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949B1 -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 Google Patents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949B1
KR102553949B1 KR1020220035288A KR20220035288A KR102553949B1 KR 102553949 B1 KR102553949 B1 KR 102553949B1 KR 1020220035288 A KR1020220035288 A KR 1020220035288A KR 20220035288 A KR20220035288 A KR 20220035288A KR 102553949 B1 KR102553949 B1 KR 10255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frame
conveyor
delivery item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이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원 filed Critical 이진원
Priority to KR102022003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7/00Methods or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containers or cavities, or the volume of soli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50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linear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 상기 체적 카메라 또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택배 물품의 바코드를 복수개의 방향에서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 상기 체적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바코드 정보, 체적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매칭시키고, 소팅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캔 수단은, 택배 물품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택배 물품의 상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된, 복수개의 중앙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Courier product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본 발명은 택배 물류의 자동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집배센터에서 택배 물품 들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해당 택배 물품의 바코드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체적/중량 정보들을 자동으로 획득하여, 이들을 매칭시키도록 구성된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온라인 전자 상거래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로 인해, 최근 택배 물량 또한 크게 늘어났다. 많은 양의 택배 물량을 경제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구간을 줄이고, 자동화 구간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택배 물류 처리 과정에 있어서는, 물류 작업자가 집배센터에 들어온 택배 물품들의 체적 및/또는 중량을 직접 측정하고, 바코드를 읽어, 송장에 기재된 택배 물품의 정보 확인 및 검수 작업을 대부분 수작업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정보 확인 및 검수 작업을 마친 택배 물품들의 정보 매칭과, 배송지별 소팅 등의 작업도 물류 작업자에 의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왔다.
집배 센터에 들어온 모든 택배 물품들에 대하여 전술한 작업들을 대부분 수작업으로 하고 있으므로, 비경제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해당 물품을 중량 측정 장치 위에 올려놓고 중량을 측정하면서 체적 측정과 바코드 스캔을 같이 하도록 한 기술이 종래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물류 작업자가 해당 택배 물품을 수작업으로 옮겨 그 옮겨진 곳에서 체적/중량 측정과 바코드 스캔을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작업자의 수작업 시간을 크게 줄이지는 못한다.
등록번호 10-2132790 (2020년 7월 13일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당 택배 물품의 바코드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체적/중량 정보들을 자동으로 획득하여, 이들을 매칭시키도록 구성된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 상기 체적 카메라 또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있는 택배 물품의 바코드를 복수개의 방향에서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 상기 체적 카메라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바코드 정보, 체적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매칭시키고, 소팅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캔 수단은, 택배 물품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택배 물품의 상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된, 복수개의 중앙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는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웃하게 배치된 컨베이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은 상기 갭을 통해 해당 택배 물품의 하부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하부면 바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는 택배 물품을 차례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는, 주변에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이 배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위에 있을 때 해당 택배 물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지는 제1 컨베이어와, 중량 측정부가 설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위에 있을 때, 해당 물품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지는 제2 컨베이어와, 상측에 상기 체적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카메라가 설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위에 있을 때, 해당 물품의 체적 측정과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제3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배 센터에 들어온 모든 택배 물품들에 대하여 수행되는 바코드 스캔, 체적 측정/중량 측정 및 이미지 촬영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과정과 그에 따른 소팅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경제성이 높다.
다른 장점이나 효과는 이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에서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 각각을 상하 두 개씩 배치하여 높이가 큰 택배 물품에 대응하도록 변형된 변형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텍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에서 상면 바코드 스캐너를 생략하고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와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가 상면 바코드 스캐너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구성된 변형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택배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각 택배 물품(2)의 체적을 산출하고, 이미지 정보와 바코드 정보의 동시 취득을 구현하여, 택배 물품의 구분 정보와 매칭하고 이미지로 확인 및 검수가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택배 물품(2)들이 통과하는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20)과,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2)들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10)와, 택배 물품(2)들이 상기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물품(2)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3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이미지를 상면과 좌/우 측면, 전방면과 후방면 등 5면에서 촬영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40)와, 상기 체적 카메라(30) 및/또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40)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10)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5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택배 물품의 바코드를 복수개의 방향에서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 상기 체적 카메라(30)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40)가 획득한 바코드 정보, 체적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매칭시키고, 택배 물품을 소팅하는 컴퓨팅 장치(90)를 포함한다.
