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119B1 - 전시장용 오르골 - Google Patents

전시장용 오르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119B1
KR102558119B1 KR1020220122955A KR20220122955A KR102558119B1 KR 102558119 B1 KR102558119 B1 KR 102558119B1 KR 1020220122955 A KR1020220122955 A KR 1020220122955A KR 20220122955 A KR20220122955 A KR 20220122955A KR 102558119 B1 KR102558119 B1 KR 102558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rum
diaphragm
reproduc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두
Original Assignee
(주)지엘어소시에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엘어소시에이츠 filed Critical (주)지엘어소시에이츠
Priority to KR102022012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2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4Tune barrels, sheets, rollers, spool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31Blinking or flashing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상품을 전시하는 전시장에서 재생시간이 긴 오르골 음악을 재생하여 고객에게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시장용 오르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은 복수개의 재생수단(20)이 구비되고,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종래의 오르골로는 재생할 수 없는 길이가 긴 음악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시장용 오르골{music box for exhibition place}
본 발명은 다양한 상품을 전시하는 전시장에서 재생시간이 긴 오르골 음악을 재생하여 고객에게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시장용 오르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전시하기 위한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품을 전시할 때는 상품에 적합한 상품음악을 틀어, 고객이 편안하게 상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오르골을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 오르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진동편이 구비된 진동판(5)과, 상기 진동판(5)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태엽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6)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6)의 둘레면에는 드럼(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편을 진동시키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태엽에 의해 드럼(6)이 회전되면, 돌기가 진동판(5)을 진동시켜 음악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오르골은 드럼(6)이 1회전되면 음악의 재생이 완료됨으로, 상기 드럼(6)의 크기가 클수록 음악의 재생시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드럼(6)의 지름을 크게 만드는데 한계가 있음으로, 일반적으로 1분 이내의 재생시간을 갖으며, 재생시간이 긴 음악은 재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8158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상품을 전시하는 전시장에서 재생시간이 긴 오르골 음악을 재생하여 고객에게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시장용 오르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열장(1)에 구비되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도록 된 복수개의 재생수단(2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방에 고객이 있으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근접감지수단(31)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상기 재생수단(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어느 재생수단(20)에서 음악이 재생되는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표시램프(33)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재생수단(20)과 표시램프(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수단(20)은 다수개의 진동판(21a)이 구비된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21)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진동판(21a)을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22a)가 형성된 드럼(22)과,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와,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24)과, 상기 진동판(21)에 연결되어 진동판(21)을 상기 드럼(22)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25)을 포함하고, 각각의 재생수단(20)은 여러 구절로 나뉘어진 음악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스(10)의 전방에 고객이 있을 경우,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켜 음악을 재생하고, 고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25)을 제어하여 진동판(21)을 후퇴시켜 음악재생을 정지하고, 상기 구동모터(23)를 제어하여 드럼(22)을 초기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킬 때 각각의 재생수단(20)에 대응되는 표시램프(33)를 on시켜 음악이 재생되는 재생수단(20)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용 오르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은 복수개의 재생수단(20)이 구비되고,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종래의 오르골로는 재생할 수 없는 길이가 긴 음악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르골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오르골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을 도시한 것으로, 진열장(1)에 구비되어 고객이 진열장(1)의 전방에 있을 때 자동으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열장(1)은 내부에 다수개의 격판(2)이 구비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격판(2)의 상면에 상품을 올려놓아 진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용 오르골은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도록 된 복수개의 재생수단(2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방에 고객이 있으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근접감지수단(31)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상기 