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286B1 -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286B1
KR102554286B1 KR1020207028811A KR20207028811A KR102554286B1 KR 102554286 B1 KR102554286 B1 KR 102554286B1 KR 1020207028811 A KR1020207028811 A KR 1020207028811A KR 20207028811 A KR20207028811 A KR 20207028811A KR 102554286 B1 KR102554286 B1 KR 10255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film
antistatic
film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388A (ko
Inventor
히데노리 하시모토
슌 도요시마
šœ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 필름(10)은,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대전 방지성층(B)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대전 방지성층(B)이, 기재층(A) 상에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압출 코팅 가공층이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적층 필름으로서는, 기재 필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구성된 히트 시일성층을 맞붙인 적층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특개2017-20258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적어도 3층의 열가소성 수지 형성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의약 포장용 필름으로서, 대전 방지제 비함유 열가소성 수지 형성층으로 이루어지고 의약에 접하는 최내층인 제 1 층과,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단층 중에 C중량%(단, 10<C<30) 포함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 함유 열가소성 수지 형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층과, 열가소성 수지 형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최외층인 제 3 층 또는 제 3 층으로부터 최외층까지와의 상기 적층체가, 1㎠ 조각의 합계 5g당 물에 대한 용출성 알칼리 성분을 최대로 0.01mmol 당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포장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202584호 공보
포장용 적층 필름의 각종 특성에 관하여 요구되는 기술 수준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필름은, 단층 중에 10질량%를 넘는 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지 않으면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10질량%를 넘으면, 가격의 관점에서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또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을 높이면, 얻어지는 적층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하여, 내용물의 시인성이 악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때문에, 단층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적어도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발현되는 적층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압출 코팅법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층을 기재층 상에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층에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그 결과, 단층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낮은 경우라도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1]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상기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 중의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이, 상기 기재층(A)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압출 코팅 가공층인 적층 필름.
[2]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상기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 중의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기 적층 필름의 감쇠 시간이 1.0초 이내인 적층 필름.
(방법)
FEDERAL TEST METHOD 101C METHOD 4046(미국연방정부 시험 기준)에 준거하여, 정전 전압 감쇠 특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0V, 23℃, 50%RH의 조건 하에서, 상기 기재층(A)의 표면에 대전압이 5000V가 될 때까지 전압의 인가를 행하고, 이어서, 상기 대전압이 5000V부터 500V까지 감쇠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 시간을 상기 감쇠 시간으로 한다.
[3]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이 압출 코팅 가공층인 적층 필름.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B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1g/10분 이상 20g/10분 이하인 적층 필름.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1)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두께가 5㎛ 이상인 적층 필름.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가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
[8]
상기 [7]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가,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및 폴리우레탄계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9]
상기 [8]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를 구성하는 금속 이온이, 칼륨 이온, 리튬 이온 및 나트륨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시일성층(C)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의해 구성된 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포장재.
[13]
상기 [12]에 기재된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물품을 구비하는 포장체.
[14]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상기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 중의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상기 기재층(A)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상기 기재층(A) 상에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그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수치 범위의 「X∼Y」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X 이상 Y 이하를 나타낸다.
