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710B1 - 화장용 도포구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710B1
KR102564710B1 KR1020217010024A KR20217010024A KR102564710B1 KR 102564710 B1 KR102564710 B1 KR 102564710B1 KR 1020217010024 A KR1020217010024 A KR 1020217010024A KR 20217010024 A KR20217010024 A KR 20217010024A KR 102564710 B1 KR102564710 B1 KR 10256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curved surface
base portion
curve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436A (ko
Inventor
요준 후미이와
Original Assignee
요준 후미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준 후미이와 filed Critical 요준 후미이와
Publication of KR2021008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Abstract

화장용 도포구(10)는 탄성을 갖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어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기둥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11)와, 베이스부(12) 및 돌출부(11)의 전역에 걸쳐 부착된 복수의 섬유(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포구
본 발명은 화장용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속눈썹에 마스카라 등의 화장료(化粧料)를 도포하기 위해서 화장용 도포구(塗布具)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로드와, 로드의 단부에 배치된 코어와, 코어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환 모양의 리브를 구비하고, 코어 및 복수의 리브에는 브러시모가 형성되어 있는 화장용 도포구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27575호 명세서
문헌 1과 같은 화장용 도포구를 이용하는 경우, 일단 분말상(粉狀)이나 액상의 화장료를 화장용 도포구로 유지하고, 피부나 속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한다. 이러한 화장용 도포구에서는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한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는, 탄성을 갖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어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기둥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와, 베이스부 및 돌출부 전역에 걸쳐 부착(貼付)된 복수의 섬유를 구비한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 따르면,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한 화장용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베이스부 및 토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돌출부 및 만곡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제1 베이스부 및 제1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제2 베이스부 및 제2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우선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거하여 설명한다.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는, 탄성을 갖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어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기둥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와, 베이스부 및 돌출부의 전역에 걸쳐 부착된 복수의 섬유를 구비한다.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의 베이스부에는 기둥 모양의 돌출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및 돌출부의 전역에 걸쳐 복수의 섬유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역에 걸쳐"란, 베이스부 및 돌출부의 모든 영역을 덮을 뿐 아니라, 베이스부 및 돌출부의 표면 일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섬유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화장료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베이스부 및 하나하나 독립하여 배치되는 기둥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특히 돌출부의 탄성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도포 대상의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표면의 요철을 따라 돌출부를 변형시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베이스부는 봉 모양으로 만곡한 만곡부를 포함해도 좋다. 만곡부는 만곡부의 측면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모양의 제1 만곡면과, 만곡부의 측면 일부를 구성하고, 제1 만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 모양의 제2 만곡면을 포함해도 좋다. 복수의 돌출부는 제1 만곡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제2 만곡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목 모양의 제1 만곡면 및 볼록 모양의 제2 만곡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포 대상의 표면 형상에 따라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복수의 제1 돌출부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1 돌출부끼리의 간격은 제2 돌출부끼리의 간격과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돌출부끼리의 간격과, 제2 돌출부끼리의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도포 대상에 따라 최적인 돌출부를 선택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만곡부는 제1 만곡면 및 제2 만곡면 쌍방과 교차하는 한 쌍의 측벽면을 포함해도 좋다. 제1 만곡면은 측벽면측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원호 모양이라도 좋다. 