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785B1 -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785B1
KR102550785B1 KR1020230000270A KR20230000270A KR102550785B1 KR 102550785 B1 KR102550785 B1 KR 102550785B1 KR 1020230000270 A KR1020230000270 A KR 1020230000270A KR 20230000270 A KR20230000270 A KR 20230000270A KR 102550785 B1 KR102550785 B1 KR 10255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extract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얻은 원료가 포함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의 구강 내 세균에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구강장치에 치석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이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치아 교정기, 악관절 교정기, 이갈이 방지 장치, 의치 등을 사용하는 이들이 보다 위생적이고 청결한 구강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cleaning oral appliance with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교정, 악관절 교정, 이갈이 방지 등을 위한 장치나 의치 등의 다양한 구강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러한 구강장치의 세정은 치아 건강이나 구강 내 질환과도 연관성이 매우 깊다. 따라서, 구강장치 표면에 부착하는 미생물과 그 부산물로 구성되는 덴탈플라그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러한 이러한 덴탈플라그와 같은 침착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물리적 장치 또는 화학적 조성물이 주로 제공되고 있어 사용이 쉬우면서도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은 천연물 타입의 구강장치 세정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근래의 시장에서는 외국에서 개발된 수입품이 알약 형태로 제조되어 있지만 음식물 섭취 후 매번 이를 사용하기에 불편하여 치약 또는 주방 세제 등을 대체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균/소취 효능이 뛰어난 각종 천연물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구강장치 세정제로 이용함으로써 위생적인 구강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이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851호 (발명의 명칭 : 의치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치세정제, 출원인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9년07월1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131639호 (발명의 명칭 : 타블렛 타입의 틀니 세정제 제조방법, 출원인 :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공개일 : 2022년09월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구강 내 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구취 제거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취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박하 오일 3~8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5~8 중량부, 코코넛 오일 3~8 중량부, 금잔화 추출물 100~130 중량부, 병풀 추출물 30~60 중량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70~100 중량부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 120~15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구강장치 외부의 치석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제형 안정화를 위해,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자일리톨, 스테비올 배당체, 파파인,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벤조산나트륨, 활성탄 분말, 목초액, 송진 분말 및 정제수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염화나트륨 10~20 중량부, 글리세린 100~160 중량부, 자일리톨 100~140 중량부, 스테비올 배당체 130~200 중량부, 파파인 10~13 중량부, 구연산 7~20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50 중량부,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200~300 중량부,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320~4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400~500 중량부, 벤조산나트륨 0.5~3 중량부, 활성탄 분말 50~80 중량부, 목초액 25~80 중량부, 송진 분말 30~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0~400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강장치는 치아 교정기, 악관절 교정기, 이갈이 방지 장치 및 의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조성물 내 추출물은 원료 시료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또한 30~90%(v/v)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50~80%(v/v)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원료시료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원료시료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온도는 2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또는 분획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2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박하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은 에센셜 오일로서, 에센셜 오일은 방향성 약용식물의 꽃, 줄기, 열매, 뿌리, 수지 등에서 추출되며, 식물의 특성에 따라 냉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용매추출법, 초임계 이산화탄소추출법 등으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및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로부터 얻은 원료가 포함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의 구강 내 세균에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구취 제거 효능이 있으며, 구강장치에 치석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뛰어나다. 이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치아 교정기, 악관절 교정기, 이갈이 방지 장치, 의치 등을 사용하는 이들이 보다 위생적이고 청결한 구강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8.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
녹차 추출물, 박하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코코넛 오일, 금잔화 추출물, 병풀 추출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구멍갈파래 추출물,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자일리톨, 스테비올 배당체(95%이상), 파파인,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벤조산나트륨, 활성탄 분말, 목초액, 송진 분말 및 정제수를 원료로 준비하여 다음의 표 1 및 2와 같이 혼합하여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녹차추출물 100 100 100 100 100
박하오일 5 8 3 4 6
유칼립투스오일 8 7 8 6 5
코코넛오일 7 5 4 3 8
금잔화추출물 130 100 120 112 121
병풀추출물 30 60 55 50 45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100 70 80 90 75
구멍갈파래 추출물 120 150 130 135 140
합계 500 500 500 500 500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녹차추출물 100 100 100
박하오일 5 5 5
유칼립투스오일 8 8 8
코코넛오일 7 7 7
금잔화추출물 130 130 130
병풀추출물 30 30 30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100 100 100
구멍갈파래 추출물 120 120 120
염화나트륨 10 20 13
글리세린 130 100 160
자일리톨 100 140 140
스테비올배당체 200 130 160
파파인 10 13 12
구연산 20 7 15
탄산수소나트륨 50 30 40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200 300 230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400 320 3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400 500 440
벤조산나트륨 1 1 1
활성탄 분말 50 80 60
목초액 79 29 49
송진분말 50 30 50
정제수 800 800 800
합계 3000 3000 3000
원료로 사용된 각 추출물은 70%(v/v) 에탄올 수용액을 10배 중량을 가하여 60℃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액상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것이고, 박하 오일과 유칼립투스 오일은 에센셜 오일로 제조된 제품을, 코코넛 오일은 엑스트라 버진 압착 오일로 제조 제품을 구매하였다. 그 외의 원료는 통상의 식품 또는 구강 세정제용 원료로 사용되는 것들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표 1은 천연물 원료의 항균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별도로 제시한 것이며, 표 2는 이 천연물 원료에 항균능의 지속/유지용 제형화를 위해 최적의 조건을 제시한 예시이다.
