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637B1 -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637B1
KR102133637B1 KR1020180067291A KR20180067291A KR102133637B1 KR 102133637 B1 KR102133637 B1 KR 102133637B1 KR 1020180067291 A KR1020180067291 A KR 1020180067291A KR 20180067291 A KR20180067291 A KR 20180067291A KR 102133637 B1 KR102133637 B1 KR 10213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sancheongmok
baekbokryeong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612A (ko
Inventor
현경예
최고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63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0Aceraceae (Map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다양한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여서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강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ral diseases, including extra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ginseng and poria cocos wolf}
본 발명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다양한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여서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더욱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열망중의 하나로 80세 이상까지도 건강한 치아를 갖기를 원할 뿐 아니라 대인관계에 장애가 되는 구취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식사 후 구강세정을 한다. 구강세정은 현대인의 식생활변화에 의한 구강 및 치아의 손상에 따라 발생하는 치아우식증, 구취, 치주염 등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구강세정제는 항균효능을 갖는 성분인 불화나트륨, 염화벤제토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중합체, 염화세틸파이리디늄, 사카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이용하여 충치, 치주염 등을 예방치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을 삼킬 시에는 구토, 신경쇠약, 혼수상태, 설사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며 과량을 삼킬 경우 치명적인 손상이 야기되고, 장기간 사용시에는 구강에 손상을 준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치주염의 예방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는 살균 및 생육 억제에는 효과적이기는 하나 내성균의 출현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크고, 클로르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충치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있으나,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약용식물 등의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없으며 유해 구강미생물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이 높고, 기질 분해 효소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천연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산청목은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라고도 불리며,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고지대에서 습생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산청목 껍질을 약재로 사용해 왔으며 간기능 회복, 지사제 등의 효능과, 독성이 없어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인삼은 오가피 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로서 각종 생리활성을 가지는 사포닌(Saponin)계 유도체 화합물이 주요 약효를 가지며, 한약처방에서는 건위소화약, 정장지사약, 진통진경약으로 되는 처방 등에 사용하며 약리작용으로는 혈당강하작용, 항암효과, 혈청단백합성 촉진작용, 항체생산 촉진작용, 중추 흥분 작용, 항피로작용 등이 있다.
백복령은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을 말린 것이고,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의 일종으로 소나무 땅속뿌리에서 자생하여 예로부터 한방약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비장을 보호하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의 다양한 약리 효과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지만,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의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구강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용이하게 제조 및 섭취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면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끝에,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의 이러한 용도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04-0001513 A KR 10-2017-0141034 A KR 10-2015-004081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용이하게 제조 및 섭취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면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강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구강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여서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고, 천연물로서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용이하게 제조 및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크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으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구강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란 용어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질환이 충치 및 치주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주조직 내 세균성 치태의 침착으로 인한 숙주 반응에 의해 조직 파괴가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질환(치조골의 흡수를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유발원인은 한가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통상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재하면서 충치와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충치와 치주염을 발생하는 주 병원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Liliemark W.F., Crit. Rev. Oral Bio. Med., 7:180??198, 1996].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균체 외 또는 표면으로부터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음식물 내 수쿠로즈(sucrose)를 기질로 하여 글루코즈(glucose)와 프락토즈(fructose)를 생성하고, 동시에 글루코즈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insoluble glucan)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글루칸에 다른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하므로써 치면 세균막 즉, 치태(dental plaqu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젖산균이 증식하여 프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젖산을 생성하고, 부착성 글루칸에 젖산이 포집 농축되고, 이렇게 농축된 고농도의 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 중 Ca2 +를 녹아내리게 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써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Sigmund, S.S., 등, J.Periodontol., 63:322-331, 1992].
또한,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 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롤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 +)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프라그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ixin) 또는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치은 조직 내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프라그에서 나온 세균성 항원 물질을 탐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 젤라틴 가수분해 효소(gelatinase), 엘라스틴 가수분해 효소(elastase), Cathepsin G 등의 효소를 세포 외로 방출한다. 이들 효소는 서로 협조적으로 작용해서 교원질이나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치은 조직의 유기 성분을 분해한다.