복수의 제1 돌출부는 각각 평행이며, 제1 만곡면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돌출부의 선단이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가 되어, 화장료 도포구에 화장료를 일단 유지시킬 때 제1 돌출부 사이에 화장료가 들어가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료의 도포 시에서도,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속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경우, 속눈썹이 제1 돌출부 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제1 돌출부를 빗살 모양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속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베이스부는 만곡부의 일측 단부에 접속되고, 곧게 연장되는 봉 모양의 축부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축부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부를 축부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만곡부에 의한 화장료의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복수의 돌출부는 베이스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을 따라 돌출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화장용 도포구를 이른바 솔 모양으로 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는 복수의 돌출부에서, 베이스부에서 돌출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화장료를 세세하게 도포하거나 좁은 영역에 화장료를 도포하거나 할 때, 돌출부의 선단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베이스부 및 복수의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베이스부 및 돌출부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섬유의 섬유 길이는 10mm 이하이며, 섬유 지름은 200μm 이하라도 좋다. 이러한 섬유 길이 및 지름을 갖는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섬유 사이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유지하여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화장용 도포구에서, 복수의 돌출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수지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돌출부의 휨 탄성율은 20MPa 이하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돌출부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상기 화장용 도포구에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섬유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다음으로,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Y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화장용 도포구를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Z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화장용 도포구를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Z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에서 화장용 도포구를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에서 화장용 도포구를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화장용 도포구를 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1에서, X축 방향은 화장용 도포구에 접속된 파지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이며, Z축 방향은 베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의 돌출하는 방향이며, Z축 방향은 X-Y평면에 수직인 방향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서는, 돌출부 및 베이스부에 부착되어 있는 섬유를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화장부재(1)는 화장료를 유지하고, 도포 대상으로 화장료를 도포하는 화장용 도포구(10)와, 화장부재(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화장료를 도포할 때 파지하는 파지부(20)를 포함한다. 파지부(20)는,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를 포함한다. 제2 부재(22)는 중실 모양(中實狀)이며 원주 모양의 형상이다. 제2 부재(22)의 일측 단부에는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주 모양의 돌기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21)는 중공(中空) 원통 모양이다. 제1 부재(21)의 외경은 제2 부재(2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1)는 제1 부재(21)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20)에서 제1 부재(21)는 분리 가능하다.
제1 부재(21)의 제2 부재(22)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20A)에는 화장용 도포구(10)가 배치된다. 화장용 도포구(10)는, 복수의 돌출부(11)와, 베이스부(12)와, 토대부(土台部)(14)와, 복수의 섬유(15)를 포함한다. 도 7은, 베이스부(12) 및 토대부(14)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내는 화장용 도포구(10)에서 섬유(15)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토대부(14)는 탄성을 가진다. 토대부(14)는 중공 원통 모양의 주벽부(周壁部)(141)를 포함한다. 주벽부(141)는 X축 방향 중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외경이 작아진다. 주벽부(141)의 일방측의 개구를 덮도록 베이스부(12)가 배치된다. 주벽부(141)의 외주면 상에는 내경측에 링 모양(環狀)으로 오목한 요부(144A)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44A)는 개구(142)에 가까운 측에 형성된다. 주벽부(141)의 타방의 개구(142)측에는 제1 부재(21)가 배치된다. 주벽부(141)는 제1 부재(21)의 단부(20A)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주벽부(141)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끼워 넣을 수 있다. 주벽부(141)를 제1 부재(21)에 압입하고, 요부(144A)가 제1 부재(21)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21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화장용 도포구(10)의 파지부(20)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화장용 도포구(10)가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토대부(14)는 수지제이다. 토대부(14)를 구성하는 성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모양의 축부(121)와, X축 방향에 대해서 만곡하는 봉 모양의 만곡부(123)를 포함한다. 축부(121)는 측벽면(121C)을 포함한다.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측벽면(121C)의 일방측의 단부(121A)와, 측벽면(121C)의 타방측의 단부(121B)와의 간격은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을 향해 짧아진다.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단부(121A)는 직선 모양이며, 단부(121B)는 곡선 모양이다. 축부(121)의 일방의 단부는 토대부(14)에 접속된다. 축부(121)의 측벽면(121C)과, 토대부(14)의 주벽부(141) 사이에는 단차(V)를 가진다. 축부(121)의 타방의 단부는 만곡부(123)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된다.
