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490A -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490A
KR20220019490A KR1020200099961A KR20200099961A KR20220019490A KR 20220019490 A KR20220019490 A KR 20220019490A KR 1020200099961 A KR1020200099961 A KR 1020200099961A KR 20200099961 A KR20200099961 A KR 20200099961A KR 20220019490 A KR20220019490 A KR 20220019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ral
safflow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훈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09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490A/ko
Publication of KR2022001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해균(P. gingivali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발휘하여 충치, 치주질환, 치은염 등의 예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천연 유래의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여 기존 항균 성분의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containing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및 그 주변조직에 발생되는 중요한 질병으로 충치 및 치주질환이 있다. 충치의 발병원인은 다양하나 구강 내에 상주하는 세균과 세균의 대사산물로 이루어진 프라그(또는 치태)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주질환의 원인 역시 치아 및 잇몸 부위에 서식하는 특정한 세균들의 대사 서식 및 대사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구체적으로, 치주질환은 치태 내에 존재하는 수 종의 세균군에 의한 혼합감염으로 치아 주변 조직의 반응에 따른 염증진행에 의하여 야기된다.
따라서, 충치와 잇몸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육을 억제하거나 살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물질로서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스피라마이신과 같은 항생제가 있으며 특히 비이온성 살균제인 트리클로산이 가장 대표적이다. 대한민국 특허 1999-0079220에서는 트리클로산을 사용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항생제는 내성균 발현, 과민반응 및 위장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히 클로로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충치형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구강내의 생태계 파괴, 치아착색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화학제제들이 나타내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제제로서, 최근에는 천연성분을 활용한 항균, 살균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단일 생약재에서 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치태세균 억제효과는 일정 수준으로 나타나나, 염증 완화효과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미약한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주요 구강 유해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이하, P. gingivalis)에 대한 항균 및 항염에 대하여 모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기존 항균 성분의 부작용이 없애 인체에 안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유해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발휘하여 충치, 치주질환, 치은염 등의 예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천연 유래의 생약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여 기존 항균 성분의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P. gingivalis 균에 대한 항균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세포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크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구강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란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질환이 충치 및 치주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주조직 내 세균성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숙주 반응에 의해 조직 파괴가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치조골의 흡수를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유발원인은 한가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통상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재하면서 충치와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충치와 치주염을 발생하는 주 병원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liemark W.F., Crit. Rev. Oral Bio. Med., 7:180-198, 1996].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균체 외 또는 표면으로부터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음식물 내 수쿠로즈(sucrose)를 기질로 하여 글루코즈(glucose)와 프락토즈(fructose)를 생성하고, 동시에 글루코즈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insoluble glucan)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글루칸에 다른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하므로써 치면 세균막 즉, 치태(dental plaqu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젖산균이 증식하여 프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젖산을 생성하고, 부착성 글루칸에 젖산이 포집 농축되고, 이렇게 농축된 고농도의 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 중 Ca2+를 녹아내리게 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써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Sigmund, S.S., 등, J.Periodontol., 63:322-331,1992].
또한,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 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롤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프라그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ixin) 또는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치은 조직 내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프라그에서 나온 세균성 항원 물질을 탐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 젤라틴 가수분해 효소(gelatinase), 엘라스틴 가수분해 효소(elastase), Cathepsin G 등의 효소를 세포 외로 방출한다. 이들 효소는 서로 협조적으로 작용해서 교원질이나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치은 조직의 유기 성분을 분해한다.
한편,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생산을 촉진하나, 이들 효소의 저해 물질인 TIMF(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생산량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억제되기 때문에 기질(교원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지속적인 출혈 등이 나타난다. 교원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중요 공급자로서 프라그에 분포하고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e gingivalis)와 같은 치주질환 유발균을 꼽을 수 있다. 이 세균들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및 트립신과 유사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이 효소들에 의해 교원질과 피브로넥틴과 같은 결체조직이 분해된다.
또한, 세균성 효소들은 불활성 전구물질을 활성화시키거나 TIMF를 분해시킴으로써 MMP 활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세균성 효소에 의해 치주조직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분해될 수 있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등의 정상적인 세포 대사산물에 의해 교원질, 프로테오글리칸 및 히아루론산(hyarulonic acid)와 같은 거대분자가 파괴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은 치주질환의 주요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ivalis)의 성장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추출물은 분말 혹은 추출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양 및 비율은 추출에 사용되는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각각의 양, 추출 농축 정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이 2종 이상 혼합될 때, 예를 들어 어느 한 성분(a)에 대해 다른 두 성분(b 및 c)이 혼합될 때 a: b 또는 c, a: b + c의 중량비가 1: 0.4~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치약류, 껌(gum), 구강 세정제, 구중 량정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및 구강용 패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약류는 불소화합물, 연마제, 습윤제, 감미제, 유효성분, 발포제, 감미제, 점결제, 향미제, pH 조절제, 기포제, 결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불소화합물은 치아의 내산성을 증대시켜 충치를 예방하는 작용을 하며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예를 들어, 0.01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제는 침강실리카, 탄산칼슘, 함수 알루미나, 인산일수소칼슘, 중조 등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은 1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제로서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3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스테비아, 아스파탐 등을 사용하며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01 내지 2중량%가 바람직하다.
