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442A -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442A
KR20160135442A KR1020150068721A KR20150068721A KR20160135442A KR 20160135442 A KR20160135442 A KR 20160135442A KR 1020150068721 A KR1020150068721 A KR 1020150068721A KR 20150068721 A KR20150068721 A KR 20150068721A KR 20160135442 A KR20160135442 A KR 20160135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unit
conveyor
length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영
Original Assignee
지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안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442A/ko
Publication of KR2016013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는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폭, 높이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치수 측정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3차원 이미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한 상기 수하물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동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무게 센서, 상기 치수 측정부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BAGGAGE HANDLING DEVICE, BAGGAGE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객에게 항공권을 발권하고, 적재된 수하물에 대한 적재 정보를 획득하여 초과 무게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공편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용객이 증가하여 탑승을 위한 체크인에 소요되는 대기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탑승을 위한 체크인은 일반적으로 승무원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무게 측정 및 발권 등 제한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체크인을 하여 예약한 항공권을 발권하는 장치와 수하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초과 무게를 알려주고, 이송해주는 장치가 보급되어 왔으나, 이러한 장치는 발권과 수하물 등록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제공됨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제공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수하물 이동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수하물의 치수를 측정하는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하물 치수를 측정하는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폭, 높이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치수 측정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3차원 이미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한 상기 수하물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동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무게 센서, 상기 치수 측정부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하물 이동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수하물의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하물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수 측정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의 적재 공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정보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길이 측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폭, 높이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치수 측정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3차원 이미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한 상기 수하물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동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무게 센서, 상기 치수 측정부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수하물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길이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길이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컨베이어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측정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하물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치수 측정부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수하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수하물의 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폭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수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로부터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에 대한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치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시스템(10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하물 처리 시스템(10000)은 수하물 처리장치(1100),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시스템(1000)은 탑승객으로부터 수하물을 적재 받아 수하물을 적재한 탑승객으로부터 탑승 정보를 입력 받아 탑승 수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재 받은 수하물에 대한 적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수하물 이송을 요청 받아 수하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공항서버(500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탑승 인증을 요청 받아 인증 결과를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탑승객으로부터 탑승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객은 소지한 여권, 항공권, 인쇄된 예약 정보 및 전자 티켓(electronic ticket) 등에 포함된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 등의 식별 태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수하물 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판독부(130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수하물 처리 장치(1300)는 판독부(1300)를 통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판독부(1300)를 통하여 입력 받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 수속에 필요한 탑승 인증 및 탐승 수속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 인증은 탑승객이 예매 또는 구매한 항공권에 대한 항공권 발행 또는 탑승객이 소지한 수하물에 대한 적재 및 수하물 등록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탑승객이 등록한 수하물을 해당하는 항공기로 이송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하물 이송 시스템은 공항에서 제공되는 BHS(Baggage Handling System)일 수 있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수하물 등록을 완료하면,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수하물을 전달 받아 전달 받은 수하물을 해당 항공기에 적재할 수 있도록 분류하여 이송할 수 있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적어도 하나의 수하물 처리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수하물 등록이 완료되어 수하물 이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등록이 완료된 수하물을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하물 처리 장치(1000a) 및 제2 수하물 처리 장치(100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수하물 처리 장치와 연결되어 수하물 처리 장치들로부터 전다 받은 수하물을 이송할 수 있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이 복수의 수하물 처리 장치(1000)와 연결된 경우,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이송 시 수하물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수하물을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는 수하물 이송 요청을 수신한 순서,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배치 순서,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간의 거리, 이송 컨베이어(미도시)의 동작 속도 등일 수 있다.