만곡부(123)는, 만곡부(123)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과,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의 쌍방과 각각 교차하는 한 쌍의 측벽면(123C, 123D)을 포함한다. 제1 만곡면(123A)은 그 중앙 영역이 Z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다. 제2 만곡면(123B)은 그 중앙 영역이 Z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은 측벽면(123C, 123D)을 사이에 두고 Z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은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원호 모양이다. 제1 만곡면(123A)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M)은 X축 방향으로 평행하다. 제2 만곡면(123B)을 구성하는 원호의 곡률은 제1 만곡면(123A)을 구성하는 원호의 곡률보다 크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베이스부(12)는 탄성을 가진다. 본 실시의 형성에서, 베이스부(12)는 수지제이다. 베이스부(12)를 구성하는 성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1)는 제1 만곡면(123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돌출부(181~192)와, 제2 만곡면(123B)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돌출부(151~177)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벽면(123C, 123D)에는 돌출부(11)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 돌출부(181~192)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12개의 돌출부(11)로 구성된다. 제1 돌출부(181~192)는 Z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돌출부(181~192)는 Y-Z평면을 따라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된다. 제1 돌출부(181~192)가 돌출하는 방향(Z축 방향)은 제1 만곡면(123A)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M)에 직교한다. 제1 돌출부(181~192)가 돌출하는 방향(Z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제1 돌출부(181~192)는 각각 X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돌출부(181~192)에서, 각각의 간격 길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181~192)끼리의 각각의 간격 길이는, 제1 돌출부(181~192) 각각의 선단부끼리의 간격의 길이이다. 제1 돌출부(186)와 제1 돌출부(187)와의 간격 길이(L4)는, 예를 들면, 약 0.9m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돌출부(181~192)의 휨 탄성율은 20MPa 이하이다. 여기서, 휨 탄성율의 측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JIS K7171:2016에 준거한 방법이다.
제1 돌출부(181~192) 중, 제1 돌출부(186)의 돌출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 높이는, 제1 돌출부(181~192)가 돌출하는 방향(Z축 방향)에서의 제1 돌출부(181~192)의 높이이다. 제1 돌출부(186)의 돌출 높이(L3)는, 예를 들면 약 2mm이다. 제1 돌출부(181~186)의 돌출 높이는 베이스부(12)의 선단측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1 돌출부(187~192) 중, 제1 돌출부(187)의 돌출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87~192)의 돌출 높이는 축부(121)를 향해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81~192)의 선단부는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제2 돌출부(151~177)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지며, 27개의 돌출부(11)로 구성된다. 제2 돌출부(151~177)는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제2 만곡면(123B)을 구성하는 원호 모양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제2 돌출부(151~177)는 방사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돌출부(151~177) 각각이 제2 만곡면(123B)에 맞닿는(當接) 영역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선분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7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제2 돌출부(168)가 제2 만곡면(123B)에 맞닿는 영역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선분(N)을 예시한다. 제2 돌출부(151~177)에서, 각각의 간격 길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제2 돌출부(165)와 제2 돌출부(166)와의 간격 길이(L1)는 약 0.5mm이다. 제2 돌출부(151~177) 각각의 간격은, 제1 돌출부(181~192) 각각의 간격보다 좁다. 제2 돌출부(151~177)에서, 각각의 돌출 높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 높이는, 제2 돌출부(151~177) 각각의 돌출 방향에서의 제2 돌출부(151~177)의 높이이다. 제2 돌출부(166)의 돌출 높이(L2)는 약 2mm이다. 실시형태에서의 제2 돌출부(151~177)의 휨 탄성율은 20MPa 이하이다.
