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42B1 -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42B1
KR102546742B1 KR1020210165553A KR20210165553A KR102546742B1 KR 102546742 B1 KR102546742 B1 KR 102546742B1 KR 1020210165553 A KR1020210165553 A KR 1020210165553A KR 20210165553 A KR20210165553 A KR 20210165553A KR 102546742 B1 KR102546742 B1 KR 10254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soluble
polymer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002A (ko
Inventor
박상엽
임혜정
이재영
서민효
이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14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002A/ko
Priority to KR102023007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romakal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1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cinnoline, phthal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5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35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활성 성분과 가용화 담체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키기 위해 발포성분을 사용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Solid formulation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with enhanced disintegration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활성 성분과 가용화 담체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고분자 물질은 경구용 고형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활성 성분의 안정성 개선, 결정형의 무정형화, 용해도 향상, 흡수 개선, 위 체류나 장용성 제제나 대장 전달체와 같은 site specific delivery, 서방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활성 성분의 안정성 개선, 무정형화, 용해도 향상, 흡수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한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고체분산체 등의 형태로 제조하게 된다. 고체분산체는 완제에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이 지연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여 고체분산체를 활용하는 제제에 있어서의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경구용 고형제의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붕해제 및 슈퍼 붕해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체분산체가 함유될 경우에는 작은 분량의 붕해제 및 슈퍼 붕해제를 사용해서는 큰 개선의 효과를 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희석제의 양을 늘이게 되어 전제 제형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환자의 복약편의성과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형의 크기가 커지지 않게 하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이 지연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성분과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 성분과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활성 성분 및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붕해촉진제로서 발포성분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1) 활성 성분 및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에 붕해촉진제로서 발포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과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로 인하여 경구용 고형제의 붕해가 지연되지 않게 할 뿐 아니라, 붕해를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최종 제형의 크기로 인한 환자 불편을 최소화하여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용어의 정의
명시적인 다른 기재가 없는 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 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활성성분"은 약물(별도의 염이 없는 베이스 약물), 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물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해결 수단의 발견
