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141B1 -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141B1
KR102557141B1 KR1020220129545A KR20220129545A KR102557141B1 KR 102557141 B1 KR102557141 B1 KR 102557141B1 KR 1020220129545 A KR1020220129545 A KR 1020220129545A KR 20220129545 A KR20220129545 A KR 20220129545A KR 102557141 B1 KR102557141 B1 KR 10255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substrate
preceding plate
thin
plat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이상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어드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어드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어드밴텍
Priority to KR102022012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는,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박형기판 안착부(10); 상승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에 의해 안착된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0);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강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를 상기 하부 지지부(20)와 함께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30);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팅부(40);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과 상기 선행판(2)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이들이 적재될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Removing Apparatus of Preceding Plate for Thin Wafer Conveying and Remov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박형기판의 이송시 기판이 이송롤러에 말리거나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박형기판의 이송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박형기판의 전방단부부위에 부착되는 선행판을 박형기판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기판에 대하여 높은 평활도를 유지하면서도 두께를 더욱 얇게 만드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TFT-LCD, OLED 등 평판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소비자용 IT 단말기에서 기판의 박형 및 경량은 핵심 경쟁 요소가 되고 있다.
현재 TFT-LCD용 모듈글라스의 경우 1.26 또는 1.00 mm 두께의 모듈 글라스를 식각하여 0.6 mm까지, 알칼리글라스의 경우 0.5mm를 0.3 mm까지 박판화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박판화 경향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기판제조공정에서 기판의 이송은 다수의 이송롤러에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박판화의 가속화에 의해, 기판의 이송시 기판이 이송롤러에 말리거나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판의 이송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박형기판의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일명 아대라고도 불림)을 부착하여 기판을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박형기판의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을 부착하도록 하기 위해 부착된 점착제를 이용하며, 기판의 전방단부부위 상부에 선행판을 부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기판을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 공정 중에, 단위 기판에 포함되지 않는, 즉, 단위 기판으로서 사용되지 않고 절단된 후 버려지게 되는 부분인 더미 부분(컬릿(cullet))에, 선행판을 부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판은 기판제조공정이 완료되면 기판으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선행판의 제거를 위해, 종래에 사용된 선행판 제거장치는 박형기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행판의 상부를 흡착수단으로 흡착시키고, 흡착된 선행판을 상부로 들어올려 박형기판으로부터 선행판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렇게 종래에 사용된 선행판 제거장치는 흡착된 선행판을 상부로 들어올릴 때 점착부위인 박형기판의 전방 단부부위가 변형 또는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선행판을 점착하는 점착제가 기판에 전가되어 기판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판 제거시 선행판이 부착된 박형기판의 전방 단부부위가 변형 또는 손상을 일으키게 되면, 더미 부분의 커팅시 정렬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판 제거 후 더미 부분을 커팅할 때, 더미부분을 클램핑하여 커팅하고 클램핑부재로부터 커팅된 더미부분을 파지하게 되는데, 클램핑부재로부터 커팅된 더미부분의 파지시 더미부분에 남아있는 점착제에 의해 파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박형기판으로부터 선행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는,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박형기판 안착부(10); 상승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에 의해 안착된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0);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강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를 상기 하부 지지부(20)와 함께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30);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팅부(40);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과 상기 선행판(2)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이들이 적재될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30)에 구비되고, 상기 선행판(2)의 후방부위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커팅날 삽입공(70); 상기 하부 지지부(20)에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 삽입공(70)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된 커팅날 삽입요홈(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에 삽입되어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터(41)와, 상기 커터(41)가 고정되는 커터고정부(42)와,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을 따라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상기 커터고정부(42)를 이송시켜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을 커팅되도록 하는 커터고정부용 이송부(4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전방에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이 커팅될 위치가 되도록 선행판(2)과 접하여 선행판(2)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하는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형기판(1)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위치에 위치표시 마크(3)가 구비되며,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표시 마크(3)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100)에 의한 상기 위치표시 마크(3)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을 부착되도록 하는 박형기판 