재생수단(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어느 재생수단(20)에서 음악이 재생되는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표시램프(33)와,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재생수단(20)과 표시램프(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재생수단(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진동판(21a)이 구비된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21)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진동판(21a)을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22a)가 형성된 드럼(22)과,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와,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24)과, 상기 진동판(21)에 연결되어 진동판(21)을 상기 드럼(22)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22)은 양단에 구비된 회전축(22b)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브라켓(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진동판(21)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드럼(22) 쪽으로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드럼(22)쪽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판(21)은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23)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며 감속기(23a)를 통해 상기 드럼(22)의 회전축(22b)에 연결되어, 작동시 드럼(22)을 정해진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감지수단(24)은 상기 드럼(22)의 회전축(22b)에 연결되도록 브라켓(12)에 고정되어, 드럼(22)이 회전되면, 드럼(22)이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도값을 상기 제어수단(34)으로 출력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2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케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진동판(21)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진동판(21)이 정해진 위치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동식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21)을 드럼(22)쪽으로 전진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23)로 드럼(22)을 회전시키면, 상기 돌기(22a)가 진동판(21a)을 당겨 음악이 재생되며, 진동판(21)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23)로 드럼(22)을 회전시키면 음악이 재생되지 않는 상태로 드럼(22)만 공회전된다.
이때, 각각의 재생수단(20)은 여러 구절로 나뉘어진 음악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재생수단(20)은 3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재생수단(20)에는 1부터 3번의 순번이 부여된다.(예를 들어 가장 오른쪽의 재생수단(20)이 1번, 가장 왼쪽의 재생수단(20)이 3번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수단(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3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의 재생수단(20)이 음악의 1/3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1번부터 3번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수단(20)은 상기 드럼(22)을 교체하여 여러 가지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전방으로 초음파를 출력하여 전방에 고객이 서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근접감지수단(31)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램프(33)는 일반적인 LED램프(33)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재생수단(20)의 개수와 같이 3개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어,각각의 표시램프(33)가 각각의 재생수단(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오른쪽의 표시램프(33)는 1번 재생수단(2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고, 가장 왼쪽의 표시램프(33)는 3번 재생수단(20)의 동요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시장용 오르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상기 재생수단(20)은 정지되어 음악이 재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진열장(1)의 전방에 고객이 있는 것이 감지되면, 1번 재생수단(20)을 구동시켜 음악을 재생하고, 1번 재생수단(20)에 구비됨 드럼(22)이 1회전하여 음악이 모두 재생되면, 2번 재생수단(20)과 3번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음악이 모두 재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객이 진열장(1)을 떠날 때 까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음악이 재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감지수단(31)에 고객이 진열장(1)의 전방을 떠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34)은 음악을 재생하는 중인 재생수단(20)에 구비된 구동모터(23)를 정지시켜 드럼(22)을 정지시킴으로써, 음악의 재생을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재생수단(20)에 구비된 전후진구동수단(25)을 제어하여 진동판(21)을 드럼(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퇴시키고, 상기 회전감지수단(24)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구동모터(23)를 구동시켜, 드럼(22)을 초기위치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진동판(21)을 초기위치로 전진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킬 때, 각각의 재생수단(20)에 대응되는 표시램프(33)를 on시켜 음악이 재생되는 재생수단(20)을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시장용 오르골은 복수개의 재생수단(20)이 구비되고,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종래의 오르골로는 재생할 수 없는 길이가 긴 음악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편,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킬 때, 각각의 재생수단(20)에 대응되는 표시램프(33)를 on시켜 음악이 재생되는 재생수단(20)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고객이 어느 재생수단(20)에서 음악이 재생되는 지를 확인하여, 고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재생수단
31. 근접감지수단 33. 표시램프
34. 제어수단

