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795B1 -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795B1
KR102549795B1 KR1020200136161A KR20200136161A KR102549795B1 KR 102549795 B1 KR102549795 B1 KR 102549795B1 KR 1020200136161 A KR1020200136161 A KR 1020200136161A KR 20200136161 A KR20200136161 A KR 20200136161A KR 102549795 B1 KR102549795 B1 KR 10254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ic
peptide
liver disease
copa3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421A (ko
Inventor
황재삼
이준하
김호
김영하
윤이나
박유빈
박주희
석헌
최주영
홍순천
김범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0013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7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LCIALRKK-NH2(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9-mer disulfide dimer)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세포 자살과정을 억제하고, 간에서 생성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알코올에 의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간손상 이후 질병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나타나는 손상성 진행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건강식품보조제 및 사료 조성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coprisin peptide CopA derived from Copris tripartitus}
본 발명은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기뿔소똥구리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성 간염과는 다른 알코올성 간질환은 만성적인 음주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바이러스성 간질환 다음으로 흔한 간경변증의 원인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음주한 에탄올의 양과 기간에 영향을 받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알코올-간손상에 취약하고, 알콜탈수화효소(Alcohol dehydrogenase) 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복수나 부종이 올 수 있고, 심하면 간기능 부전이 초래된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크게 알코올성 지방간과 간염, 그리고 간경변증으로 나뉜다. 지방간은 과음인에게서 쉽게 관찰되며, 지방소적(lipid droplet)이 세포 안을 가득 채우는 것으로 사망률은 낮다. 다음으로 알코올 간염은 수분 함량이 증가하면서 세포가 커지며, 조직검사소견으로 풍선변성(ballooning degeneration)과 염증세포침윤 등이 관찰된다. 사망률은 30- 60%로 높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간경변증이 있는데, 간경변증은 알코올 간질환의 마지막 단계로 고려되며, 섬유화는 간세포 주위로 발전한다. 1년 생존율은 60-70%, 2년 생존율은 35-50%인 위험한 질병이다.
알코올 간염의 주요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약물인 prednisolone이다. 그리고 Pentoxifylline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억제약물도 부작용이 적은 비스테로이드 약물로 사용된다. 간이식은 한정된 말기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제한적으로만 시행되는 한계가 있다. TNF-α는 알코올간염의 병인에 관여하는 주요 사이토카인으로 이를 차단할 경우 알코올 간염의 호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수개의 항 TNF-α 제제가 치료제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사망률이 더 높아지는 문제도 나타났다. 단순한 염증사이토카인의 차단이 치료적 방법이 되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새로운 치료제들이 임상연구 중이지만 아직까지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약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알코올성 간질환에 치료 효능이 높은 새로운 개념의 약물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분리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가 알코올 섭취로 유발되는 간세포 자살과정과 염증반응, 간조직 손상을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9-mer disulfide dimer)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열번호 1: LLCIALRKK-NH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9-mer disulfide dimer)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서열번호 1: LLCIALRKK-NH2
본 발명에 있어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작용기전으로는 농작물 및 인체 유해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이 높으며, 특히 내성균에 대해서 항균 효과 높으며, 특히 장내 유용 미생물에는 무해하며 급성 위막성 대장염을 일으키는 균(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해서 항생효과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치료적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 실시예에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치료적 효능이 있음을 밝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알코올성 간손상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CopA3를 생쥐에 전처리한 후 알코올을 주입하여 급성 알코올성 간손상을 유발시키고, 이후 본 발명의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가 알코올 자극으로 유발되는 간세포의 자살과정 및 염증반응과 간 조식 손상을 현저히 낮추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치료적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천연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곤충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폴리펩타이드 합성 방법(유전공학적 방법, 화학적 합성)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한 펩타이드의 제작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암호화하는 핵산을 제작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핵산은 적절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하여 준비할 수 있다.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방법에 의해, 예컨대, 자동 DNA 합성기를 사용하여 DNA 서열을 합성할 수도 있다. 제작된 핵산은 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operatively linked) 핵산의 발현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서열(expression control sequence; 예: 프로모터, 인핸서 등)을 포함하는 벡터에 삽입시켜 재조합 발현 벡터로 제작하고 숙주세포에 형질전환시킨 후, 적절한 배지 및 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배양물로부터 상기 핵산으로부터 발현된, 실질적으로 순수한 폴리펩타이드를 회수하게 된다. 