부착부(51)와,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선행판(2)을 부착되도록 하는 선행판 부착부(52)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를 승강시키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와,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를 승강시키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가 고정되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가 고정되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에 고정되는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와,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에 의해 습동되며, 단부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고정되어 인출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되도록 하는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 또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구비되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감지하기 위한 선행판 감지센서(11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된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의 상부에 적층될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가 적재되는 간지 적재부(120); 상기 이송가이드(59)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59)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간지 적재부(120)로부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간지를 이송되도록 하는 간지 이송부(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는, 본 발명은 상기 커팅부(40)에 의해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여 선행판을 제거하게 되므로, 선행판을 상부로 들어올려 강제로 선행판을 박형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박형기판으로부터 선행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형기판에 점착제가 남지않게 되므로 더미부분을 커팅하는 후공정시 박형기판의 클램핑 및 파지할 때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 지지부(30) 및 하부 지지부(20)에 의해 커팅될 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커팅하게 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30)에 구비된 커팅날 삽입공(70)과 상기 하부 지지부(20)에 구비된 커팅날 삽입요홈(80)에 커터(41)가 삽입되어 박형기판(1)을 커팅하게 되므로, 박형기판의 커팅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커팅시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 박형기판(1)과 박형기판(1)으로부터 커팅되어 제거된 선행판(2)을 서로 이격시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상부 고정부와 하부고정부 및 커팅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선행판이 부착된 박형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안착부에 박형기판이 진입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상부 고정부와 하부고정부 및 커팅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선행판이 부착된 박형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의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전방"은 선행판이 부착된 박형기판(1)에서 선행판(2)이 먼저 진입하여 박형기판(1)이 공급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폭방향"은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박형기판(1)의 너비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박형기판 안착부(10); 하부 지지부(20)(도 6 참조); 상부 지지부(30)(도 6 참조); 커팅부(40);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는,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공급되어 안착된다.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는 수평으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지지롤러(11)의 회전에 의해 박형기판(1)의 하부가 지지되어 공급되게 되며, 공급된 후에는 상기 지지롤러(11) 사이를 지지하여 박형기판(1)의 하부를 지지되도록 보조하는 다수의 수평 지지부(12)(도 3, 4, 9 참조)가 상기 지지롤러(11)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되어 박형기판(1)이 수평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 지지부(12)의 하단은 서로 수평되게 연결되어 실린더(미도시됨)에 의해 동일한 높이로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20)는, 도 6에서와 같이, 상승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에 의해 안착된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20)는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박형기판(1)의 폭보다 넓은 블록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승강은 하부 지지부 승강용 실린더(21)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부(20)와 상기 수평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시에 승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 지지부(3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강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를 상기 하부 지지부(20)와 함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30)의 승강은 상부 지지부 승강용 실린더(31)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과 상기 선행판(2)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이들이 적재될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도 2 참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팅부(40)에 의해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여 선행판을 제거하게 되므로, 선행판을 상부로 들어올려 강제로 선행판을 박형기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박형기판으로부터 선행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형기판에 점착제가 남지않게 되므로 더미부분을 커팅하는 후공정시 박형기판의 클램핑 및 파지할 때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지지부(30) 및 하부 지지부(20)에 의해 커팅될 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박형기판을 커팅되도록 하여, 박형기판의 커팅을 원활하게 하고, 커팅시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커팅날 삽입공(70)과 커팅날 삽입요홈(80)을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커팅날 삽입공(70)은, 상기 상부 지지부(30)에 구비되고, 상기 선행판(2)의 후방부위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은, 상기 하부 지지부(20)에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 삽입공(70)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팅부(4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커터(41)와, 커터고정부(42)와, 커터고정부용 이송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터(41)는,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에 삽입되어(도 7 참조)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터(41)는 상기 커터고정부(42)에 직립되게 고정된다.