본 발명자들은 경구용 고형제의 붕해를 개선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발포성 물질을 이용할 경우에 최종 제형의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이 지연되지 않아서, 약물의 방출이 지연되지 않으며,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며 제조가 원활하고 중량이 작은 제제를 만들 수 있는 조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생리학적 활성 성분과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에 있어서 붕해, 분산 혹은 용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활성 성분
상기 활성 성분은 약물, 약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물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의약품, 기능성식품, 화장품 등에 있어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유기화합물, 유기금속 화합물, 천연 추출물, 단백질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에 있어서, 고체상 또는 액체상 등의 상온에서의 그 성상, 및 중성 또는 이온성 등의 그 전기적 형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활성 성분은, 예컨대, 생리학적 활성 물질, 그의 염, 이성체, 에스터, 에테르 또는 다른 유도체로서 항암제(anticancer agents),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진통제(analgesics)와 같은 항정신제(psychiatric agents), 마취제(anesthetic agents) 또는 최면제(hypnotics)와 같은 지각 조절제(consciousness level-altering agents),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구충제(anthelminthics), 항여드름제(antiacne agents), 항협심증제(antianginal agents), 항부정맥(antiarrhythmic agents), 천식치료제(anti-asthma agents), 항균제(antibacterial agents), 전립선비대증 치료제(anti-benign prostatic hypertrophy agents), 항응혈제(anticoagulants),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당뇨병 치료제(antidiabetics), 항구토제(antiemetics), 항간질제(antiepileptics), 항통풍제(antigout agents), 항고혈압제(antihypertensive agents), 항염증제(antiinflammatory agents), 항말라리아제(antimalarials), 항편두통제(antimigraine agents), 항무스카린제(antimuscarinic agents), 항종양제(antineoplastic agents), 항비만제(antiobesity agents), 항골다공증제(antiosteoporosis agents), 항파킨슨증후군제(antiparkinsonian agents), 항증식성제(antiproliferative agents), 항원충제(antiprotozoal agents), 항갑상선제(antithyroid agents), 진해제(antitussive agent), 항요실금제(anti-urinary incontinence agents),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s), 항불안제(anxiolytic agents), 식욕억제제(appetite suppressants), 베타차단제(beta-blockers), 심장수축 촉진제(cardiac inotropic agents),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 drugs), 인지향상제(cognition enhancers), 피임제(contraceptives),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corticosteroids), Cox-2 억제제(Cox-2 inhibitors), 이뇨제(diuretics), 발기부전 치료제(erectile dysfunction improvement agents), 거담제(expectorants), 위장제(gastrointestinal agents),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histamine receptor antagonists),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ants), 각질 용해제(keratolytics), 지질 조절제(lipid regulating agents), 류코트리엔 억제제(leukotriene inhibitors), 마크로라이드(macrolides), 근육이완제(muscle relaxants), 신경이완제(neuroleptics), 영양제(nutritional agents), 아편계 진통제(opioid analgesics),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억제제(protease inhibitors), 또는 진정제(sedatives)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활성 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클로르프로마진, 티오리다진, 록사핀, 몰린돈, 클로자핀, 올란자핀, 퀘티아핀, 리스페리돈, 지프라시돈, 플루페나진, 할로페리돌, 페르페나진, 트리플루오페라진, 피모자이드, 아리피프라졸, 프로클로페라진, 티오티센, 팔리페리돈 등과 같은 항정신병 약물;