한편,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의 생산을 촉진하나, 이들 효소의 저해 물질인 TIMF(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생산량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억제되기 때문에 기질(교원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지속적인 출혈 등이 나타난다. 교원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중요 공급자로서 프라그에 분포하고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e gingivalis)와 같은 치주질환 유발균을 꼽을 수 있다. 이 세균들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및 트립신과 유사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이 효소들에 의해 교원질과 피브로넥틴과 같은 결체조직이 분해된다.
또한, 세균성 효소들은 불활성 전구물질을 활성화시키거나 TIMF를 분해시킴으로써 MMP 활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세균성 효소에 의해 치주조직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분해될 수 있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등의 정상적인 세포 대사산물에 의해 교원질, 프로테오글리칸 및 히아루론산(hyarulonic acid)와 같은 거대분자가 파괴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치주질환의 주요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ivalis)의 성장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는 바,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용매에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을 처리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분말 혹은 추출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양 및 비율은 추출에 사용되는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의 양, 추출 농축 정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1:1:1 또는 1:0.5:0.5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치약류, 껌(gum),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및 구강용 패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약류는 연마제, 점결제, 보습제, 유효성분, 발포제, 감미료, 향미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연마제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제2인산칼슘, 제2수산화물 및 무수물, 제3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제3인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기타 합성수지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전체 조성물의 약 10-90%의 양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결제로는 가라기닌, 각종 점증용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등의 검류,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고분자 유도체 등의 유기계 점결제와 실리카,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점결제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는 맨톨(Mentol), 아네톨(Anetol), 오이게놀(Eugenol), 리모넨 (Limonene), 오시멘(Ocimene), n-도데실알콜(n-Dodecy Alcohol), 시트로네놀(Citronenol), 알파터피네올(a-Terpineol), 살리실메틸(Methyl salycil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시트로네릴 아세테이트(Citronelyl Acetate), 시네올(Cineol), 리나롤(Linalool), 에틸리나롤(Ethyl Linalool),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아민트(Speamint)유, 세지(Sage)유, 로즈마리(Rosemary)유, 계피(Cinamon)유 등의 항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전체 조성물의 0.1-10%, 바람직하게는 0.5-5%의 양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D-자일로스(D-Xylose) 등과 같은 감미제 등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에는 트리클로산, 클로로 헥시딘,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벤잘코늄크로라이드, 세틸피리듐 크리라이드과 같은 양이온성 살균제, 모노플로로인산나트륨과 모노플로로 인산칼륨 등과 같은 알카리금속 모노플로로 포스페이트와 불화나트륨, 불화제일주석 등의 불소화물, 트라넥삼산, 입실론 아미노 카프론산, 알루미늄 클로로 하이드록실 알란토인, 디하이드로 콜레스타놀, 클리틸리친산류, 글리세로 포스테이트, 염화나트륨, 수용성 무기인산 화합물,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초산 dl-a-토코페롤, 자일리톨, 염산피리독신,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각종 효능성분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에서 발포성분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미리스틸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나트륨, N-라우로일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Lauroyl sarcosinate), N-미리스틸 사르코신산나트륨(Sodium N-miristyl sarcosinate) 등의 N-아실 사르로신산 나트륨(Sodium N-acyl sarcosinat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슈가지방산 에스테르, 말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락토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당(糖)유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고급알콜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는 N-라우릴 디 아미노에틸글리신, N-미리스틸 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과 같은 N-알킬 디 아미노에틸글리신, N-알킬-N-카르복시 메틸 암모늄 베타인, 2-알킬-1-하이드록시 에틸 이미다조린 베타인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포성분으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로 사용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과 같은 알킬황산 나트륨을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배합량은 통상 전체 조성물의 0.0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3%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제조시, (a) 상술한 본 발명의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a) 상술한 본 발명의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로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mg/kg 범위 내이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전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구강질환은 구취, 충치, 구내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구강 내 점막 궤양 및 구강건조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질환이 충치 및 치주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같이, 유효성분으로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에 관한 설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제조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분쇄하고 -20℃에서 동결 건조한 후, 건조된 시료 100g 및 80% 에탄올 1L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각각 추출하였다. 추출한 다음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찌꺼기를 여과하고 액체 성분만 플라스크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액체 성분을 65℃의 water bath에서 중탕하여 순수한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하,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이라 함)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항산화 활성평가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자유라디칼을 제거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는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DPPH의 hydrazyl이 불안정한 질소 원자를 함유하여서 쉽게 수소 원자를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항산화성 물질과 반응하여 수소 원자를 받아들임에 따라 고유의 정색성을 잃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DPPH를 이용하여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라디칼이 항산화물질로 환원되어 고유의 보라색을 잃고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빛이 차단된 암실에서 DPPH 0.08g 및 에탄올 1L를 혼합하여 DPPH 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DPPH 용액은 -20℃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항산화 활성평가를 위한 시료를 농도별로 제작하였다.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을 1000㎍/ml, 500㎍/ml, 250㎍/ml, 125㎍/ml, 62.5㎍/ml, 31.25㎍/ml의 6가지 농도로 조제한 용액 1ml(control: 99.5% 에탄올)에 DPPH 용액 1ml를 가한 후, Vortex mixer를 이용하여 10초간 진탕한 다음 37℃에서 30분 동안 incubation 시켜 농도별 시료를 준비하였다.