집배센터에 차가 접안이 되면, 작업자가 다수의 택배 물품(2)을 컨베이어(10) 상에 올리며, 컨베이어(10)는 자동으로 구동되어 위에 올려진 택배 물품(2)을 이송시킨다. 이하 설명되는 체적 측정, 이미지 획득 및 바코드 스캔을 위해, 컨베이어(10) 상의 택배 물품(2)들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되어야 한다. 택배 물품(2)들을 이격시키기 위해, 컨베이어(10)의 상류 측에 택배 물품의 이송 속도 차이에 의해 택배 물품(2)을 이격시키는 추가적인 물품 이격용 컨베이어가 비치된다. 뒤의 택배 물품의 이송 속도가 느린 상태에서 앞선 택배 물품을 빠르게 이송시키면, 전후로 이웃하는 택배 물품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물(20)은 한 쌍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20a), 다른 한 쌍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20b)과, 다른 한 쌍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제3 프레임(20c)과, 다른 한 쌍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제4 프레임(20d)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 구조물(20)에는 가림막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가림막에 의해, 컨베이어(10)가 설치된 터널 통로는 외부에 대하여 가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20b)은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프레임(20a, 20b, 20c)이 설치된 구간에서 택배 물품(2) 대한 바코드 스캐닝이 이루어지고, 해당 택배 물품(2)이 제4 프레임(20d)의 보의 직하에 있을 때, 해당 택배 물품(1)에 대한 체적 측정과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은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택배 물품(2)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와, 택배 물품(2)의 상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된, 복수개의 중앙 바코드 스캐너(62a, 62b, 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 중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61a)는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에 있는 제2 프레임(20b)의 좌측 기둥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에 바코드가 있는 경우, 그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한다. 또한,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 중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61b)는 제1 프레임(20a)과 제3 프레임(20c) 사이에 있는 제2 프레임(20b)의 우측 기둥에 설치되어,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우측면에 바코드가 있는 경우, 그 해당 택배 물품(2)의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61a)와 하나의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61b)가 이용되지만, 큰 높이를 갖는 택배 물품(2)의 측면 상단 부근에 바코드가 있는 경우도 커버할 수 있도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0b)의 좌측 기둥에 상하 두 개의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a)가 설치되고, 제2 프레임(20b)의 우측 기동에 상하 두 개의 우측 면 바코드 스캐너(61b, 61b)가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택배 물품(2)의 상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된, 복수개의 중앙 바코드 스캐너는, 상면 바코드 스캐너(63)와,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62a)와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62b)를 포함한다.
상면 바코드 스캐너(63)는, 해당 택배 물품(2)이 컨베이어(10)를 타고 제2 프레임(20b)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2)의 상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0b)의 보에서 수직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62a)는 해당 택배 물품(2)이 컨베이어(10)를 타고 제2 프레임(20b)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2)의 후방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0b)의 후방에 있는 제1 프레임(20a)의 보에 전방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62b)는 해당 택배 물품(2)이 컨베이어(10)를 타고 제2 프레임(20b)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2)의 전방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20b)의 전방에 있는 제3 프레임(20c)의 보에 후방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제2 프레임(20b)의 보에 설치되는 바코드 스캐너(63)를 생략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20a)의 보에 설치된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62a)와 제3 프레임(20c)의 보에 설치된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62b)를 이용하여, 제2 프레임(20b) 부근에 도달한 택배 물품(2)의 상면에 위치하는 바코드도 스캔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가 택배 물품(2)의 상면 앞쪽에 치우쳐 있는 경우,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62b)가 택배 물픔의 전방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와 택배 물품(2)의 상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바코드가 택배 물품의 상면 뒤쪽에 치우쳐 있는 경우,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62a)가 택배 물품(2)의 후방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와 택배 물품의 상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해당 택배 물품(2)이 특정 위치, 즉, 제2 프레임(20b)이 서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및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61b)와 상면 바코드 스캐너(63)와,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62a)와,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62b)가 동작하여, 해당 택배 물품(2)의 5면 중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게 된다. 바코드가 스캔된 해당 택배 물품(2)은 컨베이어(10)를 타고 이송하여 제4 프레임(20d) 직하 위치에 도달한다.