상기 커터고정부(42)는, 상기 커터(41)가 직립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터고정부용 이송부(43)는,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을 따라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상기 커터고정부(42)를 이송시켜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을 폭방향으로 커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지지부(30) 및 하부 지지부(20)에 의해 커팅될 부위를 고정한 상태에서 커팅하게 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30)에 구비된 커팅날 삽입공(70)과 상기 하부 지지부(20)에 구비된 커팅날 삽입요홈(80)에 커터(41)가 삽입되어 박형기판(1)을 커팅하게 되므로, 박형기판의 커팅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커팅시 박형기판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팅부(40)에 의해 커팅될 때 커팅될 위치를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박형기판(1)을 박형기판 안착부(1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기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는,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전방에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이 커팅될 위치가 되도록 선행판(2)과 접하여 선행판(2)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는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의 상부인 상기 지지롤러(11) 및 상기 수평 지지부(12)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고, 박형기판(1)의 두께보다는 높게 설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여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을 커팅부(40)에 의해 커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박형기판(1)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위치에 위치표시 마크(3)(도 8 참조)가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표시 마크(3)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100)이 구비되도록 한다(도 9 참조).
이때, 상기 카메라 유닛(100)에 의한 상기 위치표시 마크(3)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100)에 의한 상기 위치표시 마크(3)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감지되면 상기 커팅부(40)에 의해 커팅되도록 제어하여 선행판(2)이 커팅될 수 있도록 하며,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이 감지되면 상기 커팅부(40)의 커팅작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박형기판(1)이 커팅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는, 도 9에서와 같이, 박형기판 부착부(51)와, 선행판 부착부(52)와,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와,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와,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과,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와,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과, 이송가이드(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을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는 흡입(진공)에 의한 흡착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며, 진공의 제거에 의해 흡착된 박형기판(1)을 파지되도록 하는 공지된 흡착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선행판(2)을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는, 흡착부와 흡착부가 고정되는 흡착부고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흡착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는 습동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와 마찬가지로 습동에 의해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가 고정된다.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가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박형기판(1)으로부터 커팅되어 제거된 선행판(2)을 박형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박형기판(1)으로부터 커팅되어 제거된 선행판(2)을 박형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이격된 상태로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에 적재되도록 한다.
박형기판(1)으로부터 커팅되어 제거된 선행판(2)을 박형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에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와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을 이용한다.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에 고정된다.
상기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은,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에 의해 습동되며, 단부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고정되어 인출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에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가 구비되므로,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이 이격되면, 결국,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박형기판(1)과 박형기판(1)으로부터 커팅되어 제거된 선행판(2)을 서로 이격시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가이드(59)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이 결합되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 또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구비되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감지하기 위한 선행판 감지센서(11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의 흡착부 고정판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에 의해 상기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이 인출되면,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시키게 되는데,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2)이 이격되지 않게 되면,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구비된 상기 선행판 감지센서(110)의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감지되지 않게 되고, 이렇게 되면 커팅부(40)에 의한 커팅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2)이 이격되면,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구비된 상기 선행판 감지센서(110)의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감지되게 되므로, 커팅부(40)에 의한 커팅이 정상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구비된 상기 선행판 감지센서(110)의 감지에 의해 커팅부(40)에 의한 커팅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된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의 상부에 적층될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간지 적재부(120)와, 간지 이송부(130)를 채택한다.
상기 간지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는,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된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의 상부에 적층될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가 적재된다.
