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103B1 -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103B1
KR102560103B1 KR1020230038629A KR20230038629A KR102560103B1 KR 102560103 B1 KR102560103 B1 KR 102560103B1 KR 1020230038629 A KR1020230038629 A KR 1020230038629A KR 20230038629 A KR20230038629 A KR 20230038629A KR 102560103 B1 KR102560103 B1 KR 102560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vehicle
frame
dry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연동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더블 로터암을 이용하여 브러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측면 세척은 물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을 꼼꼼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세척하는 세척모듈을 포함하는 세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세척프레임; 상기 세척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세척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이동박스;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바와, 상기 제1 수평바의 타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1 로터암; 상기 제1 수평바 및 제1 수직바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수평바 및 제2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2 로터암; 상기 제1, 2 수직바에 지지된 측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측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수분사부; 및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2 로터암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세척수분사부의 작동, 세척수 분사압력 및 상기 세척수분사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는 세척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No-brush car wash device with double rotor arms}
본 발명은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연동되며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더블 로터암을 이용하여 브러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측면 세척은 물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을 꼼꼼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세차 장치는 자동차의 외부를 자동으로 세척하여 주는 기기로, 근래에 들어서면서 생활의 편리성으로 인해 운전자 스스로 외부 세차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부분 세차장에서 자동 세차기를 이용하여 외부 세차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므로 자동세차기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맞추어 관련 기술 또한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형 자동 세차 장치는 세차를 위한 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 장치 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물과 세제 또는 왁스 등을 분사하면서 세척용 브러쉬를 회전 및 접촉시켜 차체를 세척한 뒤,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차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하지만, 이러한 브러쉬를 이용한 문형 자동 세차 장치는 브러쉬 자체의 청결을 항상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세차시 브러쉬에 의해 차량의 표면에 흠집 등 표면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브러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브러쉬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노브러시 세차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233호(2002.03.20. 공고)에는 '노 브러쉬형 자동차 세차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6039호(2017.02.15. 공고)에는 '노브러쉬 세차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차량의 상부 및 측면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차량의 전면 및 후면 범퍼 등의 세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러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세척이 가능하되, 노브러쉬 타입으로 측면 세척은 물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을 꼼꼼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세척하는 세척모듈을 포함하는 세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세척프레임; 상기 세척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세척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이동박스;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바와, 상기 제1 수평바의 타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1 로터암; 상기 제1 수평바 및 제1 수직바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수평바 및 제2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2 로터암; 상기 제1, 2 수직바에 지지된 측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측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수분사부; 및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2 로터암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세척수분사부의 작동, 세척수 분사압력 및 상기 세척수분사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는 세척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제1, 2 수평바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일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2 수직바에 설치된 측부 분사노즐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로터암 표준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차량 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세척이동박스가 정해진 전방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1, 2로터암이 각각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하고, 차량 측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며, 차량 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세척이동박스가 정해진 후방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1, 2로터암이 각각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이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세척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길이감지센서에 감지된 차량의 길이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방 기준위치 및 후방 기준위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분사부는, 상기 승강암에 지지된 상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센서부는, 상기 세척이동박스 또는 상기 승강암에 설치되어 측정 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높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암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분사부는, 상기 세척프레임의 차량 진입로 바닥에 지지된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센서부는,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분사노즐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제1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하부 분사노즐과, 상기 제1 하부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세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 제2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타이어를 포함한 하부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하부 분사노즐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은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촉되는 상기 제1 하부 파이프의 양측부 위치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분사노즐은 상기 제2 하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사각이 순차적으로 변화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설정된 세척코스에 하부 제외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상기 세척모듈에 의해 세척된 차량을 건조시키는 건조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모듈은, 차량 진입로가 상기 세척프레임의 차량 진출로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건조프레임; 상기 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고, 상기 건조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건조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건조이동박스;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바람을 송풍하는 상부 송풍노즐과,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바람을 송풍하는 측부 송풍노즐이 구비된 송풍부; 및 설정된 건조 코스에 따라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부의 작동 및 송풍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건조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모듈은,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해 왁스를 분사할 수 있는 왁스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컨트롤러는, 설정된 건조 코스에 따라 상기 왁스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부 송풍노즐은, 송풍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1, 2덕트가 상호 포개지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한 쌍의 더블 로터암을 통해 브러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측면 세척은 물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을 꼼꼼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더블 로터암에 상하 승강되는 승강암을 조합하여 높이차를 갖는 차량의 본네트, 