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464B1 -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464B1
KR102554464B1 KR1020210034320A KR20210034320A KR102554464B1 KR 102554464 B1 KR102554464 B1 KR 102554464B1 KR 1020210034320 A KR1020210034320 A KR 1020210034320A KR 20210034320 A KR20210034320 A KR 20210034320A KR 102554464 B1 KR102554464 B1 KR 10255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drum
game device
rotary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419A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21003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4464B1/ko
Priority to EP22771646.1A priority patent/EP4309752A1/en
Priority to PCT/KR2022/002960 priority patent/WO2022196980A1/ko
Priority to JP2023553697A priority patent/JP2024512342A/ja
Priority to US18/548,926 priority patent/US20240154400A1/en
Priority to CN202280019128.5A priority patent/CN116997392A/zh
Publication of KR2022012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4Disc roulettes; Dial roulettes; Teetotums; Dice-tops
    • A63F5/043Disc roulettes; Dial roulettes; Teetotums; Dice-tops using concentric disc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011Systems for braking, arresting, halting or stopping
    • A63F5/0017Braking effect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oy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체 또는 소정 형상의 서포트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둘레면에는 승강줄이 권취되는 드럼;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기어부; 및 상기 승강줄의 하단에 매달리는 승강 본체와, 상기 승강 본체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문구, 숫자, 이미지 및 색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서로 구분되는 베팅구역부가 원주방향으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을 가진 게임기구 승강체;를 포함하는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승강식 회전게임장치{UP AND DOWN TYPE ROTARY GAME DEVICE}
본 발명은 승강식 회전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스토랑이나 카페, 주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어 회전판 게임 기능을 구현하여 각종 놀이나 이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장이나 각종 모임에서 회식을 하거나 야유회, 캠핑과 같은 여가생활을 즐기는 경우 다트(dart)나 베팅(betting) 회전판, 주사위 등과 같은 게임 소품들을 사용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게임을 위한 소품들은 대체로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고, 다트나 베팅 회전판과 같은 게임장치는 비교적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좋지 않고 사용이 종료된 후에도 점유공간을 그대로 차지하여 시설 내의 인테리어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대안으로, 특허문헌 1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 또는 보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휴대성이 개선된 휴대용 룰렛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거치부와, 하부의 회전축이 상기 거치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서 소정의 위치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배터리가 내장되는 지시팁을 포함하는 지시부와, 상기 배터리를 통해 발광하는 발광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 및 지시부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 지시부 및 표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일부는 상기 표시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표시부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의 일부가 용기 또는 보틀의 뚜껑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의 측면을 일방향을 향해 밀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룰렛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휴대용 룰렛 장치는 개인 휴대용이므로 레스토랑이나 카페, 주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설치하여 동시에 여러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한편, 레스토랑, 카페, 주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한정된 공간 내의 다수 개소에서 동시에 전기 기구가 사용되므로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많은 수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근래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터치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중이용시설에서 콘센트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모습도 흔히 볼 수가 있다.
다중이용시설에서 다수의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어 배선을 안전하고 깔끔하게 하기 위하여 천정이나 벽면에 케이블 릴을 설치하고 릴의 끝부분에 콘센트를 연결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기술도 제안되었다.
일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전선을 종방향으로 적층 권취될 수 있게 하여 전선의 꼬임이나 비틀림 등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동력부(모터)를 통해 제1권취부 및 제2권취부가 회전하며 메인전원공급선 및 콘센트전원공급선이 권취 또는 인출을 위한 회전중에도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1권취부의 직경이 제2권취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메인전원공급선이 풀리는 길이보다 콘센트전원공급선이 인출되는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콘센트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릴 콘센트 승강장치는 장치를 소형화하는 데 한계가 있고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려서 콘센트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권취부의 회전 시에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어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921684호(2018.11.23.공고)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530169호(2015.06.1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승강줄(케이블)을 사용하는 기존 승강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승강장치의 장점을 회전판 게임장치에 채택하여 사용 종료 후에 점유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의 내부에 수납된 드럼와 구동모터의 결합 관계가 개선되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줄을 통해 상용 전력을 게임기구 승강체에 전달하여 각종 전자기기에 대한 충전 기능을 갖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사용 시에는 하강이 되지 않고 사용 시에만 게임기구 승강체를 잡아당겨서 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체 또는 소정 형상의 서포트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둘레면에는 승강줄이 권취되는 드럼;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기어부; 및 상기 승강줄의 하단에 매달리는 승강 본체와, 상기 승강 본체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문구, 숫자, 이미지 및 색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서로 구분되는 베팅구역부가 원주방향으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을 가진 게임기구 승강체;를 제공한다.