1.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의 적층 필름(10)의 구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은,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으로서, 대전 방지성층(B)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대전 방지성층(B)이, 기재층(A) 상에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압출 코팅 가공층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대전 방지성층(B)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고, 기재층(A) 상에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기재층(A) 상에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의 대전 방지성층(B)은 압출 코팅법에 의해 형성된 압출 코팅 가공층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필름은, 단층 중에 10질량%를 넘는 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지 않으면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10질량%를 넘으면, 가격의 관점에서 실용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또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을 높이면, 얻어지는 적층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하여, 내용물의 시인성이 악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때문에, 단층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적어도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발현되는 적층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압출 코팅법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층(B)을 기재층(A) 상에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성층(B)에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이 양호해지고, 그 결과, 단층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낮은 경우라도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10)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압출 코팅법을 이용하면 대전 방지성층(B)에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이 양호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압출 코팅법을 이용하면, 특허문헌 1에서 이용되고 있는 인플레이션 성막법 등에 비해, 성형 시의 수지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재층(A) 상에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하는 것에 의해, 기재층(A) 상에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대전 방지성층(B)에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이 양호해져,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은, 중간층인 대전 방지성층(B)이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가 필름의 외표면에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은, 대전 방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히트 시일하여 봉투(袋) 형상으로 할 때나, 봉투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 등에 먼지나 내용물 등이 히트 시일성층(C)이나 기재층(A)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포장재나 포장체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포장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성이 양호한 대전 방지성층(B)의 모르폴로지는 인플레이션 성막법 등으로 얻어진 것과 상이하다고 추측되지만 구조를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기재층(A) 상에,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기재층(A) 상에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한다. 이 압출 공정에 있어서의 성형 장치 및 성형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성형 장치 및 성형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성형 장치로서는, T-다이 압출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 조건으로서는, 공지의 압출 코팅 방법의 성형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공정에 있어서의 압출 코팅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종류나 배합에 의해 적절히 설정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전 방지성층(B)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고, 얻어지는 적층 필름(10)의 대전 방지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8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출 공정에 있어서의 압출 코팅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50℃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감쇠 시간이 1.0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1초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층 필름(10)의 대전 방지성을 한층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적층 필름(10)에 있어서, 적층 필름(10)의 상기 감쇠 시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초 이상이다.
(방법)
FEDERAL TEST METHOD 101C METHOD 4046(미국연방정부 시험 기준)에 준거하여, 정전 전압 감쇠 특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0V, 23℃, 50%RH의 조건 하에서, 상기 기재층(A)의 표면에 대전압이 5000V가 될 때까지 전압의 인가를 행하고, 이어서, 상기 대전압이 5000V부터 500V까지 감쇠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 시간을 상기 감쇠 시간으로 한다.
이와 같은 감쇠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전 방지성층(B)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을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로 하면서, 압출 코팅법에 의해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중요해진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을 구성하는 각 층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재층(A)>
기재층(A)은, 적층 필름(10)의 취급성이나 기계적 특성, 도전성, 단열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마련되는 층이다. 기재층(A)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은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나 내(耐)핀홀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기재층(A)의 두께는, 양호한 필름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1㎛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상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 이상 8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기재층(A)은 다른 층과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앵커 코트 처리, 프라이머 코트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대전 방지성층(B)>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대전 방지성층(B)은,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열가소성 수지(B1)를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다.
대전 방지성층(B) 중의 열가소성 수지(B1)의 함유량은,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대전 방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99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7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6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이고, 얻어지는 적층 필름(10)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거나, 비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1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2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4질량% 이상이다.
또한, 대전 방지성층(B) 중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은,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지만, 대전 방지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고, 얻어지는 적층 필름(10)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거나, 비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질량% 이하이다.
대전 방지성층(B)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이상 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상 40㎛ 이하이다. 대전 방지성층(B)의 압출 코팅성의 관점에서는, 대전 방지성층(B)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격의 관점에서는, 대전 방지성층(B)의 두께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열가소성 수지(B1)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그 밖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폴리머 블렌드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6-나일론,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층(A) 및 히트 시일성층(C)과의 접착성, 취급성, 제대(製袋) 가공성, 가격 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B1)로서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열가소성 수지(B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이라고도 함)는, 0.1g/10분 이상 2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10분 이상 15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g/10분 이상 10g/10분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대전 방지성층(B)의 가공성을 한층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MFR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압출 코팅하는 공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대하여, 높은 전단력을 거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대전 방지성층(B)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전 방지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적층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폴리에테르계 블록과 폴리올레핀계 블록과의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등의 제 4 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대전 방지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적층 필름(10)을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아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폴리우레탄계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및 스티렌계 아이오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계 아이오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계 아이오노머의 베이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노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공중합시킨 중합체이고, 필요에 따라, 에틸렌 및 불포화 카르본산계 이외의 모노머가 공중합되어도 된다.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생산성을 고려하면 2원(元) 랜덤 공중합체, 3원 랜덤 공중합체, 2원 랜덤 공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3원 랜덤 공중합체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원 랜덤 공중합체 또는 3원 랜덤 공중합체이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2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알킬에스테르·불포화 카르본산 3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 무수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무수 말레산 모노메틸, 무수 말레산 모노에틸 등) 등의 탄소수 4∼8의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하프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불포화 카르본산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의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본산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를 구성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이 공중합한 공중합체이고, 추가로 제 3 공중합 성분이 공중합한 3원 이상의 다원 공중합체여도 된다.
