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556B1 - 적층체 및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556B1
KR102582556B1 KR1020217031198A KR20217031198A KR102582556B1 KR 102582556 B1 KR102582556 B1 KR 102582556B1 KR 1020217031198 A KR1020217031198 A KR 1020217031198A KR 20217031198 A KR20217031198 A KR 20217031198A KR 102582556 B1 KR102582556 B1 KR 10258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
ethylene
unsaturated carboxylic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4708A (ko
Inventor
히데노리 하시모토
슌 도요시마
šœ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Abstract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체는, 적어도 배리어층(A), 접착층(B) 및 실런트층(C)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접착층(B)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 수지층(Ba)과,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및 폴리올레핀(Bb2)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층(B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포장 용기
액체를 수용하는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를 이용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적당한 라미네이트 강도나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액체용의 포장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외측으로부터 차례로, 폴리에틸렌/종이 기재층(基材層)/접착 수지/배리어층/접착층/실런트층으로 구성된 적층체를 이용한 포장 용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03993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168133호 공보
상술한 적층체를 이용한 포장 용기는, 각종의 음료뿐만 아니라, 샴푸나 세제 등의 화성품(化成品)의 포장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당해 화성품은 음료 등에 비해 자극성이 강하고, 내용물에 따라서는, 성분이 적층체에 침투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와 함께, 배리어층과 실런트층의 사이의 접착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배리어층과 실런트층의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현상이 발생하면 내용물의 누설, 열화 등에 의해 품질 확보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배리어층과 실런트층의 사이의 접착성에 관하여, 가일층의 개량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감안한 것으로서, 내용물 성분의 침투에 의한 접착 강도의 저하나 층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배리어층(A), 접착층(B) 및 실런트층(C)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층(B)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 수지층(Ba)과,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및 폴리올레핀(Bb2)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층(Bb)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 성분의 침투에 의한 접착 강도의 저하나 층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수치 범위의 설명에 있어서의 「a∼b」라는 표기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a 이상 b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체는, 적어도 배리어층(A), 접착층(B) 및 실런트층(C)이 상기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포장 용기를 형성하는 경우, 배리어층(A)이 외측이 되고, 실런트층(C)이 내측이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리어층(A)은, 가스 배리어성이나 수증기 배리어성을 부여하고, 나아가 외기로부터의 취기(臭氣)를 블록하여 포장 용기의 내용물에 악취가 이행하지 않도록 마련된 층이며, 1축 연신 내지 2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올레핀 등의 연신 필름, 또는 당해 연신 필름 상에, 알루미늄을 물리 증착 또는 화학 증착 등의 증착법에 의해 20∼100㎚ 정도의 두께로 마련한 알루미늄 증착 필름;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등의 무기 화합물의 박막을 물리 증착 또는 화학 증착 등의 증착법에 의해 20∼100㎚ 정도의 두께로 마련한 투명 증착 필름; 알루미늄박;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필름; 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및 투명 증착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을 적층하여 이용해도 된다.
배리어층(A)은, 접착층(B)과 적층 압착되는 측의 표면에, 접착층(B)과의 접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배리어층(A)은, 접착층(B)과 적층 압착되는 측의 표면에, 공지의 앵커 코트, 프라이머 코트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배리어층(A)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포장 용기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착층(B)은, 아이오노머 수지층(Ba) 및 열가소성 수지층(Bb)을 포함하는 다층의 접착층이다. 아이오노머 수지층(Ba)과 열가소성 수지층(Bb)의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리어층(A), 아이오노머 수지층(Ba), 열가소성 수지층(Bb)의 순으로 적층되어도 되며, 배리어층(A), 열가소성 수지층(Bb),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포함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전체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율(즉, 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율)의 하한은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의 상한은, 2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율이 하한값 이상이면 접착성이 얻어지고, 상한값 이하이면 성막 가공 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의 2원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다른 단량체가 임의로 공중합된 다원 공중합체여도 된다.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다.
