 비권축 섬유(C)는,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여도 되고,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여도 된다. 비권축 섬유(C)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가 권축 섬유(B)인 경우,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권축 섬유(A), 및 권축 섬유(B)는, 1종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여도 되고,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여도 된다.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권축 섬유(A),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권축 섬유(B)가 복합 섬유인 경우, 복합 섬유는, 예를 들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동심 심초형 또는 편심 심초형이어도 된다. 편심 심초형의 복합 섬유는, 심부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노출형이어도 되고, 심부가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는 비노출형이어도 된다.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권축 섬유(A)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권축 섬유(B)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권축 복합 섬유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치수 안정성과 유연성을 양립시키는 부직포 적층체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제 1 부직포층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이고,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차가, ±15℃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엠보스 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저융점측의 중합체 부분이 비교적 유연해지는 관점, 및 저온에서 엠보스 처리를 실시했을 때에 고융점측의 중합체 부분이 적합하게 열교락을 하여,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차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부분이 열교락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측의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B) 또는 상기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측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그의 조합으로 해도 된다.
한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Tm)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 흡열 곡선의 극값을 부여하는 온도보다 50℃ 정도 높은 온도까지 승온하고, 이 온도에서 10분간 유지한다. 그 후, 강온 속도 10℃/분으로 30℃까지 냉각하고, 재차, 승온 속도 10℃/분으로 소정의 온도까지 승온했을 때의 융해 곡선을 측정한다. 이러한 융해 곡선으로부터, ASTM D3418의 방법을 모방하여, 융해 흡열 곡선의 극값을 부여하는 온도(Tp)를 구하고, 이러한 피크 온도의 흡열 피크를 융점(Tm)으로서 구할 수 있다.
권축 섬유(A) 및 권축 섬유(B)가 복합 섬유인 경우, 권축 섬유의 표면에 노출된다란,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은 측을 가리킨다.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은 측이란, 복합 섬유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가 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는 측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 있어서,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많은 측을 총칭하여, 초부라고 칭한다. 또한,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적은 측을 총칭하여, 심부라고 칭한다. 한편,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가장 많아지는 복합 섬유(즉, 초부가 가장 큰 복합 섬유)는, 심부의 노출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에, 비노출형의 복합 섬유가 된다.
복합 섬유가 심초형인 경우, 초부와 심부의 질량비(심부/초부)로서는, 예를 들면, 95/5∼5/95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0∼10/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40/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초부와 심부의 질량비는, 초부와 심부에 이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목적으로 하는 평균 권축 직경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부직포층 및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평균 섬유 직경은, 2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평균 섬유 직경은, 다음과 같이 해서 구해진다.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0mm×10mm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하고, 니콘사제 ECLIPSE E400 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 20배로, 섬유의 직경을 μm 단위로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읽어낸다. 1시험편마다 임의의 20개소의 직경을 측정하고, 평균치를 구한다. 이것을 각 부직포층,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 멜트블론 부직포층 등에서 행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3.0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8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6μ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0μm 초과이면 되고, 0.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블론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의 측정 방법은, 현미경의 배율을 적절히 조정(예를 들면 1,000배로 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 이외에는 앞서 기술한 대로이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의 α-올레핀의 단독 혹은 공중합체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계 중합체(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 폴리 1-뷰텐, 폴리 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나일론-6, 나일론-66, 폴리메타자일렌 아디파마이드 등의 폴리아마이드계 중합체; 폴리염화 바이닐, 폴리이미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아이오노머, 열가소성 폴리유레테인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올레핀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수 2 이상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프로필렌은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2 이상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프로필렌은 제외한다)으로서는, 탄소수 2∼10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예를 들면,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3-메틸-1-뷰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8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융점(Tm)은, 1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7℃∼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전체 구조 단위에 대해, 0.5질량%∼2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복수의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혼합한 혼합물이어도 된다. 전술한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혼합물,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의 혼합물,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의 3종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는, 비교적 분자량이 낮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즉 왁스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00∼3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25,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10,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왁스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의 측정은, GPC법을 이용하여 행한다.
측정은, 시판 중인 단분산 표준 폴리스타이렌을 표준으로 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행한다.
장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Alliance GPC2000형(Waters사제)
용제: o-다이클로로벤젠
컬럼: TSKgel 컬럼(도소사제)×4
유속: 1.0ml/분
시료: 0.3% o-다이클로로벤젠 용액
온도: 140℃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의 Mw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보다 가늘게 하기 쉬워지고, 또한 용융 섬유 토출 시의 쇼트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는, JIS K2207:1996에 따라 측정되는 연화점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점이 90℃ 이상이면, 열처리 시, 사용 시 등에 있어서의 내열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결과로서 멜트블론 부직포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화점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68℃ 이하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또는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 ASTM D 1238, 230℃, 하중 2,160g)는 예를 들면, 섬유를 가늘게 하고, 유연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는 관점에서, 200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g/10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멜트 플로 레이트는 방사 안정성의 관점에서, 2,00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60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부직포 적층체로 한 후의 유연성의 관점에서, 5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g/m2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리어성의 관점에서, 0.2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7g/m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대로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서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8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3μm 미만이며,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3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직포 적층체로 한 후의 유연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서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2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혼합물이고,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5g/m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부직포 적층체로 한 후의 유연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있어서, 제 1 부직포층은,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인 제 2 부직포층, 멜트블론 부직포층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부직포 적층체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1 부직포층, 제 1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멜트블론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제 2 부직포층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 적층체가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통기성이 저하되고, 배리어성(입자 포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필터 용도, 미세한 입자물을 싸는 용도(기저귀, 애완동물 시트의 흡수체의 포장재) 등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로 하는 경우,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포함하지 않는 부직포 적층체에 비해 유연성, 특히 캔틸레버치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제 1 부직포층과, 제 2 부직포층과,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유연성의 악화를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에서 평량,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 등을 전술한 범위로 하는 것, 전술한 열가소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 등으로, 전술한 유연성의 악화를 보다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 부직포층, 제 2 부직포층 및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는, 필요에 따라서, 통상 이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내열 안정제, 내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활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등의 여러 가지 공지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화제를 포함한다. 친수화제는, 더 분류하면 침투제와 습윤제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침투제 및 습윤제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침투제는 포함하지 않고, 습윤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친수성이 우수하고, 친수화제의 이행 억제 효과를 보다 한층 발휘하는 관점에서, 친수화제로서, 침투제 및 습윤제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는, 침투제로서, 설폰산염 및 황산 에스터염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폰산염으로서는,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설포석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설폰산염은,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황산 에스터염으로서는,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터염, 알킬 황산 에스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황산 에스터염은,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친수화제는, 침투제로서, 설폰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폰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침투제로서의 설폰산염은,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되는 관점에서, 알킬설포석신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설포석신산염은, 다이알킬설포석신산의 알칼리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8∼16인 알킬기를 2개 가지는 다이알킬설포석신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이알킬설포석신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그의 리튬염, 그의 나트륨염, 그의 칼륨염 등을 들 수 있고, 그의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8∼16인 알킬기를 2개 가지는 다이알킬설포석신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옥틸설포석신산 나트륨염, 다이(2-에틸헥실)설포석신산 나트륨염, 다이데실설포석신산 나트륨염, 다이도데실설포석신산 나트륨염, 다이테트라데실설포석신산 리튬(Li)염, 다이헥사데실설포석신산 칼륨(K)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되는 관점에서, 다이(2-에틸헥실)설포석신산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는, 습윤제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습윤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또는 알켄일) 트라이메틸암모늄 할라이드, 다이알킬(또는 알켄일) 다이메틸암모늄 할라이드로 대표되는 4급 암모늄염, 및 알킬아민염, 및 이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 인산 나트륨으로 대표되는 인산 에스터염이나, 라우르산 나트륨으로 대표되는 지방산염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들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염을 들 수 있다.