도 8은, 돌출부(11) 및 만곡부(123)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돌출부(11) 및 베이스부(12)를 도 7 중 I-I로 나타내는 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86)는, 제1 돌출부(186)의 돌출하는 방향(Z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X-Y평면)에서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1 돌출부(186)를 제외한 제1 돌출부(181~192)는 X-Y평면에서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제2 돌출부(166)는, 제2 돌출부(166)의 돌출하는 방향(Z축 방향)에서 수직인 단면(X-Y평면)에서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166)를 제외한 제2 돌출부(151~177)의 돌출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단면적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는 탄성을 가진다. 돌출부(11)를 구성하는 성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1), 베이스부(12) 및 토대부(14)는 이음새가 없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 베이스부(12) 및 토대부(14)를 구성하는 성분은 동일하다. 베이스부(12)에서는, 만곡부(123) 및 축부(121)는 이음새가 없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섬유(15)는,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제2 돌출부(151~177)의 전역에 걸쳐 복수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역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는 것은,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의 모든 영역을 덮을 뿐 아니라,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의 표면 일부에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도 좋다. 베이스부(12)에서는, 제1 만곡면(123A), 제2 만곡면(123B), 측벽면(123C) 및 축부(121)의 전역에 걸쳐 섬유(15)가 형성되어 있다.
섬유(15)의 섬유 길이는 10mm 이하의 단섬유이다. 섬유(15)의 섬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9.65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8mm 이하이다. 섬유(15)의 섬유 길이를 10mm 이하로 함으로써, 섬유 사이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유지하여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섬유(15)의 섬유 길이의 하한은, 예를 들면 0.1mm이다. 섬유(15)의 지름은 200μm 이하이다. 섬유(15)의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93μ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9.3μm 이하이다. 섬유(15)의 지름을 200μm 이하로 함으로써, 섬유 사이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유지하여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섬유(15)의 지름의 하한은, 예를 들면, 3μ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섬유(15)의 섬유 길이는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 각각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섬유(15)는 폴리아미드 섬유이다. 섬유(15)는 폴리아미드 섬유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 등이라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섬유(15)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화장용 도포구(10)에 대응하는 구조체를 준비하는 공정이 실시된다. 구조체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제2 돌출부(151~177) 및 토대부(14)에 대응하는 부분은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구조체에서,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을 노출하도록 세트하고,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실시된다.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정전 식모 장치(靜電植毛裝置)를 이용하여 섬유(15)를 부착하는 공정, 이른바 플록가공이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식모 장치에서의 접지전극(earth electrode) 상에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을 노출하도록 구조체가 세트된다.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섬유(15)를 공급함으로써,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섬유(15)가 부착된다. 플록가공 후,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공정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하여 섬유(15)가 부착된 화장용 도포구(10)가 형성된다. 화장용 도포구(10)에 파지부(20)가 접속되어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부재(1)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의 만곡부(123)에는 기둥 모양의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의 전역에 걸쳐 복수의 섬유(15)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섬유(15)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화장료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베이스부(12), 및 하나하나 독립하여 배치되는 기둥 모양의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특히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의 탄성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도포 대상의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도, 표면의 요철을 따라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를 변형시켜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는 분말상이나 액상의 화장료를 도포할 때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1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는 속눈썹을 진하고 길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스카라를 도포할 때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2)는 봉 모양으로 만곡한 만곡부(123)를 포함한다. 만곡부(123)는 만곡부(123)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모양의 제1 만곡면(123A)과, 만곡부(123)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1 만곡면(123A)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 모양의 제2 만곡면(123B)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11)는 제1 만곡면(123A)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181~192)와, 제2 만곡면(123B)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151~17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목 모양의 제1 만곡면(123A) 또는 볼록 모양의 제2 만곡면(123B)을 이용하여 도포 대상의 표면 형상에 따라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81~192)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151~177)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81~192)끼리의 간격은 제2 돌출부(151~177)끼리의 간격과 다르다. 이와 같이 제1 돌출부(181~192)끼리의 간격과 제2 돌출부(151~177)끼리의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도포 대상에 따라 최적인 돌출부를 선택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만곡부(123)는,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의 쌍방과 교차하는 한 쌍의 측벽면(123C, 123D)을 포함한다. 