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68B1 -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68B1
KR102246068B1 KR1020200160589A KR20200160589A KR102246068B1 KR 102246068 B1 KR102246068 B1 KR 102246068B1 KR 1020200160589 A KR1020200160589 A KR 1020200160589A KR 20200160589 A KR20200160589 A KR 20200160589A KR 102246068 B1 KR102246068 B1 KR 10224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ral
hwangbaek
fe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최훈우
Original Assignee
이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연 filed Critical 이주연
Priority to KR102020016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한편,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기존의 구강 위생 또는 질환 치료용 제제에 함유되는 화학 성분을 대체하거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ral diseases, including extracts of Phellodendron Bark, Alnus japonica and Foeniculum vulgare}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구강 세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과 인체 안정성을 갖는다.
구강청결제는 구취 억제나 구강 내 미생물을 살균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화학성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학 성분들 중에서는 안전성이 충분히 확인되지 않은 것들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2016년에는 일부 치약 제품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치약에 들어가는 성분으로 허용하지 않은 성분인 메칠클로로치아졸리논 및 메칠이소치아졸리논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어 시중에 유통 중인 11 개 모든 제품에 대해 회수를 실시한 바 있다.
치약을 포함하여 구강청결제는 성인뿐만 아니라 유소아 및 환자들도 사용하므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된다. 일반적인 구강청결제 성분은 살균 효과 및 구취 성분 제거를 위해 알코올과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이고, 클로르헥시딘과 같은 구강소독제, 구취를 완화하거나 상쾌함을 주기 위한 멘톨 등을 포함하기도 하고,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황백(Phellodendron Bark)은 산초과 식물인 황벽 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베르베린 성분을 함유하여 강력한 소염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리나무(Alnus japonica)는 해독 작용이 있어 천식, 기관지염, 간염, 장염 등의 염증성 질환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향(Foeniculum vulgare)은 '산미나리 씨앗'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산미나리의 과실을 말린 것으로서, 염증성 질환, 여성병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주로 쓰여 온 한약재 이다.
천궁(Cnidii Rhizoma)은 그 뿌리 줄기를 말려서 사용하고, 동의보감에서 염증 치료를 위한 처방에 함께 쓰였던 약재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식물 추출물들은 기존의 구강청결제 성분들을 대체할 정도로 충분한 항균력을 갖는지 충분히 검증된 바가 없고, 여전히 구강청결제에서는 화학 성분이 항균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회향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황백 추출물을 1.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을 1.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중량비로 1.1 내지 5: 1.1 내지 3: 1, 또는 2.5 내지 4: 1.5 내지 2.5: 1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8 내지 3.3: 1.8 내지 2.3: 1,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3:2:1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추출물은 밀도 약 1.01 내지 1.1 g/ml을 갖는 것으로 물과 같은 용매 100 ml에 생약을 건조물로서 10g의 비율로 약 90 ℃에서 약 90 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의 항균력은 서로 다르므로 일정한 수준의 항균력을 달성하기 위해서 과량으로 사용해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물들은 적절한 농도에서는 무해하나, 특정 추출물의 함량이 높아지는 경우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추출물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항균력에 대한 효과를 증대시키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천궁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천궁 추출물은 1차 활성 및 2차 활성에서는 항균력이 우수하지 않았지만 비활성 구강세균에 대해 우수한 살균력을 보였으므로, 구강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균을 제거하는데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회향 추출물, 및 천궁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크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황백, 오리나무, 회향 및 천궁으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침출법, 교반추출, 초음파추출, 초임계추출, 용매추출, 주정추출, 열수추출법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사이클로헥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은 각각 80 내지 110 ℃의 온도에서 30 분 이상 열수추출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100 ℃, 85 내지 95 ℃, 또는 90 ℃의 온도에서, 30 분 내지 120 분, 30 분 내지 100 분, 60 분 내지 100 분, 80 분 내지 100 분, 또는 85 분 내지 95 분 동안 열수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구강건조증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주조직 내 세균성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숙주 반응에 의해 조직 파괴가 발 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치조골의 흡수를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내에서 충치와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충치와 치주염을 발생하는 주 병원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liemark W.F., Crit. Rev. Oral Bio. Med., 7:180-198, 1996].