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226B1 -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226B1
KR102290226B1 KR1020200121403A KR20200121403A KR102290226B1 KR 102290226 B1 KR102290226 B1 KR 102290226B1 KR 1020200121403 A KR1020200121403 A KR 1020200121403A KR 20200121403 A KR20200121403 A KR 20200121403A KR 102290226 B1 KR102290226 B1 KR 10229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inflammatory
present
activity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헌
하지성
이수진
정혁광
이윤석
전현미
성지은
탁수진
양정현
Original Assignee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안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펩티드는 페닐알라닌-글리신-류신-류신(FGLL: Phe-Gly-Leu-Leu)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로서 염증 매개 인자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염증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탁월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Novel Peptide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조직 또는 세포가 손상되거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 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나타나는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 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이다. 구체적으로, 외부 세균이 특정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을 하게 되면 생체의 백혈구가 이를 인지하여 증식된 외부 세균을 활발히 공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 발생하는 백혈구의 사해가 균에 의하여 침입받은 조직에 축적됨과 동시에 백혈구에 의하여 사멸된 침입균의 세포 파괴물이 침입받은 조직 내로 융해되어 농양이 형성된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인체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서 급성염증,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관절 내에서의 질환, 건선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질환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등이 나타나게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현재, 염증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아스피린 등의 약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것들은 부작용으로서 부종, 위장질환, 출혈, 간독성 등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염증원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심한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Check W.A. and Kaliner M.A., Am. Rev. Respir. Dis., 141, p44-51. 1990].
이에 따라,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며 효능이 개선된 신규 염증 치료제의 개발은 필수적이고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항염증성 펩티드를 개발하는 연구는 의약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발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작용을 극복하는 문제와 관련지어 합성 펩티드에서 그 활성을 찾으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상대로 뛰어난 항염증 효능을 갖는 예방 및 치료용 물질로서 정확한 서열을 갖는 합성 펩티드에 대한 효능 보고 및 적용에 대해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3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228호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우수한 항염증성 펩티드들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다양한 방식으로 펩티드를 디자인하고, 이들 펩티드들에 대한 활성을 조사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가, 세포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탁월하게 억제시키는 우수한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페닐알라닌-글리신-류신-류신(FGLL: Phe-Gly-Leu-Leu)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1)로 이루어진 항염증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FGLL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FGLL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FGLL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FGLL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FGLL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표시가 없는 한, 아미노산 및 보호기의 지정에 사용되는 약어는 IUPAC-IUB의 생화학 용어 위원회(Commission of Biochemical Nomenclature)에서 권장하는 용어에 기초한다(Biochemistry, 11:1726-1732(1972)).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펩티드로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상동성을 갖는 서열을 갖는 펩티드 역시 우수한 염증 예방 또는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목적 효과를 달성하는 한, 당업계에 공지된 표적화 서열, 태그(Tag), 표지된 잔기, 반감기 또는 펩티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동성(Homology)"은 2개의 아미노산 사이에서 서열의 오버랩 정도를 나타내며, 종래에 알려진 방법들로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펩티드거나, 자연 그대로의 공급원으로부터 동정 및 분리된 야생형 펩티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한 기능성 변이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변이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펩티드 서열(서열번호 1)의 생물학적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펩티드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보다 개선시키기 위하여 펩티드의 아미노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하며,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인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리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리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티로신 등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는 서열번호 1의 펩티드와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 및/또는 삽입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공 변이체 일 수 있다. 인공 변이체에서 뿐만 아니라 야생형 폴리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변화는 단백질의 폴딩(Folding) 및/또는 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존성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한다.
상기 보존성 치환의 예들은 염기성 아미노산(아르기닌, 리신 및 히스티딘), 산성 아미노산(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극성 아미노산(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 소수성 아미노산(류신, 이소류신, 발린 및 메티오닌), 방향족 아미노산(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 및 작은 아미노산(글리신, 알라닌, 세린 및 트레오닌)의 군의 범위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특이적 활성을 변경시키지 않는 아미노산 치환이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교환은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yr/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및 Asp/Gly 그리고 이들과 반대인 것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염증 활성을 갖는 펩티드" 또는 "항염증 펩티드"는 본 발명의 항염증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생체적합 합성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펩티드"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티드는 서열번호 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규명하였다.