상기 드럼은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바디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중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승강 본체의 하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서 정해진 피치로 골과 마루, 또는 통공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로터리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로터리 부재에 접촉 또는 근접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감지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자석과 대향 가능한 철판 또는 영구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을 돌렸을 때 회전 주기 및 속도를 연산하고 회전속도별 정지위치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예측하고 상기 전자석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석과 상기 철판 또는 영구자석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이용해 정지 위치를 조절하는 인공지능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줄은 전력케이블이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는 원반 형상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면 중심에 상기 드럼이 연결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양편에 대칭으로 복수개의 플러그 삽입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을 가로막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의 출력단이 상기 격벽의 일면 중심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타면에는 상용 전력을 접점 방식으로 입력받기 위한 회전슬립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회전슬립링을 통해 입력된 상용 전력을 승강줄에 인입시키기 위한 전선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승강줄을 일정한 피치로 권취하도록 승강줄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는 안내 그루브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그루브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는 상기 드럼의 중공과 연통되어 승강줄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이 되는 위치조절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줄의 전체길이에 따라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조절홀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반복되는 안내 그루브 패턴에 교호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줄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단층으로 권취되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승 완료시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에서 승강줄의 권취가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바디의 하면을 관통하여 바깥으로 노출되어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승 완료 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승정지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위치조절홀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편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슬립링의 주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바닥에는 상기 드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ㄷ'자형의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드럼의 양단에 각각 대응되고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후미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슬립링의 일부와 상기 광센서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중간 지점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되고 상기 바디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로부터 상기 바디의 하부로 풀려나가는 승강줄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에서 풀리는 승강줄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착지 상태를 검출하는 무부하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DC 모터이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쇼트되거나 양단 사이에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진 제동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기어부의 감속기어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에 미리 정해진 고하중 또는 인장력 이상의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구동모터가 전원에 의해 능동 회전하여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를 하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줄은 전력케이블이고, 상기 승강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에 올려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회전게임장치를 다중이용시설의 천정에 설치하여 각각의 테이블에서 독립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게임 종료 후에는 게임기구 승강체를 천정으로 상승시켜 둠으로써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인테리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회전판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감속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다채로운 게임이나 이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구동모터와 기어부가 드럼의 중공 내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경우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넷째, 게임기구 승강체는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승완료 시 천정에 매립되거나 천정 표면에 밀착되므로 전체적으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섯째, 회전슬립링에 의해 의해 상용 전력이 접점 방식으로 드럼에 전달되므로 드럼의 회전 시 승강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고 게임기구 승강체에 전력을 전달하여 전기 콘센트나 충전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드럼의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로 승강줄이 감길 수 있고 권취 시작점을 선택함으로써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승 종료 시 승강줄이 드럼의 정중앙에서 권취를 마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기구 승강체에 걸리는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다수의 위치조절홀이 