공항서버(500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탑승 수속에 필요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 받아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요청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탑승 인증을 요청 받아, 수신한 탑승객 정보에 해당하는 예약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를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항서버(5000)는 적어도 하나의 항공사 서버(미도시) 또는 카드사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항공사 서버(미도시) 또는 카드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통신부(1100), 디스플레이부(1200), 판독부(1300), 프린터부(1400), 치수 측정부(1500), 컨베이어(1600), 3차원 이미지부(1700), 2차원 이미지부(1800), 태그 검출부(1900) 및 제어부(20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와 동일한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이 서로 동일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동신 모듈에서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를 서로 상이한 채널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이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통신방식에 연동 가능한 모듈을 포함하여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와 연결하기 위한 제1 통신부(미도시) 및 공항서버(5000)와 연결하기 위한 제2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 및 공항서버(5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제어부(2000)의 제어에 따라서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 수하물 이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부터 수하물 이송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0)는 제어부(2000)의 제어에 따라서 공항서버(5000)로 사용자 인증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공항서버(5000)으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다. 또한, 통신부(1100)는 공항서버(5000)로 항공기 스케쥴, 예약정보 및 결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요청할 수 있으며, 공항서버(5000)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탑승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탑승객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탑승객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0)는 탑승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제어부(20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으며, 탑승객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독부(1300)는 여권, 항공권, 인쇄된 예약 정보 및 전자 티켓(electronic ticket) 등에 포함된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 등의 식별정보에 대한 신호를 획득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판독부(1300)는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 등의 식별정보를 스캔할 수 있는 광스캐너일 수 있으며, 제어부(20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감지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신호를 획득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부(1400)는 탑승객에게 제공할 유인물을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유인물은 결제에 대한 영수증, 항공권 및 수하물 태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프린터부(1400)는 유인물을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부(1140)는 잉크젯 프린터, 라벨 프린터, 도트 프린터 및 써멀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프린터부(1400)는 출력하는 유인물의 종류에 따라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부(1140)는 탑승객이 결제한 내역에 대한 영수증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프린터(미도시) 및 수하물 태그를 출력하기 위한 제2 프린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부(1400)는 탑승객이 발권한 항공권을 출력하기 위한 제3 프린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치수 측정부(1500)는 컨베이어(1600) 상에 적재된 수하물의 치수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여 치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치수 정보는 수하물의 높이, 길이, 폭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수 측정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수 측정부(15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수 측정부(1500)는 높이 측정부(1510), 길이 측정부(1520) 및 폭 측정부(153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광을 이용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에 컨베이어(1600)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 및 주변 광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컨베이어(16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160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컨베이어(1600)와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높이 측정부(1510)가 서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주변 광을 감지하여 감지한 주변 광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광을 이용하여 수하물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에 컨베이어(16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160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광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부 및 주변 광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컨베이어(1600)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1600)와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길이 측정부(1520)가 서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주변 광을 감지하여 감지한 주변 광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길이 측정부(15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수하물의 양측에서 수하물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폭 측정부(1530)는 홀 소자와 영구자석을 이용한 근접센서, 광을 이용한 근접센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초음파를 이용한 근접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수하물 양측에서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1600)는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1600)는 수하물이 적재되고, 적재된 수하물을 이동하기 위한 벨트(미도시), 벨트(미도시)와 결합되고 회전 운동하여 벨트를 이동하는 롤러(미도시) 및 롤러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센서(미도시)는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부(17000)는 수하물의 체적, 부피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이져 광을 수하물로 소사할 수 있으며, 반사되는 레이져 광을 수신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부(17000)는 복수의 레이져 조사부를 포함하여 수하물이 위치하는 일 영역에 레이져 광을 조사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부(17000)는 수하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져 광에 대한 신호를 레이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2 차원 이미지부(1800)는 수하물 분실 시를 대비하여 수하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부(1800)는 수하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CCD 이미지 센서 및 CMOS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부(18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수신한 이미지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공항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 검출부(1900)는 수하물에 부착된 수하물 태그를 감지하여 수하물 태그로부터 수하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하물 정보는 수하물 높이, 길이 및 폭등의 치수뿐만 아니라 수하물이 적재될 항공기, 수하물이 이송될 목적지 및 수하물을 등록한 탑승객에 대한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검출부(1900)는 수하물에 부착된 수하물 태그에 포함된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를 스캔할 수 있는 광스캐너, 바코드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및 라인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태그 검출부(19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태그 검출부(1900) 중 적어도 하나는 감지된 수하물 태그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수하물 등록 또는 항공권 발권 동작을 수행하도록 수하물 처리 장치(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내부에서의 치수 측정부(1500), 3차원 이미지부(1700), 2차원 이미지부(1800) 및 태그 검출부(1900)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적재공간의 내부 구성도이다. 