<비교예 1 내지 8. 비교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6에 사용된 각 원료를 사용하여 표 3과 같이 비교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형화의 비교 조성물도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녹차추출물 100 100 0 480 100
박하오일 0 20 8 5 15
유칼립투스오일 0 0 8 7 15
코코넛오일 0 30 8 8 15
금잔화추출물 100 0 0 0 50
병풀추출물 200 100 276 0 100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0 100 200 0 150
구멍갈파래 추출물 100 150 0 0 55
합계 500 500 500 500 500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녹차추출물 100 100 100
박하오일 5 5 5
유칼립투스오일 8 8 8
코코넛오일 7 7 7
금잔화추출물 130 130 130
병풀추출물 30 30 30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100 100 100
구멍갈파래 추출물 120 120 120
염화나트륨 10 5 20
글리세린 300 50 134
자일리톨 50 269 30
스테비올배당체 100 400 200
파파인 10 10 10
구연산 30 20 5
탄산수소나트륨 20 50 70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459 150 400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200 50 1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300 500 600
벤조산나트륨 1 1 1
활성탄 분말 100 70 30
목초액 100 25 50
송진분말 20 100 50
정제수 800 800 800
합계 3000 3000 3000
<실험예 1. 항균 효과 확인>
제조되어 실온에서 6개월간 보관된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DMSO에 용해하고, 이를 PBS로 희석하여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구강 세균들을 헤민 메나디온(hemin menadione)이 첨가된 TSA(trypticase soy agar) 배지에 배양한 후, 최소생육억제농도(MIC)를 측정하였고 이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각 조성물은 최종 농도가 1000 ㎍/㎖ 이하가 되도록 희석하였고, 각 균주(세균)는 O.D.600 = 0.2로 농도를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 Falcon, USA)에 본 발명에 사용된 세균 배양용 헤민 메나디온이 첨가된 TSB(trypticase soy broth) 100 ㎖, 각 조성물 희석 용액 50 ㎖, 균주 희석액 50 ㎖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뒤 4 시간마다 UV-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흡광도 값을 측정하면서 24 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세균의 생육 곡선상에서 균주의 생장(turbidity)이 검출되지 않는 최소농도를 최소생육억제농도로 설정하였다.
조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대한
MIC (㎍/㎖)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에 대한
MIC (㎍/㎖)
실시예 1 1.3 1.5
실시예 2 12.2 12.5
실시예 3 11.5 8.3
실시예 4 14.2 9.2
실시예 5 18.3 12.5
비교예 1 89.0 69.0
비교예 2 70.8 73.6
비교예 3 85.3 84.2
비교예 4 >100.0 >100.0
비교예 5 67.3 63.3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물이 갖는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제형 안정화 확인>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이 항균효능을 장기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제형화하기에 적합한 각 부형제의 성분 및 함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6~8, 비교예 6~8의 조성물에 대해 고온 조건인 45℃, 실온인 25℃, 저온인 4℃에서 8시간 사이클링 방식으로 총 1년간 보관하고, 각 조성물을 100배 희석하였다.