습윤제는, 우수한 친수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습윤제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알코올,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콕시화 알킬페놀, 지방산 아마이드, 알킬다이에탄올아마이드, 폴리옥시알킬렌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우수한 친수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친수화제는, 습윤제로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각각,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및 트라이에스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각각,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및 트라이에스터 중, 1종을 단독으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를 들 수 있다.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및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모두, 글리세린 또는 소비탄과, 탄소수 10∼20의 지방산의 에스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글리세린 올레산 다이에스터, 글리세린 올레산 트라이에스터, 소비탄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소비탄 라우르산 다이에스터, 소비탄 라우르산 트라이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10∼2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쇄(EO쇄라고도 한다)의 부가 몰수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 모노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다이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모노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다이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글리세린과, 탄소수 10∼20의 지방산의 에스터로서,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가 몰수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라우르산 다이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라우르산 트라이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는, 우수한 친수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습윤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와,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의 조합으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의 조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올레산 다이에스터와,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라우르산 다이에스터 및 트라이에스터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다이에스터의 조합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조합으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와,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글리세린 올레산 다이에스터 및 글리세린 올레산 트라이에스터와,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모노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다이에스터의 조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와,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의 조합으로서는, 소비탄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다이에스터 및 트라이에스터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모노에스터 및 다이에스터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소비탄 라우르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에스터에 더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모노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다이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트라이에스터를 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습윤제에 대한 침투제의 비(침투제/습윤제)는, 질량비로, 1/99∼6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5/95∼5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90∼40/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습윤제/침투제의 질량비가 이 범위이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되기 쉽다.
친수화제는, 헥세인/물의 1/1(질량비) 혼합액 20ml에 대해서, 상기의 친수화제를 0.02g 가하고, 친수화제가 가해진 후의 혼합액을 교반했을 때, 1분 후에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친수화제의 분리 시험이라고도 칭한다.). 이 분리 시험은, 친수화제 전체로서, 물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에 대한 친화성의 지표가 된다고 생각된다. 친수화제가 유상과 수상으로 분리되는 경우는, 물에 대한 친화성이 보다 높고, 분리되지 않는 경우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에 대한 친화성이 보다 높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상기 분리 시험에 의해 분리되는 친수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친수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친수화제는, 침투제/습윤제의 질량비가 1/99∼6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40/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친수화제의 분리 시험은, 측정 대상이 되는 부직포로부터 분석하는 경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하면 된다. 우선, 100g 이상의 부직포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준비한 부직포를 에탄올에 침지하고 25℃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추출액 A를 얻는다. 부직포를 다른 에탄올에 침지하고 25℃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추출액 B를 얻는다. 추출액 A 및 추출액 B를 탈기하면서 80℃로 가온하고, 에탄올을 충분히 제거하여, 잔사를 얻는다. 이어서, 잔사를 혼합하고, 잔사를 친수화제의 분리 시험에 제공한다.
친수화제의 도포량은, 0.1질량%∼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질량%∼1.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질량%∼1.2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친수화제의 도포량이 이 범위이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되기 쉽다. 한편, 친수화제의 도포량은, 친수화제를 도포한 후의 부직포의 질량으로부터, 친수화제를 도포하기 전의 부직포의 질량을 빼고, 이것을 친수화제를 도포한 후의 부직포의 질량으로 나눈 백분율로 표시된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친수화제의 도포량은, 니딩법의 경우도 도포량으로서 포함되는 개념이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방담제, 활제, 염료, 안료, 내광 안정제, 블로킹 방지제, 분산제, 핵제, 유연제, 발수제, 충전제, 천연유, 합성유, 왁스, 항균제, 방부제, 소광제, 방청제, 방향제, 소포제, 방미제, 방충제 등의 여러 가지 공지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성분은,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이하, 전사량이라고도 칭한다.)이, 0.015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3g/m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1g/m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사량이 상기 범위이면,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된다. 전사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한편, 전사량의 상기 범위는, 예를 들면, 부직포 적층체에 함유시키는 친수화제의 종류, 양 및 도포 방법 등의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이, 0g/m2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01g/m2 이상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질소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질소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질소 흡착 면적에 대한 수증기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수증기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비(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표면 질소 흡착 면적, 이하, 면적비라고도 칭한다.)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면적비는,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면적비는, 부직포 표면적당의 친수성과 소수성의 균형의 지표가 된다. 면적비가 상기 범위이면, 부직포는,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이 억제된다. 수증기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수증기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측정 방법 및 질소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질소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질소 흡착 면적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한편, 표면 질소 흡착 면적에 대한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비의 상기 범위는, 예를 들면, 부직포 적층체에 함유시키는 친수화제의 종류, 양 및 도포 방법 등의 제조 조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으로, 0.1N/mm의 인장 응력을 가한 경우의 폭 유지율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N/mm의 인장 응력을 가한 경우의 폭 유지율이 75% 이상임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의 5% 연신 시의 인장 강도가 2.2N/5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N/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압착부와 비압착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압착부의 면적률은, 7%∼20%인 것이 바람직하고, 8%∼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착부의 면적률은,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0mm×10mm의 크기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시험편의 엠보스 롤과의 접촉면을 전자 현미경(배율: 100배)으로 관찰하고, 관찰한 시험편에 대해, 열압착된 부분의 면적의 비율로 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유연성의 관점에서, 하기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KES법으로 측정한 압축 일량 WC가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KES법으로 측정한 압축 특성 시험에 있어서의 압력 0.5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O와, KES법으로 측정한 압력 50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M의 차(TO-TM)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KES(Kawabata Evaluation System)법이란, 부직포의 감촉을 계측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압축 일량 WC, 압력 0.5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O, 및 압력 50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M은, 가토 테크 주식회사제의 시험기 KES-FB3-A에 의해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면적 2cm2의 원형 평면을 가지는 강제(鋼製) 가압판 사이에서, 압축 변형 속도 0.020mm/sec로, 0gf/cm2부터 최대 압력 50gf/cm2까지 시료를 압축하고, 원래대로 되돌리는 동안에 측정을 행한다.