여기서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내부는 수하물 적재 공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높이 측정부(1510), 길이 측정부(1520), 폭 측정부(1530), 3차원 이미지부(1700), 2차원 이미지부(1800) 및 태그 검출부(1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측정부(1510)는 적재된 수하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하물 적재 공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컨베이어(1600)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컨베이어(1600)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적재된 수하물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하물 적재 공간의 하부에 컨베이어(1600)와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길이 측정부(1520)는 컨베이어(1600)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수하물의 폭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하물 적재 공간의 측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길이 측정부(15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폭 측정부(1530)는 길이 측정부(152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부(1700)는 적재 공간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3차원 이미지부(1700)의 레이져 조사부는 수하물이 위치하는 일 영역에 레이져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져 수신부는 레이져 조사부와 마찬가지로 레이져 조사부에서 조사한 레이져 광이 반사되어 수신될 수 있는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부(17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3차원 이미지부(1700a) 및 제2 3차원 이미지부(1700b)가 적재공간의 상부에 서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부(1800)는 적재 공간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적재된 수하물의 상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이미지부(1800)는 적재 공간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적재된 수하물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재 공간 상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태그 검출부(1900)는 수하물에 부착된 태그를 검출하기 위하여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검출부(1900)는 수하물 적재 공간의 좌우 측벽 및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하물 처리 방법은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 탑승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430), 수하물 태그를 출력하는 단계(S450), 수하물 적재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470) 및 수하물 이송을 요청하는 단계(S4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는 탑승객의 여권 등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탑승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43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획득한 식별정보를 공항서버(50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하물 태그를 출력하는 단계(S45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공항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수하물 태그를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수하물 적재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49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수하물에 대한 적재 정보를 측정하여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수하물 이송을 요청하는 단계(S530)는 수하물 처리 장치(1000)가 등록이 완료된 수하물을 이송하도록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 요청하는 단계일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탑승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미리 정해진 공간에 탑승객이 소지한 여권, 항공권, 인쇄된 예약 정보 및 전자 티켓(electronic ticket) 등에 포함된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 등을 위치하면, 판독부(1300)는 바코드, QR코드 및 전자태그 등을 광학 방식으로 스캔하여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식별정보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획득한 식별정보를 공항서버(5000)로 전송하여 탑승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430).
제어부(2000)는 수신한 식별정보를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공항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한 식별정보에 대한 인증을 공항서버(5000)로 요청할 수 있다.
공항서버(5000)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항공편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항공편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를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항서버(5000)는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탑승객에 대한 정보를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객에 대한 정보는 탑승객의 이름, 생년월일 및 성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탑승객에게 수하물 태그를 출력할 수 있다(S450).
제어부(2000)는 통신부(1100)를 통하여 인증에 대한 결과, 해당하는 항공편에 대한 정보 및 탑승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인증에 대한 결과가 유효인 경우, 수신한 항공편에 대한 정보 및 탑승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하물 태그에 기록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수하물 태그에 기록할 정보를 프린터부(1400)로 전송하여 수하물 태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하물 태그는 제2 프린터(미도시)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탑승객이 수하물 적재를 완료했음을 알리는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에 대한 적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470).
여기서, 적재 정보는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등의 치수 정보 및 2차원 이미지 정보, 태그 정보 및 무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정보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재 정보 측정 방법은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S610), 수하물에 대한 치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30), 수하물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650), 수하물의 치수를 산출하는 단계(S670), 수하물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690) 및 수하물 태그를 검출하는 단계(S7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S610).