다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 및 당해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메타)아크릴산 외에, 제 3 공중합 성분으로서,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디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 불포화 탄화수소(예를 들면, 프로필렌, 부텐, 1,3-부타디엔, 펜텐, 1,3-펜타디엔, 1-헥센 등), 비닐황산이나 비닐질산 등의 산화물, 할로겐 화합물(예를 들면, 염화비닐, 불화비닐 등), 비닐기 함유 1, 2급 아민 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유황 등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제 3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알킬 부위의 바람직한 탄소수는 1∼4)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공중합 성분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에틸렌·(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25질량%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 3 공중합 성분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생산·혼합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 9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질량% 이상 92질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불포화 카르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3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이다.
상기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베이스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푸마르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아이오노머 수지를 구성하는 금속 이온으로서는, 리튬 이온,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바륨 이온 등의 다가 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이온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칼륨 이온, 리튬 이온 및 나트륨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칼륨 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 중에서도, 식품 용도로의 사용이 인정되고 있는 점에서, 아이오노머 수지를 구성하는 금속 이온으로서 칼륨 이온을 포함하는 아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공성이나 성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95% 이하가 바람직하고, 9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중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공성이나, 얻어지는 적층 필름(10)의 대전 방지성이나 내열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아이오노머 수지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01g/10분 이상 2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g/10분 이상 1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g/10분 이상 5g/10분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대전 방지성층(B)의 가공성을 한층 더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MFR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압출 코팅하는 공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대하여, 높은 전단력을 거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대전 방지성층(B) 있어서의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분산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전 방지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적층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대전 방지성층(B)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 이외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 이외의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광 안정제, 발포제, 윤활제, 결정 핵제, 결정화 촉진제, 결정화 지연제, 촉매 실활제(失活劑),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내충격성 개량제, 슬립제, 가교제, 가교 조제, 점착 부여제, 실란 커플링제, 가공 조제, 이형제, 가수분해 방지제, 내열 안정제, 안티 블로킹제, 방담제(防曇劑), 난연제, 난연 조제, 광 확산제, 항균제, 방미제, 분산제나 그 밖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되지만, 접착성, 투명성의 관점에서, 슬립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립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대전 방지층(B)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B3) 중, 슬립제의 함유량이 0.1질량%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히트 시일성층(C)>
히트 시일성층(C)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에 히트 시일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이고,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C1)를 포함한다.