해당 택배 물품(2)에 대한 바코드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위치(본 실시에에서는, 제2 프레임이 서 있는 위치)는 정해져 있고, 체적 카메라(30)와 이미지 카메라(40)에 의한 체적 측정 및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는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제4 프레임이 서 있는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상기 컴퓨팅 장치(90)는 상기 엔코더(50)가 제공하는 컨베이어(10)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에 기초하여,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 측정 및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도달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택배 물품(2)이 정해진 위치, 즉, 제4 프레임(20d)이 서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제4 프레임(20d)의 보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30)가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동작되고, 마찬가지로 제4 프레임(20d)의 보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40)가 택배 물품(2)의 외관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팅 장치(9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체적 카메라(30)는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가로, 세로, 높이를 캘리브레이션 및 계산하여 체적을 측정한다. 체적 카메라(30)에 의해 측정된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 정보는 계약 물품의 체적 정보와 비교되는 데이터로 활용되며, 계약된 물품의 체적보다 큰 경우, 계약자에게 과금할 수 있도록 해준다. 컨베이어(10)의 바닥면이 일정하며, 따라서, 컨베이어(10)의 바닥면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바닥면 높이를 특정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의 바닥면 높이가 정해지므로, 체적 카메라(30)는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실제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획득 이미지로부터, 해당 택배 물품(2)의 가로 세로 길이를 측정할 있으며, 따라서, 해당 택배 물품(2)에 대한 체적 측정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택배 물품이 사각 박스 형태이므로 사각 박스의 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하면, 정확한 체적을 측정할 수 있다. 만일, 해당 택배 물품이 비정형적이더라도, 가로, 세로 길이를 근사시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과금을 결정하는 정도의 체적 측정에는 무리가 없다.
상기 컴퓨팅 장치(90)는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 상기 체적 카메라(30)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40)가 획득한 바코드, 체적 및 이미지를 매칭시켜 서버(미도시됨)로 실시간 전송한다. 또한, 이와 같이 회득된 정보들은 해당 택배 제품의 도착지에 따라 소팅하는 소팅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약자와의 계약 내용과 비교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카메라(40)에 의해 획득한 이미지는 실제 택배 물품의 형상 정보를 그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추후 여러 이슈 발생시, 증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20)과,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20)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3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20)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40)와, 상기 체적 카메라(30) 또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30)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10)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5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택배 물품(2)의 바코드를 복수개의 방향에서 획득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60)과,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 상기 체적 카메라(30)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40)가 획득한 바코드 정보, 체적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매칭시키고, 택배 물품을 소팅하는 컴퓨팅 장치(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택배 물품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와, 택배 물품의 상면, 전방면 및 후방면 중 어느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도록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된, 상면 스캐너(63), 전방면 스캐너(62a) 및 후방면 스캐너(6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베이어(10)는 갭(G)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웃하게 배치된 재1 컨베이어(10a)와 제2 컨베이어(1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은, 상기 갭(G)의 직하에 배치되어, 상기 해당 택배 물품(2)이 제1 컨베이어(10a)와 제2 컨베이어(10b)에 걸쳐져 있을 때, 상기 갭(G)을 통해 해당 택배 물품(2)의 하부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하부면 바코드 스캐너(64)를 더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터널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10)이 차례로 제1 프레임(20a), 제2 프레임(20b), 제3 프레임(20c) 및 제4 프레임(20d)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20b)이 서 있는 위치에 상기 갭(G)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10a)와 상기 제2 컨베이어(10b)가 설치된다. 해당 택배 물품(2)이 제2 프레임(20b)이 있는 위치에서 제1 컨베이어(10a)와 제2 컨베이어(10b)에 걸쳐져 있을 때, 좌측면 스캐너(61a), 우측면 스캐너(61b), 상면 스캐너(63), 후방면 스캐너(62a) 및 전방면 스캐너(62b)와 하부면 스캐너(64)가 동작하여, 해당 택배 물품(2)의 6면 중 특정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한다.
이 경우에도, 상면 바코드, 스캐너(63)가 생략되는 대신에, 후방면 스캐너(62a) 또는 전방면 스캐너(62b)가 해당 택배 물품(2)의 상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삭제
앞선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들 각각이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직접 촬영하여 스캔하다. 그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획득 수단(60)이 좌측면 미러 수단(67a, 67b)과 우측면 미러 수단(68a, 68b)을 더 포함하고, 좌측 바코드 스캐너(61a)는 좌측면 미러 수단(67a, 67b)의 도움을 받아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고, 우측 바코드 스캐너(61b)는 우측면 미러 수단(68a, 68b)의 도움을 받아 해당 택배 물품(2)의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한다.