이 후, 실험예 1에서 배양한 것과 동일하게 배양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의 배양액 100g 기준 각 조성물 희석액 1g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여 구강 세균의 생육 저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조건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관한
생육 저지 활성 (%)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에 관한
생육 저지 활성 (%)
실시예 6 99.9 99.9
실시예 7 99.9 99.9
실시예 8 99.9 99.9
비교예 6 12.4 12.3
비교예 7 11.4 11.9
비교예 8 19.0 19.0
확인 결과, 실시예 6~8의 조성물 희석액이 첨가된 군에서는 각 구강세균의 증식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6~8은 같은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부형제가 다르게 적용된 것이라는 차이점만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강 세균의 증식 억제 효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치석 형성 방지 및 구취 억제능 확인>
구강장치를 장시간 착용하게 될 경우, 이물질, 구강상피세포 등이 침작되어 치아 내에 생성되는 플라그나 치석이 구강장치에도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는 구취나 충치, 치주염의 원인이 된다.
이에, 탈부착식 치아 교정기, 악관절 교정기, 이갈이 방지 장치, 의치 등의 구강장치를 항상 사용하는 사람을 각 10명씩 그룹지어 실시예 1, 실시예 6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조성물의 사용 전 후과 비교한 치석 형성 방지능과 구취 억제능을 비교하여 5점 타점법으로 나타내게 하였다. (5점:매우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나쁨)
조건 치석 형성 방지능 구취 억제능
실시예 1 4.1 4.3
실시예 6 4.3 4.5
비교예 1 2.8 2.3
그 결과, 각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의 사용에 매우 만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6과 같이 제형화한 조성물도 항균 효능 뿐만 아니라 구강의 위생 및 청결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Claims (8)

  1. 녹차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박하 오일 3~8 중량부, 유칼립투스 오일 5~8 중량부, 코코넛 오일 3~8 중량부, 금잔화 추출물 100~130 중량부, 병풀 추출물 30~60 중량부,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70~100 중량부, 구멍갈파래 추출물 120~150 중량부, 염화나트륨 10~20 중량부, 글리세린 100~160 중량부, 자일리톨 100~140 중량부, 스테비올 배당체 130~200 중량부, 파파인 10~13 중량부, 구연산 7~20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50 중량부,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 200~300 중량부,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320~4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400~500 중량부, 벤조산나트륨 0.5~3 중량부, 활성탄 분말 50~80 중량부, 목초액 25~80 중량부, 송진 분말 30~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0~4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효능이 있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취 억제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강장치 외부의 치석 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치아 교정기, 악관절 교정기, 이갈이 방지 장치 및 의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KR1020230000270A 2022-10-27 2023-01-02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KR10255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40605 2022-10-27
KR1020220140605 2022-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785B1 true KR102550785B1 (ko) 2023-07-03

Family

ID=8715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270A KR102550785B1 (ko) 2022-10-27 2023-01-02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7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51A (ko) 2000-10-23 2001-01-05 민택주 음성인식 프로그램과 ars를 이용한 전화연결 시스템.
KR100871629B1 (ko) * 2007-11-05 2008-12-02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135123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유전자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20220099175A (ko) * 2021-01-05 2022-07-13 주식회사 케이보은제약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20131639A (ko) 2021-03-22 2022-09-29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타블렛 타입의 틀니 세정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51A (ko) 2000-10-23 2001-01-05 민택주 음성인식 프로그램과 ars를 이용한 전화연결 시스템.
KR100871629B1 (ko) * 2007-11-05 2008-12-02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135123A (ko) *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유전자 맞춤형 구강케어 조성물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20220099175A (ko) * 2021-01-05 2022-07-13 주식회사 케이보은제약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20131639A (ko) 2021-03-22 2022-09-29 에이치엘비 주식회사 타블렛 타입의 틀니 세정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WO2016117933A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7320926A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2246068B1 (ko)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mas et al. Miswak (salvadora persica chewing stick) and its role in oral health; an update
KR101582974B1 (ko) 카사바 덩이줄기 효소추출물 및 피버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0785B1 (ko)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0787B1 (ko) 구취 제거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KR102162661B1 (ko) 로즈힙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1365352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178228B1 (ko) 소취제,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음식품
CN111481474A (zh) 一种洁口液及其制备方法
KR101976572B1 (ko)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51717B1 (ko) 음용 가능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6769B1 (ko)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515732B2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プラーク形成抑制剤、抗菌剤、口腔用剤およびう触予防用飲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