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168B1 - 경량 카울 크로스바 - Google Patents

경량 카울 크로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168B1
KR102552168B1 KR1020180160638A KR20180160638A KR102552168B1 KR 102552168 B1 KR102552168 B1 KR 102552168B1 KR 1020180160638 A KR1020180160638 A KR 1020180160638A KR 20180160638 A KR20180160638 A KR 20180160638A KR 102552168 B1 KR102552168 B1 KR 10255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crossbeam
lightweight
crossbar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731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168B1/ko
Priority to US16/437,369 priority patent/US11001303B2/en
Priority to DE102019116246.7A priority patent/DE102019116246A1/de
Priority to CN201910541542.2A priority patent/CN111319687B/zh
Publication of KR2020007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62D29/002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a foamable synthetic material or metal being added in situ
    • B60K2360/60
    • B60K35/2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카울 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량 카울 크로스바는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을 횡으로 연결하는 카울 크로스빔, 상기 카울 크로스빔의 양단에 결합하는 측면체결부, 상기 카울 크로스빔 중앙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전방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 및 상기 서포트레그와 상기 카울 크로스빔을 연결하는 보강브라켓이 일체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량 카울 크로스바{Light Weight Cowl cross bar for vehicle}
본 발명은 경량 카울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하는바, 중량을 줄이고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부재 및 결합관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경량 카울 크로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횡으로 연결하는 수 개의 크로스 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카울 크로스빔은 카울 패널 후방의 차실 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차체 전방에 강성을 부여하는 구조물이다. 카울 크로스빔은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며,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전달되는 엔진 진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구조로 설계된다.
카울 크로스빔의 중앙부 하측에는 카울 크로스빔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레그(support leg)가 결합한다. 서포트레그는 스티어링 장치로부터의 진동을 차체 하부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레그에는 서포트레그의 가로방향 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연결바가 설치된다.
카울 크로스빔의 양측에는 사이드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측면체결부이 설치된다.
또한, 카울 크로스빔에는 계기판, 에어 컨디셔닝 덕트, 음향장치, 퓨즈 박스, 에어백 등을 설치하기 위한 각종 브라켓들이 설치된다.
카울 크로스빔에 결합하는 서포트레그, 측면체결부 및 각종 브라켓들은 프레스, 압출, 주조 등에 의해서 각각 생산된 후 용접을 통해서 카울 크로스빔에 결합한다.
다만, 자율주행 차량의 공급에 의거 차량의 전방 슬림 칵핏의 형상에 따라 카울 크로스바의 구조 변경이 요구되며, 또한, 종래 내연기관 차량의 경우, 알루미늄 카울 크로스바의 구성에 의해 중량이 증대되어 차량의 연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57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량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안정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물성을 갖는 카울 크로스바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량 카울 크로스바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을 횡으로 연결하는 카울 크로스빔; 상기 카울 크로스빔의 양단에 결합하는 측면체결부; 상기 카울 크로스빔 중앙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전방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 및 상기 서포트레그와 상기 카울 크로스빔을 연결하는 보강브라켓;이 일체로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울 크로스빔과 체결되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는 굽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는 차체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와 차체 외부 사이의 상기 카울 크로스빔이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응력집중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울 크로스빔과 측면체결부, 서포트레그, 보강브라켓 및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연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노치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의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울 크로스빔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HUD가 마운팅 되도록 구성되는 HUD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HUD 마운팅부는 차체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도록 벤딩 유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량 카울 크로스바는, 폴리아미드(Poly Amide)에 폴리아미드 6(Poly Amide 6: PA6), 유리 장섬유 (long glass fiber: LGF)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하는바, 경량의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보강부재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충분한 강성 성능을 제공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를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HUD를 탑재하는 차량의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변형 에너지 밀도 실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 지지부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보강부재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보강연결부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의 보강브라켓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빔", "..."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좌측', '우측'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차량의 전방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경량 카울 크로스바(100)를 개시하고 있는바, 도 1에서는 Head Up Display(HUD)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카울 크로스바(100)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2에서는 Head Up Display(HUD) 또는 Augmented Reality Head Up Display(AR HUD)를 포함하는 카울 크로스바(100)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는 폴리아미드(Poly Amide), 폴리아미드 6(Poly Amide 6: PA6), 유리 장섬유 (long glass fiber: LGF)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금형 틀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틀이 빠지는 형상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는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카울 크로스바(100)는 일체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는 베이스 재질로서 폴리아미드를 기반으로, 내습, 내열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물성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참가제는 폴리프탈아마이드(Polyphthalamide:PPA)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탈아마이드는 아이소프탈산 (isophthalic acid:PA6I)와 테레프탈산 (Terephthalic acid:PA6T)를 중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카울 크로스바(100)는 차체의 양측을 횡단하고, 양 끝단이 사이드프레임(300)에 연결되는 카울 크로스빔(110)을 포함하고, 상기 카울 크로스빔(110)과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측면체결부(180)를 포함한다.