양성대조약물로는 L-ascorbic acid를 상기 시료와 같이 6가지 농도로 조제한 후, DPPH 용액 1ml를 가하여 대조군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 x-Mark micro spectrophotometer reader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 및 양성대조약물의 항산화 작용은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군(무처리군)의 흡광도를 abs(control)이라고 하고,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흡광도를 abs(sample)로 하여 다음 식에 따라 DPPH의 활성 저해율을 구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저해율(Inhibition, %) = abs(control) - abs(sample) / abs(control) * 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성대조약물인 L-ascorbic acid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1000㎍/ml일 때 92%이고, 500㎍/ml일 때 89.5%이고, 250㎍/ml일 때 89%이고, 125㎍/ml일 때 88%이고, 62.5㎍/ml일 때 87.5%이며, 31.25㎍/ml일 때 81%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1000㎍/ml일 때 49%이고, 500㎍/ml일 때 40%이고, 250㎍/ml일 때 34%이고, 125㎍/ml일 때 28%이고, 62.5㎍/ml일 때와 31.25㎍/ml일 때는 측정되지 않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a)는 농도 1000㎍/ml, (b)는 500㎍/ml, (c)는 250㎍/ml, (d)는 125㎍/ml, (e)는 62.5㎍/ml, (f)는 31.25㎍/ml의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평가 실험 결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가 상기 혼합물과 반응하여 고유의 보라색을 잃고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험예 1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 결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1000㎍/ml에서 약 50%의 활성을 보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분석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구강질환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이 구강질환 병원균 내의 유전자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구강질환 병원균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은 Streptococcus mutans 및 Porphyromonas ginivalis를 사용하였으며, 각 병원균 내의 유전자(sodA 및 gtfB)의 발현 변화를 전사 수준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병원균의 RNA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균주 배양액을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균주 배양액 10ml를 다시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600nm의 파장에서 흡광도 0.4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에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을 액체 배지에 적하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은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이하의 농도인 0mg/ml, 0.05mg/ml. 0.1mg/ml, 0.2mg/ml 및 0.5mg/ml의 농도로 처리되었다.
그 다음, 액체배지에 Trizol 시약(Gibco-BRL)을 첨가하여 각 균주의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cDNA는 역전사 효소반응(Gibco-BRL)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이때, DNA의 분석은 ABI-Prism 7000을 사용하였고, 실시간 중합연쇄반응은 qPCR SYBR Green Mixes (Applied Bio system Inc., Foster City, CA, USA)을 통해 시행하였으며, PCR 반응조건은 95℃에서 15초간 초기 denatration 후 60℃에서 1분간 annealing 및 extension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든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는 내부 standard를 사용하여 normalization하였으며, 분석은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RNA 샘플을 duplicate로 시행하였다.
하기 표 1에 구강질환 병원균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나타내었다.