상기 간지 이송부(130)는, 상기 이송가이드(59)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59)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간지 적재부(120)로부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간지를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지 이송부(130)는, 간지 부착부(131)와,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132) 및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지 부착부(131)는, 상기 간지 적재부(120)에 적재된 간지를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지 부착부(131)는,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 및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와 마찬가지로, 공지된 흡착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132)는, 상기 간지 부착부(131)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지 부착부(131)는 습동에 의해 상기 간지 부착부(131)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133)은, 상기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132)가 고정되며, 상기 이송가이드(59)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59)를 따라 이송되어 간지를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59)는, 하나로 구비되어, 전술한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상기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133)이 동시에 결합되게 되도록 하여 이들을 각각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59)는, 2개로 구비되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상기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133)이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각각 이송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커팅부(40)에 의해 커팅될 위치를 선행판 제거와 동시에 더미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팅부(40)에 의해 커팅될 위치를 선행판의 제거와 더미부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조정하게 되면, 선행판의 제거공정과 더미부분제거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잇게 되므로, 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선행판을 제거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공급되어 박형기판이 안착되는 박형기판 안착부(10)에 박형기판을 안착시킨다(S10).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0)와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를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30)에 의해 안착된 박형기판을 고정시킨다(S20).
이어서,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팅부(40)에 의해 박형기판을 커팅한다(S30).
이어서,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에 의해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과 상기 선행판(2)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이들이 이송시켜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적재시킨다(S40).
이때, 상기 박형기판 안착단계(S10)시,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전방에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이 커팅될 위치가 되도록 선행판(2)과 접하여 선행판(2)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하는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에 의해 선행판의 전진을 제한하는 선행판 전진 제한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박형기판(1)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위치에 위치표시 마크(3)가 구비되며,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표시 마크(3)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박형기판 안착단계(S10)시, 상기 카메라 유닛(100)에 의한 상기 위치표시 마크(3)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는 박형기판 구분단계(S12);를 더 포함하는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을 부착되도록 하는 박형기판 부착부(51)와,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선행판(2)을 부착되도록 하는 선행판 부착부(52)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를 승강시키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와,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를 승강시키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가 고정되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가 고정되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에 고정되는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와,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에 의해 습동되며, 단부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고정되어 인출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되도록 하는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단계(S40)시,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되도록 하는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격단계(S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단계(S40)시,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 또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구비되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감지하기 위한 선행판 감지센서(110)에 의해 선행판을 감지하는 선행판 감지단계(S4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된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의 상부에 적층될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가 적재되는 간지 적재부(120)와, 상기 이송가이드(59)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59)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간지 적재부(120)로부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간지를 이송되도록 하는 간지 이송부(13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단계(S40) 후에 적재된 박형기판 및 선행판의 상부에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단계(S4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박형기판
2 : 선행판
3 : 위치표시 마크
10 : 박형기판 안착부
11 : 지지롤러
12 : 수평 지지부
20 : 하부 지지부
30 : 상부 지지부
40 : 커팅부
41 : 커터
42 : 커터고정부
43 : 커터고정부용 이송부
50 :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
51 : 박형기판 부착부
52 : 선행판 부착부
53 :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54 :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55 :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
56 :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
57 :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
58 :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
59 : 이송가이드
60 :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
70 : 커팅날 삽입공
80 : 커팅날 삽입요홈
90 :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
100 : 카메라 유닛
110 : 선행판 감지센서
120 : 간지 적재부
130 : 간지 이송부