임의로 공중합되어 있어도 되는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비닐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디에틸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일산화탄소, 이산화유황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전체에 대한, 이러한 다른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질량%의 범위에서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공중합체는,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로 변성된 것을 이용해도 된다.
아이오노머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바람직하게는 10∼10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80몰%가 금속 이온으로 중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과 같은 알칼리 토류 금속 이온, 아연 이온이 있고, 특히, 나트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또는 아연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아연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적층체가 얻어진다.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적층체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0.1g/10분 이상 30g/1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의 두께의 하한은,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의 두께의 상한은,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두께를 가지는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을 이용함으로써 적층체 전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감량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은, 압출 코팅 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압출 코팅 가공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코팅 가공법을 이용하면, 다른 성막법에 비해, 성형 시의 수지 온도를 높일 수 있어, 배리어층(A) 상에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을 포함하는 접착층(B)을 용융 상태로 코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가소성 수지층(Bb)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및 폴리올레핀(Bb2)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아이오노머 수지층(Ba)과 열가소성 수지층(Bb)의 층간 접착 강도의 관점에서,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에 있어서, 에틸렌과 공중합되는 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탄소수 3∼8의 불포화 카르본산,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말레산 모노메틸에스테르, 말레산 모노에틸에스테르, 아크릴산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불포화 카르본산 중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전체에 대하여, 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율(즉, 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율)의 하한은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4질량%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조단위의 함유율의 상한은, 2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율이 하한값 이상이면 접착성이 얻어지고, 상한값 이하이면 성막 가공 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는 3원 이상의 다원 공중합체여도 되고, 에틸렌과 공중합이 가능한 상기 성분 이외에,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산 디메틸, 말레산 디에틸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프로필렌, 부텐, 1,3-부타디엔, 펜텐, 1,3-펜타디엔, 1-헥센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 비닐황산, 비닐질산 등의 산화물; 염화비닐, 불화비닐 등의 할로겐 화합물; 비닐기 함유 1,2급 아민 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유황 등이 제 3 성분으로서 공중합되어 있어도 되며, 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틸 및 아크릴산 이소부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전체에 대한, 이러한 다른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질량%의 범위에서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적층체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0.1g/10분 이상 30g/1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Bb2)으로서는, LLDPE로서 알려져 있는 저밀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바람직하게는 870∼9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80∼930㎏/㎥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공성 등을 개량하는 관점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히트 시일성의 관점에서, 92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의 범주로 분류되어 있는 것 중에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외한 것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말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은,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은, 탄소수가 4∼12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가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Mw/Mn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티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고활성 티탄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 또는 메탈로센 촉매 성분과 알루목산의 조합과 같은 싱글 사이트 촉매계를 이용하여,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Bb)의 두께의 하한은,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Bb)의 두께의 상한은,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층(Bb)을 이용함으로써 적층체 전체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용기의 감량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실런트층(C)은, 포장 용기의 내층이 되어, 히트 시일됨으로써 포장 용기를 밀봉할 수 있다.
실런트층(C)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C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C1)으로서는, LLDPE로서 알려져 있는 저밀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도가 바람직하게는 870∼940㎏/㎥, 보다 바람직하게는 880∼930㎏/㎥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공성 등을 개량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C1)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의 범주로 분류되어 있는 것 중에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외한 것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말한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은,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런트층(C)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은, 탄소수가 4∼12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가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런트층(C)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Mw/Mn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런트층(C)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190℃, 2160g 하중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1∼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런트층(C)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티탄, 마그네슘 및 할로겐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고활성 티탄 촉매 성분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촉매계, 또는 메탈로센 촉매 성분과 알루목산의 조합과 같은 싱글 사이트 촉매계를 이용하여,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실런트층(C)의 두께의 하한은,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실런트층(C)의 두께의 상한은,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체는, 접착층(B)이 마련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배리어층(A)의 외측 표면에 주지의 폴리에틸렌 등의 접착층(E)을 개재하여 기재층(D)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접착층(E)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체와 기재층(D)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련되는 층이다.