컨베이어(1600)는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게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컨베이어(1600)로부터 수하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산출한 수하물의 무게와 미리 정해진 기준을 비교하여 수하물의 무게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판단 결과 수하물의 무게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수하물의 무게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함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0)는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초과된 무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0)는 초과하는 무게에 따른 과금을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한 과금을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출력하고, 과금에 대한 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수하물의 무게가 25KG이고, 미리 정해진 기준이 20KG이고, 추가되는 무게에 대한 과금 기준이 KG 당 1만원인 경우, 제어부(2000)는 초과한 수하물의 무게 5KG에 대한 과금 5만원에 대한 지불을 탑승객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탑승객으로부터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아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카드 단말기와 같은 별도의 결제 단말을 구비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판단 결과 수하물의 무게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결제 수행 없이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에 대한 수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30).
제어부(2000)는 탑승객이 수하물 적재를 완료했음을 알리는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입력 받으면,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수하물을 미리 정해진 측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하물의 길이, 폭 및 높이 등의 치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수하물 처리 장치(1000)의 길이 측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길이 측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0)는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적재된 수하물을 측정 위치(P1)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수하물이 측정 위치(P1)로 이동하면 길이 측정부(1520)가 수하물의 길이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에 의해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 중 세개에 수하물이 감지될 수 있으며, 길이 측정부(152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수하물을 전방(P2)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을 감지한 수광부를 제외하고 전방(P2)으로 다음에 위치한 수광부가 수하물을 감지할 때까지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수하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수하물을 후방(P3)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을 감지한 수광부를 제외하고 후방(P3)으로 다음에 위치한 수광부가 수하물을 감지할 때까지 컨베이어(1600)를 제어하여 수하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수하물이 이동한 거리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총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의 수하물 총 길이 산출은 이하 수하물의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S67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수 측정부(1500)는 수하물의 높이 및 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길이 측정부(1520)와 마찬가지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및 외부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조사부 및 수광부가 컨베이어(16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수하물의 양측에서 수하물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의 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650).
3차원 이미지부(170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적재 공간의 상부에서 수하물이 위치하는 일 영역에 레이져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어 수신한 레이져 광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3차원 이미지부(17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3차원 이미지부(1700)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를 산출하고 3차원 이미지부(1700)로 수신한 복수의 신호들로부터 수하물이 렌더링(rendering)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의 치수를 산출할 수 있다(S670).
제어부(2000)는 치수 측정부(1500) 및 3차원 이미지부(17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치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 치수를 산출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고, 길이 측정부(15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폭 측정부(15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1510)는 수하물이 측정 위치(P1)에 위치하였을 때 수하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길이 측정부(15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길이 측정부(1520)가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초기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 간의 이격 거리가 15cm이고,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 중 세개로부터 수하물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45cm를 초기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의 간격에 따라 감지되지 않는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초기 길이는 수하물의 실제 길이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을 이동하여 보다 정확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수하물이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컨베이어(1600)에 포함된 모터(미도시)가 회전한 회전 수 및 모터(미도시)의 1회전 시 벨트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전방 이동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모터(미도시)가 6번 회전하였고, 모터(미도시) 1회전 시 벨트가 2cm 