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52B1 - 티슈 페이퍼 - Google Patents

티슈 페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52B1
KR102552052B1 KR1020207021500A KR20207021500A KR102552052B1 KR 102552052 B1 KR102552052 B1 KR 102552052B1 KR 1020207021500 A KR1020207021500 A KR 1020207021500A KR 20207021500 A KR20207021500 A KR 20207021500A KR 102552052 B1 KR102552052 B1 KR 10255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le strength
tissue paper
transverse direction
paper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984A (ko
Inventor
슈타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2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21H27/004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 D21H27/005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05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nly
    • D21H17/06Alcohols; Phenols; Ethers; Aldehydes; Ketones; Acetals; Ket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과제] 부드러움, 매끄러움, 강도가 우수한 보습 타입의 티슈 페이퍼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폴리올을 포함하는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2플라이의 티슈 페이퍼로서, 1플라이당의 평량이 16.0∼25.0g/㎡이고, 2플라이의 종이 두께가 145∼180㎛이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120∼200cN/25㎜이며,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275∼450cN/25㎜이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60∼130cN/25㎜이며, 상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와 상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차이가 40cN/25㎜ 이상이며, 또한,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이 0.60∼0.75이며, 종방향의 신장율이 13.0∼18.0%인 티슈 페이퍼에 의해서 해결된다.

Description

티슈 페이퍼
본 발명은 티슈 페이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티슈 페이퍼에 관한 것이다.
티슈 페이퍼에는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것과,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다.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것은 보습 티슈, 약액 부여 타입의 티슈 등이라 부르며, 코 풀기나 클렌징 등 피부에 직접 닿는 용도가 주이고, 보습제에 의한 흡습 작용에 의해서 수분율이 높아져 있다. 또한,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은 비보습 티슈 등이라 부르고 있다.
보습 티슈는 주로 페이셜 용도, 즉, 코 풀기나 얼굴 닦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보습 티슈의 용도로서 코 풀기 이외에 자주 이용되는 용도로서 클렌징(메이크업 클렌징)이 있다. 클렌징은 젤 타입, 크림 타입 등 여러 타입의 클렌징용 약제를 얼굴 전체에 묻힌 후에 닦아내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리고, 그 닦아내기 조작은 이마부터 얼굴의 둥그스름을 따라 가볍게 누르면서, 미끄러지듯이 하여 턱까지 확실히 눌러서, 클렌징용 약제를 흡수시키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보습 티슈에는 흡수성이 높고, 흡수 시도 튼튼하고, 견고함이 있고, 적당한 부드러움도 있고, 그리고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이 요구된다. 특히, 이러한 클렌징 용도에서는, 매끄러움과 흡수한 상태에서 닦아내기 조작을 실시하였을 때의 견고함이 요구된다.
한편, 티슈 페이퍼의 품질은 「부드러움」, 「매끄러움」, 「튼튼함(강도·안심감)」으로 평가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보습 티슈에서는, 보습제에 의한 수분율 상승에 따라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것, 즉, 비보습 티슈에는 없는 「부드러움」이 느껴지게 되지만, 한편으로 수분율 상승에 의해서 단단함이 없고, 탄력 있게도 느껴져서 「튼튼함(강도·안심감)과 같은 평가가 낮아지는 일이 많이 있다. 더욱이, 「튼튼함(강도·안심감)」에서는, 느낌 뿐만 아니라, 복수의 보습 티슈가 작게 접어져서 적층되어 수납 상자에 수납된 형태의 제품에서, 수납 상자 천정면의 취출구로부터 보습 티슈를 1매 또는 복수매 거듭 꺼내는, 이른바 팝업 조작을 했을 때에, 찢어져버리는 빈도가 비보습 티슈보다 많은 경우가 있다. 또한, 코 풀기 등의 사용 시에도, 콧물이 보습 티슈 뒤로 빠져서, 보습 티슈를 든 손가락에 부착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이, 보습 티슈의 평가에서는, 「부드러움」의 평가를 높이면, 「튼튼함(강도·안심감)」의 평가가 낮아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다른 한편, 티슈 페이퍼의 종이 질 파라미터와 관능 평가치의 관계는 불명한 점도 많아, 티슈 페이퍼의 사용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종래의 관능 평가는 피험자마다의 각 항목의 기준 차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되어 있지 않고, 특히,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에 대해서는, 어느 피험자가 「부드러움」이라고 느끼는 감각을, 다른 피험자가 「매끄러움」으로 느끼는 경우를 많이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항목으로서 판단하면 정밀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평가 항목을 모두 향상시키는 티슈 페이퍼 개발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875488호 일본 특허공보 제4450552호 일본 특허공보 제46580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558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269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42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64722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관능성에 관한 품질, 특히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때에 관능성에 관한 품질이 우수한 보습 티슈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부드러움」이 우수함과 동시에, 「튼튼함(강도·안심감)」이 있는 보습 티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서는, 비보습 티슈와 동등한 강도가 있는 보습 티슈를 제공하는 것, 또한, 「매끄러움」에서도 우수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그 제1 수단은,
폴리올을 포함하는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2플라이의 티슈 페이퍼로서,
1플라이당의 평량이 16.0∼25.0g/㎡이고,
2플라이의 종이 두께가 145∼180㎛이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120∼200cN/25㎜이며,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275∼450cN/25㎜이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60∼130cN/25㎜이며,
상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와 상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차이가 40cN/25㎜ 이상이며, 또한,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이 0.60∼0.75이며,
종방향의 신장율이 13.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이다.
제2 수단은,
표면 거칠기(Ra)가 10.0∼12.0㎛인 상기 제1 수단의 티슈 페이퍼이다.