기재층(D)은, 적층체의 취급성이나 기계적 특성, 도전성, 단열성, 내열성, 히트 시일성, 방습성 등의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마련되는 층이다. 기재층(D)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부직포, 금속층(알루미늄박 등),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필름, 실리카 증착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나 증착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얻어지는 용기의 리사이클성의 관점에서, 종이를 이용한 종이 기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이 기재의 재료로서는, 평량(坪量)이 100∼450g/㎡ 정도인 버진 펄프로 이루어지는 원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기재층(D)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적층체에 의해 구성된 층과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언더코트 처리, 프라이머 코트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기재층(D)의 두께의 하한은, 1㎛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층(D)의 두께의 상한은,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기재층(D)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시트, 필름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 구체예를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압출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배리어층(A)과 실런트층(C) 사이에, 아이오노머 수지층(Ba) 및 열가소성 수지층(Bb)을 동시에 압출 코팅 가공(공압출 코팅 가공), 또는 2단계에 의한 압출 코팅 가공(탠덤 가공)한 용융막을 공급하고, 배리어층(A)과 실런트층(C)을 첩합(貼合)하여, 배리어층(A)/접착층(B)/실런트층(C)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형성한다. 가공 조건은, 예를 들면, 다이 하 온도 300℃, 에어 갭 120㎜, 가공 속도 80m/분의 조건이다. 계속해서, 당해 적층체를 구성하는 배리어층(A)의 외측의 면과, 기재층(D)과의 사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접착층(E)을 압출 라미네이터에 의해 공급하여, 상기 적층체에 추가로 기재층(D)을 적층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에 의하면, 배리어층(A)과 실런트층(C)의 접착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나아가서는, 포장 용기를 조립하여, 내용물을 수용했을 때에, 내용물 성분의 침투에 의한 접착 강도의 저하나 층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포장 용기의 내용물의 보호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포장 용기)
상술한 실시형태의 적층체는, 내용물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샴푸, 세제, 화장품 등의 화성품용 포장 용기의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실시형태의 적층체로부터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지의 포장 용기 성형기를 이용하여 가열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적층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포장 용기는, 배리어층(A)과 실런트층(C)의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이 때문에, 당해 포장 용기는 내용물의 보호성이 우수함과 함께, 보존 기간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실시예 1∼6, 비교예 1∼2의 적층체를 제작했다.
배리어층(A)의 투명 증착 필름(편면에 무기 화합물이 증착된 PET 필름, 12㎛)의 미증착면 및 실런트층(C)의 사이에, 표 1에 나타내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를 조합한 2층의 접착층(B)을 압출 코팅법에 의해 압출하여 적층하고, 배리어층(A)/접착층(B)/실런트층(C)의 순으로 적층되며, 접착층(B)으로서 배리어층(A)측으로부터 차례로 수지층 1/수지층 2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표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적층 필름을 각각 얻었다. 압출 코팅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압출기 : 65㎜Φ 압출기(L/D=28)
압출 코팅 온도(다이 하 온도) : 300℃, 압출 코팅 속도 : 80m/분, 에어 갭 : 120㎜
얻어진 적층 필름에 관하여 이하의 평가를 각각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각각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층 구성의 비교예 1, 2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아이오노머 수지층(Ba))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열가소성 수지층(B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Figure 112021111443629-pct00001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또한, MFR에 관해서는,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배리어층(A) : 투명 증착 필름(편면에 무기 화합물이 증착된 PET 필름, 12㎛)
접착층(B):
수지층 1로서, 열가소성 수지층(Bb)인 수지층 1-1∼1-3을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수지층 1-1 :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1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91.1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1.3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유량:3.6질량%, 아크릴산 메틸 함유량:4.0질량%, MFR:10g/10분)
압출 코팅 가공 시에 배리어층에 인라인으로 코로나, 오존 처리를 실시했다.