트렁크 부분 등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세차모듈과 건조모듈이 일렬로 연결되게 구성되어 차량의 세척과 건조를 구분함으로써 세차를 위한 차량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모듈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장비의 채택이 가능하여 세척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노즐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컨트롤러의 제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2 로터암의 회동 및 왕복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컨트롤러에 설정된 세척코스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의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1)는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세척하는 세척모듈(10)과, 상기 세척모듈(10)에 의해 세척된 차량을 건조시키는 건조모듈(20)과, 상기 세차 장치(1)로 입차 및 출차하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출입셔터(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10)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모듈(1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분사노즐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컨트롤러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세척모듈(10)은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세척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세척프레임(110)과, 세척이동박스(120)와, 제1 로터암(130)과, 제2 로터암(140)과, 승강암(150)과, 세척수분사부(160)와, 세척센서부(170)와, 세척컨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프레임(110)은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구성이다.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상측은 길이 방향으로 긴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세척이동박스(12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세척이동박스(120)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상측에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세척이동박스(120)는 세척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 및 접철링크 등으로 구성된 세척이동수단(121)에 의해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고, 그 하부로 제1, 2 로터암(130, 140) 및 승강암(150)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로터암(130)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바(131)와, 상기 제1 수평바(131)의 타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수직바(1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바(131)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제2 로터암(140)은 상기 제1 수평바(131) 및 제1 수직바(13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수평바(141) 및 제2 수직바(1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평바(141)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중앙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은 세척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해 회동이 연동되게 제어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내부에 내설된 구동모터 및 회전기어 등으로 구성된 제1, 2 회동수단(133, 143)에 의해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전후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일직선을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사이의 거리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내부로 수용 가능한 차량의 폭과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폭 사이의 길이를 기준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2 수직바(132, 142)의 길이는 지면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된다.
상기 제1, 2 수직바(132, 14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측부 분사노즐(161)이 설치된다.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의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측면 세척은 물론, 차량의 전면 및 후면을 꼼꼼하면서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의 작동 상태는 후술할 세척컨트롤러(180)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암(150)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암(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 및 접철링크 등으로 구성된 승강수단(151)에 의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암(150)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상부 분사노즐(162)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에 상기 승강암(150)이 조합됨으로써 높이차를 갖는 차량의 본네트, 트렁크 부분 등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수분사부(170)은 차량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측부 분사노즐(161)과, 상부 분사노즐(162)과, 하부 분사노즐(163)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물은 물론 폼, 왁스, 발수액 등 세차시 자동차를 향해 분사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측부 분사노즐(161)은 상기 제1, 2 수직바(132, 142)에 지지된 측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세척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세척프레임(11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측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 분사노즐(162)은 상기 승강암(150)에 지지된 상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세척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세척프레임(11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하부 분사노즐(163)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차량 진입로 바닥에 지지된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세척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분사노즐(16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분사노즐(163a)와, 제2 하부 분사노즐(163b)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163a)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제1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163a)은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촉되는 상기 제1 하부 파이프의 양측부 위치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타이어와의 접촉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기자동차와 같이 차량의 하부 세차가 권장되지 않는 경우 등 설정된 세척코스에 하부 제외 옵션이 선택된 경우 세척컨트롤러(180)는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163a)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2 하부 분사노즐(163b)은 상기 제1 하부 파이프(163a)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 제2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타이어를 포함한 하부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하부 분사노즐(163b)은 상기 제2 하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사각이 순차적으로 변화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타이어를 포함한 하부 측면을 넓은 범위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센서부(170)는 차량의 세척을 위해 각종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171)와, 길이감지센서(172)와, 높이감지센서(173)와, 진입감지센서(174)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71)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에 수용된 차량이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길이감지센서(172)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에 수용된 차량의 길이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71) 및 상기 길이감지센서(172)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광전센서(포토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이감지센서(173)는 상기 세척이동박스(120) 또는 상기 승강암(150)에 설치되어 측정 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높이감지센서(17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진입감지센서(174)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진입감지센서(174)는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차량 진입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광전센서(포토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세척수분사부(160)의 작동, 세척수 분사압력 및 상기 세척수분사부(16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차량 세척을 위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세척컨트롤러(180)의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상기 진입감지센서(174)에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분사노즐(163)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전기자동차와 같이 차량의 하부 세차가 권장되지 않는 경우 등 설정된 세척코스에 하부 제외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163a)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차량이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된 완료된 경우 본격적인 차량의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일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2 수직바(132, 142)에 설치된 측부 분사노즐(161)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로터암 표준위치를 기준으로 작동된다.