제3 수단은,
평균 마찰 계수(μ)가 0.38∼0.50인 상기 제1 또는 제2 수단의 티슈 페이퍼이다.
제4 수단은,
(표면 거칠기(Ra))/(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25.0∼30.0㎛이고,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1.45∼2.00인,
상기 제1∼제3 수단의 티슈 페이퍼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관능성에 관한 품질, 특히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때에 관능성에 관한 품질이 우수한 보습 티슈가 제공된다. 특히, 「부드러움」이 우수함과 동시에, 「튼튼함(강도·안심감)」이 있는 보습 티슈가 제공된다. 나아가서는, 비보습 티슈와 동등한 강도가 있는 보습 티슈가 제공된다. 또한, 「매끄러움」에서도 우수한 것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동마찰계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와 관련된 관능 평가 결과의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특히 일반적인 「부드러움」이 우수함과 동시에, 「튼튼함(강도·안심감)」이 있는 보습 티슈이며, 나아가서는, 비보습 티슈와 동등한 강도가 있고, 「매끄러움」에서도 우수한 것이다. 그리고, 보습 티슈의 주요 용도의 하나인 클렌징(메이크업 클렌징)에 사용한 경우, 충분한 습윤 인장 강도가 있어서, 가볍게 누르면서 미끄러지듯이 하여 턱까지 확실하게 눌러, 젤이나 크림 약제를 티슈 페이퍼에 흡수시키도록 할 때에 피부에 대한 상쾌함이 우수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2플라이의 티슈 페이퍼, 즉, 기지 2매가 적층 일체화되어 1세트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티슈 페이퍼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는 NBKP(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와 LBKP(활엽수 크래프트 펄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펄프 섬유가 NBKP와 LBKP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 배합 비율은 NBKP:LBKP=20:80∼80:20이 좋고, 특히, NBKP:LBKP=30:70∼60:40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합으로 하면, 건조 인장 강도와 습윤 인장 강도 및 표면성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조정할 수 있다. NBKP는 섬유 거칠기 11.0㎎/100m∼20.0㎎/100m인 침엽수 크래프트 펄프이면, 탄력 있고 강도 있는 원지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LBKP는 섬유 거칠기 7.0∼13.0㎎/100m인 활엽수 크래프트 펄프이면 원지의 표면성이 매끄러워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상기와 같이 2플라이의 보습 티슈이지만, 그 평량은 1플라이당의 평량이 16.0g/㎡ 이상이다. 상한치는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지만, 2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서의 평량은 비교적 범용품이나 저가격품이라 부르는 범용적 티슈 페이퍼보다 높은 평량이며, 이 평량이면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과 튼튼함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2플라이의 종이 두께가 145㎛ 이상이다. 상한치는 한정되지 않지만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종이 두께이면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과 튼튼함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평량이란, JIS P 8124(2011)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하고, 종이 두께는 시험편을 JIS P 8111(1998)의 조건 하에서 충분히 조습한 후, 동일 조건 하에서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두께 측정기) 「PEACOCK G형」(오자키 제작소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이 종이 두께 측정의 구체적 순서는 플런저와 측정대의 사이에 먼지, 티끌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플런저를 측정대 위에 내려놓고, 상기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서 제로점을 맞추고, 다음으로, 플런저를 올려서 시료를 시험대 위에 두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려서 그 때의 게이지를 판독한다. 이 때, 플런저를 놓기만 한다. 플런저의 단자는 금속제로 직경 10㎜인 원형의 평면이 종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닿도록 하며, 이 종이 두께 측정 시의 하중은 약 70gf이다. 측정을 10회 실시하여 얻어지는 평균치를 종이 두께로 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보습 티슈, 로션 티슈, 약액 부여 타입 티슈 등이라고도 부르는,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티슈 페이퍼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보습제는 흡습성에 의해서 종이 중에 수분을 넣어 수분율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갖는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폴리올을 포함한다. 폴리올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 -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로서, 흡습성에 의한 수분율 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흡습성을 갖는 당류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폴리올로서 적합한 것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만니톨, 트레할로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자이로비오스, 자일로올리고당, 자당, 람노스이며, 이것들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을 혼합한 것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이 좋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보습제 중에서 주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으로서는, 알로에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대맥 엑기스, 오렌지 엑기스, 해조 엑기스, 카밀레 엑기스, 오이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우엉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지황 엑기스, 자소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도콩 엑기스, 동충하초 엑기스, 삼백초 엑기스, 방망이만가닥버섯 엑기스, 비파 엑기스, 포도잎 엑기스, 참파나무 엑기스, 자두 엑기스, 수세미 엑기스, 모란 엑기스, 해당화 엑기스, 복숭화잎 엑기스, 백합 엑기스, 사과 엑기스,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기름, 홍화유, 대두유, 동백유, 피마자유, 호호바유, 밍크유, 야자유, 밀납, 히알루론산, 태반 엑기스, 람노스, 자이로비오스, 자일로올리고당, 튜버로즈 다당류, 삼당류, 용성 콜라겐, 글리시리진, 콘드로이틴 황산, 스쿠알렌,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요소, 비타민 C 인산 에스테르칼슘염, 비타민 E, 피롤리든카르본산 나트륨, 히노키티올, 유동 파라핀 및 바셀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또는 그 이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중, 알로에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자소 엑기스, 샐비어 엑기스, 세라미드 유사 화합물, 삼백초 엑기스, 방망이만가닥버섯 엑기스, 비파 엑기스, 참파나무 엑기스, 모란 엑기스, 피마자유, 호호바유, 히알루론산, 태반 엑기스, 가용성 콜라겐, 콘드로이틴 황산, 스쿠알렌, 요소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상기와 같이 보습제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수분율이 10질량% 이상, 특히 11질량% 이상이 된다. 