수지층 1-2 :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2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88.5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4.0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유량:7.5질량%, MFR:14g/10분)
수지층 1-1과 마찬가지로, 압출 코팅 가공 시에 배리어층에 인라인으로 코로나, 오존 처리를 실시했다.
수지층 1-3 : LLDPE(프라임폴리머주식회사제, 에보류 SP1071C, 밀도 910㎏/㎥, MFR:10g/10분)에 앵커 코트제(다이니치세이카공업주식회사제, 세이카다인 2710A+세이카다인 2810C(T), 고형 농도 10질량%, 2g(wet)/㎡)를 인라인으로 도포했다.
수지층 2로서,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인 수지층 2-1 및 2-2, 및 열가소성 수지층(Bb)인 수지층 2-3 및 2-4를 이하와 같이 준비했다.
수지층 2-1 : 아이오노머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에틸렌 함유량:85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15질량%, 금속 이온:아연, 중화도:23몰%, MFR:5.0g/10분)
수지층 2-2 : 아이오노머 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에틸렌 함유량:91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9질량%, 금속 이온:아연, 중화도:17몰%, MFR:5.5g/10분)
수지층 2-3 :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91질량%, 메타크릴산 함유량:9질량%, MFR:8.2g/10분)
수지층 2-4 : LLDPE(프라임폴리머주식회사제, 에보류 SP1071C, 밀도 910㎏/㎥, MFR:10g/10분)
실런트층(C) : LL-Film(미츠이화학토셀로주식회사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TUX-MCS, 30㎛)
<포장 용기의 제작 방법>
실시예 1∼6, 비교예 1∼2의 각 적층체를 이용하여, 도요정기주식회사제, 히트 시일러(온도 140℃, 시간 0.5초, 압력 0.2MPa)로, 2매의 적층체를 실런트층(C)을 대향시켜, 4방향의 실런트층(C)끼리를 시일한 내측 치수 9㎝×13㎝의 포장 용기를 제작했다.
<접착 강도 평가 방법>
얻어진 포장 용기에 시판 샴푸(하기 내용물 1 및 내용물 2)를 10g 충전하고, 50℃의 오븐 내에 보관했을 때의 경시(經時)(7일 경과 후, 20일 경과 후)에 의한 적층체의 층간의 접착 강도의 변화를 박리 강도 시험기(인테스코사제, IM-20X-ST형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평가했다.
내용물 1 : 상품명 퍼펙트뷰티 EDR 샴푸(모이스트다이안사제)
내용물 2 : 상품명 메리트(등록상표) 샴푸 DB1(카오주식회사제)
또한, 표 1 중, 「*」이라고 기재된 난(欄)은, 접착 강도(박리 강도) 측정 시에 기재 절단이 생긴 것을 나타내고 있고,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n.d.」라고 기재된 난은, 데이터 없음을 나타낸다.
<측정 조건>
형상 : 흐름 방향(MD)으로 15㎜ 폭의 직사각 형상
접착 강도 측정 속도 : 300㎜/분
박리 각도 : T박리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층(B)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층(Bb)과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 1∼6의 적층체를 이용한 포장 용기는, 접착층(B)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층(Bb)끼리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비교예 1∼2의 적층체를 이용한 포장 용기에 비해, 내용물 1, 2 모두 경시에 의한 접착 강도 저하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출원은, 2019년 3월 1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특원2019-038081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포함한다.