카울 크로스빔(110)의 중앙부에는 차량의 전방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12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레그(120)는 차량의 칵핏의 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달라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림칵핏을 사용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카울 크로스바(100)로서, 카울 크로스빔(11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서포트레그(120)는 일정한 곡률을 포함하고 차량의 전방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곡률을 포함하는 서포트레그(120)의 형상은 차량에 적용되는 칵핏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워크쓰루(walk Through)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의 경우,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 사출되어 구성되는바, 서포트레그(120)에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따라 지지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상기 서포트레그(120)와 카울 크로스빔(110)과 브릿지(131) 연결을 하는 보강브라켓(1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강브라켓(130)의 일단은 카울 크로스빔(110)의 중앙부와 인접한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서포트레그(120)의 적어도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브라켓(130)은 브릿지(131) 결합을 통해 상기 서포트레그(120)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차량의 정면 측부에서 충돌이 인가되는 경우, 카울 크로스빔(110)의 파단을 수행하여 스몰 오버랩 성능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바,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가까운 차량의 측면 사이의 카울 크로스빔(110)이 파단되도록 응력집중부(150)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프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100)를 통해 스몰 오버랩 성능을 만족하기 위함이다.
응력집중부(150)는 카울 크로스빔(110)이 파단되도록 형성되는바,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과 가까이 위치하는 차체 사이에 일정한 응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응력집중부(150)는 카울 크로스빔의 파단을 수행하도록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카울 크로스빔(110)의 일단 또는 두 개 이상의 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단 또는 일부의 영역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다만, 카울 크로스바(100) 상에 Head Up Display(HUD)를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Head Up Display(이하, HUD)를 장착하는 카울 크로스바(100)는 차체의 양측을 횡단하고, 양 끝단이 사이드프레임(300)에 연결되는 카울 크로스빔(110)을 포함하고, 상기 카울 크로스빔(110)과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측면체결부(180)를 포함한다.
카울 크로스빔(110)의 중앙부에는 차량의 전방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12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레그(120)는 차량의 칵핏의 형상에 의해 그 형상이 달라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림칵핏을 사용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카울 크로스바(100)로서, 카울 크로스빔(11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서포트레그(120)는 일정한 곡률을 포함하고 차량의 전방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곡률을 포함하는 서포트레그(120)의 형상은 차량에 적용되는 칵핏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워크쓰루(walk Through)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의 경우,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 사출되어 구성되는바, 서포트레그(120)에 인가되는 진동하중에 따라 지지강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상기 서포트레그(120)와 카울 크로스빔(110)과 브릿지(131) 연결을 하는 보강브라켓(1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도 1의 개시된 구성과의 차이점으로서, HUD 마운팅부(21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HUD 마운팅부(210)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의 상단으로 HUD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HUD 마운팅부(210)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브라켓(212),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브라켓(2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HUD 마운팅부(210)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와 마주하는 위치에 노치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의 리브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HUD 마운팅부(210)와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가 마주하는 위치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HUD 마운팅부(210)를 구성하는 좌측 브라켓(211)과 우측 브라켓(212) 중 차량의 외부와 가까운 위치에 구성되는 브라켓의 경우, 벤딩 유발부(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티어링 칼럼의 변위량이 스몰 오버랩 성능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벤딩 유발부(220)는 차량 정면 측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이 벤딩되도록 리브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단면 계수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좌측 브라켓(211)에 상기 벤딩 유발부(2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차량의 하방으로 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위치로 구성된다. 더욱이, 벤딩 유발부(220)는 리브의 개수 및 단면 계수가 최소가 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벤딩 유발부(220)는 충격에 의해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향 이동한 좌측 브라켓(211)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벤딩 유발부(220)의 경우, 스티어링 칼럼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개시된 좌측 브라켓(211)에 위치하는 벤딩 유발부(220)의 경우, 좌핸들 차량에 대한 일예를 개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티어링 진동에 의거 변형 에너지 밀도가 높은 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상기 변형 에너지 밀도가 높은 위치에 구성되는 지지부(14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빔(110)은 서포트레그(120)를 기준으로 차량의 횡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를 포함하는바, 도 1에서는 좌핸들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바, 서포트레그(120) 좌측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는 스티어링 칼럼(미도시)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는 스티어링 칼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하중에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와 카울 크로스빔(110)이 마주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141)를 포함한다.
