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340B1 - 구이용 화로 - Google Patents

구이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340B1
KR102561340B1 KR1020210171027A KR20210171027A KR102561340B1 KR 102561340 B1 KR102561340 B1 KR 102561340B1 KR 1020210171027 A KR1020210171027 A KR 1020210171027A KR 20210171027 A KR20210171027 A KR 20210171027A KR 102561340 B1 KR102561340 B1 KR 102561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roasting
brazier
furnace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2996A (ko
Inventor
방두산
Original Assignee
방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두산 filed Critical 방두산
Priority to KR102021017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40B1/ko
Priority to CN202111580445.8A priority patent/CN114081370A/zh
Priority to JP2022001420U priority patent/JP3238533U/ja
Publication of KR2023008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곽 틀(10) 내측 하부에 공기 조절구(2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재받침(30)과 기름받이(40) 및 숯이 담기는 속통(50)이 끼워진 구이용 화로로; 일반 테이블 위에 올려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는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되 테이블의 과열이나 화로 외곽의 과열로 인한 테이블의 손상이나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청정한 실내공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고, 직화구이시 먹는 즐거움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용 화로{MEAT ROASTER}
본 발명은 구이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중앙에 화로 구멍이 없는 일반 테이블 위에 올려서 직화구이를 즐기도록 하되 테이블의 과열이나 화로 자체의 과열로 사용자의 화상 우려가 없으며, 직화구이 시 먹는 즐거움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용 화로는 실내나 실외에서 맨바닥에 두고 사용하거나 테이블 위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로는 직화구이에 의해 고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를 즉석에서 구워서 먹을 수 있는 재미를 주지만 이의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이용 화로 즉, 숯불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고기를 직화로 굽기 위한 것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8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내지 8 등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구이용 화로는 테이블 내측에 화로 구멍을 천공하여 설치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전용 테이블이 있는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일반 테이블 위에 올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화로 자체가 불안정한 형태를 이루어 넘어지거나 테이블에 열기가 과도하게 전달되어 테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화로 자체가 과열되어 자칫 신체에 화상을 입을 우려도 있었으며, 직화구이 시 먹는 즐거움 외에 시각적인 즐거움은 그다지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1995-0010836호(1995.05.15. 공개) 한국공개실용 제20-1998-0065176호(1998.11.25. 공개) 한국등록실용 제20-0169852호(1999.11.23. 등록) 한국등록실용 제20-246711호(2001.09.03. 등록) 한국등록실용 제20-0271446호(2002.03.28. 등록) 한국등록실용 제20-0271938호(2002.04.0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70291호(2012.07.2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836984호(2018.03.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테이블 위에 올려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는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되 테이블의 과열이나 화로 외곽의 과열로 인한 테이블의 손상이나 사용자 신체의 화상 우려가 없으며, 청정한 실내공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고, 직화구이시 먹는 즐거움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이용 화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구이용 화로를 불멍을 위한 스토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곽 틀 내측 하부에 공기 조절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재받침과 기름받이 및 숯이 담기는 속통이 끼워진 구이용 화로로;
상기 외곽 틀은 밀폐된 측면부와 동심원상으로 통공이 형성된 바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의 상단 내측에는 기름받이가 거치되는 거치턱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소정 높이의 굽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구는 구멍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일 외측으로는 조절편이 연장되며, 상기 조절편의 말단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상기 외곽 틀의 바닥부 일측에 형성된 원호형 슬릿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기름받이는 외곽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거치턱에 안치되는 외곽 플랜지를 갖고, 내측에는 숯불이 담긴 속통을 안치하기 위한 내륜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 플랜지와 내륜 사이에는 해자(垓字)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물을 채워줌으로써 속통의 고열이 외곽 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기름을 받아줄 수 있도록 된 구이용 화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기름받이 위에는 화염을 구경하기 위한 스토브가 안치되는 구이용 화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이용 화로는 일반 테이블 위에 