압축 일량 WC는, KES법에 의한 압축 시험에 있어서의 압축 일량을 나타낸다. 부직포 적층체의 유연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압축 일량 WC는, 0.15gf·cm/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7gf·cm/cm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축 일량 WC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gf·cm/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0.5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O는, KES법에 의한 압축 시험에 있어서의 압력 0.5gf/cm2에서의 두께이고, 초기 두께를 나타낸다. TO는, 0.4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력 50gf/cm2에 있어서의 두께 TM은, KES법에 의한 압축 시험에 있어서의 압력 50gf/cm2에서의 두께이고, 최대 압축 시의 두께를 나타낸다. TM은, 0.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O-TM은, 상기 TO와 상기 TM의 차이다. TO-TM이 클수록, 벌키성이 우수하다. TO-TM은, 0.2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O-TM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JIS L 1096:2010에 준한 프레이저 통기도 측정기에 의한 압력차 125Pa에서의 유량의 조건에서 측정한 통기도가 500cm3/cm2/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cm3/cm2/sec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0cm3/cm2/sec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0cm3/cm2/sec 이상이어도 되고, 50cm3/cm2/sec 이상이어도 된다.
부직포 적층체의 통기도가 상기 범위이면, 적당한 통기성 및 배리어성이 얻어진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는 강도가 우수하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멜트블론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범위의 통기도가 얻어지기 쉽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부직포 적층체에 친수화제를 포함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친수화제를 이겨 넣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니딩법).
(2): 친수화제를 섬유 표면에 부착시켜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도포법).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방법 1(니딩법): 열가소성 중합체의 원료에 친수화제를 혼합하는 공정과, 친수화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
방법 2(도포법):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부직포에 친수화제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갖는 방법.
부직포를 형성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공지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법, 공지된 단섬유 부직포의 제조법에 의해 부직포 적층체를 형성하면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가, 스펀본드 부직포로 구성된 제 1 부직포층과, 스펀본드 부직포로 구성된 제 2 부직포층인 경우,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는, 하기의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열가소성 중합체를 용융 방사하여 제 1 연속 섬유를 형성하는 공정(제 1 방사 공정)
이동 포집 부재 상에, 제 1 연속 섬유를 퇴적시켜 제 1 부직웹을 형성하는 공정(부직웹 형성 공정)
제 2 열가소성 중합체를 용융 방사하여 제 2 연속 섬유를 형성하는 공정(제 2 방사 공정)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연속 섬유를 퇴적시켜 제 2 부직웹을 형성하여 적층 부직웹을 형성하는 공정(적층 부직웹 형성 공정)
적층웹을 교락하는 공정(교락 공정)
방법 1에서는, 제 1 열가소성 중합체 및 제 2 열가소성 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에 친수화제를 혼합하는 공정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이 공정에서는, 제 1 열가소성 중합체 및 제 2 열가소성 중합체 중 적어도 한쪽의 방사 원액에 친수화제를 혼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 1 방사 공정에서는, 이동 포집 부재 상에 제 1 연속 섬유를 퇴적시킬 때까지의 사이에, 냉각하여 연신하는 공지된 과정이 포함된다. 제 2 방사 공정도 마찬가지로,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연속 섬유를 퇴적시킬 때까지의 사이에, 냉각하여 연신하는 공지된 과정이 포함된다.
교락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교락 처리를 들 수 있다. 유연성과 강도(라인 적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교락 처리는, 엠보스 롤에 의한 열압착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면적률이 7%∼20%인 엠보스 롤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2에서는, 교락 처리를 거친 후의 부직포 적층체에, 친수화제를 부직포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갖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드로잉 공정, 건조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친수화제를 부직포에 부착할 수 있으면, 부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친수화제의 부착은, 친수화제를 용매(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휘발성 유기 용제나 물)에 용해시킨 용액을 부직포에 대해서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를 부직포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디핑(침지), 롤 코팅(그라비어 코팅, 키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다이 코팅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도포」는, 「디핑(침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부직포 적층체에 친수화제를 부착시킴에 있어서, 친수화제를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친수화제의 용액으로 하고, 친수화제의 용액을 부직포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의 용액을 도포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친수화제의 용액은, 침투제 및 습윤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유효 성분의 총량으로서, 0.1질량%∼30질량%의 용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제의 용액은, 목적에 따라, 항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소광제, 안료, 방청제, 방향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멜트블론법에 의한 용융 방사를 행하여, 섬유를 적층시켜서 제 1 부직웹 상에 멜트블론웹을 형성하고, 멜트블론웹 상에, 제 2 연속 섬유를 퇴적시켜 제 2 부직웹을 형성하여 적층 부직웹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방법 1에서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에 친수화제를 혼합해도 된다.
<복합 적층체>
본 개시의 복합 적층체는,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본 개시의 복합 적층체는,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와,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이외의 다른 층이 적층된 복합 구조여도 된다. 다른 층은,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한편, 본 개시에 있어서,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이외의 다른 층이 마련된 적층체를 「복합 적층체」라고 칭한다.
다른 층으로서는, 편포, 직포,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이외의 부직포(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 등의 섬유 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이외의 부직포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론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시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는, 코튼 등의 천연 섬유의 시트상물이어도 된다. 또한 「장섬유」란, 부직포 편람(INDA 미국 부직포 공업회편, 주식회사 부직포 정보, 1996년)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연속 장섬유(continuous filament)」를 말한다.