히트 시일성층(C)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3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50㎛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열가소성 수지(C1)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그 밖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폴리머 블렌드 등의 폴리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히트 시일성이 우수한 점에서, 열가소성 수지(C1)로서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 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히트 시일성층(C) 중의 열가소성 수지(C1)의 함유량은, 히트 시일성층(C)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이다. 이에 의해, 대전 방지성층(B)과의 접착성이나 히트 시일성 등의 밸런스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히트 시일성층(C)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C1) 이외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광 안정제, 발포제, 윤활제, 결정 핵제, 결정화 촉진제, 결정화 지연제, 촉매 실활제, 열가소성 수지(C1)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내충격성 개량제, 슬립제, 가교제, 가교 조제, 점착 부여제, 실란 커플링제, 가공 조제, 이형제, 가수분해 방지제, 내열 안정제, 안티 블로킹제, 방담제, 난연제, 난연 조제, 광 확산제, 항균제, 방미제, 분산제나 그 밖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밖의 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은, 기재층(A), 대전 방지성층(B) 및 히트 시일성층(C)의 3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적층 필름(10)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상기 3층 이외의 층(이하, 그 밖의 층이라고도 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포층, 금속층, 무기물층, 가스 배리어층, 하드 코트층, 접착층, 반사 방지층, 방오층, 앵커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층은 1층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층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은,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공업용품, 일용품, 화장품 등을 포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포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식품 포장재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2. 포장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재는, 적어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에 의해 구성된 층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재는 그 일부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을 사용해도 되고, 포장재의 전체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 필름(10)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봉투 형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봉투 형상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삼방(三方) 봉투, 사방 봉투, 필로우 봉투, 거싯 봉투, 스틱 봉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재는,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공업용품, 일용품, 화장품 등을 포장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포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식품 포장재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포장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체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물품을 구비한다.
상기 물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공업용품, 일용품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 필름의 제작에 이용한 재료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기재층(A)>
PET1(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12㎛)
PET2(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50㎛)
ONy(2축 연신 나일론 필름, 두께:15㎛)
OPP(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두께:20㎛)
<대전 방지성층(B)>
(열가소성 수지(B1))
LDPE1 :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923㎏/㎥, MFR:3.7g/10분)
LDPE2 :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917㎏/㎥, MFR:7.2g/10분)
LDPE3 :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917㎏/㎥, MFR:23g/10분)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
IO-1 :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에틸렌 함유량:86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14질량%, 금속 이온:칼륨, 중화도:84%, 밀도:965㎏/㎥, MFR:0.8g/10분)
<히트 시일성층(C)>
LLDPE1(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30㎛)
LLDPE2(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100㎛)
[실시예 1∼9 및 비교예 1]
기재층(A) 및 히트 시일성층(C)의 사이에,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기재층(A) 상에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적층 필름을 각각 얻었다. 압출 코팅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압출기:65mmφ 압출기(L/D=28)
압출 코팅 온도(다이 하(下) 온도):305℃, 압출 코팅 속도:80m/min, 에어갭:110mm
또한, 기재층(A)의 표면은, 미리 앵커 코트제에 의한 앵커 코트 처리를 행했다.
얻어진 적층 필름에 관하여 이하의 평가를 각각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각각 나타낸다.
<대전 방지성의 평가>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40℃에서 2일 방치하여, 앵커 코트제를 경화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하여,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7일간 방치한 후, FEDERAL TEST METHOD 101C METHOD 4046(미국연방정부 시험 기준)에 준거하여, 정전 전압 감쇠 특성 측정 장치(Electro-Tech Systems, Inc.:ETS사제 MODEL406D STATIC DECAY METER)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 5000V, 23℃, 50%RH의 조건 하에서, 적층 필름의 기재층(A)측의 표면에 대전압이 5000V가 될 때까지 전압의 인가를 행하고, 이어서, 대전압이 5000V부터 500V까지 감쇠하는 시간(초)을 측정하여, 적층 필름의 대전 방지성을 평가했다. 또한, 적층 필름의 MD방향을 측정했다.
[표 1]
Figure 112020105966317-pct00001
실시예 1∼9의 적층 필름은 감쇠 시간이 모두 1.0초 이하이고, 단층 중에 포함되는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대전 방지성이 우수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의 적층 필름은 감쇠 시간이 크고, 대전 방지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이 출원은, 2018년 3월 8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8-041427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포함시킨다.