이 수분율은 보습 티슈 중에서도 매우 높은 수분율이다. 또한, 여기서의 수분율은 JIS P 8111(1998)의 조건 하에서 시료를 조습한 후, JIS P 8127(2010)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JIS P 8111(1998)의 표준 상태 하에서 조습한 티슈 페이퍼를 검체로 하여, 실온 23±1℃, 상대 습도 50±2% 환경 하에서 서로 비교될 때까지 티슈 페이퍼를 건조시켜서, 조습한 티슈 페이퍼의 질량에 대한 티슈 페이퍼 중의 수분량의 비율을 구한다(티슈 페이퍼의 수분율%)=((조습한 티슈 페이퍼의 질량(g))-(건조한 티슈 페이퍼의 질량(g)))/(조습한 티슈 페이퍼의 질량(g))).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 중에 포함되는 폴리올의 함유량은 22.5질량% 이상 28.5질량% 이하이다. 폴리올의 함유량은 예로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에 의한 정량에 의해서 측정되는 값으로부터 구한다. 조습한 티슈 페이퍼를 기준 검체로 하여, 속슬렛 추출기에 의한 아세톤 추출을 실시하고, 추출한 용매를 건조시켜, 이것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로 측정한다. 상기 수분율과 같은 조건에서 조습한 티슈 페이퍼 중에 포함되는 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합계 질량의 비율을 폴리올 함유량의 질량%로 한다. 상기 함유량이라면 티슈 페이퍼 중의 수분율을 10질량% 이상으로 높이기 쉽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서 보습제는 약액으로서 외첨에 의해 원지에 부여하는 것이 좋다. 원지에 대한 약액의 외첨 방법은 스프레이 도포, 인쇄 도포, 롤 전사 등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약액 중에는 유화제, 방부제, 소포제 등 공지의 조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약액 중의 폴리올의 함유량은 60.0∼90.0질량%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120cN/25㎜ 이상이고,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275cN/25㎜ 이상이다. 이 종횡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은 보습 티슈로서는 매우 높은 값이며, 비보습 티슈와 동일한 정도이다.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상한치는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지만, 450cN/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상기와 같이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120cN/25㎜ 이상임과 동시에,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60cN/25㎜ 이상이다.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상한치는 200cN/2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130∼160cN/25㎜이다. 또한,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상한치는 130cN/2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80∼120cN/25㎜이다. 상기 평량의 범위에서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 및 습윤 인장 강도가 이 범위이면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특히,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매우 높다.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는 일반적으로 티슈 페이퍼의 종횡의 건조 인장 강도, 종횡의 습윤 인장 강도 중에서도 가장 약한 값이 된다. 따라서, 이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높으면 종이 자체가 본질적으로 튼튼하다고 할 수 있으며, 느낌에서도 튼튼함을 느끼기 쉬운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분율을 약간 높게 하도록 한 뒤, 지력을 높게 함으로써 부드러움과 튼튼함을 느끼기 쉬워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더욱이 상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와 상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차이가 40cN/25㎜ 이상이며, 또한,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이 0.60∼0.75이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부드러움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가 발현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건조 인장 강도는 JIS P 8113(2006)의 인장 시험에 근거하여 측정한다. 시험편은 종횡 방향 모두 폭 25㎜(±0.5㎜)×길이 150㎜ 정도로 재단한 것을 사용한다. 티슈 페이퍼는 복수 플라이인 경우에는 복수 플라이인 채 측정한다. 시험기는 미네베아 주식회사 제품인 로드셀 인장 시험기 TG-200N을 이용한다. 손잡이 간격을 100㎜로 설정한다. 측정은 시험편의 양단을 시험기의 손잡이에 단단히 조이고, 종이편을 상하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가하여, 종이가 파단할 때의 지시값(디지털치)을 판독하는 순서로 실시한다. 인장 속도는 100㎜/min로 한다. 종방향, 횡방향 모두 각각 5세트의 시료를 준비하여 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측정치의 평균을 각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로 한다(시료 조정은 JIS P 8111(1998)).
또한, 습윤 인장 강도는 JIS P 8135(1998)의 인장 시험에 준하여 측정한다. 시험편은 종횡 방향 모두 폭 25㎜(±0.5㎜)×길이 150㎜ 정도로 재단한 것을 사용한다. 티슈 페이퍼는 복수 플라이인 경우에는 복수 플라이인 채 측정한다. 시험기는 미네베아 주식회사 제품인 로드셀 인장 시험기 TG-200N을 이용한다. 손잡이 간격을 100㎜로 설정한다. 측정은 105℃의 건조기에서 10분간 큐어링을 실시한 시험편의 양단을 시험기의 손잡이에 단단히 조이고, 다음으로, 물을 적신 납작 붓을 사용하여 시험편의 중앙부에 약 10㎜ 폭으로 수평으로 물을 부여하고, 그 후, 바로 종이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가하여, 종이가 파단할 때의 지시값(디지털치)을 판독하는 순서로 실시한다. 인장 속도는 50㎜/min로 한다. 종방향, 횡방향 모두 각각 5세트의 시료를 준비하여 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측정치의 평균을 각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종방향의 신장율(인장 파단 신장)이 13.0∼18.0%이다. 신장율은 JIS P 8113(2006)의 인장 시험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측정은 미네베아 주식회사 제품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 TG-200N」 또는 그에 상당하는 기기로 측정할 수 있다. 신장율이 상기 범위이면, 매끄러움을 느끼기 쉬운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보습 티슈로서, 원지를 적층한 시트에 대하여, 보습제를 폴리올이 22.5질량%∼28.5질량% 정도가 되도록 부여하여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약액 중의 수분 및 약액 도포 후의 흡습에 의해서, 약액 부여를 하지 않는 원지에 대하여 건조 인장 강도는 30%∼40% 저하되는 경우가 많고, 습윤 강도는 20%∼30%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종이를 뜨는 1차 원지에 대해서는, 건조 인장 강도 및 습윤 인장 강도를 종래품에 비하여 대폭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종방향 건조 인장 강도는 450∼650cN/25㎜, 횡방향 건조 인장 강도는 250∼350cN/25㎜, 횡방향 습윤 인장 강도를 80∼150cN/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강도를 이 범위로 하려면, 원지의 평량을 1플라이에서 13.5∼22.5g/㎡로 하면 조정하기 쉽고, 추가로 종이 두께를 2플라이에서 145∼200㎛로 하면 조정하기 쉽다.