또한, 다른 층으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의 수지 필름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은 조합해서 적층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와, 수지 필름과, 코튼 등의 천연 섬유의 섬유 집합체가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와 적층하는 필름으로서는, 적층체가 통기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통기성 필름, 투습성 필름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필름으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된 통기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습성을 갖는 폴리유레테인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필름, 무기 입자 또는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다공화해서 이루어지는 다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다공 필름에 이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소위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의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부직포 적층체가 통기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공화되어 있지 않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다른 층을 추가로 적층하는(첩합(貼合)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엠보스 가공, 초음파 융착 등의 열융착법, 니들 펀치, 워터 제트 등의 기계적 교락법, 핫 멜트 접착제, 유레테인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피복 시트>
본 개시의 피복 시트는,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피복 시트는,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 또는 복합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피복 시트는, 대상이 되는 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기 위한 시트를 가리킨다. 피복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용도를 들 수 있다. 피복 시트가 적용되는 용도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물품(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팬츠, 생리 용품, 소변 패드, 애완동물용 시트 등의 톱 시트, 세컨드 시트, 흡수체용(펄프·고분자 흡수체 입자)의 포장재(코어 랩(core wrap) 등); 화장용 재료(페이스 마스크 등); 위생 재료(습포재, 시트, 타월, 산업용 마스크, 위생용 마스크, 헤어 캡, 거즈, 일회용 속옷 등); 포장용 재료(탈산소제, 핫팩, 온습포, 식품 포장재) 등을 들 수 있다. 또, 의복 커버 등의 생활 자재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 내장재나 각종 배킹재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필터, 에어 필터 등의 필터 자재로서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부직포 적층체는, 이하의 실시태양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치 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1) 평량〔g/m2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00mm(흐름 방향: MD)×100mm(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CD)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했다. 시험편의 채취 장소는, CD 방향에 걸쳐서 10개소로 했다. 이어서, 23℃, 상대습도 50%RH 환경하에서, 채취한 각 시험편에 대해서 윗접시 전자 천칭(겐세이 공업사제)을 이용하여, 각각 질량〔g〕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질량의 평균치를 구했다. 구한 평균치로부터 1m2당의 질량〔g〕으로 환산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평량〔g/m2〕으로 했다.
(2) 두께〔mm〕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00mm(MD)×100mm(CD)의 시험편을 10점 채취했다. 시험편의 채취 장소는, 평량 측정용의 시험편과 마찬가지의 장소로 했다. 이어서, 채취한 각 시험편에 대해서 하중형 두께계(오자키 제작소사제)를 이용하여, JIS L 1096:2010에 기재된 방법으로 두께〔mm〕를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두께의 평균치를 구하고, 소수점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두께〔mm〕로 했다.
[유연성의 평가]
(3) WC치(압축 일량)〔gf·cm/cm2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50mm(MD)×150mm(CD)의 시험편을 2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CD 방향에 걸쳐서 2개소로 했다. 이어서, 시험편을 가토 테크(주)제의 KES-FB3-A에 의해, 측정 조건으로서, 20℃, 상대습도 50%RH 환경하에서, 압축자(압축 면적 2cm2의 원형 평면을 가지는 강제 가압판)를 이용하여, 압축 변형 속도 0.020mm/sec, 최대 압력 50gf/cm2에서 압축 시험을 행하고, 소수점 셋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WC치〔gf·cm/cm2〕로 했다.
[벌키성의 평가]
(4) TO(압력 0.5gf/cm2에 있어서의 두께)-TM(압력 50gf/cm2에 있어서의 두께)〔mm〕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150mm(MD)×150mm(CD)의 시험편을 2점 채취했다. 한편, 채취 장소는 CD 방향에 걸쳐서 2개소로 했다. 이어서, 시험편을 가토 테크(주)제의 KES-FB3-A에 의해, 측정 조건으로서, 20℃, 상대습도 50%RH 환경하에서, 압축자(압축 면적 2cm2의 원형 평면을 갖는 강제 가압판)를 이용하여, 압축 변형 속도 0.020mm/sec, 최대 압력 50gf/cm2에서 압축 시험을 행하여, TO〔mm〕 및 TM〔mm〕을 측정했다.
각 시험편의 TO〔mm〕 및 TM〔mm〕의 평균치를 구하고, 소수점 셋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TO〔mm〕 및 TM〔mm〕으로 했다. 각 부직포 샘플의 TO-TM〔mm〕을 계산했다.
(5) 캔틸레버법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에 대하여, JIS L 1913:2010의 캔틸레버법(ISO법)에 준거해서, MD 방향 및 CD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강연도를 측정했다.
[강도의 평가]
(6) 인장 강도, 및 5% 연신 시의 강도〔N/50mm〕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에 대하여, JIS L 1906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폭 50mm×길이 200mm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척간 거리 100mm, 헤드 스피드 100mm/min으로 MD: 5점을 측정하고, 평균치를 산출하여, 인장 강도(N/50mm)를 구했다. 또한 측정 프로그램에서, 5% 연신 시(척간: 105mm)에 기록된 강도를 5% 연신 시의 강도로 했다.
[치수 안정성의 평가]
(7) 폭 유지율〔%〕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에 대하여, 폭 200mm×길이 450mm(채취할 수 없는 경우는 폭 100mm×길이 450mm)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균일에 가까운 상태로 인장하는 것이 가능한 지그에 의해 폭 방향의 양단을 협지한다. 한편, 지그간의 거리는 350mm로 한다. 인장 시험기에 세팅하여, 0.1N/mm의 장력으로 인장하고, 그때의 폭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의해, 폭 유지율(%)을 구한다.
폭 유지율(%)={인장 시의 폭(mm)/초기의 폭(mm)}×100
(8) 건조로(爐) 적성
폭 유지율이 75% 미만인 경우는, 건조로 적성 불량이라고 판단했다(표 중 「B」로 표기). 폭 유지율이 75% 이상인 경우는, 건조로 적성 양호라고 판단했다(표 중 「A」로 표기).
[친수성의 평가]
(9) 액 흐름 거리〔mm〕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를 100mm×200mm의 사이즈로 커팅하여, 시료로 했다.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도로 경사시켜 고정한 판 상에, 여과지(No. 2, 아드반테크사제)를 5매 겹쳐 두고, 여과지 위에 시료를 두고, 시료의 긴 방향의 양단을 여과지와 함께 판 상에 고정했다. 25℃의 환경하에서, 시료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약 10mm의 높이로부터, 스포이드로 인공뇨를 0.1ml 낙하시키고, 액적의 낙하점부터 액적이 완전히 흡수된 점까지의 거리를 계측하여, 액 흐름 거리(mm)로 했다.