Claims (14)

  1. 적어도 기재층(A)과, 열가소성 수지(B1) 및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단,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함)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B3)에 의해 형성된 대전 방지성층(B)과, 히트 시일성층(C)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 중의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의 함유량이,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전체를 100질량%로 했을 때, 1질량% 이상 8질량% 이하이고,
    상기 기재층(A)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B3)을 압출 코팅함으로써, 상기 기재층(A) 상에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을 형성하는 압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압출 공정에 있어서의 압출 코팅 온도가 250℃ 이상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B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1g/10분 이상 20g/10분 이하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1)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성층(B)의 두께가 5㎛ 이상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B2)가 아이오노머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가,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및 폴리우레탄계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를 구성하는 금속 이온이, 칼륨 이온, 리튬 이온 및 나트륨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A)이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시일성층(C)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7028811A 2018-03-08 2019-03-06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54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1427 2018-03-08
JPJP-P-2018-041427 2018-03-08
PCT/JP2019/008952 WO2019172340A1 (ja) 2018-03-08 2019-03-06 積層フィルム、包装材、包装体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388A KR20200130388A (ko) 2020-11-18
KR102554286B1 true KR102554286B1 (ko) 2023-07-12

Family

ID=6784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11A KR102554286B1 (ko) 2018-03-08 2019-03-06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2070B2 (ko)
KR (1) KR102554286B1 (ko)
CN (1) CN111819080B (ko)
WO (1) WO2019172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9501A (ko) * 2022-11-29 2024-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스트레치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9445A1 (ja) * 2007-02-01 2008-08-21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積層体
JP2012035624A (ja) * 2010-07-12 2012-02-23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411A (ja) * 1999-03-31 2000-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透明導電性カバーテープ及び包装体
JP4737875B2 (ja) * 2000-07-24 2011-08-0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CN1717325A (zh) * 2002-12-27 2006-01-04 三井-杜邦聚合化学株式会社 具有钾离聚物的多层结构体
KR100732027B1 (ko) * 2005-06-22 2007-06-27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포타슘 아이오노머를 갖는 다층구조체
KR100798445B1 (ko) * 2006-08-08 2008-01-28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의 다층품
JP2008074028A (ja) * 2006-09-22 2008-04-0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積層体
JP5208985B2 (ja) * 2010-03-16 2013-06-12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N103270106B (zh) * 2010-12-27 2014-10-15 三井—杜邦聚合化学株式会社 挤出涂布用树脂组合物、层合膜及其制造方法
JP2016155368A (ja) * 2015-02-25 2016-09-0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積層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6034527B1 (ja) * 2016-05-09 2016-11-30 株式会社アイセロ 医薬包装用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9445A1 (ja) * 2007-02-01 2008-08-21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積層体
JP2012035624A (ja) * 2010-07-12 2012-02-23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080A (zh) 2020-10-23
CN111819080B (zh) 2022-10-14
WO2019172340A1 (ja) 2019-09-12
KR20200130388A (ko) 2020-11-18
JPWO2019172340A1 (ja) 2021-03-11
JP6922070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172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JP5459535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WO2016152835A1 (ja) ポリエチレン系フィルム
EP1718699B1 (en)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article thereof
CN107428968B (zh) 聚乙烯系薄膜
JP6775965B2 (ja) 包装用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KR102554286B1 (ko) 적층 필름, 포장재, 포장체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JP7162136B2 (ja) 軟包装用積層体、軟包装材および軟包装体
JP2003225979A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20210008466A (ko) 다층 필름 및 포장재
TWI807000B (zh) 積層薄膜、包裝材及包裝體
ES2814378T3 (es) Películas multicapa y envases que comprenden las mismas
TWI503335B (zh) Surface protection film
KR102582556B1 (ko) 적층체 및 포장 용기
CN110582401A (zh) 层叠体、泡罩容器及泡罩包装
JP4747538B2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7283698A (ja) 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200402556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重合体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100798445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의 다층품
JP2006026986A (ja) 積層体
JP2022151018A (ja) 積層体、包装材、包装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3145760A1 (ja) 無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包装体
WO2023145761A1 (ja) 無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包装体
JP2024081021A (ja) 多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21154579A (ja) 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