더욱이, 강도 조정은 원지를 종이 뜰 때, 원료 배합 및 고해 조건, 건조 지력 증강제, 습윤 지력 증강제의 종류와 그 배합 비율 등을 조정하면 좋다. 단, 건조 인장 강도, 습윤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단지 원료에 대하여 첨가하는 건조 지력 증강제, 습윤 지력 증강제를 증첨하는 것 만으로는, 지력제의 수율이 한계점에 이르러, 필요한 건조 인장 강도, 습윤 인장 강도로 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닦아낼 때의 흡수성」, 「흡수 시의 튼튼함, 견고함」, 「피부를 스칠 때의 부드러움」, 「피부에 미끄려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의 각 평가를 양립시키려면, 습윤 인장 강도와 건조 인장 강도를 단지 높이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와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비((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0.60∼0.75로 하여 그 밸런스를 취함으로써, 부드러움과 튼튼함, 특히, 습윤 시의 튼튼함에서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더욱이, 티슈 페이퍼의 종횡비((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는 2.0∼2.8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억제하여 부드러운 종이 질로 함과 함께, 사용 시의 부드러움을 확보할 수 있고,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증가시켜서 습윤 시 잘 찢어지기 않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원지의 종횡비(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1.5∼3.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제품으로 했을 때에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억제하여 부드러운 종이 질로 함과 동시에, 사용 시의 부드러움을 확보할 수 있고,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를 증가시켜서 습윤 시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서 특히 적합한 건조 지력 증강제로서는, 양이온화 전분이나 양이온성이나 양성 폴리아크릴아미드계 공중합체이다. 특히, 건조 지력 증강제로서는 양이온 전분이 바람직하다. 건조 지력 증강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펄프 섬유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0.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습윤 지력 증강제로서는 요소 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PAE), 폴리비닐아민(PVAm)이다. 특히, 습윤 지력 증강제로서는, 폴리아미노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가 바람직하다. 습윤 지력 증강제의 함유량은 펄프 섬유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노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및 양이온 전분은 폴리올에 의한 수분율 향상에 따른 부드러움이나 매끄러움 향상 효과를 저해하지 않고 지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것을 사용하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가 보다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게다가, 강도도 향상되어, 소비자의 관능 평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 된다. 또한, 건조 지력 증강제 및 습윤 지력 증강제는 내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양이온화 전분 4.0∼8.0㎏/펄프톤에 대하여,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PAE) 8.0∼10.0㎏/펄프톤의 첨가로 하면, 양이온화 전분과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PAE)의 양자 펄프에의 정착이 좋아져서, 건조 인장 강도와 습윤 인장 강도, 특히, 습윤 인장 강도 향상이 현저하다. 정착율이 높고 건조 인장 강도와 습윤 인장 강도 향상 효과가 높은 양이온화 전분과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PAE)의 비율은 30:70∼55:45가 좋다. 이 범위로 하면, 원료에 대한 건조 지력 증강제 및 습윤 지력 증강제의 양 약제의 정착이 양호하여, 원하는 건조 인장 강도, 습윤 인장 강도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원지의 초지 시에 내첨하는 내첨용 유연제를 포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연제는 원지 자체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거나 지력에 영향을 주며, 특히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오히려 내첨용 유연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사용량을 줄여서, 원지의 지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보습제 특히, 폴리올의 작용을 높이도록 하는 편이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과 튼튼함에서 높은 관능 평가를 얻기 쉽다. 또한, 유연제를 사용할 경우에 적합한 유연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이다.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은 섬유 표면을 코팅하는 효과를 가지며,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 적합하다.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티슈 페이퍼 표면의 습윤성이나 볼륨감(폭신함)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양이온성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비이온성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그 양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탄소수가 6∼24인 알코올과 탄소수 7∼25인 지방산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은 직쇄 알코올, 분기쇄를 갖는 알코올, 포화 알코올 및 불포화 알코올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특히, 탄소수가 10∼22인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그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수 7∼25인 지방산으로서는, 직쇄 지방산, 분기쇄를 갖는 지방산,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특히, 탄소수가 10∼22인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및 올레인산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그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및 카르본산을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적합한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은 분자 중에 적어도 3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다음 식 (1)로 나타나는 것이다.
H2N-(R1-NH-)n-R1-NH2 ···(1)
(R1은 각각 독립하여 탄소수 1∼4인 알킬렌기, n은 1∼3의 정수) 
이 폴리아크릴아민에서는, 분자 중에 다른 R1이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R1은 에틸렌기이다. 상기 카르본산으로서는, 탄소수 10∼24인 카르본산이 바람직하며, 포화 카르본산, 불포화 카르본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직쇄형 카르본산, 분기쇄를 갖는 카르본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 중에서 탄소수 12∼22인 카르본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14∼18인 카르본산이 바람직하다.