액 흐름 거리는,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인공뇨는, 표면 장력이 70±2mN/m인 염화 나트륨의 수용액(9g/리터)을 이용했다.
(10) 스트라이크 스루 시험
EDANA(유럽 부직포 공업회) 규격 NWSP 070.8.R0(15)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그 중 1회째의 결과와 3회째의 결과를 기록했다.
[친수화제의 이행성 평가]
(11) 이행성 평가
각 예에서 얻어진 부직포 적층체를 100mm×100mm의 사이즈로 커팅했다. 또한 평량 25g/m2의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친수화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부직포(피전사 부직포)를 100mm×100mm의 사이즈로 커팅했다. 2개의 부직포를 합치고, 추가로 단면적 100mm×100mm의 4kg의 추를 올렸다. 한편, 추 및 바닥면에 대한 친수화제의 전이를 막기 위해, 필름으로 싸도 된다. 추를 올린 부직포를 60℃, 상대습도 80%의 환경하에 1주간 방치했다. 피전사 부직포를 취출하고, 물을 0.2ml 적하하여, 물의 침입을 평가했다. 침입한 경우는, 친수성이 강하게 발현되고 있어, 친수화제 이행성 불량이라고 판단했다(표 중 「C」로 표기). 침입해 있지만, 친수성의 발현이 약한 경우는, 친수화제 이행성 불량이라고 판단했다(표 중 「B」로 표기). 침입하지 않았던 경우는, 친수성이 발현되고 있지 않아, 친수화제이행성 양호라고 판단했다(표 중 「A」로 표기).
(12)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
상기와 같이 제작한 피전사 부직포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신속 잔지(殘脂) 추출 장치 OC-1형(인텍 주식회사제)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으로부터 완전히 용제를 증류 제거시키고, 전사한 친수화제의 질량을 구했다. 그리고 하기의 식으로부터, 친수화제 부착률 C%, 및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 전사한 친수화제량 W3(g/m2)을 구했다. 한편, 본 측정에 최적인 부직포 질량은 2g 전후이기 때문에, 상기 피전사 부직포를 8∼10매 제작하여, 측정을 행했다.
C(%)=(W2/W1)×100
W1: 피전사 부직포의 부직포 질량(g)
W2: 추출액 중의 친수화제(=전사한 친수화제)의 질량(g)
W3(g/m2):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C(%)×25(g/m2)×100)
(13) 표면 질소 흡착 면적에 대한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비
마이크로트랙 벨 주식회사제 장치·BELSORP-max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해서 행했다. 우선, 부직포로부터 0.50g∼1.0g 정도의 샘플을 채취하고, 장치에 세팅했다. 이어서, 실온(25℃)에서 진공 배기에 의한 건조 처리를 8시간 행했다. 그 후, 수증기를 25℃에서, 도입 압력을 바꾸어 흡착시켜, 도입 압력마다의 수증기 흡착량을 플롯한 수증기 흡착 등온선을 측정했다. 그리고, 하기 BET식을 적용하여,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으로서의 비표면적〔m2/g〕을 구했다.
이어서, 수증기 대신에 질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수증기 흡착 시험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샘플 채취부터 시험을 행하고, 질소 흡착 등온선을 측정했다. 그리고, 하기 BET식에 의해, 표면 질소 흡착 면적으로서의 비표면적을 구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으로서의 비표면적과, 얻어진 표면 질소 흡착 면적으로서의 비표면적으로부터, 「(수증기에서의 비표면적)÷(질소에서의 비표면적)」에 의해, 그 비를 구했다.
BET식이란, 일정 온도에서, 흡착 평형 상태일 때, 흡착 평형압 P와, 그 압력에서의 흡착량 V의 관계를 나타낸 식이다.
(BET식): P/(V(P0-P))=1/(Vm×C)+{((C-1)/(Vm×C))×(P/P0)}
식 중, P0: 포화 수증기압(Pa), Vm: 단분자층 흡착량(mg/g), C: 흡착열 등에 관한 파라미터(-)<0이다. 본 관계식은, 특히 P/P0=0.05∼0.35의 범위에서 잘 성립된다.
[통기도의 측정]
부직포로부터, 150mm(MD)×150mm(CD)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JIS L 1096:2010에 준한 프레이저 통기도 측정기에 의해 압력차 125Pa에서의 유량의 조건에서 행했다. n=5의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도포량의 측정]
친수화제를 도포하기 전의 부직포의 질량(도포 전 질량)과, 친수화제를 도포·건조한 후의 부직포의 질량(도포 후 질량)을 측정하고, 친수화제의 도포량을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도포량(%)=[(도포 후 질량-도포 전 질량)/도포 후 질량]×100
[평균 권축 직경의 측정]
평균 권축 직경은, 앞서 기술한 측정 방법에 따라, 광학식 현미경에 부속된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Pixs2000」에 의해 측정했다.
<실시예 1>
(1층째 및 2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40/6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1)」이라고 한다)로부터, 제 1 부직웹(1층째) 및 제 2 부직웹(2층째)을 형성하고,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부직웹이 마련된 적층 부직웹을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2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3층째)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을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를 행하고, 비권축형 섬유(이하, 「비권축 섬유(NC1)」이라고 한다)로 형성되는 제 3 부직웹(3층째)을, 제 2 부직웹 상에 적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3층 구조의 적층웹의 평량은 17g/m2이고, 각 층의 평량은 거의 균등했다. 다음으로, 3층 구조의 적층웹을, 1층째의 부직포층측에 엠보스 롤이 접촉하고, 3층째의 부직포층측에 경면 롤이 접촉하도록, 125℃에서 열압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은 17g/m2이고, 압착부의 면적률은 11%였다. 실시예 1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하기 친수화제 A를 수용액에 용해시켜, 유효 성분의 총량이 5% 희석된 수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하기 친수화제 A의 수용액에 담근 후에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짰다. 이어서, 100℃의 건조로에서, MD 방향으로 5N/m의 장력을 건 상태로 1분간 건조시켰다. 친수화제를 부착시켜 얻어진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이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라고 한다.)의 물성을 앞서 기술한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에 부착되어 있는 친수화제의 질량을 상기 도포량의 측정에 따라, 건조 전후의 질량차와 친수화제의 농도로부터 구한 바, 도포량은 0.5질량%였다.