지지부(141)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와 카울 크로스빔(110)이 마주하는 상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의 격자를 이루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부(141)는 단면계수를 증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와 카울 크로스빔(110)이 마주하는 위치에 격자형상의 리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는 스티어링 칼럼이 체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보다 넓은 단면 계수를 갖는 평면 형상을 포함하는바, 스티어링 진동에 대응한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1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카울 크로스바(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위치하는 보강부재(1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강부재(17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갖는 리브 형상(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울 크로스바(100)를 구성하는 카울 크로스빔(110), 서포트레그(120), 보강연결부(160) 및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부재(170)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와 카울 크로스빔(110)이 마주하는 위치에 격자형태의 리브구성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카울 크로스빔(110)의 상면 또는 차량의 전방부와 마주하는 일면에 조합되어 위치된다.
보강부재(170)로서 리브 형상은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되는 리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재(170)는 격자형태의 리브 조합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전면, 후면, 상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이상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보강부재(170)는 카울 크로스빔(110)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일정한 각도를 지니는 리브와 상기 리브에 수직으로 구성되는 추가리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70)는 설계상 강성 보강이 요구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단면계수가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가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울 크로스빔(110)과 연결되는 서포트레그(120), 보강연결부(160) 및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140) 등의 구성들의 연결부에는 보강연결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보강연결부(160)는 노치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카울 크로스바(100)로서, 플라스틱 물성에 기인하여 강성 보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각각의 구성간의 결합위치, 변형이 용이한 위치에 구성되는 보강부재(170) 및 보강연결부(160)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170) 및 보강연결부(160)의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는 지지강성이 증가한다. 또한,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의 구성은 상기 보강부재(170) 및 보강연결부(160)의 변경이 용이하고, 일회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강부재(170), 보강연결부(160) 또는 지지부(141)등 본 발명의 카울 크로스바(100)의 지지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구성의 경우, 금형의 빼기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는바,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서포트레그(120)와 체결되는 보강브라켓(13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레그(120)는 카울 크로스빔(110)과 일체로 사출되어 차량의 전방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레그(120)는 슬림 칵핏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워크쓰루를 구현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레그(120)와 인접하여 카울 크로스빔(110)와 볼트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보강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의 경우,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120)의 강성을 유지하고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이 카울 크로스빔(11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서포트레그(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서포트레그(120)와 체결되는 보강브라켓(130)은 브릿지(131) 연결을 통해 지지강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보강브라켓(130)은 카울 크로스바(100)와 일체로 사출되어 구성될 수 있는바, 다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하나의 사출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보강브라켓(130)의 구성을 통해 플라스틱 재로로 일체 사출되는 카울 크로스바(100)의 서포트레그(120)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카울 크로스바
110: 카울 크로스빔
120: 서포트레그
130: 보강브라켓
131: 브릿지
140: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
141: 지지부
150: 응력집중부
160: 보강연결부
170: 보강부재
180: 측면체결부
210: HUD 마운팅부
211: 좌측 브라켓
212: 우측 브라켓
220: 벤딩 유발부
300: 사이드프레임

Claims (10)

  1. 차체의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을 횡으로 연결하는 카울 크로스빔;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위치하여 차체와 결합되는 측면체결부;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위치하고, 차량의 전방 차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서포트레그;
    상기 서포트레그와 상기 카울 크로스빔을 연결하는 보강브라켓;
    스티어링 칼럼을 지지하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 및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는 차체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와 차체 외부 사이의 상기 카울 크로스빔이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응력집중부;이 일체로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빔과 연결되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는 굽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빔과 측면체결부, 서포트레그, 보강브라켓 및 스티어링 칼럼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연결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는 노치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의 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빔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빔에 HUD가 마운팅 되도록 구성되는 HUD 마운팅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HUD 마운팅부는 차체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도록 벤딩 유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카울 크로스바는,
    폴리아미드(Poly Amide)에 폴리아미드 6(Poly Amide 6: PA6), 유리 장섬유 (long glass fiber: LGF)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카울 크로스바.