유연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면, 함유량으로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이면, 펄프 섬유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0.20질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이면, 펄프 섬유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0.30질량부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표면 거칠기(Ra)의 값이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치는 12.0㎛이다. 표면 거칠기(Ra)의 값이 10.0㎛∼12.0㎛이면 매끄럽고, 또한, 촉감 좋음을 느끼기 쉬운 것이 된다. 여기서, 표면 거칠기(Ra)는 ISO 25178-2:2012에 의한 표면 거칠기이다. JIS P 8111(1998) 조건인 실온 23℃, 상대습도 50%로 조절된 인공 기상실 내에서, 10㎝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시험편을 주식회사 키엔스사 제품인 레이저 현미경 VR-3200 및 그에 상당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ISO 25178에 따라서 산술 평균 거칠기(Ra)(표면 거칠기, ㎛)를 산출한다. 또한, 레이저 현미경의 화상 관찰·측정·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로서는, 주식회사 키엔스사 제품 「VR-H1A」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조건은 배율 12배, 시야 면적 24㎜×18㎜인 조건에서 측정한다. 다만, 측정 배율과 시야 면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0.38이상이다.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의 상한치는 0.50이다. 특히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0.38∼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주식회사 테크기한 사가 판매하는 촉각 포스 플레이트 TF-2020(도면 중 부호 5로 나타낸다) 및 그에 상당하는 부품을 사용하여, 미끄러짐 관능 평가 시험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을 때의 마찰 계수를 측정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셀(5A) 상의 플레이트(6) 상에 티슈 페이퍼(3)를 생성 상태로 두고, 그 일단을 접착 테이프(1) 등으로 상기 플레이트(6) 상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2)으로 티슈 페이퍼(3) 위를 본뜨듯이 손가락 장변 방향과 수직 방향인 일방향으로 미끄러뜨려서 마찰 시험을 실시하여 마찰 계수를 측정한다. 또한, 이 티슈 페이퍼의 고정은 이 미끄럼 방향이 종이의 횡방향이 되도록 한다. 또한, 측정 시의 수직 하중은 약 0.34±0.09N, 미끄러짐 속도는 76±23㎜/S, 미끄러짐 거리는 103±15㎜로 하도록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측정자는 사전에 수회의 연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하중 및 미끄러짐 속도는 티슈 페이퍼의 표면성을 안정되게 감지하는 평균적인 수직 하중과 평균적인 미끄러짐 속도이다.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티슈 페이퍼 위를 본뜨는 방향은 최초로 손가락 끝이 느끼는 마찰의 방향이다. 또한, 측정자는 9명에서 실시하며, 동일 시료(다만, 표기는 변경함)에 대하여 5회 반복 측정한다. 이상치를 생략한 평균치를 마찰 계수로 한다.
표면 거칠기(Ra) 및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는 상술한 지력의 조정 및 보습제의 함유와 더불어, 특히, 원지의 크레이프율을 20% 이하, 특히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하여, 원지에 대하여 외첨으로 보습제를 부여하도록 하면 조정하기 쉽다. 또한, 크레이핑 닥터의 조정, 펄프 배합비에 의해서도 조정된다. 물론, 다른 조정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흡수량이 400∼5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흡수량이면 코 풀기 용도는 물론, 클렌징 용도로 약액을 닦아내기에 충분하다. 또한, 흡수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 값이다. 시험편을 종횡 100㎜×100㎜(±1㎜)로 시험 수량에 맞추어 재단하여 준비한다. 약 105℃의 건조기 내에서 3분간 큐어링한다. 시험액으로서 수도물 및 시험편과 시험액을 넣는 플라스틱제 접시를 준비한다. 철망은 120㎜×120㎜의 외곽선으로 하고, 외곽선의 철사 굵기를 3.0㎜, 내곽선은 10㎜ 격자로 하고, 내곽선의 철사 굵기를 0.5㎜로 하여 손잡이를 붙였다. 재단한 시험편을 용기 위에 놓은 상태에서 중량을 측정하여, 소수점 제 3자리수까지 기록한다. 시험편을 철망을 평행으로 해두고 시험액 중에 침지시킨다. 시험편의 표면까지 시험액이 침지된 후, 시험액을 넣은 용기에 대하여 수직으로 철망을 6㎝의 높이까지 올려서, 30초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30초 후 핀셋으로 시험편을 잡아서, 철망으로부터 평행하게 미끄러뜨리도록 하여 용기로 옮긴다.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고, 흡수 중량을 구해서 소수점 제 2자리수까지 기록한다. 같은 시료에 대하여 5회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카톤박스라고도 부르는 수납 상자에 넣은 팝업식 티슈 페이퍼 제품으로 하기에 적합하다. 이 경우에, 수납 상자 내에 넣는 팝업식 티슈 페이퍼 다발을 형성하려면 접힌 품질이 우수한 로터리 인터 폴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가 일반적인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튼튼함」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고, 더욱이, 클렌징 용도와 같은 구체적 사용 양태에서도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티슈 페이퍼의 사용감을 평가함에 있어서는, 「부드러움」, 「매끄러움」, 「튼튼함」과 같은 각 평가 항목을 설정하고, 그 항목마다 기준 시료와의 비교로 복수의 피험자가 사용감을 판단하여, 항목마다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수법의 관능 평가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한편으로, 티슈 페이퍼의 특성은 건조 시나 습윤 시의 인장 강도, 파단 신장, 평량, 종이 두께, 수분량 나아가 소프트성(굽힘 저항), MMD,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 표면 거칠기(Ra) 등의 종이 질 파라미터에 의해서 정해진다. 