여기서, 상기 생물학적으로 유효한 활성은 (a) 염증 매개 인자의 생성 억제; (b)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억제; (c) 염증반응 완화; (d) 염증성 질환에 의한 병리적 증상의 완화와 같은 특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서, 폴리뉴클레오티드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펩티드 합성과 같은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시험관 내에서 합성하는 방법, 및 무세포 단백질 합성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 방법, 특히 고상 합성 기술(Solid-phase synthesis techniques; Merrifield, J. Amer. Chem. Soc. 85:2149-54(1963); Stewart, et al.,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2nd. ed., Pierce Chem. Co.: Rockford, 111(1984)) 또는 액상 합성 기술(US 등록특허 제5,516,891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티드는 보다 나은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펩티드의 N- 또는 C-말단을 보호기(치환기)로 결합(치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기는 아세틸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일 수 있으나, 펩티드의 개질, 특히 펩티드의 효능 또는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은 본 발명의 펩티드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용어 "안정성"은 "인 비보"안정성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또한, 개질은 상술한 안정성 외에도 본 발명의 펩티드의 효능을 배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증 펩티드는, 상기 펩티드의 N-말단 및 C-말단이 비치환된 것으로, 이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뉴클레오티드가 결합된 중합체로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서열번호 1의 펩티드를 코딩하며,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 각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동성"은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서열간 상동성을 백분율 (%)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종래의 항염 펩티드와 비교하여 분자량이 작고 안정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생체 내 타겟으로 하는 조직 등에 운반(Delivery)하기 용이하며, 이에 의약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즉, 펩티드 치료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펩티드 자체 크기가 너무 커서 표적 조직 또는 세포에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못하거나 반감기가 짧아 단기간에 체내에서 소멸되는 단점을 드러내었는 바, 본 발명은 유효한 염증 치료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신규 펩티드를 최초로 규명하였다는 점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종래의 펩티드 원료들은 균질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천연물 유래 펩티드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품질을 가지는 원료를 공급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펩티드는 화학적으로 합성이 가능하므로, 탁월한 생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동일한 순도로 대량 생산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티드는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데 매우 탁월하다.
상기 염증 매개 인자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본 발명의 펩티드를 세포에 처리했을 때, 상기 염증 매개 인자들의 발현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는 상기 펩티드가 우수한 염증 예방 또는 억제 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세포 내 독성이 낮아 생체 내 이용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항염성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질환"은 염증을 주 원인으로 하는 질환 또는 질환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등 염증과 관련된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나, 본 발명의 항염성 펩티드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위하여 약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펩티드를, 세포 독성없이 목적으로 하는 유효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농도라면, 임의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펩티드를, 상기 조성물 중 1 내지 5000 ppm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ppm,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 ppm,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ppm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1 ppm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 할 수 없고, 5000 ppm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개체에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펩티드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국소 투여,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항염성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항염증 활성을 갖는 생체 적합성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항염증 펩티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항염증 펩티드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원료 조성물 중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항염성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펩티드의 화장품학적 유효량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펩티드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펩티드와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항염성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안전하므로, 이를 사료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염증성 질환 예방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는 본 