본 실시예는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가 해당 택배 물품(2)의 측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거리를 가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설치 조건 상, 측면 바코드 스캐너(61a, 61b)가 설치되는 프레임의 기둥을 해당 택배 물품(2)에서 충분히 이격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좌측면 미러 수단(67a, 67b)은 해당 택배 물품(2)의 바코드 스캔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에 배치된 채 서로 경사지게 마주하는 제1 좌측면 미러(67a)와 제2 좌측면 미러(67b)를 포함하며,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61a)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제1 좌측면 미러(67a)와 제2 좌측면 미러(67b)를 거쳐 스캔한다. 이때, 제1 좌측면 미러(67a)는 바코드 스캔 위치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좌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 미러 수단(68a, 68b)은 제1 우측면 미러(68a)와 제2 우측면 미러(68b)를 포함하며,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61b)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우측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제1 우측면 미러(68a)와 제2 우측면 미러(68b)를 거쳐 촬영한다. 이때, 제1 우측면 미러(68a)는 바코드 스캔 위치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우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은,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20)과,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30)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해당 택배 물품(2)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된 이미지 카메라(40)와, 상기 체적 카메라(30) 또는 상기 이미지 카메라(40)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10)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미도시됨)와, 상기 컨베이어(10) 상에 있는 택배 물품(2)의 바코드를 복수개의 방향에서 획득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6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택배 물품 정보 회득 시스템은 해당 택배 물품(2)을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90)는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을 이용하여 획득한 해당 택배 물품의 바코드 정보, 상기 체적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측정된 해당 택배 물품(2)의 체적 정보, 상기 중량 측정부(80)를 이용하여 측정된 해당 택배 물품(2)의 중량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카메라가 획득한 해당 택배 물품의 이미지 정보를 매칭시키고, 택배 물품들을 소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는 택배 물품을 차례로 이송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10c, 10d, 10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컨베이어(10c, 10d, 10e)는, 주변에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60)이 배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위에 있을 때 해당 택배 물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지는 제1 컨베이어(10c)와, 상기 중량 측정부(80)가 설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위에 있을 때, 해당 물품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지는 제2 컨베이어(10b)와, 상측에 상기 체적 카메라(30)와 상기 이미지 카메라(40)가 배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2)이 위에 있을 때, 해당 물품(2)의 체적 측정과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제3 컨베이어(10e)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중량 측정부(80)는 상기 제2 컨베이어(10b)에 설치된 로드셀일 수 있다. 설정에 따라, 제2 컨베이어(10b)에 하나의 택배 물품이 올라와 있을 때, 중량 측정부(80)가 해당 택배 물품(2)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컨베이어 20: 프레임 구조물
30: 체적 카메라 40: 이미지 카메라
50: 엔코더 60: 바코드 스캔 수단
61a, 61b, 62a, 62b, 63, 64: 바코드 스캐너
90: 컴퓨팅 장치

Claims (3)

  1.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 및 제4 프레임을 차례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 각각은 한 쌍의 기둥과 보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4 프레임까지 터널형 통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물;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4 프레임을 차례로 지나 상기 터널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택배 물품을 태워 이송하는 컨베이어;
    체적 카메라 또는 이미지 카메라의 촬영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택배 물품 이송 속도를 측정하는 엔코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3 프레임까지의 구간에 설치된 복수개의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제2 프레임이 서 있는, 미리 설정된 바코드 스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캐너가 동작하여, 해당 택배 물품의 6면 중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캔 수단;
    바코드가 스캔된 후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4 프레임이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과금을 위해 해당 택배 물품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4 프레임의 보에 설치된 체적 카메라;
    바코드가 스캔된 후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해당 택배 물품의 외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카메라;
    바코드가 스캔된 후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해당 물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 및
    상기 바코드 스캔 수단, 상기 체적 카메라, 상기 이미지 카메라 및 상기 중량측정부를 이용하여 획득한 바코드 정보, 체적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중량 정보를 매칭시키고, 소팅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 장치는, 해당 택배 물품의 형상이 비정형적인 경우, 해당 택배 물품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근사시켜 해당 택배 물품의 체적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제2 프레임이 서 있는 위치에 위치하는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캐너 중 하나의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갭의 직하에 배치되어,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제2 프레임이 서 있는, 미리 설정된 바코드 스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갭을 통해 해당 택배 물품의 하부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하부면 바코드 스캐너이고,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는 상기 터널형 통로를 외부에 대하여 가리기 위하여 가림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캐너는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상기 제3 프레임까지의 구간에 설치된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면 바코드 스캐너와,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와,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제2 프레임이 서 있는, 미리 설정된 바코드 스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상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하부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와, 상기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가 동작하여, 해당 택배 물품의 6면 중 한 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며,