그러나, 티슈 페이퍼의 종이 질 파라미터와 관능 평가치의 관계는 불명한 점도 많아, 티슈 페이퍼의 사용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각 평가 항목을 설정하는 관능 평가에서는, 피험자마다 각 항목의 기준 차이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부드러움」과 「매끄러움」에 대해서는, 어느 피험자가 「부드러움」이라고 느끼는 감각을, 다른 피험자가 「매끄러움」으로 느끼는 경우를 많이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항목으로서 판단하면 정밀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시판하는 보습 티슈 페이퍼 5종, 비보습 티슈 페이퍼 고급품 3종 및 비보습 티슈 페이퍼 범용품 7종에 대하여, 수평대 상에 고정된 티슈 페이퍼 위를 손가락으로 미끄러뜨렸을 때의 미끄러짐을 「좋다」 또는 「좋지 않다」는 판단 기준으로 점수화하는 방법으로, 다른 물성치의 복수의 티슈 페이퍼를 점수화하는 미끄러짐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미끄러짐 관능 평가는 수평대 상에 고정된 티슈 페이퍼 위를 손가락으로 미끄러뜨리는 조작을 실시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티슈 페이퍼의 굽힘에 관한 감각이 배제되고, 피험자가 「부드러움」이라고 느끼는 사고가 상당히 배제되어, 거의 「매끄러움」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미끄러짐 관능 평가는 특히, 조작을 미끄러짐으로 한정하는 한편,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좋다」 또는 「좋지 않다」는 판단 기준으로 점수화하기 때문에, 단지 미끄러짐이 좋은지 나쁜지를 판단하지 않고, 티슈 페이퍼의 촉감 시점으로부터의 평가가 된다. 이 미끄러짐 관능 평가 결과가 주로 피험자가 「부드러움」의 요소가 적은 일반적인 「매끄러움」으로서 느끼는 사고에 가까운 것은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 미끄러짐 관능 평가에서 미끄러짐 관능 평가의 결과를 목적 변수로 하고, 티슈 페이퍼의 종이 질 파라미터를 설명 변수로 하여, 스텝 와이즈법에 따른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종이 질 파라미터 중 일반적인 「매끄러움」과 관계되는 것을 분명히 하면, 표면 거칠기(Ra)와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와 상관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에서 클렌징과 같은 구체적 용도에서 평가를 실시하도록 「닦아낼 때의 흡수성」, 「흡수 시의 튼튼함, 견고함」, 「피부를 스칠 때의 부드러움」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과 같은 구체적인 각 평가 항목을 설정하고, 그 항목마다 기준 시료와의 비교로 복수의 피험자가 사용감을 판단하여, 항목마다 수치화하여 평가하는 수법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관능 평가에 대해서는, 모두 여성 10명에게 클렌징으로 티슈 페이퍼를 사용하도록 하고, 시장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판품 A(비보습 티슈)를 평가점 4의 기준으로 하여 1∼7의 7단계로 채점하고, 10명의 평가점의 평균치는 하기 표 1에 기입하였다. 클렌징으로는 젤 타입의 가오 주식회사 제품 「큐렐 젤 메이크업 클렌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피부를 스칠 때의 부드러움」의 관능 평가에 대해서 특히, 표면 거칠기(Ra)를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로 나눈 값이 종래 제품에 없는 25.0∼30.0㎛의 범위로 하면,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에서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게되었다.
또한,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의 관능 평가에 대해서, 특히,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를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와 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를 곱한 값으로 나눈 값〔(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동마찰계수(평균 마찰 계수(μ)))〕이 종래 제품에 없는 1.45∼2.00이면,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에서 우수한 것임을 알게되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상기 평가 방법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튼튼함」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고, 더욱이, 클렌징 용도와 같은 구체적 사용 양태에서도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종래 제품에 없는 종이 질 파라미터를 갖는 티슈 페이퍼로 되어 있으며, 해당 티슈 페이퍼로 하기 위해서 지력 등의 조정으로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상관의 확인에 사용한 종이 질 파라미터 중, 소프트성 및 MMD는 다음과 같다.
〔소프트성〕
JIS L 1096(2010)의 E법에 준한 핸들 오 미터법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단, 시험편은 100㎜×100㎜의 크기로 하고, 클리어런스는 5㎜로 하였다. 1플라이에서 종방향, 횡방향 각각 5회씩 측정하여, 그 전체 10회의 평균치를 cN/100㎜를 단위로 하여 나타냈다.
〔MMD〕
마찰자의 접촉면을 소정 방향으로 20g/㎝의 장력이 부여된 측정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25g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속도 0.1㎝/s로 2㎝ 이동시켜서, 이 때의 마찰 계수를 마찰감 테스터 KES-SE(카트텍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 마찰 계수를 마찰 거리(이동거리=2㎝)로 나눈 값이 MMD이다. 마찰자는 직경 0.5㎜의 피아노선(P)을 20개 인접시켜 구성되며, 길이 및 폭이 모두 10㎜가 되도록 형성된 접촉면을 갖는 것으로 한다. 접촉면에는 선단이 20개의 피아노선(P)(곡율 반경 0.25㎜)으로 형성된 단위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보습 티슈 페이퍼(실시예 1∼실시예 4)와 그 비교예 1∼6, 추가로, 미끄러짐 관능 평가에서 사용한 시료(종래예 1∼15)에서의 물성치 및 관능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관능 평가 결과를 그래프화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실시예는 약액이 부여되어 있는 2플라이의 보습 티슈 페이퍼이다. 실시예 1은 원료 펄프를 NBKP:LBKP의 비율을 50:50으로 하고, 약간 NBKP의 비율을 높도록 배합하여, 둥근 망 양키 드라이어 초지기로 종이를 떴다. 마찰 계수를 조정하기 위해서, 닥터 블레이드의 각도 및 크레이프율 조정을 실시하였다.