발명의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가축에 허용되는 곡류 및 그 부산물 등의 공지된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하므로, 중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 펩티드는 페닐알라닌-글리신-류신-류신(FGLL: Phe-Gly-Leu-Leu)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로서 염증 매개 인자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염증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탁월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한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도 1b는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한 MALDI-TOF Mass Spectrometers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펩티드에 의한 NO 생성 억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티드에 의한 세포독성 결과를 보여준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각각 본 발명의 펩티드에 의한 iNOS, IL6, COX-2, G-CSF 및 TNF-α의 mRNA 발현 억제 수준을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펩티드에 의한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수준을 보여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신규한 항염증성 테트라펩티드(FGLL)의 합성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Phe-Gly-Leu-Leu(서열번호 1) 서열을 선정한 후, 하기와 같이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테트라펩티드(FGLL)를 합성하였다: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2-Chloro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BeadTech Cat No. PRSC5055) 7.04 g을 반응기에 넣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100㎖를 가하여 20분간 교반(Swelling) 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100 ㎖를 넣어 5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기에 80 ㎖의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액을 넣고 Fmoc-Leu-OH (GLBio, China) 15 mmole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40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이고,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하고 메탄올과 DIPEA(2:1)를 다이클로로메테인(DCM)에 녹여 30분간 반응시키고 과량의 DMF로 세척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100 ㎖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탈 보호 용액(20%의 피페리딘(Piperidine)/DMF) 80 ㎖를 반응 용기에 넣고 15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제거하였다. 동량의 탈 보호 용액을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을 유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각각 5분씩 DMF로 2회, DCM로 1회 세척하여 H-Phe-CTL Resin을 제조하였다. 새로운 반응기에 110 ㎖의 DMF 용액을 넣고 Fmoc-Leu-OH(GLBio, China) 15 mmole, HOBt 15 mmole 및 HBTU 15 m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녹였다. 반응기에 40 mmole DIPEA를 넣은 후 모든 고체가 녹을 때까지 최소한 5분간 교반하였다. 녹인 아미노산 혼합용액을 탈 보호된 레진이 있는 반응 용기에 넣고 3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DMF 용액으로 3회 5분씩 교반한 후 제거하였다. 반응 레진을 소량 취하여 카이저 테스트(Ninhydrin Test)를 이용하여 반응 정도를 점검하였다. 탈 보호 용액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2번 탈 보호 반응시켜 H-Phe-Gly-CTL Resin을 제조하였다. DMF와 DCM로 충분히 세척하고 다시 한번 카이저 테스트를 수행한 다음 상기와 동일하게 아래의 아미노산 부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거하여 Fmoc-Gly-OH, Fmoc-Phe-OH 순으로 연쇄 반응시켰다. Fmoc-보호기를 탈 보호 용액으로 15분씩 2번 반응시킨 후 잘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제조된 펩티딜 레진을 DMF, DCM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한 뒤 탈루 용액[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95%, 증류수 2.5%, 트리이소프로필실란(Triisopropyl silane) 2.5%] 80 ㎖를 넣은 후 상온에서 2시간 교반 반응을 유지하였다. 필터링을 하여 레진을 거르고, 레진을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500 ㎖의 차가운 에테르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한 후,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모으고, 2번 더 차가운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제거하고 질소 하에서 충분히 건조하고 Prep-HPLC로 정제하고 동결 건조하여 Phe-Gly-Leu-Leu 펩티드를 1.19 g을 수득하였다(수율: 26.75%).
상기 수득된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해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XBridge®(C18, 5 ㎛, 4.6x150 mm) column을 사용하여 이동상 A(0.1% TFA가 첨가된 물)와 이동상 B(0.1% TFA가 첨가된 아세토니트릴)를 사용하고 이동상 A는 100%에서 0%로, 이동상 B는 0%에서 100% 농도로 40분간 분석하여 216 nm 분석파장에서 Retention Time(RT)=15.03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수득된 본 발명의 펩티드에 대해 MALDI-TOF 분자량 측정을 실시한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7.3[M+K](이론값 : 448.27)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신규한 항염증성 테트라펩티드(FGLL)의 NO 생성 억제 및 세포독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펩티드 처리시 NO 생성 억제 수준 및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을 10%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을 포함하는 고 글루코스-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한 후, 1Х105 세포/웰의 세포 수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시료를 농도별로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LPS(Lipopolysaccharide, Sigma) 0.5 ㎍/ml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항염증 활성 평가에 활용하였다.