131 : 간지 부착부
132 :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133 : 간지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

Claims (13)

  1. 전방단부부위에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이 공급되어 안착되는 박형기판 안착부(10);
    상승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에 의해 안착된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0);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강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1)의 전방단부부위를 상기 하부 지지부(20)와 함께 고정시키는 상부 지지부(30);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팅부(40);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과 상기 선행판(2)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이들이 적재될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30)에 구비되고, 상기 선행판(2)의 후방부위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형성된 커팅날 삽입공(70);
    상기 하부 지지부(20)에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 삽입공(70)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된 커팅날 삽입요홈(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팅부(40)는,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에 삽입되어 상기 선행판(2) 후방부위의 상기 박형기판(1)을 상기 박형기판(1)의 공급방향과 수직되게 커팅하는 커터(41)와,
    상기 커터(41)가 고정되는 커터고정부(42)와,
    상기 커팅날 삽입공(70) 및 상기 커팅날 삽입요홈(80)을 따라 상기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상기 커터고정부(42)를 이송시켜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을 커팅되도록 하는 커터고정부용 이송부(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20)의 전방에 박형기판(1)의 폭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커터(41)에 의해 박형기판(1)이 커팅될 위치가 되도록 선행판(2)과 접하여 선행판(2)의 전진을 제한하도록 하는 선행판 전진 제한용 스토퍼(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기판(1)의 좌우 양측에는 일정위치에 위치표시 마크(3)가 구비되며,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표시 마크(3)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 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100)에 의한 상기 위치표시 마크(3) 감지에 의해 선행판(2)이 부착된 박형기판(1)과 선행판(2)이 부착되지 않은 박형기판(1)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이송부(50)는,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을 부착되도록 하는 박형기판 부착부(51)와,
    커팅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선행판(2)을 부착되도록 하는 선행판 부착부(52)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를 승강시키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와,
    상기 선행판 부착부(52)를 승강시키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와,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53)가 고정되는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과,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54)가 고정되는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에 고정되는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와,
    상기 선행판 이격용 실린더(57)에 의해 습동되며, 단부가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에 고정되어 인출에 의해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을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51)에 부착된 상기 박형기판(1)으로부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이격되도록 하는 선행판 이격용 피스톤(58)과,
    상기 박형기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5)을 상기 박형기판 안착부(10)로부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시키는 이송가이드(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판 부착부용 승강부 고정브라켓(56) 또는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구비되며, 상기 선행판 부착부(52)에 부착된 상기 선행판(2)을 감지하기 위한 선행판 감지센서(1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이송된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의 상부에 적층될 박형기판(1) 및 선행판(2)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지가 적재되는 간지 적재부(120);
    상기 이송가이드(59)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가이드(59)를 따라 이송되며 상기 간지 적재부(120)로부터 상기 박형기판 및 선행판 적재부(60)로 간지를 이송되도록 하는 간지 이송부(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129545A 2022-10-11 2022-10-11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KR10255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45A KR102557141B1 (ko) 2022-10-11 2022-10-11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45A KR102557141B1 (ko) 2022-10-11 2022-10-11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141B1 true KR102557141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545A KR102557141B1 (ko) 2022-10-11 2022-10-11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1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711A (ja) * 2007-03-22 2008-11-06 Mck:Kk 先行板自動テープ貼付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711A (ja) * 2007-03-22 2008-11-06 Mck:Kk 先行板自動テープ貼付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94732B2 (ja) 枚葉紙給紙部の自動積替装置
CN112046125A (zh) 一种双面撕膜设备
KR102043984B1 (ko) 워크를 분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2499376U (zh) 一种双面撕膜设备
JP2007084298A (ja) シート移載集積装置およびシート束自動包装システム
KR102022627B1 (ko) 피도금물 공급 및 배출설비
JP3819197B2 (ja) 板状ワーク供給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板状ワーク孔明け装置
KR102557141B1 (ko) 박형기판 이송용 선행판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판 제거방법
JP2004018180A (ja) 合紙取出装置
JPH07237751A (ja) 板体移動装置
JP2005289522A (ja) 合紙排出装置
JP4552846B2 (ja) 板材吸引移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6227692A (ja) 積層板状物分離搬送装置
KR100736860B1 (ko)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간지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CN110980284A (zh) 屏体托盘上料机构及屏体显示装置生产设备
CN221070074U (zh) 一种片环上料装置
JP2662090B2 (ja) シート体枚葉制御方法
KR102476003B1 (ko) 반도체용 기판의 필름 박리 및 기판 적재 장치
JPH09136723A (ja) ウェーハ取出し装置
CN217296326U (zh) 一种从堆叠托盘中取片的装置
JPH10167483A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1713584B1 (ko)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장치
CN110294343B (zh) 衬垫纸去除装置及衬垫纸去除方法
JP3853059B2 (ja) ガラス板の保持搬送方法
KR100771422B1 (ko) 인쇄회로기판용 테이핑 및 롤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