드럼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편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드럼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게임기구 승강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게임기구 승강체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드럼이 회전하지 않아 게임기구 승강체의 하강이 억제되므로 안전사고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아홉째,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각종 다중이용시설의 천정 등에 설치가 되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터치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유무선으로 충전하거나 실험기구, 전열기구, 화상회의장치 등과 같은 기기의 플러그와 편리하고 깔끔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승강식 전기 콘센트로 겸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회전게임장치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게임기구 승강체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게임기구 승강체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회전게임장치의 투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게임기구 승강체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서 게임기구 승강체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천정 등 높은 곳에 설치되는 바디(100)와, 바디(100)의 내부에 수납된 드럼(101)과, 바디(100)에 고정되어 드럼(10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4)와, 구동모터(104)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드럼(101)에 전달하는 기어부(105)와, 승강줄(102)에 매달려서 승강 기능한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건물 내부의 천정이나 벽체, 또는 폴(pole)이나 건물기둥과 같은 소정 형상의 서포트에 설치된다. 바디(1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바디(100)의 내부에는 드럼(10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드럼(101)은 바디(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둘레면에는 승강줄(102)이 권취되어 있다. 승강줄(102)로는 와이어 로프나 전력케이블, 일반 로프 등 다양한 선재가 채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승강줄(102)이 전력케이블로 이루어진 예를 중심으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드럼(101)에 권취되는 승강줄(102)의 전체길이는 설치 환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승강줄(102)이 전력케이블인 경우에는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필요한 위치에 하강 완료됐을 때 드럼(101)에서 완전히 풀린 상태가 되는 것이 전기안전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드럼(101)의 내부에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가로막는 격벽(103)이 형성되어 있다. 즉, 드럼(101)은 격벽(103)을 기준으로 양편에 중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회전슬립링(106)은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부가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이나 전기기구 사용 기능을 추가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회전슬립링(106)은 격벽(103)의 타면, 즉 격벽(103)의 우측편에 배치되고 상용 전력을 접점 방식으로 입력받는 부재이다. 회전슬립링(106)은 드럼(101)의 회전 시 한 쌍의 접점이 서로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슬립(slip) 및 회전하면서 상용 전력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회전슬립링(106)의 한쪽편은 후술하는 브라켓(108)의 한쪽 수직 플레이트(108b)에 고정된다.
격벽(10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선관통홀(103a)이 두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줄(102)의 끝부분에서 피복이 해체된 심선들은 드럼(101)에 형성된 위치조절홀(101a)을 통해 드럼(101)의 중공으로 인입되고 전선관통홀(103a)을 통과하여 회전슬립링(106)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승강줄(102)의 입력단과 회전슬립링(106)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선이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슬립링(106)의 주변 일측에는 광센서(107)가 배치되어 드럼(101)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광센서(107)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회전슬립링(106)의 가장자리단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배치된다.
드럼(101)의 외주면에는 승강줄(102)을 일정한 피치로 권취하도록 승강줄(102)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는 안내 그루브(101b)가 드럼(10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 그루브(101b)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는 상기 드럼(101)의 중공과 연통되어 승강줄(102)이 상기 드럼(101)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이 되는 위치조절홀(10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조절홀(101a)은 상기 드럼(101)의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반복되는 안내 그루브(101b) 패턴에 교호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승강줄(102)은 드럼(101)의 외주면에 단층(one layer)으로 권취되고, 승강줄(102)의 전체길이를 고려하여 드럼(101)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승 완료 시 상기 드럼(101)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에서 승강줄(102)의 권취가 끝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승 완료 시 승강줄(102)의 최종 권취 부분을 드럼(101)의 정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걸리는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조절홀(101a)은 드럼(101)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편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위치조절홀(101a)이 형성되는 드럼(101)의 길이구간을 분산시킴으로써 드럼(101)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4의 상부에는 위치조절홀(101a)이 1번, 3번, 5번 그루브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하부에는 위치조절홀(101a)이 2번, 4번, 6번 그루브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승정지 리미트 스위치(109)는 바디(1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바디(100)의 하면을 관통하여 바깥으로 노출되어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승 완료 시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면과 접촉하여 작동한다. 상승정지 리미트 스위치(109)의 작동 시 소정의 마이컴(미도시)은 구동모터(104)를 정지시켜서 권취를 중단한다.