먼저, 염증 반응 시 생성되는 산화질소(NO)에 대한 억제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NO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시료 처리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된 배지의 상등액을 Griess reagent(Sigma)와 1:1 비율로 각각 100 ㎕씩 혼합하여 15분간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540 nm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NO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를 처리했을 때 탁월하게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최대 약 25% 억제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96-웰 플레이트 내에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WST-8(Biomax)이 5% 포함된 무혈청(Serum free) 배지를 웰 당 각각 100 ㎕씩 넣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 넣어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 및 시료의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를 처리했을 때 세포독성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세포 생존에 도움을 주어 대조군 대비 세포 증식(생존율)을 최대 약 24% 이상 증가시켰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신규한 항염증성 테트라펩티드(FGLL)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들의 mRNA 발현 억제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가 세포 내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상기 펩티드 처리시 염증 유도 효소인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Interleukin 6), 염증성 사이토카인 COX-2(Cyclooxygenase-2), 염증성 사이토카인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을 1X106 세포/웰로 조정하고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를 농도별로 2시간 동안 처리한 뒤, LPS(Lipopolysaccharide, Sigma) 1 ㎍/ml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회수하였다. 배양 세포의 총 RNA는 Wizol reagent(Wizbio solutions)를 사용하였으며, RNase를 제거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졌다. 분리된 총 RNA로 PCR을 수행하기 위한 주형(Template)을 확보하기 위해 cDNA를 합성하였다. Oligo dT Primer(50 μM) 1 ㎕, dNTP Mixture(10 mM each) 1 ㎕, 주형 RNA 1 ㎍를 첨가한 후 RNase free dH2O를 이용해서 총 부피를 13 ㎕로 조정하였다. 이후, 65℃에서 5분간 방치하고 바로 얼음에 넣어 1분간 유지하였다. 생성된 상기 혼합액 13 ㎕와 5 X SSIV buffer 4 ㎕, RNase inhibitor(40 U/㎕) 1 ㎕, SuperScriptTM RTase(200 U/㎕) 1 ㎕, 0.1 M DTT 1 ㎕를 첨가하고 55℃에서 10분, 80℃에서 10분 반응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cDNA를 1/20 희석하고 희석한 cDNA 1 ㎕와 SsoAdvanced Universal SYBR Green Supermix 5 ㎕, 프라이머 각각 5 pmol로 되게 첨가한 후 실시간 유전자 증폭기술(CFX ConnectTM Real-Time System, Bio ra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간 유전자 증폭기의 조작 조건은 95℃에서 30초, 95℃에서 10초, 60℃에서 30초로 40회 반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a 내지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규 펩티드를 처리했을 때,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증가됐던 iNOS(도 4a), IL6(도 4b), COX-2(도 4c), G-CSF(도 4d) 및 TNF-α(도 4e)의 mRNA 발현 수준이, iNOS는 최대 75%, IL6는 최대 70%, COX-2는 최대 50%, G-CSF는 최대 52%, TNF-α는 최대 31%까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가 염증 매개 인자들의 mRNA 발현을 탁월하게 억제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프라이머 서열 (5'-3')
GAPDH 정방향 AACTTTGGCATTGTGGAAGG(서열번호 2)
GAPDH 역방향 GGATGCAGGGATGATGTTCT(서열번호 3)
iNOS 정방향 CTGCTGGTGGTGACAAGCACATTT(서열번호 4)
iNOS 역방향 ATGTCATGAGCAAAGGCGCAGAAC(서열번호 5)
IL6 정방향 TACCACTTCACAAGTCGGAGGC(서열번호 6)
IL6 역방향 CTGCAAGTGCATCATCGTTGTTC(서열번호 7)
COX-2 정방향 ACCAGCAGTTCCAGTATCAGA(서열번호 8)
COX-2 역방향 CAGGAGGATGGAGTTGTTGTAG (서열번호 9)
TNF-a 정방향 GTGGAACTGGCAGAAGAGGC (서열번호 10)
TNF-a 역방향 AGACAGAAGAGCGTGGTGGC (서열번호 11)
G-CSF 정방향 ATCCCGAAGGCTTCCCTGAGTG (서열번호 12)
G-CSF 역방향 AGGAGACCTTGGTAGAGGCAGA (서열번호 13)
실시예 4. 본 발명의 신규한 항염증성 테트라펩티드(FGLL)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의 단백질 발현 억제 확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가 세포 내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펩티드 처리시 염증 유도 효소인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간략하게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에 의한 NO 생성 저해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롯팅을 실시하여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을 5Х106 세포/100 mm cell culture dish에 분주하고,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시켰다. 배양 후, 시료를 농도별로 2시간 동안 처리한 뒤, RAW 264.7 세포에 1 ㎍/ml의 LPS(Lipopolysaccharide, Sigma)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고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 Thermo)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등액을 BCA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 한 후, 10% SDS-PAGE를 시행하고, 전개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전이(Transfer)시켰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5% 탈지유(Skim milk)로 1시간 동안 차단(Blocking)시켰다. 발현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토끼 iNOS(1: 1000) (Cell signaling), COX-2의 발현 양을 검토하기 위한 항체로는 항-토끼 COX-2(1: 10000) (Cell signaling)을 각각 5% 탈지유(Skim milk)으로 희석하여 4℃에서 하룻밤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로는 HRP(Horse 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항-토끼 IgG(Abcam)를 1: 2000으로 희석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ECL 기질(Bio rad)과 1~3분 간 반응 후 iBright FL1000(Thermo Fisher Scientific)을 이용하여 현상 및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를 처리했을 때, LPS(Lipopolysaccharide, Sigma)에 의해 증가됐던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량이 FGLL에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β-Actin의 밴드 밀도(Band density) 비율에 따라 iNOS 단백질 발현을 최대 50%,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단백질 발현을 최대 24% 저해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테트라펩티드(FGLL)가 염증 매개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을 탁월하게 억제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110> Metacare