올려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가운데에 화로 구멍을 형성한 테이블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고, 테이블 상면에서 화로의 외곽틀 바닥 사이는 굽으로 인해 이격되어 있음은 물론, 공기가 저면의 통공을 통해 내부로 상향 흐름을 갖게 되므로 테이블로의 열전달을 방지하여 화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테이블 바닥이 열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숯이 채워진 속통은 외곽틀에 바로 얹혀지지 않고 해자 형태로 이루어진 기름받이 내측에 안치되므로 외곽 틀이 과열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으며, 배기덕트를 화로 위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연기가 퍼지지 않게 되어 청정한 실내공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고, 더불어서 화로 자체가 화산체와 같은 외형을 이루면서 숯불이 안치되는 것에 의해 마치 활화산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먹는 즐거움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고, 불명을 위한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이용 화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곽 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곽 틀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기름받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화로 위에 불판을 올린 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사시도,
도 9는 도 9에 도시된 구이용 화로의 사용상태 사진,
도 10은 도 9에서 접시를 불판 위로 회동시켜 음식재료를 굽는 상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이용 화로를 스토브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구이용 화로를 스토브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1)는 테이블 상부에 안치되어 고기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 외곽 틀(10) 내측 하부에 공기 조절구(2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재받침(30)과 기름받이(40) 및 숯이 담기는 속통(50)이 차례대로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곽 틀(10)은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폐된 측면부(12)와 동심원상으로 통공(13)이 형성된 바닥부(1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측면부(12)의 상단 내측에는 기름받이(40)가 거치되는 거치턱(1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닥부(14)의 중심에는 재받침(30)이 안치되는 안치홈(15)이 약간 움푹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곽 틀(10)은 기본적으로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 테이블 위에 올린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기존의 구이용 화로가 테이블 내부에 형성된 화로구멍에 끼워서 사용하기 위해서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좁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과는 대조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화로는 외곽 틀(10)이 매우 독특한 외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화산(火山)의 분화구 특히, 우리나라의 백두산 천지(天池)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것으로, 측면부(12)의 표면이 마치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하여 화산가스와 용암 및 화산쇄설물이 흘러내려 굳은 울퉁불퉁한 화산체와 같은 느낌을 주고 있으며, 상부 외곽으로 장군봉, 향도봉, 백운봉, 천문봉, 백암봉 등이 거치턱(16)보다 높게 돌출되고, 한 쪽으로는 장백폭포가 만들어져 백두산의 실제와 흡사하며, 상부에 속통(50)이 안치되어 숯불이 올려지게 되고, 고기가 구워지면서 연기가 피어 오르게 되면 마치 살아있는 화산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먹는 즐거움에 더하여 보는 즐거움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백두산의 화산체와 같은 외형을 갖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곽 틀을 한라산이나 기타 국내외의 여러 화산체를 모티브로 제작함으로써 각 지역의 식당이나 가정에서 요구로 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곽 틀(10)의 바닥부(14) 저면에는 소정 높이의 굽(11; 다리)이 형성되어 있어서 테이블 위에 안치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외부의 공기가 테이블 상면과 바닥부(14)의 저면 사이의 틈을 통해 바닥부(14) 저면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해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숯불의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화로의 열기가 테이블로 직접 전달되는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 공기가 테이블과 바닥부 사이의 이격된 틈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향 흐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화로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화로 내부의 열기를 흡수하게 되어 테이블로의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조절구(2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곽 틀(10)의 바닥부(14) 내측에 설치되는 일종의 타공 링과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바닥부(14)에 천공된 통공(13)과 일치되는 구멍(22)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고, 일 외측으로는 조절편(24)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편(24)의 말단에는 손잡이(2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곽 틀(10)의 바닥부(14) 일측에는 상기 조절편(24)이 끼워지는 원호형 슬릿(17)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6)를 사용하여 조절편(24)을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통공(13)의 개방크기를 조절하여 내부의 속통(50)에 담긴 숯불의 연소 세기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재받침(30)은 단순한 접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의 속통(50)에서 떨어지는 재나 잔불을 받아서 처리하게 된다.