안내롤(110)은 바디(1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고 드럼(101)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상기 드럼(101)로부터 상기 바디(100)의 하부로 풀려나가는 승강줄(102)을 가이드한다. 바디(100)의 바닥면 중앙에는 드럼(10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113)이 형성되어 승강줄(102)이 드럼(10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릴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무부하 리미트 스위치(112)는 안내롤(1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101)에서 풀리는 승강줄(102)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착지 상태를 검출한다. 즉, 예컨대 구동모터(104)에 전원을 공급하여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하강시키는 경우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지면에 도달하여 장력이 감소하면 안내롤(110)에 걸리는 인장력이 변화되어 무부하 리미트 스위치(112)를 작동시킨다.
바디(100)의 바닥에는 드럼(10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실질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진 브라켓(108)이 고정되어 드럼(101)과 구동모터(104) 및 기어부(105)의 어셈블리를 지탱한다. 브라켓(108)은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8a,108b)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8a,108b)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플레이트(108c)로 구성된다.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8a,108b)는 드럼(101)의 양단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08a,108b) 중 어느 하나(108a)에는 구동모터(104)의 후미가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다른 하나(108b)에는 회전슬립링(106)의 한쪽편과 광센서(107)가 고정된다.
장착편(111)은 바디(100)를 천정이나 벽체 또는 소정 형상의 서포트에 설치하기 위한 체결부재이다. 장착편(111)은 수평 플레이트(108c)의 중간 지점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되고 바디(100)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장착편(111)에는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요소를 통과시키기 위한 체결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04)는 바디(100)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되어 드럼(101)의 한쪽편 중공 내에 배치된다. 구동모터(104)의 회전축에는 구동모터(104)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드럼(101)에 전달하는 감속기어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기어부(105)가 연결되어 있다. 기어부(105)의 출력단은 격벽(103)의 일면 중심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드럼(10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모터(104)는 DC 모터로 이루어지고,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10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104)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쇼트되거나 양단 사이에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진 제동저항이 연결된다.
대안으로,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게임기구 승강체(120)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10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기어부(105)의 감속기어비가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104)는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미리 정해진 고하중 또는 인장력 이상의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전원에 의해 능동 회전하여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의 'A'에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승강줄(102)에 매달리는 승강 본체(122)와 승강 본체(122)의 일면(바람직하게,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판(123)을 구비한다.
승강 본체(122)는 원반 형상의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경량의 알루미늄 소재 등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승완료 시 바디(100)의 하면 중심에 밀착되고 수월하게 천정에 매립되거나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승강 본체(122)의 내부에는 승강 본체(122)의 상부로 플러그 삽입구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거나 전기기구의 사용을 위한 전기 콘센트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승강 본체(122)에는 무선충전부가 내장되어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올려지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에 대해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하는 무선충전부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내장되어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면 방향으로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 유도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하여 게임기구 승강체(120) 위에 올려지는 스마트폰, 터치패드 등 소정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콘센트 유닛과 상기 무선충전부는 승강 본체(122)에 마련된 전력공급부(140)에 설치된다.
회전판(123)은 승강 본체(122)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판(123)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위해, 회전판(123)과 승강 본체(122) 사이에는 볼베어링(130)이 개재되고, 회전판(123)의 중심에는 볼베어링(130)의 내륜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볼트(131)가 체결된다. 회전판(123)의 평면부분에는 문구, 숫자, 이미지 및 색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서로 구분되는 베팅구역부(124)가 원주방향으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다. 베팅구역부(124)에는 게임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베팅구역부(124)에는 '원샷!', '노래해!', '뽀뽀해!', '계산해!', '당첨!' 등과 같은 문구가 기재될 수 있다.