이동한다고 할 때, 수하물의 전방 이동거리(△d+)를 12cm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수하물이 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전방 이동거리(△d+)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1600)에 포함된 모터(미도시)가 회전한 회전 수 및 모터(미도시)의 1회전 시 벨트의 이동거리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후방 이동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의 이격 거리, 초기 길이, 전방 이동거리(△d+) 및 후방 이동거리(△d-)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총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의 이격 거리와 전방 이동거리(△d+)와의 차를 통하여 전방 길이를 산출하고,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의 이격 거리와 후방 이동거리(△d-)와의 차를 통하여 후방 길이를 산출하고, 전방 길이, 후방 길이 및 초기 길이의 합을 수하물의 총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길이 측정부(1520)에 포함된 수광부의 이격 거리가 15cm 이고, 초기 길이가 45cm이고, 전방 이동거리(△d+)가 12cm이고, 후방 이동거리(△d-)가 10cm일 때, 제어부(2000)는 전방 길이 3cm, 후방 길이 5cm 및 수하물의 총 길이 53cm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폭 측정부(15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폭 측정부(153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과 폭 측정부(1530)의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컨베이어(1600)의 폭과 이격 거리와의 차를 수하물의 폭으로 산출할 수 있다. 폭 측정부(1530)는 컨베이어(1600)의 양측에서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폭 측정부(1530)로부터 양측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서로 상이할 경우, 최대값을 우선하여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컨베이어(1600)의 양측에 제공되는 높이 측정부(1510)로부터 각각 50에 해당하는 신호와 60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60에 해당하는 신호로부터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높이 측정부(1510)가 적재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으며, 좌측의 높이 측정부(1510)가 50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우측의 높이 측정부(1510)가 60에 해당하는 값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2000)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전송한 우측의 높이 측정부(151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3차원 이미지부(1700)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하물 치수를 산출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한 수하물의 총 길이, 폭, 높이 중 적어도 하나와 3차원 이미지부(17000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 치수를 산출하는 경우에서 설명한 봐와 같이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수하물의 총 길이, 폭,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3차원 이미지로부터 수하물의 길이, 폭 및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영역들의 비율과 산출한 수하물의 치수를 매칭하여 수하물의 수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한 수하물의 총 길이가 50cm 이고, 3차원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수하물의 길이, 폭 및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의 비율이 1: 0.5 : 0.5 인 경우, 제어부(2000)는 수하물의 길이를 50cm, 폭을 25cm, 높이를 25cm로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치수 측정부(1500)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3차원 이미지부(1700)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수하물 치수를 산출하는 경우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높이 측정부(1510), 길이 측정부(15200 및 폭 측정부(1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수 산출에 필요한 측정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부를 제외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산출한 수하물의 치수를 미리 정해진 기준과 비교하여 산출한 수하물의 치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산출한 수하물의 높이, 길이, 폭이 미리 정해진 높이, 길이, 폭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으며, 수하물의 치수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수하물의 크기가 기준을 초과함을 알릴 수 있으며, 수하물을 다시 적재 하거나 제거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690).
제어부(2000)는 수하물 분실 시 수하물을 찾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2차원 이미지부(1800)를 통하여 수하물의 2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부(1800)는 수하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CCD 이미지 센서 및 CMOS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부(1800)는 획득한 이미지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수신한 이미지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공항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 태그를 검출할 수 있다(S710).
제어부(2000)는 태그 검출부(1900)로부터 수하물에 부착된 수하물 태그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태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 정보란 태그에 기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하물을 등록한 탑승객의 이름, 항공권 번호 및 목적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획득한 태그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0)를 통하여 공항 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태그 정보를 공항 서버(5000)로 전송하여 공항 서버(5000)에 수하물을 등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정보 획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6의 각 단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임의적인 순서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하물 처리 장치(1000)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적재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하물 처리 장치(1000)는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 수하물 이송을 요청할 수 있다(S490).