상기 기름받이(40)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곽틀(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거치턱(16)에 안치되는 외곽 플랜지(42)를 갖고, 내측에는 숯불이 담긴 속통(50)을 안치하기 위한 내륜(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 플랜지(42)와 내륜(44) 사이에는 해자(垓字) 형태로 빙 둘러서 홈(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홈(46)에는 적당량의 물을 채워줌으로써 속통(50)의 고열이 외곽틀(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속통(50) 위에 올려진 불판에서 기름이 흘러내려 떨어지는 것을 받아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속통(50)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숯불이 담긴 상태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숯이 연소할 수 있도록 바닥에 작은 구멍(52)들이 천공되어 있고, 불을 피운 상태로 속통(50)을 화로(1) 안에 넣거나 사용한 숯불을 외부로 빼기 용이하도록 고리(54)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이용 화로(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불판(2; 구이판)을 올려서 고기 등 각종 재료를 숯불로 직화구이를 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의 구이용 화로(1)는 일반 테이블(3) 위에 올려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가운데에 화로 구멍을 형성한 테이블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는 테이블 상면에서 화로의 외곽틀 바닥 사이는 굽으로 인해 이격되어 있음은 물론, 공기가 저면의 통공을 통해 내부로 상향 흐름을 갖게 되므로 테이블로의 열전달을 방지하여 화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테이블 바닥이 열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숯(C)이 채워진 속통(50)은 외곽틀(10)에 바로 얹혀지지 않고 해자 형태로 이루어진 기름받이(40) 내측에 안치되므로 기름받이(40)에 채워진 물이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여 차단하게 됨으로써 외곽 틀(10)이 과열되어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전하게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이한 구이용 화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4)를 화로(1) 위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연기가 퍼지지 않게 되어 청정한 실내공기상태를 유지하면서 직화구이를 즐길 수 있고, 더불어서 화로 자체가 화산체와 같은 외형을 이루면서 빨간 숯불이 안치되는 것에 의해 마치 활화산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먹는 즐거움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구이용 화로(1)는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외곽 틀(10)의 상부에는 받이 구멍(18)이 형성되어 접시 받이(60)가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어 있어 음식 재료를 접시(70) 위에 올릴 수 있으며, 구이판(2; 불판)에서 구운 음식을 올릴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 받이(60)를 구이판(2) 위로 회동시켜서 접시(70) 위에서 마늘을 비롯한 각종 음식재료를 직접 굽거나 따뜻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접시 받이(60)에 올려지는 접시(70)는 구름을 모티브로 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백두산을 모티브로 하는 외곽 틀(10)의 상부 외측에 구름이 떠있는 것과 같은 재미있는 연출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즐거움을 배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곽 틀(10)의 하부에는 접이식 다리(11')가 더 구비되어 있어 필요 시 야외에서는 접이식 다리(11')를 펼쳐 세워서 지면과 높게 이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곽 틀(10)의 하부에는 손잡이(19)가 더 구비되어 있어 화로(1) 전체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구이용 화로를 불멍을 위한 스토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름받이(40) 위에 화염을 구경하기 위한 스토브(80)가 안치되어 있는바, 상기 스토브(80)는 기름받이(40) 위에 안치되는 외통(82)과 상기 외통 내측에 삽입되며 숯이나 펠릿 또는 나무 등이 채워지며 외측 상부에 공기 유입구(83)가 형성된 내통(86) 및 상기 내통(86) 상부 외곽을 덮어주는 덮개(84)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 상기 내통(86)은 상,하 2개의 분리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내통(86)의 바닥에는 도면상으로는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공지의 타공망이 안치되거나 내통(8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이용 화로는 구이용 이외에 야외용 스토브(불멍용)로도 활용할 수 있는바, 캠핑이 유행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화로에 고기를 구워 먹고 야간에 불멍을 하면서 힐링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내통(86)에서 1차 연소가 이루어지고, 1차 연소가 이루어진 불꽃은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외통(82)의 상부 외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83)를 통해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2차 연소가 이루어져 덮개(84)의 중앙을 통해 상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도 스토브(80)가 추가되어 있는바, 상기 스토브(80)는 기름받이(40) 위에 안치되는 외통(82)과 상기 외통(82)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8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82)의 둘레에는 회오리 불길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8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도면에서는 재받이가 생략되어 있으나, 재받이는 안전을 위하여 내부에 안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구(83)에 의해 내측에서 타는 불길이 회오리처럼 요동치며 상부로 피워져 올라오게 되므로 아름다운 불꽃을 관상할 수 있는데, 야외에서 바람이 강할수록 효과가 더 좋으며, 외통(82)의 소재로는 스테인리스나 강철 외에도 투명한 내열강화유리로 제작하면 불길을 더욱 아름답게 감상할 수 있다.