Claims (12)

  1. 적어도 배리어층(A), 접착층(B) 및 실런트층(C)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층(B)이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 수지층(Ba)과,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Bb1) 및 폴리올레핀(Bb2)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층(Bb)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출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배리어층(A)과 상기 실런트층(C) 사이에,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층(Ba)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Bb)을 동시에 압출 코팅 가공, 또는 2단계에 의한 압출 코팅 가공한 용융막을 공급하고, 상기 배리어층(A)과 상기 실런트층(C)을 첩합함으로써, 상기 배리어층(A), 상기 접착층(B) 및 상기 실런트층(C)의 순으로 적층하는 공정을 가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0.1g/10분 이상 30g/10분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층(Ba)의 두께가 5㎛ 이상 50㎛ 이하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구성하는 불포화 카르본산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Ba1)를 구성하는 금속 이온이 나트륨 이온, 아연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A)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증착 필름 및 투명 증착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층(C)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A)의 외측 표면에 기재층(D)을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D)이 종이 기재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217031198A 2019-03-01 2020-02-27 적층체 및 포장 용기 KR102582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8081 2019-03-01
JP2019038081 2019-03-01
PCT/JP2020/008026 WO2020179616A1 (ja) 2019-03-01 2020-02-27 積層体および包装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708A KR20210134708A (ko) 2021-11-10
KR102582556B1 true KR102582556B1 (ko) 2023-09-26

Family

ID=7233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198A KR102582556B1 (ko) 2019-03-01 2020-02-27 적층체 및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92088B2 (ko)
KR (1) KR102582556B1 (ko)
CN (1) CN113474158A (ko)
WO (1) WO2020179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6432A1 (ja) * 2022-03-17 2023-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水系内容物用包装材及び水系内容物用包装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938A (ja) * 2011-08-15 2013-02-28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用紙容器
JP2017532261A (ja) * 2014-10-03 2017-11-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多層食品ケーシングまたは食品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1A (ja) * 1992-06-23 1994-01-11 Sumitomo Bakelite Co Ltd 防曇性積層フィルム
JP2000168770A (ja) 1998-12-11 2000-06-20 Nihon Tetra Pak Kk 液体食品の充填包装方法及び紙容器用包材
JP2008074028A (ja) 2006-09-22 2008-04-03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積層体
WO2008099445A1 (ja) * 2007-02-01 2008-08-21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積層体
JP6148483B2 (ja) 2013-02-04 2017-06-14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架橋物、フィルム、および接着性フィルム
JP6287364B2 (ja) * 2014-03-06 2018-03-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US20170136747A1 (en) 2015-11-16 2017-05-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icles comprising low temperature heat-sealable polyester
WO2019188696A1 (ja) * 2018-03-27 2019-10-03 三井・ダウ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包装材およ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938A (ja) * 2011-08-15 2013-02-28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用紙容器
JP2017532261A (ja) * 2014-10-03 2017-11-0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多層食品ケーシングまたは食品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79616A1 (ja) 2021-11-11
KR20210134708A (ko) 2021-11-10
WO2020179616A1 (ja) 2020-09-10
JP7192088B2 (ja) 2022-12-19
CN113474158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8967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JP201807958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JP2016022613A (ja) バリア性積層体
KR102582556B1 (ko) 적층체 및 포장 용기
KR20140022439A (ko) 플라스틱 필름 및 수액 백
JP5935372B2 (ja) ひねり包装用フィルム及びひねり包装体
WO2001098082A1 (fr) Bande adhesive
JP6391519B2 (ja) ヒートシール用組成物及び積層体
JP6933282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JP6086137B2 (ja)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JPH08267676A (ja) ラミネート用共押出複合フイルム
WO2019188696A1 (ja) 積層フィルム、包装材および包装体
JP7449688B2 (ja) 易開封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6690467B2 (ja) 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多層共押出積層体
JP7237093B2 (ja) 紙容器用積層体および紙容器
JP2004299393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
JP6922070B2 (ja) 積層フィルム、包装材、包装体およ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46082B2 (ja) ガラス容器用蓋材及びガラス容器
KR100798445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의 다층품
CN117858796A (zh) 纵向定向(mdo)可密封结构
JP2024036304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2053375A (ja) フィルム、共押出フィルム、包装体、および、袋体
JP2004299392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
JP2004299391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