상기 회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예컨대, 크로마토그래피)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폴리펩타이드(substally pure polypeptide)'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가 숙주세포로부터 유래된 어떠한 다른 단백질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합성을 위한 유전공학적 방법은 다음의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Maniatis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2;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N.Y., Second(1998) and Third(2000) Editions; Gene Expression Technology, Method in Enzymology,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Method in Enzymology, Guthrie & Fink(eds.),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 1991; 및 Hitzeman et al., J. Biol. Chem., 255:12073-12080, 199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Creighton, Proteins; Structures and Molecular Principles, W. H. Freeman and Co., NY, 1983)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체 또는 고체상 합성, 단편 응축, F-MOC 또는 T-BOC 화학법이 포함된다 (Chemical Approaches to the Synthesis of Peptides and Proteins, Williams et al., Ed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97; A Practical Approach, Athert on & Sheppard, Eds., IRL Press, Oxford, England, 1989). C-말단 아미드화(amidation) 반응 또는 N-말단 아세틸화(acetylation) 반응을 이용하여 펩타이드를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뿐만 아니라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와 동일한 활성을 갖는 이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의 변이체란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아미노산 유사체의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로서,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세포의 자살과정, 염증반응 및 간조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본 발명에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에 대한 언급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들을 천연 아미노산 중합체들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응하는 천연 아미노산의 인공적인 화학적 유사체인 아미노산 중합체들에 적용한다. 상기 용어들을 또한 단백질이 작용성으로 남아있도록 보존적인 아미노산 치환을 함유하는 상기 중합체들에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펩타이드는 유전자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합성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합성기 등을 통하여 시험관 내에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은 상기 서열번호 1의 폴리펩타이드와 유사한 구조적 기능, 및/또는 유사한 조절 기능, 및/또는 유사한 생화학적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 단편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열번호 1의 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서열과 적어도 80%, 적어도 85%, 적어도 90%, 적어도 91%, 적어도 92%, 적어도 93%, 적어도 94%, 적어도 95%, 적어도 96%, 적어도 97%, 적어도 98%, 또는 적어도 99%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물학적 활성이 유지되는 서열을 본 발명의 범주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실"은 야생형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와 비교하여 각각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잔기가 없는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변화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삽입" 또는 "부가"는 야생형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와 비교하여 각각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잔기의 부가로 인한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변화이다.
본 발명에서, "치환"은 야생형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와 비교하여 각각 다른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에 의해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의 교체에서 비롯된다.
한편, 치환 위치에서 바람직한 아미노산 변이는 잔기의 극성, 전하, 용해성, 소수성, 친수성 및/또는 양친매성 특성의 유사성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음으로 하전된(negatively charged) 아미노산으로서는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타민산을 포함하며; 양으로 하전된(positively charged) 아미노산으로서는 리신 및 아르기닌을 포함하고; 그리고 유사한 친수성값을 가지는 비하전성 극성 헤드기를 가지는 아미노산으로서는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 글리신 및 알라닌;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및 티로신;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이는 보존적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적 치환”이란, 어느 아미노산이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당업자라면 그 폴리펩타이드의 2차 구조 및 감수성질(hydropathic nature, 소수성 또는 친수성 성질)이 실질적으로 비변화되었다고 예측할 수 있는 치환이다. 일반적으로 하기 아미노산 군이 보존성 변화를 나타낸다: (1) ala, pro, gly, glu, asp, gln, asn, ser, thr; (2) cys, ser, tyr, thr; (3) val, ile, leu, met, ala, phe; (4) lys, arg, his; 및 (5) phe, tyr, trp, his.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변이체는 인산화(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아세틸화(acetylation) 및 아밀화(amidation) 등으로 수식(modification)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열은 세포 내 투과를 위해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서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란 일종의 신호 펩타이드로써 세포 내로 물질 전달을 목적하는 펩타이드 서열이다. 