    상기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의 좌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측 기둥에 다른 높이로 설치된 두개의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의 우측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우측 기둥에 다른 높이로 설치된 두개의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의 상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보에서 수직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후방면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의 후방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에 있는 상기 제1 프레임의 보에 전방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전방면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이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위치에 도달할 때 해당 택배 물품의 전방면에 있는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에 있는 상기 제3 프레임의 보에 후방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중량측정부가 설치된 컨베이어와, 택배 물품의 바코드 측정이 이루어지는 구간의 컨베이어와, 체적 측정과 이미지 촬영이 이루어지는 구간의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바코드 획득 수단은 좌측면 미러 수단과 우측면 미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 미러 수단은 해당 택배 물품의 바코드 스캔 위치를 기준으로 전후에 배치된 채 서로 경사지게 마주하는 제1 좌측면 미러와 제2 좌측면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바코너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좌측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제1 좌측면 미러와 제2 좌측면 미러를 거쳐 스캔하는 좌측면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면 미러 수단은 제1 우측면 미러와 제2 우측면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바코드 스캐너는 해당 택배 물품의 우측면에 있을 수 있는 바코드를 제1 우측면 미러와 제2 우측면 미러를 거쳐 촬영하는 우측면 바코드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KR1020220035288A 2022-03-22 2022-03-22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KR10255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88A KR102553949B1 (ko) 2022-03-22 2022-03-22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288A KR102553949B1 (ko) 2022-03-22 2022-03-22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949B1 true KR102553949B1 (ko) 2023-07-07

Family

ID=8715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288A KR102553949B1 (ko) 2022-03-22 2022-03-22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9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442A (ko) * 2015-05-18 2016-11-28 지안테크 주식회사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070A (ko) * 2015-10-26 2017-05-08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화물 자동 인식 시스템
KR102132790B1 (ko) 2018-06-29 2020-07-13 카페24 주식회사 송장 출력 자동화 시스템, 송장 출력 자동화 장치 및 송장 출력 자동화 방법
KR20200102577A (ko) * 2019-02-21 2020-09-01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KR20210000931A (ko) * 2019-06-26 2021-01-06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KR102218894B1 (ko) * 2019-08-21 2021-02-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복인식 물체를 처리하는 컨베이어 벨트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83197B1 (ko) * 2020-11-04 2021-07-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상품의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442A (ko) * 2015-05-18 2016-11-28 지안테크 주식회사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8070A (ko) * 2015-10-26 2017-05-08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화물 자동 인식 시스템
KR102132790B1 (ko) 2018-06-29 2020-07-13 카페24 주식회사 송장 출력 자동화 시스템, 송장 출력 자동화 장치 및 송장 출력 자동화 방법
KR20200102577A (ko) * 2019-02-21 2020-09-01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KR20210000931A (ko) * 2019-06-26 2021-01-06 김영대 소포 분류 시스템
KR102218894B1 (ko) * 2019-08-21 2021-02-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복인식 물체를 처리하는 컨베이어 벨트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83197B1 (ko) * 2020-11-04 2021-07-2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상품의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015B2 (ja) 寸法指示及び計量システム
CN109332206B (zh) 高速多面扫码、称重检测系统及检测方法
US8132728B2 (en) Parcel dimensioning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7161688B1 (en) Mass scanning and dimensioning system
US102901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olume of an object moved by an industrial truck
KR101753279B1 (ko) 택배화물 자동 인식 시스템
AU2017100306A4 (en) Train Wagon 3D Profiler
US20070237356A1 (en) Parcel imag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01091A1 (en) Dimensioning system
US98988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a package while in motion
CN108629659B (zh) 利用视觉测量进行盘点的无人售货系统
US10304201B2 (en) Item image stitching from multiple line-scan images for barcode scanning systems
CN112705472A (zh) 一种动态称重扫码测体积一体装置
KR102553949B1 (ko)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JP2003035527A (ja) 積載物の体積計測方法及び装置
GB2189594A (en) Optoelectronic measurement of package volume
KR101613120B1 (ko) 바코드 검사 시스템
FI77390B (fi) Mottagningsanordning foer flaskor.
CN209531481U (zh) 高速多面扫码、称重检测系统
CN111488748A (zh) 物流扫描系统及方法
KR101049976B1 (ko) 시시티브이를 이용한 물류 분실 방지 및 출고 제품 확인 방법
CN210474703U (zh) 一种用于分拣系统的传感器系统
CN109261529A (zh) 一种双层交叉带分拣机及其空车检测的方法和装置
CN219356990U (zh) 交叉带分拣设备
TW202248627A (zh) 裝箱貨物檢驗系統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