Amplicon Size (bp) Target
Universal for bacteria
prbac1 5′-ACT ACG TGC CAG CAG CC 296-300 16S rRNA
prbac2 5′-GGA CTA CCA GGG TAT CTA ATC C
S. mutans
GTFB-F 5′-ACT ACA CTT TCG GGT GGC TTG G 517 gtfB
GTFB-R 5′-CAG TAT AAG CGC CAG TTT CAT C
P. gingivalis
sod-F 5′-CCT ATG TGG ACA ACC TCA AT 517 sodA
sod-R 5′-GGC TTC CTT ATG TAT TGG TG
균주 배양액이 접종 및 배양된 액체배지에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을 MIC인 0.5mg/ml 이하의 농도로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균주의 독력인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
(유전자)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농도 (mg/mL)
상대량*

S. mutans
(gtfB)
0 1
0.05 1
0.1 0.99
0.2 0.95
0.5 0.9

P. gingivalis
(sodA)
0 1
0.05 1
0.1 0.99
0.2 0.9
0.5 0.89
상대량 : 발현량의 차이는 각 균주의 16S rRNA 대비 gtfB와 sodA의 발현량을 각각 적용하여 상대적인 정량값을 구하였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S. mutans 균주 배양액에서 균주의 유전자 gtfB는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농도 0mg/ml 즉, 혼합물이 첨가되지 않았을 때에는 발현이 억제되지 않았고, 0.05mg/ml일 때에도 이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균주의 유전자는 혼합물의 농도 0.1mg/ml일 때 0.99이고, 0.2mg/ml일 때 0.95이며, 0.5mg/ml일 때 0.9의 발현이 나타났다.
또한, P. gingivalis 균주 배양액에서 균주의 독력인자 sodA는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농도 0mg/ml 즉, 혼합물이 첨가되지 않았을 때에는 발현이 억제되지 않았고, 0.05mg/ml일 때에도 이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균주의 독력인자는 혼합물의 농도 0.1mg/ml일 때 0.99이고, 0.2mg/ml일 때 0.9이며, 0.5mg/ml일 때 0.89의 발현이 나타났다.
즉, Real-time PCR 분석 결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 mutans의 GTFase B를 합성하는 유전자 gtfB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P. gingivalis의 독력인자를 합성하는 유전자 sodA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으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Real-time PCR 분석 실험을 통해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청목/인삼/백복령 추출 혼합물은 1000㎍/ml에서 약 50%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구강질환 병원균 내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산청목, 인삼 및 백복령 추출물은 구강질환을 야기하는 다양한 병원균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의 조절이 가능하고, 항산화 기능을 함으로써,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1 : 0.5-1이고,
    상기 구강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의해 유발되는 충치 또는 치주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물,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약류, 껌(gum),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및 구강용 패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1 : 0.5-1이고,
    상기 구강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의해 유발되는 충치 또는 치주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067291A 2018-06-12 2018-06-12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291A KR102133637B1 (ko) 2018-06-12 2018-06-12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291A KR102133637B1 (ko) 2018-06-12 2018-06-12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12A KR20190140612A (ko) 2019-12-20
KR102133637B1 true KR102133637B1 (ko) 2020-07-13

Family

ID=6906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291A KR102133637B1 (ko) 2018-06-12 2018-06-12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6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13A (ko) 2002-06-28 2004-01-07 조승호 악취제거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악취제거 및 치료제
KR20120005150A (ko) * 2010-07-08 2012-01-16 애경산업(주) 치은염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1399667B1 (ko) * 2012-02-17 2014-05-30 재단법인 산청한방약초연구소 천연 항포진 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40818A (ko) 2015-02-11 2015-04-15 주식회사 지넬릭스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천일 염 및 프로폴리스 및 자일리톨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20170141034A (ko) 2016-06-14 2017-1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12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835899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저롤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1213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2133638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6068B1 (ko) 황백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109071A (ja) 歯周病原因菌産生システインプロテアーゼ活性抑制剤
KR101911753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8841A (ko) 에모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5B1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3388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6026B1 (ko)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92034B1 (ko)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염 예방과치료용 항균제 및 구강 조성물
KR102133637B1 (ko) 산청목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3135A (ko)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30089047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5612B1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8936A (ko) 녹두 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9490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251717B1 (ko) 음용 가능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948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