(친수화제 A)
다이(2-에틸헥실)설포석신산 Na: 20질량%
소비탄 라우르산 모노에스터/소비탄 라우르산 다이에스터/소비탄 라우르산 트라이에스터=2:3:5(질량비): 20질량%
폴리옥시에틸렌 모노라우르산 에스터(EO쇄 8몰 부가물)/폴리옥시에틸렌 라우르산 다이에스터(EO쇄 8몰 부가물)=4:6(질량비): 30질량%
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모노에스터(EO쇄 8몰 부가물)/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다이에스터(EO쇄 8몰 부가물)/폴리옥시에틸렌 소비탄 올레산 트라이에스터(EO쇄 8몰 부가물)=1:6:3(질량비): 30질량%
한편, 상기의 배합 비율(질량%)은, 친수화제 A 중의, 즉 친수화제 A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비율이다.
<실시예 2>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3>
총평량을 20g/m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4>
3층째의 부직포층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0.9%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4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3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85/15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2)」라고 한다)로부터 제 3 부직웹(3층째)을, 제 2 부직웹(2층째) 상에 적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7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의 2층째의 부직포층을 마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즉, 제 1 부직웹(1층째) 상에, 제 2 부직웹(2층째)을 적층한 2층 구조의 적층웹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제를 도포하여,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5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가 제 1 부직포층, 2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6>
2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비권축 섬유(NC1)로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0.9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6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2층째 및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7>
2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비권축 섬유(NC1)로 변경하고, 3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1)로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1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7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3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2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8>
1층째 및 2층째의 부직포층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고, 3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2)로 변경하고, 평균 권축 직경을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0.8%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8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1층째 및 2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60/4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3)」이라고 한다)로부터, 제 1 부직웹(1층째) 및 제 2 부직웹(2층째)을 형성하고,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부직웹이 마련된 적층 부직웹을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5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실시예 9>
3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4)로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9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3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80/2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4)」라고 한다)로부터, 제 3 부직웹(3층째)을, 제 2 부직웹(2층째) 상에 적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3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실시예 10>
압착부의 면적률을 18%가 되도록, 엠보스로 열압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0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11>
1층째 및 2층째를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1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1층째 및 2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40/6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5)」라고 한다)로부터, 제 1 부직웹(1층째) 및 제 2 부직웹(2층째)을 형성하고,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부직웹이 마련된 적층 부직웹을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3μm였다.
-심 성분-
MFR: 35g/10분,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2)
-초 성분-
MFR: 35g/10분, 융점 160℃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2)를 60%와, MFR 20g/10분, 에틸렌 함량 15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2)를 40% 포함하는 혼합물
<실시예 12>
친수화제 A를 하기 친수화제 B로 변경하고, 친수화제 B의 도포량을 0.8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2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친수화제 B)
다이(2-에틸헥실)설포석신산 Na: 20질량%
글리세린 올레산 다이에스터: 30질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다이라우르산 에스터/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트라이라우르산 에스터=4:6(질량비)(EO쇄 8몰 부가물): 20질량%
폴리옥시에틸렌 다이라우르산 에스터(EO쇄 8몰 부가물): 30질량%
한편, 상기의 배합 비율(질량%)은, 친수화제 B 중의, 즉 친수화제 B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비율이다.
<실시예 13>
친수화제 B의 도포량을 1.1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3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14>
친수화제 A를 하기 친수화제 C로 변경하고, 친수화제 C의 도포량을 1.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4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친수화제 C)
다이(2-에틸헥실)설포석신산 Na: 20질량%
글리세린 올레산 다이에스터/글리세린 올레산 트라이에스터=5:5(질량비): 50질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모노에스터(EO쇄 10몰 부가물)/폴리옥시에틸렌 올레산 다이에스터(EO쇄 10몰 부가물)=6:4(질량비): 30질량%
한편, 상기의 배합 비율(질량%)은, 친수화제 C 중의, 즉 친수화제 C의 수용액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비율이다.
<실시예 15>
친수화제 A를 하기 친수화제 D로 변경하고, 권축 복합 섬유 C1의 방사 원액의 원료 성분 100%에 대해, 1.1질량%의 비율로, 친수화제 D를 혼합하여 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즉, 실시예 15의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에서는, 친수화제 A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15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친수화제 D)
폴리옥시에틸렌(5몰) 스테아릴 에터: 50질량%
폴리옥시에틸렌(10몰) 스테아르산 아마이드: 25질량%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터: 25질량%
한편, 상기의 배합 비율(질량%)은, 친수화제 D 중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 전체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비율이다.
<실시예 16>
3층째의 부직포층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0.9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6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3층째)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을 스펀본드법에 의해 용융 방사를 행하고, 비권축형 섬유(이하, 「비권축 섬유(NC2)」라고 한다))로 형성되는 제 3 부직웹(3층째)을, 제 2 부직웹 상에 적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한편, 실시예끼리 보다 높은 기준으로 비교한 경우, 실시예 16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허용 범위이기는 하지만, 실시예 1∼15에 비해, 3층째의 엠보스에 의한 교락이 약한 편이어서, 부직포의 실 풀림이 생기기 쉬울 것이 염려되었다.
<실시예 17>
엠보스 열압착 온도를 130℃로 하고,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7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한편, 실시예끼리 보다 높은 기준으로 비교한 경우, 실시예 17의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는, 허용 범위이기는 하지만, 실시예 1∼15에 비해, 엠보스에 의한 교락으로, 1층째와 2층째의 엠보스 부분이 단단한 편이 되어, 감촉이 단단한 편이 되었다.
<비교예 1>
1층째∼3층째의 모든 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hPP1을 사용한 비권축 섬유(NC2)로 변경하고, 총평량을 15g/m2로 변경하고, 열압착의 온도를 135℃로 변경하고,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1층째∼3층째의 부직포층의 모든 층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고, 총평량을 17g/m2로 변경하고, 엠보스 열압착 온도를 1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1층째∼3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90/1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6)」이라고 한다)로부터 3층 구조의 적층 부직웹을 형성했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4.2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60g/10분, 융점 142℃, 에틸렌 함량 4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비교예 3>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5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4>
3층째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권축 섬유(NC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8>
1층째∼3층째의 부직포층의 모든 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5>
친수화제 A를 친수화제 B로 변경하고, 친수화제 B의 도포량을 1.1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친수화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9>
(1층째)
하기의 심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하기의 초 성분으로서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60/40인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7)」이라고 한다)로부터, 제 1 부직웹(1층째) 및 제 2 부직웹(2층째)을 형성하고, 제 1 부직웹 상에 제 2 부직웹이 마련된 적층 부직웹을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이 권축 복합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6.2μm였다.