우선,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171)에 감지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길이감지센서(172)에 감지된 차량의 길이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전방 기준위치(P1) 및 후방 기준위치(P2)를 산정한다.
즉, 상기 제1, 2 로터암(130, 140)이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 2 수직바(132, 142)가 차량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 반경이 되는 제1, 2 수평바(131, 141)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전방 기준위치(P1) 및 후방 기준위치(P2)를 산정하는 것이다.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차량 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도 7의 ① 경로(또는 도 8의 ④ 경로)에서와 같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가 정해진 전방 기준위치(P1)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161)이 차량의 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로터암(130, 140)이 각각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도 7의 ② 경로(또는 도 8의 ⑤ 경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2로터암(130, 140)이 각각 후방으로 회동되며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차량 측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도 7의 ③ 경로(또는 도 8의 ③ 경로)에서와 같이 상기 측부 분사노즐(161)이 차량의 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차량 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도 7의 ④ 경로(또는 도 8의 ① 경로)에서와 같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가 정해진 후방 기준위치(P2)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161)이 차량의 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2로터암(130, 140)이 각각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도 7의 ⑤ 경로(또는 도 8의 ② 경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2로터암(130, 140)이 각각 전방으로 회동되며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7은 초기에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전방 기준위치(P1)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① 내지 ⑤ 경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차량의 전면(앞범퍼) 세척 2회, 측면 세척, 후면(뒷범퍼) 세척 2회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후방 기준위치(P2)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8은 도 7의 마지막 상태에서와 같이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후방 기준위치(P2)에 위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① 내지 ⑤ 경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차량의 후면(뒷범퍼) 세척 2회, 측면 세척, 앞면(앞범퍼) 세척 2회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전방 기준위치(P1)로 복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2 로터암(130)이 상기 세척이동박스(120)와 일체로 전후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세척컨트롤러(180)는 상기 높이감지센서(173)에서 감지된 이격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암(150)의 승강을 제어함으로써 높이차를 갖는 차량의 본네트, 트렁크 부분 등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컨트롤러에 설정된 세척코스 예시도이다.
도 9를 살펴보면, ① 경로는 차량이 진입되며 상기 하부 분사노즐(163)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하부(타이어 포함)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도 9의 ② 경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전방 기준위치(P1)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차량의 전면(앞범퍼) 세척 2회, 측면 세척, 후면(뒷범퍼) 세척 2회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후방 기준위치(P2)에 위치되는 경로인데, 이 때 중압재생수 및 고압분사 프리워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도 9의 ③ 경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후방 기준위치(P2)에 위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차량의 후면(뒷범퍼) 세척 2회, 측면 세척, 앞면(앞범퍼) 세척 2회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수평바(131, 141)가 전방 기준위치(P1)로 복귀되는 경로인데, 이 때 프리워시 및 폼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도 9의 ④ 경로는 장비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폼분사 공정 후 불림시간을 갖는 단계이다.
도 9의 ⑤ 경로는 ② 경로와 같이 움직이며 강력고압분사가 이루어지는 경로이다.
도 9의 ⑥ 경로는 ③ 경로와 같이 움직이며 왁스 분사 및 발수 분사가 이루어지는 경로이다.
도 9의 ⑦ 경로는 차량이 상기 세척프레임(110)에서 퇴차하는 시간을 고려한 공정이다.
도 9와 같은 세척코스는 차량의 세척을 위한 표준코스로 볼 수 있는데, 전체 공정에 총 150초(2분 30초)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장치(1)의 구성으로 세척모듈(10)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모듈(20)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2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20)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모듈(20)은 상기 세척모듈(10)에 의해 세척된 차량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건조프레임(210)과, 건조이동박스(220)와, 송풍부(230)와, 왁스분사부(240)와, 건조컨트롤러(25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프레임(210)은 차량 진입로가 상기 세척프레임(110)의 차량 진출로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구성이다.