점결제로는 가라기닌, 각종 점증용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등의 검류,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고분자 유도체 등의 유기계 점결제와 실리카,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점결제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등을 적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적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제삼인산나트륨, 제일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인산,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pH는 5내지 8이다. 색소로서 청색1호, 황색203호, 산화티탄 등을 적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치약 제형에 적용할 경우, 상기 성분 외에 불소화합물, 연마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코카마이도프로필 베타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 고분자 등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5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로서 카라기난,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 내지 5중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는 맨톨(Mentol), 아네톨(Anetol), 오이게놀(Eugenol), 리모넨(Limonene), 오시멘(Ocimene), n-도데실알콜(n-Dodecy Alcohol), 시트로네놀(Citronenol), 알파터피네올(a-Terpineol), 살리실메틸(Methyl salycil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시트로네릴 아세테이트(Citronelyl Acetate), 시네올(Cineol), 리나롤(Linalool), 에틸리나롤(Ethyl Linalool),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아민트(Speamint)유, 세지(Sage)유, 로즈마리(Rosemary)유, 계피(Cinamon)유 등의 항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전체 조성물의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에는 트리클로산, 클로로 헥시딘,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벤잘코늄크로라이드, 세틸피리듐크리라이드과 같은 양이온성 살균제, 모노플로로인산나트륨과 모노플로로 인산칼륨 등과 같은 알카리금속 모노플로로 포스페이트와 불화나트륨, 불화제일주석 등의 불소화물, 트라넥삼산, 입실론 아미노 카프론산, 알루미늄클로로 하이드록실 알란토인, 디하이드로 콜레스타놀, 클리틸리친산류, 글리세로 포스테이트, 염화나트륨, 수용성 무기인산 화합물,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초산 dl-a-토코페롤, 자일리톨, 염산피리독신,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각종 효능성분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에서 발포성분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미리스틸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Lauroyl sarcosinate), N-미리스틸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miristyl sarcosinate) 등의 N-아실 사르로신산 나트륨(Sodium N-acyl sarcosinat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슈가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락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당(糖)유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콜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는 N-라우릴 디 아미노에틸글리신, N-미리스틸 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과 같은 N-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N-알킬-N-카르복시 메틸 암모늄 베타인, 2-알킬-1-하이드록시 에틸 이미다조린 베타인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포성분으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과 같은 알킬황산 나트륨을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배합량은 통상 전체 조성물의 0.01-0.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3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제조시, (a) 상술한 본 발명의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a) 상술한 본 발명의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로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mg/kg 범위 내이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전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 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질환이 충치 및 치주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같이, 유효성분으로서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에 관한 설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거나, 2종 또는 3종의 추출물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유해균, 예를 들어, P. gingivali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와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
팔각회향(八角茴香, Illicium verum Hook. fil.)은 붓순나무과(Illiciaceae) 의 열매이다.
홍화(紅花, Carthamus tinctorius Linn)는 국화과의 한해/두해살이풀로 다른 말로 잇꽃, 샤플라워라 불리우며, 본 실시예에서는 홍화 꽃을 사용한다.
황백(黃柏, P 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은 운향과의 황벽나무 또는 황피수(皮樹, Phellodendron chinensis Schneider)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들은 유기용매 추출물, 일례로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50 내지 95%의 에탄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팔각회향, 홍화, 황백의 각 추출물은 각 약재를 수세하고 세절한 후, 각각의 약재 또는 혼합된 약재를 50 내지 95%의 에탄올 용액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이상 교반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0.005%(w/v) 이상, 예를 들어, 0.005 내지 3.0%(w/v)의 농도의 상기 팔각회향, 홍화, 황백의 추출물 중에서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농도가 0.005%(w/v) 미달이면, 항균 효능이 미약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약재 고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팔각회향, 홍화, 황백의 각 추출물 이외에 구강용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통상적인 범위를 따를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이 예컨대, 치약, 구중청량제, 츄잉검, 차 또는 잇몸 맛사지 크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험예 1>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의 구강 유해균(P. gingivalis) 에 대한 항균력 테스트
1) 실험대상
다음 식물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 팔각회향, 홍화, 황백의 각 추출물은 각 약재를 수세하고 세절한 후, 각각의 약재 또는 혼합된 약재를 95%의 에탄올 용액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이상 교반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 정제하여 제조하였다.