주로 7-30 개 정도의 아미노산 펩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지며, 세포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신호 펩타이드를 가지는 서열이라면 어떠한 서열이라도 본 발명에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는 라이신/아르기닌 등 기본 아미노산 잔기들을 주로 포함하고 있어서 이와 융합된 단백질들을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내로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는 HIV-1 Tat 단백질, 드로소필라 안테나페디아의 호메오도메인(페네트라틴), HSV VP22 전사조절단백질, vFGF에서 유도된 MTS 펩타이드, PTD-5, 트랜스포탄 또는 Pep-1 펩타이드에서 유래된 서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바이러스 또는 양이온성 펩타이드로부터 동정/합성된 다양한 CPPs(예를 들어, TAT48-60, 페네트라틴(pAntp)43-58, 폴리아르기닌, Pep-1, 트랜스포탄, 등)은 생물학적 활성 물질은 약물운반체들의 이동을 매개하기 위해 세포 내재화 (internalization)가 가능한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손상 또는 간질환을 모두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급성 간염, 알코올성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알코올성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암 및 알코올성 담즙정체성 간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알코올성 간질환의 범위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영양결핍, 치매, 중추신경장애, 말초신경장애와 같은 증상 및 병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 간세포의 세포자살 또는 간의 풍선변성 (ballooning degeneration)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 및 "치료하는"은 질병 또는 건강 관련 상태의 치료 이점을 얻을 목적의 대상체에의 치료제의 투여 또는 적용 또는 대상체에서의 절차 또는 방식의 수행을 지칭한다. 예방", "예방하는" 등은 질환 또는 병태의 발생 또는 재발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접근을 나타낸다. 또한 질환 또는 병태의 개시 또는 재발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질환 또는 병태의 발생 또는 재발을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 "대상체" 및 "환자"는 인간 또는 비 인간, 예컨대 영장류, 포유류, 척추동물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발명에서, "치료 이점" 또는 "치료적으로 유효한"은 이러한 상태의 의학적 치료와 관련하여 대상체의 건강을 촉진하거나 증대시키는 임의의 것을 지칭한다. 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질병의 징후 또는 증상의 빈도 또는 중증도의 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95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정맥 내 투여 또는 체강 내 투여를 포함하여 비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손상 또는 간질환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컨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급성 간염, 알코올성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알코올성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암 및 알코올성 담즙정체성 간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μm), 14호 (1410 μm) 및 45호 (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음료, 껌,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류는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음료, 젤리 또는 바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총 100 g을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강음료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 외에 첨가되는 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어류, 조류 또는 포유류의 사료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축산법 제2조 제1호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각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야생습성이 순화되어 사육하기에 적합하며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축 또는 수산생물의 사료일 수 있다. 상기 가축에는 소, 말, 노새, 당나귀, 염소, 산양, 면양, 사슴, 돼지, 토끼, 가금류 등일 수 있으며, 가금류에는 닭, 칠면조, 오리, 타조, 거위, 메추리 등, 바람직하게는 닭일 수 있으나, 사육하여 축산물을 얻기에 적합한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축산물"은 축산법 제2조 3호의 정의인, 가축에서 생산된 고기, 젖, 알, 꿀과 이들의 가공품, 원피 (원모피를 포함한다), 원모, 기타 가축의 생산물로서 농림부령이 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반려동물을 포함하여 개, 고양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일 양태로,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함유하는 사료용 조성물에는 농후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 육분,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 등이 있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 등이 있다. 특수 사료에는 굴껍떼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 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세포 자살과정을 억제하고, 간에서 생성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알코올에 의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간손상 이후 질병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나타나는 손상성 진행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건강식품보조제 및 사료 조성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알코올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간세포의 세포자살의 차단 효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알코올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간 조직 손상의 억제 효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의 알코올 자극에 의해 야기되는 간 속 염증반응의 차단 효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제조 (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합성)
서열번호 1(LLCIALRKK-NH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는 AnyGen(Gwang-ju, Korea)사에 의뢰하여 98% 이상의 순도로 합성하였고 0.01% acetic acid에 녹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알코올성 간질환의 간세포의 세포자살 억제/차단 효과 분석
애기뿔소똥구리에서 유래한 CopA3 펩타이드가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확인되는 간세포의 세포자살을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25 g 무게의 수컷 C57BL/6 생쥐(9마리)에게 CopA3(3 mg/kg)를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에 주입하여 전처리하였다. 1시간 후 알코올(3 g/kg)을 인슐린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 주입한 다음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코올성 간손상을 유도하였다. 대조군 그룹은 0.9% 생리식염수를 인슐린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에 주입하였다. 그 후 간을 적출하고 4% 포르말린에서 고정하였다.