KR1020180160638A 2018-12-13 2018-12-13 경량 카울 크로스바 KR10255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38A KR102552168B1 (ko) 2018-12-13 2018-12-13 경량 카울 크로스바
US16/437,369 US11001303B2 (en) 2018-12-13 2019-06-11 Lightweight cowl crossbar for vehicle
DE102019116246.7A DE102019116246A1 (de) 2018-12-13 2019-06-14 Leichtgewichtiger Stirnwandquerträger für ein Fahrzeug
CN201910541542.2A CN111319687B (zh) 2018-12-13 2019-06-21 用于车辆的轻质的前围横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38A KR102552168B1 (ko) 2018-12-13 2018-12-13 경량 카울 크로스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31A KR20200072731A (ko) 2020-06-23
KR102552168B1 true KR102552168B1 (ko) 2023-07-05

Family

ID=7085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38A KR102552168B1 (ko) 2018-12-13 2018-12-13 경량 카울 크로스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1303B2 (ko)
KR (1) KR102552168B1 (ko)
CN (1) CN111319687B (ko)
DE (1) DE102019116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4892B2 (ja) * 2018-03-29 2022-07-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7070282B2 (ja) * 2018-09-21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KR102598560B1 (ko) * 2019-07-05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KR20210067799A (ko) * 2019-11-29 2021-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카울크로스바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1253A (ko) * 2020-05-15 2021-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 조립체
KR20210141256A (ko) * 2020-05-15 2021-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울크로스바 조립체 및 이의 파이프 제조방법
KR20210148695A (ko) 2020-06-01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량 카울 크로스바
KR20220008108A (ko) * 2020-07-13 2022-0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20125791A1 (de) * 2020-10-02 2022-04-07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Trägerstruktur für einen Instrumententafelträger sowie Instrumententafelträger mit einer solchen Trägerstruktur
KR20220099295A (ko) * 2021-01-06 2022-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전개장치
FR3119354A1 (fr) * 2021-02-03 2022-08-05 Psa Automobiles Sa Protection d’un occupant vis-à-vis d’un dispositif de vision tête haute lors d’un choc véhicule.
CN115214794B (zh) * 2021-05-12 2023-07-2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板横梁总成
FR3123298A1 (fr) * 2021-05-31 2022-12-02 Psa Automobiles Sa Traverse de planche de bord pour véhicule automobile et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elle traverse
CN113428210B (zh) * 2021-08-11 2022-04-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管柱平台化固定结构及包含其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2954A1 (en) * 2002-12-10 2004-12-30 Charles Scheib Structural hybri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305476A1 (en) * 2015-09-17 2017-10-2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Vehicle cross member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520U (ko) * 1995-12-19 1997-07-26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US7920102B2 (en) * 1999-12-15 2011-04-05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heads-up display system
US6949282B2 (en) * 2000-07-07 2005-09-27 Delphi Technologies, Inc. Contoured crushable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050017204A (ko) * 2003-08-11 2005-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고정용 지지브라켓 구조
KR100559584B1 (ko) 2004-07-14 2006-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울크로스바의 센터서포트멤버 구조
KR100767523B1 (ko) * 2006-08-24 200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20110059351A (ko) * 2009-11-27 2011-06-02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FR2991650B1 (fr) * 2012-06-07 2014-06-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verse pour planche de bord de vehicule pourvue d'une entretoise de renfort dorsal en composite fibre
KR101534730B1 (ko) * 2013-12-31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JP6408774B2 (ja) * 2014-03-25 2018-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EP3288818B1 (en) * 2015-04-30 2021-06-2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ross-car beam
US9873459B2 (en) * 2015-09-24 2018-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strument panel secondary service joint
KR101724938B1 (ko) * 2015-10-28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울 크로스 어셈블리 구조
FR3052699B1 (fr) * 2016-06-20 2019-08-16 Institut De Recherche Technologique Jules Vern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en materiau composite, support de colonne de direction et traverse inferieure de baie realises a l'aide d'un tel procede
JP6536593B2 (ja) * 2017-01-06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アブレース締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62954A1 (en) * 2002-12-10 2004-12-30 Charles Scheib Structural hybri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305476A1 (en) * 2015-09-17 2017-10-2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Vehicle cross member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9687B (zh) 2023-02-17
DE102019116246A1 (de) 2020-06-18
KR20200072731A (ko) 2020-06-23
US11001303B2 (en) 2021-05-11
CN111319687A (zh) 2020-06-23
US20200189661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168B1 (ko) 경량 카울 크로스바
US7644966B2 (en) Vehicle bumper fascia retainer
JP4877537B2 (ja) 乗用車の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支持部
WO2014065089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用のブラケ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US6758515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with crushable zones for collision damage
KR102017463B1 (ko) 차량용 에어가드 유닛과 그 제조방법
CN109664948B (zh) 车辆前部构造
KR20220008108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3246B1 (ko) 차량용 캐리어
JP3265891B2 (ja) 車両のバンパフェイシア構造
JP412706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2598560B1 (ko)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바
US20070151784A1 (en) Radiator core support
KR101638840B1 (ko) 헤드램프 고정장치
KR101344524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449929B1 (ko)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JP5981093B2 (ja)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6094639B2 (ja) 車体構造
KR102414188B1 (ko) 충격저감형 결합구조가 부설된 일체형 카울크로스맴버
KR100581111B1 (ko) 자동차의 프런트 엔드 캐리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의 하부 장착 구조
JP4211490B2 (ja) 車両の前端構造
JP7380397B2 (ja) 車両前部構造
US20230144305A1 (en) Bumper beam for a motor vehicle
JP2022150954A (ja) 車両構造
KR101263647B1 (ko)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