제1 만곡면(123A)은 Y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원호 모양이다. 제1 돌출부(181~192)는 각각 평행하며, 제1 만곡면(123A)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M)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돌출부(181~192)의 선단이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가 되며, 화장용 도포구(10)에 화장료를 일단 유지시킬 때 제1 돌출부(181~192) 사이에 화장료가 들어가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료의 도포 시에도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속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경우, 속눈썹이 제1 돌출부(181~192) 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제1 돌출부(181~192)를 빗살 모양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속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2)는 만곡부(123)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되고,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모양의 축부(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축부(121)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부(12)를 축부(121)에 의해 지지할 수 있고, 만곡부(123)에 따른 화장료의 도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에서, 만곡부(123)에서 돌출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진다. 이러한 형상의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를 이용하여 도포 대상의 형상에 따라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지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의 휨 탄성율은 20MPa 이하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돌출부(11)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섬유(15)는 폴리아미드 섬유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섬유(15)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러한 섬유(15)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며, 염가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섬유(15)는, 베이스부(12), 제1 돌출부(181~192), 제2 돌출부(151~177)의 전역에 걸쳐 부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축부(121)에는 섬유(15)가 부착되지 않고, 축부(121)를 제외한 베이스부(12)의 전역에 섬유(15)가 부착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만곡부(123)의 전역에는 섬유(15)가 부착되고, 만곡부(123)를 제외한 베이스부(12)의 영역에는 섬유(15)가 부착되지 않게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돌출부(11)는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돌출부(11)는 제1 만곡면(123A) 및 제2 만곡면(123B)에 형성됨과 동시에, 측벽면(123C, 123D)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측벽면(123C, 123D)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베이스부(12)는 축부(121)를 포함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베이스부(12)는 축부(121)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돌출부(11), 베이스부(12) 및 토대부(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부재가 형상에 따라 다른 재질이 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는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돌출부(181~192) 및 제2 돌출부(151~177)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81~192)의 선단부는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돌출부(187~192)의 각각의 돌출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재(21)에 화장용 도포구(1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주벽부(141)의 요부(144A)를 제1 부재(21)의 융기부(211)에 끼워 넣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는 이에 더해 이하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장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부재(21)에 융기부(211)를 형성하지 않고, 제1 부재(21)에 코킹 핀을 삽입하기 위한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복수 형성해 둔다. 그리고, 제1 부재(21)의 외주면측에서 코킹 핀을 삽입하여 관통공에 삽통시키고, 주벽부(141)에 형성된 요부(144A)에 코킹 핀의 선단이 끼워 넣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주벽부(141)의 외주면 및 제1 부재(21)의 내주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주벽부(141)와 제1 부재(21)가 접착 고정되도록 장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해 제1 부재(21)의 내주면 중, 주벽부(141)에 형성된 요부(144A)에 대응하는 개소에 복수의 철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철부를 요부(144A)에 끼워 넣고, 주벽부(141)를 제1 부재(21)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재(21)에 제2 부재(22)를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제2 부재(22)의 돌기부(221)를 제1 부재(21)의 개구부에 끼워 넣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는 이에 더하여 이하의 다양한 방법에 따라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부재(22)의 돌기부(221)의 표면, 및 제1 부재(21)의 내주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부재(21)와 제2 부재(22)가 접착 고정되도록 장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룰렛가공에 의해 제1 부재(21)의 내주면에 복수의 철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 부재(22)의 돌기부(221) 표면에 복수의 요부를 형성한다. 제1 부재(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철부와, 돌기부(221)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요부를 감합하여 제1 부재(21)에 제2 부재(22)를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화장용 도포구는 실시형태 1의 화장용 도포구(10)와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2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에서는 베이스부(12) 및 돌출부(11)의 구조나, 토대부(14)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다. 이하, 실시형태 1의 경우와는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장부재(2)는, 화장용 도포구(10)와, 파지부(20)를 구비한다. 파지부(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모양의 본체부(31)와, 제1 돌기부(33)와, 제2 돌기부(34)를 포함한다. 본체부(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는 제1 돌기부(33)가 배치된다. 제1 돌기부(33)는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본체부(3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타방의 단부에는 제2 돌기부(34)가 배치된다. 제2 돌기부(34)는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한다. Z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파지부(20)의 Y축 방향의 길이(L5)는 제1 돌기부(33) 및 제2 돌기부(34)의 Y축 방향의 길이(L6)보다 길다.