간세포들의 세포자살 여부는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transferase-mediated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 end labelling) 원리를 이용하였으며, in situ cell death detection kit (Roche, Germany)를 사용하였다. 조직 절편을 proteinase K(20 μg/ml)에 15분, peroxidase의 활성을 막기 위해 3% H2O2에 처리하고, 슬라이드를 물로 씻어낸 후 PBS 용액에 5분간 담그고,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TdT) enzyme을 슬라이드에 점적한 후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PBS 용액에 3차례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Converter-POD solution (50 μl)를 조직에 점적한 후 30분간 배양하였다. 3회 세척한 후 DAB-subtraction solution (500 μl)을 떨어뜨려 5분간 반응시켜 발색 반응을 일어나게 하였다. 발색 반응이 일어난 세포층을 확실하게 구별하기 위해서 hematoxylin (Harris, USA)용액으로 대조 염색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mounting하여 조직 표본을 완성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갈색으로 염색된 핵을 가진 세포를 세포자살 양성세포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만 주입된 생쥐 간(saline)에서는 갈색으로 염색된 세포자살 세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알코올(3 g/kg) 주입 생쥐 간(EtOH)에서는 갈색으로 염색된 세포가 많이 검출된 바, 알코올에 의해 간세포 자살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CopA3를 1시간 전처리 후 알코올을 주입한 생쥐의 간(EtOH +CopA3)에서는 갈색으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는 바, 간세포 자살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가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세포 자살(독성)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3: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알코올에 의한 간 조직 손상 억제 효과 분석
애기뿔소똥구리에서 유래한 CopA3 펩타이드의 알코올에 의해 야기된 간 조직 손상도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2에서 진행된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컷 C57BL/6 생쥐(9마리)에게 CopA3(3 mg/kg)를 1시간 동안 복강 주입한 후 알코올(3 g/kg)을 복강 주입하고 24시간 동안 간손상을 유도하였다. 간을 적출하고 고정한 다음, 조직은 hematoxylin/eosin 염색법으로 염색하였다. 그 후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의 A와 같다. 또한, 조직 손상 정도는 조직병리학 교수가 맹검평가를 방식으로 통해 통계적인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의 B와 같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가 주입된 대조군(saline)과 CopA3 단독 처리군(CopA3)에서는 풍선변성 뿐만 아니라 다른 조직학적 변형이 전혀 없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알코올 자극은 간세포의 풍선변성(ballooning degeneration)을 증가시키나 CopA3 1시간 전처치가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춤을 확인하였다(알코올 단독 처리 그룹과 알코올+COPA3 처리 그룹 간 통계적 유의성 p=0.064).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가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간 조직 손상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의 알코올에 의한 간 염증반응 억제 효과 분석
애기뿔소똥구리에서 유래한 CopA3 펩타이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 속 염증반응에 대한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QPCR 및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QPCR 분석-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유전자 발현량 평가
C57BL/6 생쥐(9마리)에게 CopA3(3 mg/kg)를 전처치하고 알코올(3 g/kg)을 주입하여 간손상을 유도하였다. 대조군 그룹은 0.9%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주입하였다. 그 후 TRIzol 시약을 이용 간에서 RNA를 분리하고, QPCR 방법을 이용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의 A와 같다. QPCR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primer)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Sequence 서열번호
TNF-α 5'-CGGCAGAGAGGAGGTTGACTTTCT-3'(sense) 서열번호 2
5'-CACAGAAAGCATGA-TCCGCGACGT-3'(antisense) 서열번호 3
IL-1β 5'-CTTCTTTG-GGTATTGCTTGGGATC-3'(sense) 서열번호 4
5'-CCAGCTTCAAATCTCACAGCAG-3' (antisense) 서열번호 5
IFN-γ 5'-TGCAGGATTTTCATGTCACCAT-3'(sense) 서열번호 6
5'-TGGCATAGATGTGGAAGAAAAGAG-3'(antisense) 서열번호 7
IL-10 5'-CAGCAGAC-TCAATACACACT-3'(sense) 서열번호 8
5'-TGGCCCAGAAATCAAGGAGC-3'(antisense) 서열번호 9
GAPDH 5'-TCTCCATGGTGGTGAAGACA-3' (sense) 서열번호 10
5'-ACTCCACTCACG-GCAAATTC-3'(antisense) 서열번호 11
도 3의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코올을 생쥐 복강에 주입한 군(EtOH)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는 TNF-α, IL-1β, IFN-γ와 IL-10의 발현량을 간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3A에서처럼, CopA3를 1시간 전처리 후 알코올을 주입한 군(EtOH+ CopA3)에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CopA3 단독 처리군(CopA3)에서는 상기 사이토카인들의 발현량 변화가 전혀 없었다.
ELISA 분석-CopA3의 염증 억제 효능 평가
간 속에서 생성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단백질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컷 C57BL/6 생쥐(9마리)에게 CopA3(3 mg/kg)를 1시간 동안 복강 주입한 후 알코올(3 g/kg)을 복강 주입하고 24시간 동안 간손상을 유도하였다. 간을 적출하고 적출된 간을 PBS 속에서 파쇄하고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등액 속 사이토카인 단백질들을 분리하였다(11,000 X g, 10 min, 4℃). 상등액 속 IL-6와 TNF-α 단백질 농도는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ELISA(R&D Systems)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의 B와 같다.