건조 지력제로서 양이온 전분을 사용하고, 습윤 지력제로서 폴리아미노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 티슈 페이퍼 원지를 2매 적층하여 적층 티슈 페이퍼 원지로 한 것에, 보습제를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평량 등에 따라서 폴리올 함유량이 표 내의 값이 되도록 20∼30질량% 정도를 부여하였다. 약액은 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약액이며, 글리세린 75질량%, 물을 20질량%, 그 밖의 조제 성분을 5질량%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 수계 약액의 점도는 40℃에서 110mPa·s였다.
보습제를 부여한 적층 연속 시트는 로터리식 인터 폴더로 가공해서 컷 시트를 얻었다. 또한, 로터리식 인터 폴더에서는 텐션 조정을 하였다. 지력 조정은 주로 지력제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20076992616-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실시예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는 비보습 티슈와 동등하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도 높다. 즉, 튼튼함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각 관능 평가치는 비교예 및 종래 제품에 비하여 현격히 좋은 결과가 되었다. 즉,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튼튼하면서 종래 제품에 없는 일반적인 「부드러움」이 우수한 것이고, 또한, 특히 「매끄러움」에 대해서도 우수한 보습 티슈 페이퍼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에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체적인 클렌징 용도에서의 관능 평가인 「닦아낼 때의 흡수성」, 「흡수 시의 튼튼함, 견고함」, 「피부를 스칠 때의 부드러움」, 「피부에 미끄러뜨렸을 때 닦아내기의 매끄러움, 상쾌함」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결과가 되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관능성에 관한 품질, 실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할 때에 관능성에 관한 품질이 우수한 보습 티슈로서, 특히, 일반적인 「부드러움」이 우수함과 동시에, 「튼튼함(강도·안심감)」이 있는 보습 티슈이다. 또한, 비보습 티슈와 동등한 강도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매끄러움」에서도 우수하다. 그와 동시에, 클렌징 용도와 같은 구체적인 사용 양태에 있어서의 사용감도 우수하다.
1 : 접착 테이프
2 : 집게 손가락
3 : 티슈 페이퍼
5 : 촉각 포스 플레이트
5A : 로드셀
6 : 플레이트

Claims (4)

  1. 폴리올을 포함하는 보습제가 부여되어 있는 2플라이의 티슈 페이퍼로서,
    1플라이당의 평량이 16.0∼25.0g/㎡이고,
    2플라이의 종이 두께가 145∼180㎛이며,
    수분율이 10질량% 이상이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120∼200cN/25㎜이며,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275∼450cN/25㎜이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가 80∼120cN/25㎜이며,
    상기 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와 상기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차이가 40cN/25㎜ 이상이며, 또한,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이 0.60∼0.75이며, (종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의 값이 2.0∼2.8이며,
    종방향의 신장율이 13.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페이퍼.
  2. 제1항에 있어서,
    표면 거칠기(Ra)가 10.0∼12.0㎛인 티슈 페이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균 마찰 계수(μ)가 0.38∼0.50인 티슈 페이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 거칠기(Ra))/(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25.0∼30.0㎛이고,
    (횡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횡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평균 마찰 계수(μ))〕의 값이 1.45∼2.00인,
    티슈 페이퍼.
KR1020207021500A 2018-02-28 2019-02-20 티슈 페이퍼 KR102552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5841A JP7133943B2 (ja) 2018-02-28 2018-02-28 ティシュペーパー
JPJP-P-2018-035841 2018-02-28
PCT/JP2019/006281 WO2019167747A1 (ja) 2018-02-28 2019-02-20 ティシュペーパ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984A KR20200127984A (ko) 2020-11-11
KR102552052B1 true KR102552052B1 (ko) 2023-07-05

Family

ID=6780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500A KR102552052B1 (ko) 2018-02-28 2019-02-20 티슈 페이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80050B2 (ko)
EP (1) EP3760089A4 (ko)
JP (1) JP7133943B2 (ko)
KR (1) KR102552052B1 (ko)
CN (1) CN111629640B (ko)
WO (1) WO2019167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943B2 (ja) * 2018-02-28 2022-09-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7066600B2 (ja) * 2018-11-30 2022-05-13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7376303B2 (ja) * 2019-10-01 2023-11-08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CN115191856B (zh) * 2021-09-14 2023-07-25 北京华熙海御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透明质酸钠的纸巾及其制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833A (ja) * 2007-07-31 2009-02-19 Lion Corp 薄葉紙
JP2011156120A (ja) * 2010-01-29 2011-08-18 Daio Paper Corp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59410C (en) * 1991-01-15 2007-01-09 Thomas N. Kershaw High softness tissue
US5474689A (en) * 1992-10-27 1995-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less self-emulsifiable chemical softening composition useful in fibrous cellulosic materials
US5981044A (en) * 1993-06-30 1999-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ed tissue paper web comprising biodegradable chemical softening compositions and binder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A2144838C (en) * 1994-03-18 2006-11-28 Dinesh M. Bhat Prewettable high softness paper product having temporary wet strength
US5575891A (en) * 1995-01-31 1996-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ft tissue paper containing an oil and a polyhydroxy compound
US5624532A (en) * 1995-02-15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the bulk softness of tissue paper and product therefrom
JP3578860B2 (ja) * 1996-02-14 2004-10-20 花王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不織布
JP3297340B2 (ja) 1997-02-13 2002-07-02 河野製紙株式会社 紙製品
JP3961741B2 (ja) * 2000-05-29 2007-08-22 大和紡績株式会社 湿潤シート
JP4713718B2 (ja) * 2000-09-19 2011-06-2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シート