화장용 도포구(10)는, 돌출부(11)와, 베이스부(12)와, 섬유(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는, 제1 베이스부(125)와, 제2 베이스부(126)를 포함한다. Z축 방향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제2 베이스부(126)의 면적은 제1 베이스부(125)의 면적보다 크다.
도 10은, 제1 베이스부(125) 및 제1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화장용 도포구(10)에서 섬유(15)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부(125)는 제1 돌기부(33)의 본체부(3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1 베이스부(125)에서 봤을 때, 제1 돌기부(33)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제1 돌출부(113A~113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13A~113D)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1 돌출부(113A~113D)는 제1 베이스부(125)로부터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돌출부(113A~113D)는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3A~113D)에서, 각각의 간격 길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113A~113D)에서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1 돌출부(113A~113D)의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면적이 작아진다. 제1 돌출부(113A~113D)의 선단부는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도 11은, 제2 베이스부(126) 및 제2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베이스부(126)는 제2 돌기부(34)의 본체부(3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2 베이스부(126)에서 봤을 때, 제2 돌기부(34)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제2 돌출부(114A~114G)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114A~114G)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2 돌출부(114A~114G)는 제2 베이스부(126)로부터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1 돌출부(113A~113D) 각각의 돌출 높이(L7)는 제2 돌출부(114A~114G) 각각의 돌출 높이(L8)와 일치한다. 여기서, 돌출 높이는, 제1 돌출부(113A~113D) 및 제2 돌출부(114A~114G)가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에서의 제1 돌출부(113A~113D) 및 제2 돌출부(114A~114G)의 높이이다. 제2 돌출부(114A~114G)는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114A~114G)에서, 각각의 간격 길이는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114A~114G)에서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2 돌출부(114A~114G)의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제2 돌출부(114A~114G)의 선단부는 Y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섬유(15)는, 제1 베이스부(125), 제2 베이스부(126), 제1 돌출부(113A~113D), 및 제2 돌출부(114A~114G)의 전역에 걸쳐 복수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 2의 구조를 갖는 화장용 도포구(10)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2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에 의해서도 분말상이나 액상의 화장료를 도포할 때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2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는 눈가에 음영을 주기 위한 화장료인 아이섀도를 도포할 때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장용 도포구(10)에서의 제1 돌출부(113A~113D), 또는 제2 돌출부(114A~114G)는 화장료를 도포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돌출부(113A~113D)에 의해 아래 눈꺼풀에 아이섀도를 도포하고, 제2 돌출부(114A~114G)에 의해 위 눈꺼풀에 아이섀도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1 돌출부(113A~113D)는 제1 베이스부(125)로부터 동일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제2 돌출부(114A~114G)는 제2 베이스부(126)로부터 동일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한 제1 돌출부(113A~113D) 또는 제2 돌출부(114A~114G)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원의 화장용 도포구의 실시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화장용 도포구는 실시형태 1의 화장용 도포구(10)와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3에서의 화장용 도포구에서는 베이스부(12) 및 돌출부(11)의 구조나, 토대부(14)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다르다. 이하, 실시형태 1의 경우와는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서의 화장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화장부재(3)는 화장용 도포구(10)와, 파지부(20)를 구비한다. 파지부(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파지부(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일방의 단부에는 화장용 도포구(10)가 배치된다.
화장용 도포구(10)는 복수의 돌출부(115A~115G)와, 베이스부(127)와, 섬유(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에서 봤을 때, 파지부(20)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돌출부(115A~115G)가 형성된다. 돌출부(115A~115G)는 기둥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돌출부(115A~115G)는 베이스부(127)로부터 X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돌출부(115A~115G)는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5A~115G)의 돌출 높이는 Y축 방향 중 화살표 방향을 향해 서서히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 높이는, 돌출부(115A~115G)가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에서의 돌출부(115A~115G)의 높이이다. 돌출부(115A~115G) 중, 돌출부(115A)의 돌출 높이(L9)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5A~115G) 중, 돌출부(115G)의 돌출 높이(L10)가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다.