도 3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코올 자극된 군(EtOH)은 알코올에 의해 간 속 IL-6와 TNF-α 단백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CopA3를 1시간 전처리 후 알코올을 주입한 군(EtOH+ CopA3)은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바, CopA3에 의해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CopA3 단독 처리군(CopA3)에서는 상기 사이토카인들의 생성량에 변화가 없으며, 그 농도는 대조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세포의 세포자살을 억제하고,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염증유발인자 및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하고 간 조직 손상을 억제시킴으로써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aejin University Center for Educational Industrial Cooperation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lcoholic liver disease comprising coprisin peptide CopA derived from Copris tripartitus <130> nsh1.142 <160> 1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pA3 <400> 1 Leu Leu Cys Ile Ala Leu Arg Lys Lys 1 5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 sense <400> 2 cggcagagag gaggttgact ttct 24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 alpha antisense <400> 3 cacagaaagc atgatccgcg acgt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eta sense <400> 4 cttctttggg tattgcttgg gatc 24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eta antisense <400> 5 ccagcttcaa atctcacagc ag 22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FN gamma sense <400> 6 tgcaggattt tcatgtcacc at 22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FN gamma antisense <400> 7 tggcatagat gtggaagaaa agag 24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0 sense <400> 8 cagcagactc aatacacac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0 antisense <400> 9 tggcccagaa atcaagga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sense <400> 10 tctccatggt ggtgaagaca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antisense <400> 11 actccactca cggcaaattc 20

Claims (12)

  1. 하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다이머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서열번호 1: LLCIALRKK-NH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로부터 분리된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손상 또는 간질환인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급성 간염, 알코올성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알코올성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암 및 알코올성 담즙정체성 간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 간세포의 세포자살 또는 간의 풍선변성 (ballooning degeneration)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다이머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서열번호 1: LLCIALRKK-NH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로부터 분리된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의 섭취에 의해 유발되는 간손상 또는 간질환인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급성 간염, 알코올성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알코올성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암 및 알코올성 담즙정체성 간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는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 간세포의 세포자살 또는 간의 풍선변성 (ballooning degeneration)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것인,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하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다이머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서열번호 1: LLCIALRKK-NH2
  12. 하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다이머인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서열번호 1: LLCIALRKK-NH2
KR1020200136161A 2020-10-20 2020-10-20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61A KR102549795B1 (ko) 2020-10-20 2020-10-20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61A KR102549795B1 (ko) 2020-10-20 2020-10-20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21A KR20220052421A (ko) 2022-04-28
KR102549795B1 true KR102549795B1 (ko) 2023-06-30

Family

ID=8144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161A KR102549795B1 (ko) 2020-10-20 2020-10-20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7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226B1 (ko) 2010-04-22 2011-03-1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성위막성대장염 치료용 조성물
KR101535895B1 (ko) 2012-11-20 2015-07-16 대한민국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839B1 (ko) * 2016-07-29 2020-11-1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만성 염증성 장 질환 치료용 또는 장 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226B1 (ko) 2010-04-22 2011-03-1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성위막성대장염 치료용 조성물
KR101535895B1 (ko) 2012-11-20 2015-07-16 대한민국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21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08B1 (ko) 안지오텐신-i 전환 효소 저해능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92072B1 (ko) 돌돔 유래의 신규한 피스시딘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65501B1 (ko) 다중구리 산화효소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구리대사 관련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9795B1 (ko)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2483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단백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1272A (ko) DagA 효소반응으로 조제한 항비만 및 항당뇨 효능을 갖는 한천 유래 네오아가로올리고당 복합 조성물
KR102004153B1 (ko) 갯지렁이 유래의 신규한 더로마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475368B1 (ko) 테레오그릴루신 1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2485957A1 (en) Protease inhibitor
KR1022666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470871B1 (ko) 이질바퀴로부터 유래한 페리플라네타신-5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49333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래 펩타이드 프로테티아마이신-6를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2422A (ko)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4382B1 (ko) 울도하늘소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사코더아신-2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96852B1 (ko) 풀무치로부터 분리한 로커스타신-1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601933B1 (ko) 라이소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전염병 설사 바이러스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53745A (ko)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카스파제 억제용 조성물
JP4954295B2 (ja) アラザイム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保護用薬学的組成物
KR102291069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26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492395B1 (ko) 호랑나비 유충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인 파필리오신-3 및 이의 용도
KR102420699B1 (ko) 강도다리 유래의 신규한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1597006B1 (ko) 산왕거미 유래 메이져 엠풀레이트 스피드로인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380290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84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으로부터 분리한 프로테티아마이신-5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