도 2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에는 노출되지 않는 회전판(123)의 상면에는 로터리 부재(128)가 고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승강 본체(122)에는 로터리 부재(128)에 접촉하여 회전판(123)의 회전속도 등 회전량을 검출하는 감지부재(129)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리 부재(128)는 회전판(123)의 중심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구비하고 실질적인 원형의 둘레를 따라라서 정해진 피치로 골과 마루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감지부재(129)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고 회전판(123)의 회전 시 롤러 부분이 로터리 부재(128)의 골, 마루 구조와 접촉을 유지한다. 대안으로, 로터리 부재(128)에는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통공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감지부재(129)는 상기 통공과 대향하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판(123)에 대한 감속 제어를 위해 승강 본체(122)의 하부 가장자리 일측에는 전자석(127)이 고정되고, 회전판(123)의 상면에는 회전 시 전자석(127)과 대향 가능한 자성부재(126)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자성부재(126)는 철판이나 영구자석과 같은 강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전자석(127)과 자기적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회전판(123)이 회전하는 중에 전자석(127)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127)이 소정 세기의 자성을 갖게 되면 전자석(127)과 자성부재(126)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회전판(123)의 회전운동이 방해되어 감속이 촉진된다.
인공지능 마이컴(미도시)은 승강 본체(122)에 내장되고, 사용자가 회전판(123)을 돌렸을 때 로터리 부재(128)의 어느 한 지점에 마련된 소정의 식별돌기(또는 식별홈)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주기 및 속도를 연산하고 회전속도별 정지위치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예측하고 전자석(127)을 제어하여 전자석(127)과 자성부재(126)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이용해 정지 위치를 조절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에 따른 감속 제어를 수행한다. 즉, 감속 제어를 하지 않을 경우, F1의 힘으로 회전판(123)을 돌려서 예컨대, 10 바퀴 회전 후 정지한다면, 상기 인공지능 마이컴이 전자석(127)을 제어하면 동일한 힘 F1으로 회전판(123)을 돌려서 예컨대, 7.5 바퀴 회전한 위치에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마이컴은 회전판(123)의 회전주기 및 회전속도별(V1,V2,V3,...Vn)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P1,P2,P3,...Pn)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을 하고 예컨대, 회전판(123)의 회전속도가 V7인 경우 P7 값을 정지위치로 예측한다. 이때, P7에 대응하는 베팅구역부(124)를 회피하거나, 다른 특정의 베팅구역부(124)를 P7에 대응하고자 할 경우 인공지능 마이컴은 전자석(127)을 이용해 회전판(123)을 감속하는 제어를 수행하여 원하는 베팅구역부(124)를 고정표식(125)이 있는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인공지능 마이컴은 전자석(127)에 대한 제어 또는 경험 데이터를 축적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레스토랑이나, 카페, 주점, 야유회장, 펜션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각각의 테이블별로 대응하여 바람직하게, 천정에 설치가 되고 필요 시 하강하여 게임이나 이벤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스마트폰이나 터치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거나 각종 실험기구, 전열기구, 화상회의장치 등과 같은 기기의 플러그와 체결되는 전기 콘센트 및/또는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유,무선 리모컨으로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를 작동시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테이블 위의 공중에 위치시키거나 테이블면 위에 착지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손으로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하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승강식 회전게임장치는 제동저항이나 기어감속비 설정에 의해 정해진 하중이나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하강시킨 후 사용자는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하면에 있는 회전판(123)이 위를 향하도록 승강 본체(122) 또는 승강줄(102)을 잡고 뒤집어서 회전판(123)의 평면부분을 손가락으로 튕겨서 회전시키면 된다.