섬유(15)는 돌출부(115A~115G) 및 베이스부(127)의 전역에 걸쳐 복수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 3의 구조를 갖는 화장용 도포구(10)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3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에 의해서도 분말상이나 액상의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 3에서의 화장용 도포구(10)는 눈썹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아이브로 브러시로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어떠한 면에서도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의 화장용 도포구는 용이하게 목표 위치에 적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화장용 도포구에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2, 3: 화장부재
10: 화장용 도포구
11, 115A, 115B, 115C, 115D, 115E, 115F, 115G: 돌출부
12, 127: 베이스부
14: 토대부
15: 섬유
20: 파지부
20A: 단부
21: 제1 부재
22: 제2 부재
31: 본체부
33: 제1 돌기부
34: 제2 돌기부
113A, 113B, 113C, 113D,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제1 돌출부
114A, 114B, 114C, 114D, 114E, 114F, 114G,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제2 돌출부
121: 축부
121A, 121B: 단부
121C, 123C, 123D: 측벽면
123: 만곡부
123A: 제1 만곡면
123B: 제2 만곡면
125: 제1 베이스부
126: 제2 베이스부
141: 주벽부
142: 개구
143: 덮개부
144A: 요부
211: 융기부
221: 돌기부

Claims (12)

  1. 탄성을 갖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고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는 기둥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돌출부의 전역에 걸쳐 부착된 복수의 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봉 모양으로 만곡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만곡부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 모양의 제1 만곡면과,
    상기 만곡부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만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 모양의 제2 만곡면과,
    상기 제1 만곡면 및 상기 제2 만곡면의 쌍방과 교차하는 한 쌍의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만곡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만곡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면 및 상기 제2 만곡면은, 상기 측벽면측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원호 모양이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각각 평행하고, 상기 제1 만곡면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상기 측벽면측에서 평면적으로 봤을 때, 방사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 각각은, 상기 제2 만곡면에 맞닿는 영역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선분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돌출부는 각각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용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끼리의 간격은 상기 제2 돌출부끼리의 간격과 다른, 화장용 도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만곡면을 구성하는 원호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선분을 따른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화장용 도포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만곡부의 일방의 단부에 접속되고, 곧게 연장되는 봉 모양의 축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용 도포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화장용 도포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용 도포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휨 탄성율은 20MPa 이하인, 화장용 도포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7010024A 2018-09-18 2018-09-18 화장용 도포구 KR102564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4471 WO2020059020A1 (ja) 2018-09-18 2018-09-18 化粧用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36A KR20210087436A (ko) 2021-07-12
KR102564710B1 true KR102564710B1 (ko) 2023-08-08

Family

ID=6988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024A KR102564710B1 (ko) 2018-09-18 2018-09-18 화장용 도포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23165B2 (ko)
KR (1) KR102564710B1 (ko)
CN (1) CN112739236A (ko)
TW (2) TW202027646A (ko)
WO (1) WO2020059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3852B (zh) * 2022-01-10 2022-11-11 儷寶化粧品股份有限公司 塗抹器
CN117617665A (zh) * 2022-08-15 2024-03-01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化妆品涂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037B2 (ja) 1991-10-02 2001-03-12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脱臭剤
JP2006204904A (ja) 2004-12-28 2006-08-10 Kao Corp マスカラ塗布具
JP2010110369A (ja) * 2008-11-04 2010-05-20 Kose Corp マスカラブラシ
JP2017119108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575A (en) * 1981-09-14 1985-07-09 The Bridgeport Metal Goods Manufacturing Co. Contoured flocked cosmetics brush flexers
JPH0613714U (ja) * 1992-08-03 1994-02-22 フィグラ株式会社 化粧料容器
BR0300549A (pt) * 2002-03-05 2003-11-11 Oreal Dispositivos para pentear os cìlios e/ou as sobrancelhas e/ou aplicar um produto sobre os mesmos, para aplicar um produto sobre os cìlios e/ou as sobrancelhas e para acondicionar e aplicar um produto sobre os cìlios e/ou as sobrancelhas, processos de maquiagem dos cìlios e/ou das sobrancelhas, de fabricação de uma escova e de aplicação de um produto sobre os cìlios e/ou as sobrancelhas e escova para a aplicação de um produto sobre os cìlios e/ou as sobrancelhas
FR2838936B1 (fr) * 2002-04-30 2004-12-24 Oreal Dispositif d'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recouvert d'un floquage de differents types de fibres
FR2876890B1 (fr) * 2004-10-21 2007-06-22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 cils ou les sourcils, notamment du mascara.