Claims (1)

  1. 진열장(1)에 구비되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도록 된 복수개의 재생수단(2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방에 고객이 있으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근접감지수단(31)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상기 재생수단(2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어느 재생수단(20)에서 음악이 재생되는지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표시램프(33)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재생수단(20)과 표시램프(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4)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수단(20)은
    다수개의 진동판(21a)이 구비된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21)에 근접되도록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진동판(21a)을 진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22a)가 형성된 드럼(22)과,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와,
    상기 드럼(22)에 연결되어 드럼(22)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24)과,
    상기 진동판(21)에 연결되어 진동판(21)을 상기 드럼(22)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25)을 포함하고,
    각각의 재생수단(20)은 여러 구절로 나뉘어진 음악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재생수단(20)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완전한 1곡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34)은 상기 근접감지수단(31)의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스(10)의 전방에 고객이 있을 경우,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켜 음악을 재생하고, 재생중에 고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25)을 제어하여 진동판(21)을 후퇴시켜 음악재생을 정지하고, 상기 회전감지수단(24)에 의해 측정된 드럼(22)의 회전 각도값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를 제어하여 드럼(22)을 초기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재생수단(20)을 구동시킬 때 각각의 재생수단(20)에 대응되는 표시램프(33)를 on시켜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재생수단(20)을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용 오르골.
KR1020220122955A 2022-09-28 2022-09-28 전시장용 오르골 KR102558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955A KR102558119B1 (ko) 2022-09-28 2022-09-28 전시장용 오르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955A KR102558119B1 (ko) 2022-09-28 2022-09-28 전시장용 오르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119B1 true KR102558119B1 (ko) 2023-07-24

Family

ID=8742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955A KR102558119B1 (ko) 2022-09-28 2022-09-28 전시장용 오르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900U (ja) * 1992-10-12 1994-05-17 株式会社ジャルコ 光ファイバを用いた音楽等に合わせて光る点滅光点を有する観賞用パネル
JPH0994356A (ja) * 1995-09-28 1997-04-08 Rhythm Watch Co Ltd 装飾体時計の人形駆動機構
WO2005116988A1 (ja) * 2004-05-28 2005-12-08 Shinji Kasai 発音装置
JP2009061001A (ja) * 2007-09-05 2009-03-26 Olympia:Kk スロットマシン
KR101181589B1 (ko) 2011-02-18 2012-09-10 한규락 오르골 진동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3160986A (ja) * 2012-02-07 2013-08-19 Kazuhiro Aritomi 楽音視覚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900U (ja) * 1992-10-12 1994-05-17 株式会社ジャルコ 光ファイバを用いた音楽等に合わせて光る点滅光点を有する観賞用パネル
JPH0994356A (ja) * 1995-09-28 1997-04-08 Rhythm Watch Co Ltd 装飾体時計の人形駆動機構
WO2005116988A1 (ja) * 2004-05-28 2005-12-08 Shinji Kasai 発音装置
JP2009061001A (ja) * 2007-09-05 2009-03-26 Olympia:Kk スロットマシン
KR101181589B1 (ko) 2011-02-18 2012-09-10 한규락 오르골 진동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3160986A (ja) * 2012-02-07 2013-08-19 Kazuhiro Aritomi 楽音視覚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8946B2 (ja) 遊技機
JP2006034379A5 (ko)
JP2007020941A (ja) 遊技機
JP6160282B2 (ja) 遊技機
JP2006325619A (ja) 遊技機
KR102558119B1 (ko) 전시장용 오르골
US6595521B2 (en) Game machine with claws
KR102558114B1 (ko) 전시장용 오르골
JPH06504140A (ja) 画像表示および制御装置
JP2007000396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9279351A (ja) 演出制御基板、遊技機、演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92324B2 (ja) 遊技機
JP2009201631A (ja) スロットマシン
JP6398048B2 (ja) 遊技台
JPH0679413B2 (ja) デイスクチエンジヤ−装置
JP6142248B1 (ja) 遊技台
JP6550085B2 (ja) 遊技台
JP2009178214A (ja) 遊技機
JP2019013435A (ja) 遊技機
JP4070565B2 (ja) 遊技機
JP2018114116A (ja) 遊技台
JP6492265B2 (ja) 遊技台
JP2007260077A (ja) スロットマシン
CN110211307A (zh) 一种扭蛋机
JP5478755B2 (ja) 演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