상기 건조프레임(210)은 상기 세척프레임(110)에 대응되는 규격으로 제작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프레임(110)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이동박스(220)는 상기 건조프레임(210)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고, 상기 건조프레임(210)의 상측에 상기 건조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상기 건조이동박스(220)는 건조컨틀롤러(25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 및 접철링크 등으로 구성된 건조이동수단(221)에 의해 상기 건조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고, 그 하부로 송풍부(230) 및 왁스분사부(24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230)는 상기 건조프레임(22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바람을 송풍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부 송풍노즐(231)과, 측부 송풍노즐(232)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송풍노즐(231)은 상기 건조이동박스(220)의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건조컨트롤러(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건조프레임(22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바람을 송풍하는 구성이다.
상기 측부 송풍노즐(232)은 상기 건조이동박스(220)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조컨트롤러(2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건조프레임(21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바람을 송풍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측부 송풍노즐(232)은 하방으로 돌출된 제1, 2덕트가 상호 포개지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송풍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분사부(240)는 상기 건조프레임(210)에 수용된 차량을 향해 왁스를 분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송풍노즐(231) 및 측부 송풍노즐(232)에 지지된 지지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왁스분사노즐을 통해 구현하였다.
상기 건조컨트롤러(240)는 설정된 건조 코스에 따라 상기 건조이동박스(22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부(230)의 작동 및 송풍강도를 제어하며, 상기 왁스분사부(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보다 확실한 차량 관리를 위해서는 상기 건조컨트롤러(240)는 상기 세척모듈(10)에 의해 세척된 차량된 차량이 상기 건조프레임(210)으로 이동 수용되는 경우 상기 왁스분사부(240)에 의해 왁스 분포가 시작되고, 이후에 상기 송풍부(230)에 의해 건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남은 물기, 왁스가 없을 만큼 건조가 되면 물 및 왁스가 펴지지 못해 그대로 물때로 남기 때문에 오히려 세척 결과가 나쁘게 되는데, 상기 건조컨트롤러(240)가 차량에 물기가 약간 남도록 제어하는 경우 남은 물기는 잔여 왁스로 약간 젖은 극세사 타올로 문지르듯 닦아주면 왁스 광택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입셔터(30)는 상기 세차 장치(1)로 입차 및 출차하는 차량을 통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모듈(10)로 입차하는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입차셔터(310), 상기 세척모듈(10)에서 세척을 마친 차량이 상기 건조모듈(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중간셔터(320) 및 상기 건조모듈(20)에서 건조를 마치고 출차하기 위한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출차셔터(3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차 장치(1) 상기 세척모듈(10)과, 상기 건조모듈(20)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세차를 위한 차량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모듈(10, 20)의 목적에 맞는 적합한 장비의 채택이 가능하여 세척 및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세차장치
10 세척모듈
110 세척프레임
120 세척이동박스
130 제1 로터암
140 제2 로터암
150 승강암
160 세척수분사부
170 세척센서부
180 세척컨트롤러
20 건조모듈
210 건조프레임
220 건조이동박스
230 송풍부
240 왁스분사부
250 건조컨트롤러
30 출입셔터
310 입차셔터, 320 중간셔터, 330 출차셔터

Claims (9)

  1. 내부로 진입된 차량을 세척하는 세척모듈을 포함하는 세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세척프레임;
    상기 세척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세척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세척이동박스;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바와, 상기 제1 수평바의 타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제1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1 로터암;
    상기 제1 수평바 및 제1 수직바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수평바 및 제2 수직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평바의 일단이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중앙부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회동 가능한 제2 로터암;
    상기 제1, 2 수직바에 지지된 측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측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측부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수분사부;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세척센서부; 및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 2 로터암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세척수분사부의 작동, 세척수 분사압력 및 상기 세척수분사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는 세척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분사부는, 상기 세척프레임의 차량 진입로 바닥에 지지된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분사노즐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제1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부를 향해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하부 분사노즐과, 상기 제1 하부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세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배치된 제2 하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세척프레임의 내부로 진입되는 차량의 타이어를 포함한 하부 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하부 분사노즐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은 그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접촉되는 상기 제1 하부 파이프의 양측부 위치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분사노즐은 상기 제2 하부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사각이 순차적으로 변화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진입감지센서에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분사노즐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되, 설정된 세척코스에 하부 제외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하부 분사노즐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제1, 2 수평바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일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2 수직바에 설치된 측부 분사노즐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로터암 표준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세척코스에 따라,