JP5230163B2 (ja) * 2006-10-13 2013-07-10 花王株式会社 マスカラ塗布具
JP3146037U (ja) * 2008-08-21 2008-10-30 株式会社資生堂 マスカラ塗布具
DE202010010860U1 (de) * 2010-07-30 2011-11-02 Geka Gmbh Applikator und Kosmetikeinheit aufweisend den Applikator
CN203302549U (zh) * 2013-05-08 2013-11-27 小仓末广 化妆用涂抹器具
FR3029757B1 (fr) * 2014-12-15 2021-06-04 Albea Services Applicateur pour cosmetique liquide ou visqueux et son ensemble de conditionnement associ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037B2 (ja) 1991-10-02 2001-03-12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脱臭剤
JP2006204904A (ja) 2004-12-28 2006-08-10 Kao Corp マスカラ塗布具
JP2010110369A (ja) * 2008-11-04 2010-05-20 Kose Corp マスカラブラシ
JP2017119108A (ja) *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 資生堂 目元化粧用塗布具および目元化粧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36A (ko) 2021-07-12
TW202027646A (zh) 2020-08-01
TWI692326B (zh) 2020-05-01
JP6823165B2 (ja) 2021-01-27
JPWO2020059020A1 (ja) 2020-12-17
TW202011858A (zh) 2020-04-01
CN112739236A (zh) 2021-04-30
WO2020059020A1 (ja)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270B2 (en) Instrument having walls for applying a composition on eyelashes or eyebrows
US7172357B2 (en) Applicator comprising a sloping applicator element and a stem connected via a hinge to a handle member
US9033604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mposition to the eyelashes or the eyebrows
US20190014895A1 (en) Device for applying a fluid or pasty product to keratinous fibres
JP2006087962A (ja) 角質ファイバに対して製品を適用するための櫛およびこの櫛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セットならびにこのアプリケータセットの使用方法
US20190307236A1 (en)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fluid or pasty product to keratin fibres
KR102564710B1 (ko) 화장용 도포구
CN108430258B (zh) 眼部化妆用涂敷具和眼部化妆用具
KR102071811B1 (ko)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WO2015110853A1 (en)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a fluid or pasty product to keratin fibers
KR20170137911A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AU2017278128B2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JP4597498B2 (ja) マスカラ塗布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睫毛の美容方法
KR20180069889A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JP7390358B2 (ja) 液体製品のアプリケーター器具
JP2002172019A (ja) 化粧用ブラシ
JP2020044380A (ja) 化粧用塗布具
US10299566B2 (en) Cosmetic product applicator and associated applicator assembly
JP2008114058A (ja) マスカラ塗布具
JP2015107154A (ja) 化粧料塗布具
CN114762553A (zh) 液体化妆品材料容器
JP2007244792A (ja) マスカラ塗布具
US11622612B2 (en) Applicator brush
US20230232962A1 (en) Cosmetic applicator
US20230292915A1 (en) Improved application device for a fluid or pasty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