1 : 구이용 화로
2 : 구이판(불판)
3 : 테이블
4 : 배기덕트
10 : 외곽 틀
11 : 굽(다리)
11' : 접이식 다리
12 : 측면부
13 : 통공
14 : 바닥부
15 : 안치홈
16 : 거치턱
17 : 슬릿
18 : 받이 구멍
20 : 공기 조절구
22 : 구멍
24 : 조절편
26 : 손잡이
30 : 재받침
40 : 기름받이
42 : 외곽 플랜지
44 : 내륜
46 : 홈
50 : 속통
52 : 구멍
54 : 고리
60 : 접시받이
70 : 접시
80 : 스토브
82 : 외통
83 : 공기 유입구
84 : 덮개
86 : 내통
C : 숯

Claims (10)

  1. 외곽 틀(10) 내측 하부에 공기 조절구(2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재받침(30)과 기름받이(40) 및 숯이 담기는 속통(50)이 끼워진 구이용 화로로;
    상기 외곽 틀(10)은 밀폐된 측면부(12)와 동심원상으로 통공(13)이 형성된 바닥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12)의 상단 내측에는 기름받이(40)가 거치되는 거치턱(16)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14)의 저면에는 소정 높이의 굽(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구(20)는 구멍(22)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고, 일 외측으로는 조절편(24)이 연장되어 상기 외곽 틀(10)의 바닥부(14) 일측에 형성된 원호형 슬릿(17)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통공(13)의 개방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기름받이(40)는 외곽틀(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거치턱(16)에 안치되는 외곽 플랜지(42)를 갖고, 내측에는 숯불이 담긴 속통(50)을 안치하기 위한 내륜(44)이 형성되며, 상기 외곽 플랜지(42)와 내륜(44) 사이에는 해자(垓字) 형태의 홈(46)이 형성되어 물을 채워줌으로써 속통(50)의 고열이 외곽틀(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속통(50) 위에 올려진 불판에서 떨어진 기름을 받아주고, 상기 외곽 틀(10)은 측면부(12)의 표면이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하여 화산가스와 용암 및 화산쇄설물이 흘러내려 굳은 울퉁불퉁한 화산체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하부의 반경이 상부의 반경보다 넓은 형태로 이루어져 테이블 위에 올린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틀(10)의 상부에는 받이 구멍(18)이 형성되어 접시 받이(60)가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시 받이(60)에 올려지는 접시(70)는 구름을 모티브로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틀(10)의 하부에는 접이식 다리(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틀(10)의 하부에는 손잡이(1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40) 위에는 화염을 구경하기 위한 스토브(80)가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브(80)는 기름받이(40) 위에 안치되는 외통(82)과 상기 외통(82)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84)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82)의 둘레에는 회오리불길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8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브(80)는 기름받이(40) 위에 안치되는 외통(82)과 상기 외통 내측에 삽입되며 숯이나 펠릿 또는 나무 등이 채워지며 외측 상부에 공기 유입구(83)가 형성된 내통(86) 및 상기 내통(86) 상부 외곽을 덮어주는 덮개(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화로.