Co., Ltd. Meta Pharm Co., Ltd. <120> Novel Peptide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Metalabs1-10p <160> 1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LL <400> 1 Phe Gly Leu Leu 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primer F <400> 2 aactttggca ttgtggaag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primer R <400> 3 ggatgcaggg atgatgttct 20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primer F <400> 4 ctgctggtgg tgacaagcac attt 24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primer R <400> 5 atgtcatgag caaaggcgca gaac 24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primer F <400> 6 taccacttca caagtcggag gc 22 <210> 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primer R <400> 7 ctgcaagtgc atcatcgttg ttc 23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primer F <400> 8 accagcagtt ccagtatcag a 21 <210> 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primer R <400> 9 caggaggatg gagttgttgt ag 22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 primer F <400> 10 gtggaactgg cagaagag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 primer R <400> 11 agacagaaga gcgtggtggc 20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CSF primer F <400> 12 atcccgaagg cttccctgag tg 22 <210> 1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CSF primer R <400> 13 aggagacctt ggtagaggca ga 22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고;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고;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펩티드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8.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로서,
    상기 펩티드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9.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로서,
    상기 펩티드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L6(Interleukin 6), COX-2(Cyclooxygenase-2),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시키고;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또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KR1020200121403A 2020-09-21 2020-09-21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03A KR102290226B1 (ko) 2020-09-21 2020-09-21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03A KR102290226B1 (ko) 2020-09-21 2020-09-21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226B1 true KR102290226B1 (ko) 2021-08-17

Family

ID=7746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03A KR102290226B1 (ko) 2020-09-21 2020-09-21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2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055A (en) * 1984-12-17 1987-02-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specific inhibitors of virus-specified proteases
KR101247350B1 (ko) 2010-11-15 2013-03-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항염증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용도
KR101257228B1 (ko) 2010-06-16 2013-04-29 주식회사 나이벡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60147293A (ko) * 2015-06-15 2016-12-23 이정복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055A (en) * 1984-12-17 1987-02-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specific inhibitors of virus-specified proteases
KR101257228B1 (ko) 2010-06-16 2013-04-29 주식회사 나이벡 항균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247350B1 (ko) 2010-11-15 2013-03-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항염증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용도
KR20160147293A (ko) * 2015-06-15 2016-12-23 이정복 항노화, 항산화, 또는 항염 효능을 갖는 누에고치 유래의 펩타이드 또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unctional Foods, 35, 376-383 (2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7748B2 (en) Peptide having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environmental pollutant and use thereof
KR101533308B1 (ko) 안지오텐신-i 전환 효소 저해능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57014B1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41748B1 (ko)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59012B1 (ko)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2666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CN105408351B (zh) 破骨细胞分化抑制用肽及其用途
KR101530125B1 (ko) 콜라게나제의 활성 저해 효과를 갖는 굴 가수분해물 유래 신규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EP3613437A1 (en) Methotrexate and peptide binder
KR102290226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0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1069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15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10229020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180132024A (ko)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20049047A (ko) 굴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920052B1 (ko)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430003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인 조포바신-1 및 이의 용도
KR102492395B1 (ko) 호랑나비 유충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인 파필리오신-3 및 이의 용도
KR102470871B1 (ko) 이질바퀴로부터 유래한 페리플라네타신-5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75368B1 (ko) 테레오그릴루신 1 포함하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9795B1 (ko) 애기뿔소똥구리로부터 유래된 코프리신 펩타이드 CopA3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239585A (ja) 冬虫夏草より見出された新規抗酸化活性物質とその利用
KR20180046021A (ko) 네오아가로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9043A (ko) 홍합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