-심 성분-
MFR: 60g/10분, 융점 16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
MFR: 25g/10분, 융점 115℃, 밀도 915kg/m3의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PE1)
(2층째 및 3층째)
심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hPP1), 초 성분으로서 에틸렌·1-뷰텐 랜덤 공중합체(PE1)을, 스펀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했다. 그리고,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가 75/25인 동심 심초형의 비권축 복합 섬유(이하, 「비권축 섬유(NC3)」이라고 한다)로 형성되는, 제 2 부직웹(2층째) 및 제 3 부직웹(3층째)을, 제 1 부직웹 상에 적층하여, 3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3층 구조의 적층웹의 평량은 18g/m2이고, 각 층의 평량은 거의 균등이었다. 다음으로, 3층 구조의 적층웹을, 1층째의 부직포층측에 엠보스 롤이 접촉하고, 3층째의 부직포층측에 경면 롤이 접촉하도록, 90℃에서 열압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의 총평량은 18g/m2이고, 압착부의 면적률은 11%였다. 실시예 1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2층째 및 3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구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은 1.0질량%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9에 있어서의 1층째의 부직포의 편심 심초형의 권축 복합 섬유(이하, 「권축 섬유(C8)」이라고 한다)의 심 성분/초 성분의 질량비를 40/60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1>
1층째, 2층째, 및 3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2)로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2>
1층째, 및 2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4)로 변경하고, 3층째의 부직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권축 섬유(C2)로 변경하고, 추가로 친수화제 A의 도포량을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스펀본드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이상의 표 1∼표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부직포 적층체는, 비교예의 부직포 적층체에 비해,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33>
(1층째 및 2층째)
우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1 부직웹(1층째,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 상에 제 2 부직웹(2층째,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 마련된 적층 부직웹을 이동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3층째)
다음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MB1∼MB5의 중합체를 이용하여, 0.38mmφ의 노즐을 갖는 방사 구금으로부터, 용융된 중합체를 토출시켜 멜트블론법에 의한 용융 방사를 행하여, 섬유를 전술한 적층 부직웹에 있어서의 제 2 부직웹에 퇴적시켰다. 이에 의해, 각각 표 5에 나타내는 평량을 갖는 멜트블론웹(3층째, MB)이 제 2 부직웹(2층째,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 상에 마련된 적층웹을 형성했다. 한편,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7 및 실시예 28에서는, MB1 및 MB2를 질량비로 90/10또는 80/20(MB1/MB2)으로 혼합한 중합체를 이용하고, 실시예 29 및 실시예 30에서는, MB3, MB2 및 MB4를 질량비로 40/20/40(MB3/MB2/MB4)으로 혼합한 중합체를 이용하고, 실시예 31에서는, MB3 및 MB2를 질량비로 60/40(MB3/MB2)으로 혼합한 중합체를 이용하고, 실시예 32에서는, MB2 및 MB4를 질량비로 60/40(MB2/MB4)으로 혼합한 중합체를 이용했다. 또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사 온도는, 실시예 23∼26의 MB1에서는 245℃이고, 실시예 27 및 실시예 28의 MB1 및 MB2를 혼합한 중합체에서는 250℃이고, 실시예 29 및 실시예 30의 MB3, MB2 및 MB4를 혼합한 중합체에서는 290℃이고, 실시예 31의 MB3 및 MB2를 혼합한 중합체에서는 300℃이고, 실시예 32의 MB2 및 MB4를 혼합한 중합체에서는 300℃이고, 실시예 33의 MB5에서는 300℃였다.
MB1: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MFR: 1,100g/10분, 중량 평균 분자량(Mw): 97,000)
MB2: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ExxonMobil사제: 제품명 「VistamaxxTM6202」, MFR(230℃, 2,160g 하중): 20g/10분, 에틸렌 함량: 15질량%〕
MB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MFR: 1,500g/10분, 중량 평균 분자량(Mw): 54000〕
MB4: 프로필렌계 중합체 왁스〔밀도: 0.900g/cm3, 중량 평균 분자량: 7,800, 연화점 148℃, 에틸렌 함량: 1.7질량%〕
MB5: 실시예 1에 기재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rPP1)
(4층째)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 3 부직웹(3층째,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을, 멜트블론웹 상에 적층하여, 4층 구조의 적층웹을 형성했다.
4층 구조의 적층웹의 3층째를 제외한 평량은 17g/m2이다. 다음으로, 4층 구조의 적층웹을, 1층째의 부직포층측에 엠보스 롤이 접촉하고, 4층째의 부직포층측에 경면 롤이 접촉하도록, 125℃에서 열압착하여, 부직포 적층체를 얻었다. 압착부의 면적률은 11%였다. 실시예 23∼33의 부직포 적층체는, 1층째 및 2층째가 제 1 부직포층에 상당하고, 4층째가 제 2 부직포층에 상당한다. 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부직포 적층체에 친수화제를 부착시켰다. 부직포 적층체에 부착되어 있는 친수화제의 질량을 상기 도포량의 측정에 따라, 건조 전후의 질량차와 친수화제의 농도로부터 구한 바, 도포량은 0.5질량%였다.
이상의 표 5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이 우수하고, 또한 다른 부재에 접촉했을 때의 친수화제의 이행을 억제하면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나아가서는,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 및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적층화한 태양에 있어서도 유연성이 확보되고 있었다.
2019년 3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42943호 및 2019년 10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196708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20)

  1.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평균 권축 직경이 800μm 이하인 권축 섬유(A)를 포함하는 제 1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친수화제를 함유하고,
    하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부직포 적층체.
    (1)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이며, 상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과는 상이한 평균 권축 직경을 갖고, 평균 권축 직경이 500μm 이상인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를 포함하는 제 2 부직포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직포층 및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이고,
    상기 제 1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상기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융점차가 ±15℃ 이내이다.