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이러한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 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나거나 구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구강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투여'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가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전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치약류, 껌(gum), 구강 세정제, 구강 청결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패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들 제형에서 상기 조성물의 추출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된다.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상기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의 시험예에서도 안전성이 입증된 바와 같이 황백, 오리나무, 회향, 및 천궁 추출물은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이들 추출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적절한 범위는 예를 들어, 물에 희석하는 것으로서, 200 배 이하, 100 배 이하, 50 배 이하, 10 배 이하, 10 배 내지 200 배, 50 배 내지 200 배, 또는 100 배 내지 200 배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구강세정제와 비교하여 무해함이 입증되었으나, 상기 범위는 항균 효능은 나타내면서 상습적이고 장기적으로 사용하여도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것으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멘톨(Mentol), 아네톨(Anetol), 오이게놀(Eugenol), 리모넨 (Limonene), 오시멘(Ocimene), n-도데실알콜(n-Dodecy Alcohol), 시트로네놀(Citronenol), 알파터피네올(aTerpineol), 살리실메틸(Methyl salycil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시트로네릴 아세테이트 (Citronelyl Acetate), 시네올(Cineol), 리나롤(Linalool), 에틸리나롤(Ethyl Linalool),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아민트(Speamint)유, 세지(Sage)유, 로즈마리(Rosemary)유, 계피(Cinamon)유 등의 항료,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D-자일로스(D-Xylose) 등과 같은 감미제, 트리클로산, 클로로 헥시딘,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벤잘코늄크로라이드, 세틸피리듐 크리라이드과 같은 화학 살균제, 모노플로로인산나트륨과 모노플로로 인산칼륨 등과 같은 알카리금속, 모노 플로로 포스페이트와 불화나트륨, 불화제일주석 등의 불소화물, 트라넥삼산트라넥삼산, 입실론 아미노 카프론산, 알란토인, 콜레스테롤, 클리틸리친산류, 글리세로 포스테이트, 염화나트륨, 수용성 무기인산 화합물,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초산 dl-a-토코페롤, 자일리톨, 염산피리독신,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합성 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미리스틸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Lauroyl sarcosinate), N-미리스틸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miristyl sarcosinate) 등의 N-아실 사르로신산 나트륨(Sodium N-acyl sarcosinate)일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슈가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락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당(糖)유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콜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는 N-라우릴 디 아미노에틸글리신, N-미리스틸 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과 같은 N-알킬 디 아미노에틸글리신, N-알킬-N-카르복시 메틸 암모늄 베타인, 2-알킬-1-하이드록시 에틸 이미다조린 베타인나트륨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불소화물, 화학 살균제, 또는 합성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 성분이 시판 제품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불소화물, 화학 살균제, 또는 합성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불소화물, 화학 살균제 및 합성계면활성제는 시판 중인 구강위생용품에서 구강 세균 및 구취를 제거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성분으로, 불소는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나트륨일 수 있고, 화학 살균제는 예를 들어 세틸피리디늄일 수 있고,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구강세정제에 흔히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항균력 및 세정 효과는 강력하나 점막에 자극을 주거나 면역체계를 교란하는 등 인체에 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무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도 강력한 항균력을 갖는다.