회전판(123)의 베팅구역부(124)에는 다양한 게임이나 이벤트성 문구가 미리 인쇄 또는 각인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베팅구역부(124)에 '원샷!'이나 '뽀뽀해!' 등과 같은 이벤트성 문구가 있는 경우 친구모임이나 피로연 등에서 분위기를 한층 띄우고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승강식 회전게임장치의 관리자는 인공지능 마이컴의 감속 제어기능을 비공개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모임의 주인공이 회전판(123)을 어떤 식으로 돌리더라도 특정의 베팅구역부(124) - 예컨대, '뽀뽀해!' - 가 고정표식(125)이 있는 위치에서 멈추도록 회전판(123)의 감속을 능동제어하여 모임의 참여자들에게 보다 큰 즐거움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 휴대기기에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승강 본체(122)의 상면에 노출된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를 이용하거나, 승강 본체(122)의 상면 일측에 휴대기기를 올려놓고 무선충전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게임 종료 시 사용자는 유,무선 리모컨을 조작하여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상승시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원위치시킬 수 있다.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구동모터(104)의 권취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바디(100)의 하면에 도달했을 때 상면이 상승정지 리미트 스위치(109)와 접촉하여 상승이 정지된다. 승강줄(102)은 사용전 세팅 과정에서 위치조절홀(101a)을 선택함으로써, 게임기구 승강체(120)의 상승 종료 시 드럼(101)의 정중앙에서 승강줄(102)의 권취를 마치도록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게임기구 승강체(120)에 걸리는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승 완료 시 바디(100)의 하부면 중심에 밀착된다. 게임기구 승강체(120)는 하부면이 천정의 표면과 나란하게 매립될 수 있고, 대안으로 돌출되게 외장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게임 종료 후에는 게임기구 승강체(120)를 천정으로 상승시켜 둠으로써 공간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인테리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바디 101: 드럼
101a: 위치조절홀 101b: 안내 그루브
102: 승강줄 103: 격벽
103a: 전선관통홀 104: 구동모터
105: 기어부 106: 회전슬립링
107: 광센서 108: 브라켓
108a,108b: 수직 플레이트 108c: 수평 플레이트
109: 상승정지 리미트 스위치 110: 안내롤
111: 장착편 112: 무부하 리미트 스위치
113: 장공 120: 게임기구 승강체
122: 승강 본체 123: 회전판
124: 베팅구역부 125: 고정표식
126: 자성부재 127: 전자석
128: 로터리 부재 129: 감지부재
130: 볼베어링 131: 고정볼트
140: 전력공급부

Claims (20)

  1. 천정이나 벽체 또는 소정 형상의 서포트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된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둘레면에는 승강줄이 권취되는 드럼;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기어부; 및
    상기 승강줄의 하단에 매달리는 승강 본체와 상기 승강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문구, 숫자, 이미지 및 색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서로 구분되는 베팅구역부가 원주방향으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판을 가진 게임기구 승강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줄은 전력케이블이고,
    상기 승강 본체는 원반 형상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 본체에는 상기 승강 본체의 상부로 플러그 삽입구가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센트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승강 본체의 하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바디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중공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승강 본체의 하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과 일치하는 회전중심을 구비하고 둘레를 따라서 정해진 피치로 골과 마루, 또는 통공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로터리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로터리 부재에 접촉 또는 근접 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감지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본체 및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전자석과 대향 가능한 철판 또는 영구자석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판을 돌렸을 때 회전 주기 및 속도를 연산하고 회전속도별 정지위치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과를 예측하고 상기 전자석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석과 상기 철판 또는 영구자석 간에 작용하는 자력을 이용해 정지 위치를 조절하는 인공지능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을 가로막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의 출력단이 상기 격벽의 일면 중심에 끼워져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타면에는 상용 전력을 접점 방식으로 입력받기 위한 회전슬립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회전슬립링을 통해 입력된 상용 전력을 승강줄에 인입시키기 위한 전선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는 승강줄을 일정한 피치로 권취하도록 승강줄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는 안내 그루브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그루브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는 상기 드럼의 중공과 연통되어 승강줄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이 되는 위치조절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승강줄의 전체길이에 따라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감기는 시작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위치조절홀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반복되는 안내 그루브 패턴에 교호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줄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단층으로 