KR1020210171027A 2021-12-02 2021-12-02 구이용 화로 KR10256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027A KR102561340B1 (ko) 2021-12-02 2021-12-02 구이용 화로
CN202111580445.8A CN114081370A (zh) 2021-12-02 2021-12-22 一种烧烤用火炉
JP2022001420U JP3238533U (ja) 2021-12-02 2022-04-28 バーベキューストー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027A KR102561340B1 (ko) 2021-12-02 2021-12-02 구이용 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996A KR20230082996A (ko) 2023-06-09
KR102561340B1 true KR102561340B1 (ko) 2023-07-27

Family

ID=8030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027A KR102561340B1 (ko) 2021-12-02 2021-12-02 구이용 화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38533U (ko)
KR (1) KR102561340B1 (ko)
CN (1) CN11408137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17B1 (ko) * 2013-01-08 2013-10-01 서동일 착탈식 보조용기가 구비된 구이용 불판
KR102175625B1 (ko) * 2019-03-25 2020-11-06 구종기 숯불장치
KR102255165B1 (ko) * 2020-10-15 2021-05-24 이상민 캠핑용 스토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011Y1 (ko) * 1992-05-19 1994-07-25 배순훈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메인트레이(main tray) 잠금장치
KR950010836U (ko) 1993-10-11 1995-05-15 김종현 취사용 간이 화로
KR19980065176U (ko) 1998-08-07 1998-11-25 오순기 구이판 및 상기 구이판을 가지는 다목적 구이기
KR200271938Y1 (ko) 1999-01-28 2002-04-13 이명현 육류구이가 가능한 개량화로
KR200169852Y1 (ko) 1999-08-25 2000-02-15 김영동 고기 구이 화로
KR200246711Y1 (ko) 2001-06-28 2001-10-17 박경규 숯불구이 화덕
KR200271446Y1 (ko) 2002-01-09 2002-04-09 조현도 숯불화로
KR101170291B1 (ko) 2012-03-12 2012-07-31 윤정아 구이용 화로
KR101836984B1 (ko) 2016-08-25 2018-03-09 석우성 숯불 화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917B1 (ko) * 2013-01-08 2013-10-01 서동일 착탈식 보조용기가 구비된 구이용 불판
KR102175625B1 (ko) * 2019-03-25 2020-11-06 구종기 숯불장치
KR102255165B1 (ko) * 2020-10-15 2021-05-24 이상민 캠핑용 스토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8533U (ja) 2022-08-01
CN114081370A (zh) 2022-02-25
KR20230082996A (ko)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92488A1 (en) Food cooker
ES2355826T3 (es) Procedimiento de generación dirigida de calor y dispositivo para ello.
US7159509B2 (en) Outdoor cooking machine
US20070221191A1 (en) Outdoor oven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20140311356A1 (en) Multi-Configurable Outdoor Cooking Grill
US20150265099A1 (en)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Grill
US20120237647A1 (en) Multi-functional platform food preparation device
KR101529676B1 (ko) 야외용 그릴
US20060213497A1 (en) Barbeque grill
US5947013A (en) Outdoor grill for charcoal grilling
US20160123598A1 (en) Ultimate fire pit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2561340B1 (ko) 구이용 화로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170056781A (ko) 다목적 화목난로
KR20130139528A (ko) 고기구이기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20160029490A (ko) 방염, 방열판을 갖는 다용도 화로
KR102377194B1 (ko) 열 효율이 우수한 다용도 조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구 세트
KR101985539B1 (ko) 훈제 바베큐 장치
KR102589991B1 (ko) 간접 가열식 로스터 구조를 갖는 캠핑용 가스버너
CN220275432U (zh) 一种户外组合厨房
CN208524637U (zh) 一种气、炭、电三合一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