상기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제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 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로시벤조에 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의 식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으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향미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을 각각 80 내지 110 ℃의 온도에서 30 분 이상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불순물이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열수 추출 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구강 질환을 야기하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그에 의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한편, 인체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기존의 구강 위생 또는 질환 치료용 제제에 함유되는 화학 성분을 대체하거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각 추출물 성분비에 따른 디스크 확산법의 결과를 이미지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액체 배지에서 항균 효과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전성을 우렁이를 이용해 관찰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우렁이의 생존 수를 관찰하여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추출물의 제조
황백, 오리나무 (연한 가지), 회향 및 천궁을 건조한 생약을 절단한 것을 각각 20 g 준비하고 물 200 ml에 넣고 인덕션을 이용하여 약 90 ℃에서 약 90 분간 끓인 후 필터하고 상온에 식혀서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및 3>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을 따르되 추출시간을 각각 30분 (제조예 2) 및 60분 (제조예 3)으로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추출물의 항균력 비교
황백, 오리나무, 회향, 및 천궁 각 추출물의 항균력을 비교하기 위해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구강 균을 얻기 위해 멸균 면봉으로 구강을 여러 군데 긁어 내고, 이를 LB 고체 배지에 도말 하였다. 종이 디스크를 6mm 직경으로 잘라 준비하고 그 위에 제조예 2와 같이 제조한 각 추출물을 두 방울씩 떨어트린 후, 종이 디스크를 구강 균이 도말된 LB 고체 배지 가운데에 두었다. LB 고체 배지를 37 ℃에서 24 시간 배양하고, 디스크 주변에 클리어존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여 그 직경(mm)을 측정하였다.
황백 오리나무 회향 천궁
클리어존 지름 8.5 mm 7.5 mm 6.5 mm 6.25 mm
그 결과, 표 1과 같이 황백 추출물의 경우 다른 추출물에 비해 구강 세균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추출시간에 따른 항균력 비교
추출물의 추출 시간에 따른 항균력을 비교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예 1과 같이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되, 30분 추출한 것의 경우 구강에서 채취 후 곧바로 LB 배지에 배양한 균을 사용하여 시험하고, 60 분 추출한 것의 경우 LB 배지에 배양한 것을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한 균 (1차 활성)을 사용하여 시험하고, 90 분 추출한 것의 경우 1차 활성시킨 균을 다시 액체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한 균 (2차 활성)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추출 시간 황백 오리나무 회향 천궁 가그린
30 분 8.5 7.5 6.5 6.25 -
60 분 12 10 7 6 -
90 분 13.5 10.5 8 6 15
그 결과, 표 2와 같이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90 분 추출한 추출물 중 황백의 경우 활성화 정도가 강한 2차 활성균에 대해서도 가그린과 유사한 수준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천궁은 비활성 구강 균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발휘하였으나, 활성 균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추출물의 비율에 따른 항균력 비교
추출물의 혼합 비율에 따른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과 같이 90 분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되 하기의 표 3과 같은 비율로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실시예(황백: 오리나무: 회향)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시험예 1과 같이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2차 활성균에 대해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추출액 혼합비
(황백:오리나무:회향)
황백 오리나무 회향
실시예 1(3 : 2 : 1) 12ml 8ml 4ml
실시예 2(1 : 1 : 1) 10ml 10ml 10ml
실시예 3(1 : 2 : 3) 4ml 8ml 12ml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이 3:2:1로 혼합된 실시예 1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이 갖는 항균력을 시험하기 위해, 액체 희석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멸균 소독한 각 시험관에 액체 배지 10 ml 기준으로 실시예 1 내지 3, 황백 추출물, 및 가그린을 각각 10 ml 혼합한 후, 2차 활성한 구강균을 10 방울씩 떨어트려 약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안전성 시험 1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체에 무해함을 확인하기 위해 우렁이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가그린을 각각 10배, 20배, 30배, 40배, 50배, 60배, 70배, 80배, 90배, 및 100배로 물에 희석하고 여기에 우렁이를 넣어 관찰하였다. 대조군에는 물에만 우렁이를 넣어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먹이 반응에 문제가 없고, 생존 수가 물 보다 더 좋았던 반면, 가그린을 투여한 군에서는 100배로 희석하여도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뛰어남을 입증한다.