US20040112783A1 (en) * 2001-02-20 2004-06-17 Takeharu Mukai Sanitary thin p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paper, storage box for sanitary thin paper,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inter folder, and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 of storage body for sanitary thin paper
JP2003024282A (ja) 2001-07-11 2003-01-28 Shiseido Co Ltd 皮膚の状態の評価方法
JP3610337B2 (ja) * 2001-12-03 2005-01-12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
JP4450552B2 (ja) 2002-12-13 2010-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薄葉衛生用紙
US6949167B2 (en) * 2002-12-19 2005-09-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uniformly deposited hydrophobic additives and controlled wettability
JP3726083B2 (ja) * 2003-01-08 2005-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ングルプライトイレット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0356A (ja) * 2003-07-22 2005-02-17 Mishima Paper Co Ltd 化粧料試供品
JP2005170619A (ja) * 2003-12-12 2005-06-30 Crecia Corp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巻取り装置
US7377995B2 (en) * 2004-05-12 2008-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durable tissue
EP1752580A4 (en) 2004-06-03 2010-03-24 Daio Seishi Kk THIN TOILET PAP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1793040B1 (en) 2004-08-25 2012-04-18 Daio Paper Corporation Tissue for household use
US7820010B2 (en) * 2005-12-15 2010-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eated tissue products having increased strength
JP4721994B2 (ja) 2006-09-11 2011-07-13 花王株式会社 化粧料の使用感の評価方法
US20100051217A1 (en) * 2008-08-26 2010-03-04 Peter John Allen Soft single-ply tissue
WO2011080940A1 (ja) * 2009-12-28 2011-07-0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WO2011080939A1 (ja) * 2009-12-28 2011-07-0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4868620B2 (ja) * 2010-06-30 201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4868621B1 (ja) * 2010-07-20 201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
JP4868622B2 (ja) * 2010-11-30 2012-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5395101B2 (ja) * 2011-02-28 2014-0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2013188291A (ja) * 2012-03-13 2013-09-26 Nippon Paper Crecia Co Ltd ティシュペーパー
JP6035805B2 (ja) * 2012-03-22 2016-11-3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6130997B2 (ja) * 2012-03-29 2017-05-17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
US8968517B2 (en) * 2012-08-03 2015-03-03 First Quality Tissue, Llc Soft through air dried tissue
JP5883412B2 (ja) * 2013-04-30 2016-03-15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ハンドタオル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3399189B2 (en) * 2013-08-28 2018-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mooth bulky tissue
EP3068619A4 (en) * 2013-11-14 2017-07-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Soft, absorbent sheets having high absorbency and high caliper, and methods of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JP6735536B2 (ja) * 2015-01-27 2020-08-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薄葉紙製造方法
JP5912196B1 (ja) * 2015-03-31 2016-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6242018B2 (ja) * 2015-06-16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6210567B2 (ja) * 2015-09-14 2017-10-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6653882B2 (ja) 2015-09-14 2020-02-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の評価方法
CN105839448A (zh) * 2015-11-04 2016-08-10 山东太阳生活用纸有限公司 造纸机、纸巾制造方法及纸巾
MX2018010410A (es) * 2016-03-24 2018-11-29 Kimberly Clark Co Papel tisu secado por aire pasante tratado con locion.
JP6310493B2 (ja) * 2016-03-31 2018-04-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6188855B1 (ja) * 2016-03-31 2017-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MX370866B (es) * 2016-05-31 2020-01-06 Kimberly Clark Co Toallas elasticas de gran volumen.
JP6235674B1 (ja) * 2016-09-3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GB2577221B (en) * 2017-05-22 2023-02-22 Kimberly Clark Co Multi-ply resilient tissue products
MX2019012663A (es) * 2017-05-22 2020-01-21 Kimberly Clark Co Tejido estructurado para la fabricacion de papel.
JP7084717B2 (ja) * 2017-12-27 2022-06-15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7133943B2 (ja) * 2018-02-28 2022-09-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7116556B2 (ja) * 2018-02-28 2022-08-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US11466409B2 (en) * 2018-04-27 2022-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ly tissue product produced from a single ply tissue web
JP7121947B2 (ja) * 2018-06-04 2022-08-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833A (ja) * 2007-07-31 2009-02-19 Lion Corp 薄葉紙
JP2011156120A (ja) * 2010-01-29 2011-08-18 Daio Paper Corp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29640B (zh) 2022-04-19
US20200407922A1 (en) 2020-12-31
US11280050B2 (en) 2022-03-22
JP7133943B2 (ja) 2022-09-09
EP3760089A4 (en) 2021-11-03
CN111629640A (zh) 2020-09-04
JP2019150138A (ja) 2019-09-12
KR20200127984A (ko) 2020-11-11
EP3760089A1 (en) 2021-01-06
WO2019167747A1 (ja)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052B1 (ko) 티슈 페이퍼
KR102552057B1 (ko) 티슈 페이퍼
CN109788879B (zh) 薄页纸
CN107920699B (zh) 薄页纸
JP2017055808A5 (ko)
EP3865036B1 (en) Tissue paper
CN112135942A (zh) 经洗剂处理的薄页纸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