    차량 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세척이동박스가 정해진 전방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1, 2로터암이 각각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하고,
    차량 측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며,
    차량 후면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세척이동박스가 정해진 후방 기준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측부 분사노즐이 차량의 후면부를 감싸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1, 2로터암이 각각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센서부는,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이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의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길이감지센서에 감지된 차량의 길이에 따라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전방 기준위치 및 후방 기준위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듈은,
    상기 세척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세척이동박스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분사부는, 상기 승강암에 지지된 상부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세척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소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센서부는, 상기 세척이동박스 또는 상기 승강암에 설치되어 측정 지점에서 상기 차량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컨트롤러는, 상기 높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암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장치는, 상기 세척모듈에 의해 세척된 차량을 건조시키는 건조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건조모듈은,
    차량 진입로가 상기 세척프레임의 차량 진출로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차량이 내부로 수용 가능한 규격의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건조프레임;
    상기 건조프레임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고, 상기 건조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건조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건조이동박스;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상방에서 바람을 송풍하는 상부 송풍노즐과,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폭방향의 양측단에 각각 하방으로 돌출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바람을 송풍하는 측부 송풍노즐이 구비된 송풍부; 및
    설정된 건조 코스에 따라 상기 건조이동박스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부의 작동 및 송풍강도를 제어할 수 있는 건조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모듈은,
    상기 건조프레임에 수용된 차량을 향해 왁스를 분사할 수 있는 왁스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컨트롤러는, 설정된 건조 코스에 따라 상기 왁스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송풍노즐은, 송풍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제1, 2덕트가 상호 포개지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KR1020230038629A 2023-03-24 2023-03-24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KR102560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629A KR102560103B1 (ko) 2023-03-24 2023-03-24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629A KR102560103B1 (ko) 2023-03-24 2023-03-24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103B1 true KR102560103B1 (ko) 2023-07-26

Family

ID=8742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629A KR102560103B1 (ko) 2023-03-24 2023-03-24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41916A (zh) * 2024-03-08 2024-04-09 四川凯德源科技有限公司 固定转动轴的旋转洗车机及其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593A (en) * 1985-06-14 1989-08-01 Magic Spra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vehicles
JP2013103568A (ja) * 2011-11-11 2013-05-30 Mk Seiko Co Ltd 洗車機
JP2014148179A (ja) * 2013-01-31 2014-08-21 Mk Seiko Co Ltd 洗車装置
KR101825526B1 (ko) * 2016-08-23 2018-02-06 송창호 터치리스 세차기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593A (en) * 1985-06-14 1989-08-01 Magic Spra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vehicles
JP2013103568A (ja) * 2011-11-11 2013-05-30 Mk Seiko Co Ltd 洗車機
JP2014148179A (ja) * 2013-01-31 2014-08-21 Mk Seiko Co Ltd 洗車装置
KR101825526B1 (ko) * 2016-08-23 2018-02-06 송창호 터치리스 세차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41916A (zh) * 2024-03-08 2024-04-09 四川凯德源科技有限公司 固定转动轴的旋转洗车机及其控制系统
CN117841916B (zh) * 2024-03-08 2024-04-30 四川凯德源科技有限公司 固定转动轴的旋转洗车机及其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7829B2 (ja) 洗車機
KR102560103B1 (ko) 더블 로터암이 구비된 노브러쉬 세차 장치
JP3750553B2 (ja) 洗車機
JP6269395B2 (ja) 洗車機
JP5018673B2 (ja) 洗車機
CN116080593A (zh) 一种无人值守式大巴洗车设备及洗车方法
JP5783102B2 (ja) 洗車機
KR100663802B1 (ko) 차량의 하부 세척장치
JP5757247B2 (ja) 洗車機
JP5239902B2 (ja) 洗車機
JP6515845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6265159B2 (ja) 洗車機
JP3933043B2 (ja) 車両洗浄装置
CN215793659U (zh) 一种自动洗车机的洗车引导系统
JP6638833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5601310B2 (ja) 洗車機
JP7310755B2 (ja) 洗車機
JP6519527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6835027B2 (ja) 洗車機
JP5862500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方法
JP5464120B2 (ja) 洗車機
JP6269571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3891089B2 (ja) 洗車機
JP5593957B2 (ja) 洗車機
JP2013166449A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