제어부(2000)는 통신부(1100)를 통하여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 적재된 수하물을 이송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수하물 이송 요청 시 태그 검출부(1900)로부터 획득한 태그 정보를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획득한 태그 정보를 공항서버(50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부터 수하물 이송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미리 정해진 횟수 동안 반복하여 수하물 이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횟수 동안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으로부터 수하물 이송 요청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수하물을 이송할 수 없음을 디스플레이부(12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수하물 이송 시스템(3000)은 제어부(2000)로부터 수하물 이송을 요청 받고, 수하물 처리 장치(1000)로부터 수하물을 전달 받아 수신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적재된 수하물을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 수하물 처리 시스템 1000 : 수하물 처리장치
1100 : 통신부 1200 : 디스플레이부
1300 : 판독부 1400 : 프린터부
1500 : 치수 측정부 1510 : 높이 측정부
1520 길이 측정부 1530 : 폭 측정부
1600 : 컨베이어 1700 : 3차원 이미지부
1800 : 2차원 이미지부 1900 : 태그 검출부
2000 : 제어부 3000 : 수하물 이송 시스템
5000 : 공항 서버

Claims (10)

  1. 수하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적재된 수하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폭, 높이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치수 측정부;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상기 수하물의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3차원 이미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 상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 위치로 이동한 상기 수하물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동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고, 상기 무게 센서, 상기 치수 측정부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부로부터 획득한 3차원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무게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수하물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길이 측정부를 포함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컨베이어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 되어 제공되는
    수하물 처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대향하여 제공되는
    수하물 처리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에 적재된 수하물이 측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하물을 상기 측정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하물의 이동에 따른 상기 치수 측정부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길이를 산출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 측정부는 상기 수하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수하물의 폭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폭 측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측정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되는
    수하물 처리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수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차원 이미지로부터 상기 수하물의 높이, 길이, 및 폭에 대한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역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수하물의 치수 정보를 산출하는
    수하물 처리 장치.
KR1020150068721A 2015-05-18 2015-05-18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5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21A KR20160135442A (ko) 2015-05-18 2015-05-18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21A KR20160135442A (ko) 2015-05-18 2015-05-18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442A true KR20160135442A (ko) 2016-11-28

Family

ID=5770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21A KR20160135442A (ko) 2015-05-18 2015-05-18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4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1546A (zh) * 2018-10-23 2018-12-2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物料称重入库装置
CN109191037A (zh) * 2018-08-08 2019-01-11 深圳码隆科技有限公司 箱包存放方法、装置和服务器
JP2020176962A (ja) * 2019-04-22 2020-10-2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体主要部構成部材の重量測定装置及び重量測定方法
CN111982009A (zh) * 2020-02-26 2020-11-24 深圳市安达自动化软件有限公司 一种拉杆箱3d尺寸检测系统及方法
KR102553949B1 (ko) * 2022-03-22 2023-07-07 이진원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KR20230105457A (ko) * 2022-01-04 2023-07-11 한국공항공사 비규격 수하물의 자동 판독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1037A (zh) * 2018-08-08 2019-01-11 深圳码隆科技有限公司 箱包存放方法、装置和服务器
CN109051546A (zh) * 2018-10-23 2018-12-2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物料称重入库装置
JP2020176962A (ja) * 2019-04-22 2020-10-2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体主要部構成部材の重量測定装置及び重量測定方法
CN111982009A (zh) * 2020-02-26 2020-11-24 深圳市安达自动化软件有限公司 一种拉杆箱3d尺寸检测系统及方法
KR20230105457A (ko) * 2022-01-04 2023-07-11 한국공항공사 비규격 수하물의 자동 판독 방법 및 시스템
KR102553949B1 (ko) * 2022-03-22 2023-07-07 이진원 택배 물품 정보 획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5442A (ko) 수하물 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349978B (zh) 用于将行李寄存并托运入航空公司班机中的方法和系统
US9518861B2 (en) Luggage control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US9940588B2 (en) Luggage processing station
CN109725011A (zh) 行李安检装置
CN106132831A (zh) 行李处理站及系统
WO2017077167A1 (es) Sistema para el control integral de pasajeros y equipaje
JP6806003B2 (ja) 航空旅行者支援システム
US11467578B2 (en) Moving object and movement system
CN104867221A (zh) 自助行李托运系统
US20220309443A1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pack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storing storage medium
KR101613120B1 (ko) 바코드 검사 시스템
WO202010451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ssengers and luggage before boarding
US20180075297A1 (en) System for handling luggage and method thereof
WO20200215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ecking a piece of baggage
JP7148201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方法
KR101685812B1 (ko) 수하물 처리 장치,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처리 시스템
JP7116967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方法
JP7207822B2 (ja) 荷物引受装置及び荷物引受システム
KR101494948B1 (ko) 체크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하물 체크인 방법
JP2020057054A (ja) 荷物引受装置、荷物引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505021U (zh) 智慧型驗票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