    (2) 에틸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권축 섬유(C)를 포함하는 제 2 부직포층을 구비하고, 비권축 섬유(C)는 초부 및 심부를 구비하고, 초부와 심부의 질량비(심부/초부)는 95/5∼75/25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직포층이 최외층이고,
    상기 권축 섬유(A)의 평균 권축 직경이 600μm 이하인, 부직포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권축 섬유(A)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권축 섬유(A)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올레핀계 중합체로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및 에틸렌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으로, 0.1N/mm의 인장 응력을 가한 경우의 폭 유지율이 75% 이상인, 부직포 적층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직포 적층체의 MD 방향의 5% 연신 시의 인장 강도가 2.2N/50mm 이상인, 부직포 적층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직포 적층체로부터 피전사 부직포로의 친수화제의 전사량이 0.015g/m2 이하인, 부직포 적층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소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질소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질소 흡착 면적에 대한 수증기 흡착 등온선의 BET식에 의해 얻어지는 수증기 흡착 시험에 있어서의 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의 비(표면 수증기 흡착 면적/표면 질소 흡착 면적)가 1.5∼9.0인, 부직포 적층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화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터, 및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부직포층에 포함되는 상기 섬유가 상기 비권축 섬유(C)인, 부직포 적층체.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권축 섬유(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상기 권축 섬유(B) 또는 상기 비권축 섬유(C)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각각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또는 그의 조합인 부직포 적층체.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고, 상기 제 2 부직포층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층이며, 압착부와 비압착부를 갖고, 상기 압착부의 면적률이 7%∼20%인, 부직포 적층체.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중합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블론 부직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부직포 적층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8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3μm 미만이며,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3g/m2 미만인 부직포 적층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200g/10분 이상인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혼합물이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층의 평량은, 5g/m2 미만인 부직포 적층체.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갖는, 복합 적층체.
  17. 제 12 항에 기재된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피복 시트.
  18. 제 16 항에 기재된 복합 적층체를 포함하는, 피복 시트.
  19. 삭제
  20. 삭제
KR1020217028013A 2019-03-08 2020-03-04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KR102565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42943 2019-03-08
JPJP-P-2019-042943 2019-03-08
JPJP-P-2019-196708 2019-10-29
JP2019196708 2019-10-29
PCT/JP2020/009186 WO2020184335A1 (ja) 2019-03-08 2020-03-04 不織布積層体、複合積層体、及び被覆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825A KR20210122825A (ko) 2021-10-12
KR102565496B1 true KR102565496B1 (ko) 2023-08-09

Family

ID=7242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013A KR102565496B1 (ko) 2019-03-08 2020-03-04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9998A1 (ko)
EP (1) EP3915777A4 (ko)
JP (1) JP7233519B2 (ko)
KR (1) KR102565496B1 (ko)
CN (1) CN113543966B (ko)
WO (1) WO2020184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9782A (zh) * 2021-01-27 2023-09-29 旭化成株式会社 纤维用亲水剂和非织造布
WO2023234224A1 (ja) * 2022-06-03 2023-12-07 エム・エーライフ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1192A1 (en) * 2001-01-29 2002-08-08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s of wind-shrink fiber and laminat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9612B1 (en) * 1994-10-31 2002-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density nonwoven filter media
EP0823506A3 (en) * 1996-08-05 1998-07-08 William J. Squires Flocked fabric with laid down fibers
JP4026926B2 (ja) * 1998-04-06 2007-12-26 三井化学株式会社 紙おむつ用トップシートおよび紙おむつ用多層不織布
JP4687091B2 (ja) * 1999-08-25 2011-05-25 東レ株式会社 ソフトストレッチ糸および布帛
JP2001340382A (ja) * 2000-05-31 2001-12-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8045241A (ja) * 2006-08-17 2008-02-28 Toray Ind Inc 熱接着性複合繊維および繊維集合体
US20110281088A1 (en) 2010-05-17 2011-11-17 Swap Loop Technology Company Limited Moisture absorptive and perspiratory cloth structure
WO2014022988A1 (en) * 2012-08-08 2014-02-13 Daiwabo Holdings Co., Ltd. Nonwoven, sheet for absorbent article from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KR102270876B1 (ko) * 2014-06-17 2021-06-29 주식회사 쿠라레 흡수성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73724A1 (en) 2014-11-06 2016-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rimped fiber spunbond nonwoven webs / laminates
WO2017145999A1 (ja) 2016-02-22 2017-08-31 旭化成株式会社 親水性嵩高不織布
US20190053960A1 (en) * 2016-03-04 2019-02-21 Mitsui Chemicals, Inc. Absorber and sanitary article
WO2018211843A1 (ja) * 2017-05-16 2018-11-22 出光興産株式会社 捲縮繊維及び不織布
JP2019042943A (ja) 2017-08-30 2019-03-2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ガスバリア積層体
EP3521496B1 (de) * 2018-01-31 2020-04-01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Spinnvlieslaminat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spinnvlieslaminates
JP6569772B1 (ja) 2018-05-07 2019-09-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1192A1 (en) * 2001-01-29 2002-08-08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s of wind-shrink fiber and laminat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84335A1 (ko) 2020-09-17
US20220119998A1 (en) 2022-04-21
CN113543966A (zh) 2021-10-22
JP7233519B2 (ja) 2023-03-06
WO2020184335A1 (ja) 2020-09-17
EP3915777A1 (en) 2021-12-01
EP3915777A4 (en) 2022-11-02
KR20210122825A (ko) 2021-10-12
CN113543966B (zh) 202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33B1 (ko) 혼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0776878B1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EP2463428A1 (en) Mixed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ame
US9074303B2 (en) Fibers, nonwoven fabric and uses thereof
KR101581521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2565496B1 (ko)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KR102036763B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20130131428A (ko) 부직포 적층체
KR20030017538A (ko) 부직포 적층체 및 그의 용도
KR20180108790A (ko) 흡수체 및 위생용품
JP6715056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衛生材料
JP5127690B2 (ja) 繊維及び不織布
US20030229326A1 (en) Hydrophilic meltblown pad
JP7318237B2 (ja) 不織布、積層体、被覆シート、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4029614B2 (ja) 親水性長繊維不織布、複合化不織布及びそれらを用いた吸収性物品
EP3722477B1 (en) Method for producing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spun-bonded nonwoven fabric
WO2023234224A1 (ja) 不織布積層体
JP7411950B2 (ja) 衛生材料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54452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7291358B2 (ja) 衛生材料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408647A (zh) 不織布積層體
TW202231948A (zh) 不織布及具備其之吸收性物品用之防漏片材
KR20230107820A (ko)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위생 재료
JP2022151210A (ja) 不織布積層体及び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