권취되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의 상승 완료시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에서 승강줄의 권취가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위치조절홀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양편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바닥에는 상기 드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ㄷ'자형의 브라켓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드럼의 양단에 각각 대응되고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후미가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슬립링의 일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DC 모터이고,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파워 입력단자 양단이 쇼트되거나 양단 사이에 미리 정해진 저항값을 가진 제동저항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가 자체 하중, 또는 미리 정해진 인장력에 미달할 때에는 상기 드럼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기어부의 감속기어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에 미리 정해진 고하중 또는 인장력 이상의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구동모터가 전원에 의해 능동 회전하여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줄은 전력케이블이고,
    상기 승강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게임기구 승강체에 올려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해 무선충전기능을 제공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KR1020210034320A 2021-03-16 2021-03-16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KR10255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20A KR102554464B1 (ko) 2021-03-16 2021-03-16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EP22771646.1A EP4309752A1 (en) 2021-03-16 2022-03-02 Single-layer winding type hoisting cable reel
PCT/KR2022/002960 WO2022196980A1 (ko) 2021-03-16 2022-03-02 단층 권취형 승강 케이블 릴
JP2023553697A JP2024512342A (ja) 2021-03-16 2022-03-02 単層巻取型昇降ケーブルリール
US18/548,926 US20240154400A1 (en) 2021-03-16 2022-03-02 Elevating cable reel of single-layer winding type
CN202280019128.5A CN116997392A (zh) 2021-03-16 2022-03-02 单层卷绕型升降电缆卷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20A KR102554464B1 (ko) 2021-03-16 2021-03-16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19A KR20220129419A (ko) 2022-09-23
KR102554464B1 true KR102554464B1 (ko) 2023-07-10

Family

ID=8344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20A KR102554464B1 (ko) 2021-03-16 2021-03-16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4464B1 (ko)
CN (1) CN11699739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26A (ja) * 1998-07-16 2000-02-02 Dalton Corp 昇降式コンセント装置
KR101033809B1 (ko) * 2009-04-08 2011-05-13 김찬주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
KR101659980B1 (ko) * 2015-11-18 2016-09-29 장민규 룰렛 구동장치
KR102204344B1 (ko) * 2020-06-29 2021-01-18 김선호 모바일 기기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2299C1 (nl) * 1996-02-12 1997-08-13 Re My Interieurs B V Verplaatsbaar interieurelement en werkwijzen voor de bediening ervan.
KR20120007157U (ko) * 2011-04-08 2012-10-17 (주)애드맨 스탠드형 룰렛 게임기
KR101530169B1 (ko) 2015-02-27 2015-06-19 김종열 케이블릴 콘센트 승강장치
KR101921684B1 (ko) 2017-04-27 2018-11-23 류화종 휴대용 룰렛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26A (ja) * 1998-07-16 2000-02-02 Dalton Corp 昇降式コンセント装置
KR101033809B1 (ko) * 2009-04-08 2011-05-13 김찬주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
KR101659980B1 (ko) * 2015-11-18 2016-09-29 장민규 룰렛 구동장치
KR102204344B1 (ko) * 2020-06-29 2021-01-18 김선호 모바일 기기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7392A (zh) 2023-11-03
KR20220129419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464B1 (ko) 승강식 회전게임장치
CN205672525U (zh) 一种全自动三人麻将机
US20150283470A1 (en) Induction light toy and related methods
CN107700900A (zh) 一种旋转立体车库
US20110197463A1 (en) Stepping-free electric dehydration barrel
US10124244B2 (en) Apparatus for animated beer pong (Beirut) game
EP4309752A1 (en) Single-layer winding type hoisting cable reel
CN207469852U (zh) 一种旋转立体车库
CN1969716A (zh) 一种储藏装置
KR20190117956A (ko) 드론을 이용한 상품 획득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상품 획득 장치
CN201169704Y (zh) 新型升降式晾衣架
JP4673256B2 (ja) 遊技機
CN206695059U (zh) 一种可升降舞台矩阵灯
KR102506700B1 (ko) 컴팩트형 승강식 전원장치
CN215781449U (zh) 一种vr游戏设备升降装置
CN106051607A (zh) 一种升降led灯装置
JP2003144735A (ja) 遊技機
CN110201405B (zh) 一种无线充电驱动陀螺
CN105460710A (zh) 一种缠绕设备
JP2000126441A (ja) 景品取得ゲ―ム機
CN207068151U (zh) 一种智能装取票卡的装置
KR101728458B1 (ko) 무인 사격 게임기
KR20200137944A (ko) 조명시스템 및 조명방법
CN206471113U (zh) 一种旋转音乐盒
CN214808358U (zh) 一种自动行棋棋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