2) 실험방법 (디스크 확산법)
①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 gingivalis) 균주를 액체 배양 배지 5mL에 접종하여 각 배양 조건에서 35℃ 인큐베이터에서 2~7일간 배양하였다.
② 액체 배양으로 얻은 균 배양액을 1×107 cfu/mL 농도가 되게 희석한 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균액을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③ 균액이 흡수된 고체 배지에 8mm paper disc를 일정 간격으로 올린 후 추출물 시료 (각 농도 12 ㎍/ml 25 ㎍/ml 50 ㎍/ml 및 100 ㎍ /ml) 를 각각 50 ㎕씩 접종하였다.
④ 37℃배양기에서 168 시간 배양한 후 생장 억제환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시험시료 추출
용매
농도
(mg/ml)
P. gingivalis
생장억제환(mm)
Cell viabillity
(w/w% of control)
IL-1α
Expression level
(w/w% of control)
IL-8
Expression level
(w/w% of control)
Negative control DMSO - 8 100 140.87 155.29
팔각회향 95% 에탄올 12 8 121.03 132.5 145.5
25 8 111.09 120.8 123.1
50 10 109.09 95.8 99.8
100 11 106.69 77.48 89.67
열수 100 9 100.5 135.7 150.7
홍화 95% 에탄올 12 8 105.59 141.2 152.3
25 8 102.13 130.2 142.0
50 11 92.87 122.3 128.2
100 12 88.40 116.46 94.06
열수 100 9 99.85 133.2 140.8
황백 95% 에탄올 12 8 103.96 135.2 148.5
25 8 103.08 130.2 133.4
50 8 94.73 122.5 121.0
100 11 77.85 106.36 102.58
열수 100 9 94.85 135.8 142.2
시험
시료
농도
(mg/ml)
혼합시료 농도
(mg/ml)
P. gingivalis
억제환 직경(mm)
팔각회향 50 홍화 100 14
황백 100 13
100 홍화 50 13
황백 50 13
홍화 50 황백 100 15
100 황백 50 14
도 1을 참조하면,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이 각각 100 ㎍ /ml 의 농도에서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팔각회향, 홍화, 황백 의 세포독성 평가(MTT assay)
잇몸전구세포주(HGEPp, Human Gingival Epithelium Progenitors, Pooled)를 96-well plate에 1ⅹ104cells/well 로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를 D-PBS를 이용해 세척하여 성장인자들을 제거한 후 각각의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 시료 (각 농도는 12 ㎍/ml 25 ㎍/ml 50 ㎍/ml 및 100 ㎍ /ml) 을 적당량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MTT reagent를 넣고 4시간 후 흡광도를 확인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 및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은 모두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
잇몸전구세포주(HGEPp)를 12-well plate에 1*105cells/well 로 접종한 후,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를 D-PBS를 이용하여 성장인자들을 제거한 후 Porphyromonas gingivalis membrane fraction 및 각각의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 료 (각 농도는 100 ㎍ /ml) 를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액을 취해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염증매개인자인 IL-1α 및 IL-8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10uM의 dexamethasone 의 IL-1α 및 IL-8의 발현 수준도 함께 비교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팔각회향, 홍화, 황백 추출물은 실험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dexamethasone 10uM 동등 이상의 IL-1α 와 IL-8 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8)

  1.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각회향, 홍화, 황백은 각각 팔각회향 열매, 홍화 꽃, 황백 줄기 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들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아세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n-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05 내지 3%(w/v) 농도의 팔각회향 추출물, 홍화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이 치약, 구중청량제, 츄잉검, 차 또는 잇몸 맛사지 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00099961A 2020-08-10 2020-08-10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20019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61A KR20220019490A (ko) 2020-08-10 2020-08-10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961A KR20220019490A (ko) 2020-08-10 2020-08-10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490A true KR20220019490A (ko) 2022-02-17

Family

ID=8049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961A KR20220019490A (ko) 2020-08-10 2020-08-10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4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213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1319522B1 (ko) 충치 및 치주염에 유효한 구강위생 조성물
KR102246068B1 (ko)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3638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8058B1 (ko)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911753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1215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JPH06157259A (ja) 口腔用組成物
KR102636026B1 (ko)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3388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92034B1 (ko)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염 예방과치료용 항균제 및 구강 조성물
KR20220019490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2001948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30089047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133637B1 (ko)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1717B1 (ko) 음용 가능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0939B1 (ko)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4073A (ko)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020082308A (ko)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90058127A (ko) 산청목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1892B1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114022A (ko) 원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