<시험예 5> 안전성 시험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환경에도 무해한지 확인하기 위해 우렁이의 생태 환경을 조사하여 장기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렁이의 생육 환경인 흙과 돌을 깔고 물을 넣어 준 후 우렁이 8 마리를 넣어 주었다. 여기에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가그린을 200배 희석되도록 투여하고 10일간 관찰하면서 먹이 반응 시간과 생존수를 측정하였다.
먹이 준 날 실시예 1 가그린
1회차 (4/3) 5 분 1380 분
2회차 (4/5) 3 분 45 분
3회차 (4/7) 2 분 18 분
4회차 (4/9) 1 분 -
5회차 (4/11) 0.5 분 -
그 결과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된 경우 우렁이의 먹이 반응 시간은 오히려 점점 빨라져 생육 환경이 더욱 개선되는 반면, 가그린을 투여한 경우 우렁이의 먹이 반응 시간이 현저히 느려질 뿐 아니라, 도 4와 같이 8일 째에는 8마리 모두 죽어버렸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항균력 가져 생태 환경에 유익할 뿐 아니라 무해함을 입증한다.
<시험예 6> 안전성 시험 3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환경에도 무해한지 확인하기 위해 식물에 적용하여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기정화 식물을 준비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가그린을 각각 10배 희석한 물을 5 일에 한 번씩 주면서 4 주간 성장 과정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가그린이 섞인 물을 준 식물은 1 주 째부터 잎이 시들해지고, 4 주 째에는 뿌리 가까운 쪽은 모두 시들어버렸다. 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준 식물은 잎이 시드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8)

  1.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회향 추출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황백 추출물을 1.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오리나무 추출물을 1.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은 각각 85 내지 95 ℃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분 열수추출한 것이며,
    상기 구강질환은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구강건조증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조성물은 치약류, 껌(gum), 구강 세정제, 구강 청결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패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천궁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불소화물, 화학 살균제, 또는 합성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8.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을 각각 90℃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 분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3:2: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구강건조증 또는 이들의 조합인, 제조방법.
KR1020200160589A 2020-11-26 2020-11-26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9A KR102246068B1 (ko) 2020-11-26 2020-11-26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589A KR102246068B1 (ko) 2020-11-26 2020-11-26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068B1 true KR102246068B1 (ko) 2021-04-28

Family

ID=7572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589A KR102246068B1 (ko) 2020-11-26 2020-11-26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69B1 (ko) * 2022-10-17 2023-01-10 이주연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이중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38536B1 (ko) * 2023-06-20 2024-02-2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837A (ja) * 1999-09-28 2001-04-10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抗う蝕剤
KR20080112024A (ko) * 2007-06-20 2008-12-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KR20110088974A (ko) * 2010-01-29 2011-08-04 애경산업(주) 한방성분을 함유한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20130085620A (ko) * 2012-01-20 2013-07-3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837A (ja) * 1999-09-28 2001-04-10 Kobayashi Pharmaceut Co Ltd 抗う蝕剤
KR20080112024A (ko) * 2007-06-20 2008-12-2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KR20110088974A (ko) * 2010-01-29 2011-08-04 애경산업(주) 한방성분을 함유한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20130085620A (ko) * 2012-01-20 2013-07-3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69B1 (ko) * 2022-10-17 2023-01-10 이주연 황백, 오리나무 및 회향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이중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638536B1 (ko) * 2023-06-20 2024-02-2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US7083779B2 (en) Nontoxic dental care herbal formulation for preventing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KR101354923B1 (ko)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246068B1 (ko)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464965A (zh) 一种含有天然活性成分的蜂胶漱口水及其制备方法
EP2996666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nigella sativa and related methods
KR101778058B1 (ko)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N10707306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龋齿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KR102636026B1 (ko)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3638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0492034B1 (ko)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염 예방과치료용 항균제 및 구강 조성물
KR101365352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1717B1 (ko) 음용 가능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9175A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EP1641537B1 (en) Nontoxic dental care herbal formulation for preventing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2001948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50787B1 (ko) 구취 제거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KR20220019490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50785B1 (ko) 항균 효능을 갖는 구강장치 세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