미르타자핀, 부프로피온, 아목사핀,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시탈오프람, 플루오세틴, 플루보사민, 파로세틴, 세르트랄린, 벤라팍신, 마프로티린, 트라조돈, 네파조돈, 아미트립틸린, 클로미프라민, 데시프라민, 데세핀, 이미프라민, 노르트립틸린, 프로트롭틸린, 트리미프라민 등과 같은 항우울제;
아만타딘, 벤즈트로핀 메실레이트, 카르비도파 및 레보도파, 도네페질, 브로모크립틴, 페르골리드, 프라미페솔, 로피니롤 등과 같은 퇴행성신경질환 약물;
메칠페니데이트, 아토목세틴 등과 같은 항-ADHD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약물;
프레가발린, 라코사마이드, 카르바마제핀, 클로나제팜, 에톡수시미드, 펠바메이트, 가바펜틴, 라모트리긴, 레베티라세탐, 옥사카르바제핀,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프리미돈, 티아가빈, 토피라메이트, 발프로산, 디발프로엑스 나트륨, 조니사미드 등과 같은 항경련제;
알프라졸람, 로라제팜, 옥사제팜, 클로르디아즈에폭사이드, 클로라제페이트, 디아제팜, 할라제팜, 미다졸람, 트리아졸람, 잘레프론, 졸피뎀, 에스타졸람, 테마제팜, 플루라제팜, 쿠아제팜, 메프로바메이트, 페노바르비탈, 클로랄 수화물, 에트클로르비놀, 글루테티미드, 펜토바르비탈, 세코바르비탈 등과 같은 항불안약, 진정제 또는 수면제;
실데나필, 바데나필, 알프로스타딜, 타다라필, 미로데나필, 우데나필 등과 같은 발기 부전 약물;
아자티오프린, 시클로스포린,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시롤리무스, 타크롤리무스 에베로리무스 등과 같은 면역억제제;
독사조신 메실레이트, 프라조신 히드로클로라이드, 테라조신 히드로클로라이드, 베나제프릴, 카프토프릴, 클로니딘 히드로클로라이드, 에나라프릴, 히드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라베탈롤 히드로클로라이드, 로사르탄 칼륨, 메틸도페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미녹시딜, 모엑시프릴, 트란돌라프릴, 칸데사르탄, 이르베사르탄, 로사르탄, 텔미사르탄, 발사르탄, 구아나벤즈 아세테이트, 구아나드렐 술페이트, 구안파신 히드로클로라이드, 레세르핀 등과 같은 항고혈압 약물;
아세부톨올, 아테놀올, 베타솔올, 비소프롤올, 카르테올올, 카르베딜올, 라베탈올, 메토프롤올, 나돌올, 펜부톨올, 핀돌올, 프로프라놀올, 솔탈올, 티몰올 등과 같은 베타-아드레날린 차단 약물;
암로디핀, 베프리딜, 딜티아젬, 펠로디핀, 이스라디핀, 니카르디핀, 니페디핀, 니모디핀, 니솔디핀, 베라파밀 등과 같은 칼슘-채널 차단제;
페노피브레이트, 젬피브로질, 니아신, 아토르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등과 같은 지질저하 약물;
모사프라이드, 이토프라이드, 돔페리돈, 트리메부틴, 메토클로프라마이드, 비사코딜, 디페녹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아트로핀 술페이트, 도쿠세이트 염, 로페라미드, 마그네슘 염, 메토클로프라미드, 우소디올 등과 같은 위장관 운동성 약물;
클로피도그렐 비술페이트, 피토나디온, 티클로피딘, 와르파린 나트륨 등과 같은 응고제 및 항응고제;
리마프로스트, 베라프로스트, 사포그렐레이트와 같은 혈관확장제;
알모트립탄, 에르고타민 타르트레이트, 프로바트립탄, 메티세르자이드 말레에이트, 수마트립탄 숙시네이트, 졸미트립탄 등과 같은 항편두통 약물;
아우라노핀, 아자티오프린, 시클로스포린, 히드록시클로로퀸 술페이트, 레푸노마이드, 메토트렉세이트, 페니실라민, 술파살라진 등과 같은 항류마티스성 약물;
아세타미노펜, 아스피린, 디클로로페낙, 에토돌락, 페노프로펜,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인돌메타신, 케토롤락, 술린닥, 톨메틴, 메클로판나메이트, 메펜나믹산, 나부메톤, 멜록시캄, 피록시캄, 셀레콕시브, 로페콕시브 등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
부프레노르핀, 코데인, 펜타닐,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폰, 라보르파놀, 메페리딘, 모르핀, 옥시코돈, 펜타조신, 프로폭시펜 등과 같은 오피오이드;
트라마돌, 타펜타돌과 같은 비마약성 진통제;
이메티닙, 엘로티닙, 수니티닙, 소라페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다사티닙, 레날리도마이드, 닐로티닙, 크리조티닙, 파조파닙, 반데타닙, 악시티닙, 레고라페닙, 아파티닙, 베무라페닙, 룩솔리티닙, 테모졸로미드, 라도티닙, 에베로리무스, 포말리도마이드, 올라파립, 엔잘루타마이드, 팔보시클립, 오시메티닙, 룩솔리티닙, 이브루티닙, 렌바티닙, 세리티닙, 보수티닙, 카보잔티닙, 다브라페닙, 포나티닙과 같은 항암제;
아미노살리실산 염, 클로파지민, 시클로세린, 에티오나미드, 리파부틴 등과 같은 항-마이코박테륨 약물;
알벤다졸, 이베르메신, 메벤다졸, 프라지쿠안텔 등과 같은 항기생충 약물;
발라시클로비르, 디다노신, 팜시클로비르, 발간시클로비르, 인디나비르, 라미부딘, 넬피나비르 메실레이트, 네비라핀, 리토나비르, 스타부딘, 오셀타미비르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항바이러스성 약물;
아목시실린, 아목시실린 및 칼륨 클라부라네이트, 암피실린, 세푸록심 나트륨, 세푸록심 아세틸, 페니실린 G 및 Y 염, 세프디토렌, 세피심, 클록사실린 나트륨, 디클록사실린 나트륨 등과 같은 베타-락탐;
에리쓰로마이신 에스톨레이트, 에리쓰로마이신 에틸숙시네이트, 에리쓰로마이신 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마크롤라이드 항생물질;
시프로플록사신, 에녹사신 등과 같은 플루오로퀴놀론;
데메클로시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독시시클린 칼슘, 테트라시클린, 테트라시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테트라시클린;
알트레타민, 부술판, 클로람부실, 멜팔란, 시클로포스파미드, 프로카르바진 히드로클로라이드, 테모졸로미드 등과 같은 알킬화제;
메토트렉세이트, 머캅토퓨린, 티오구아닌 등과 같은 항대사물질;
비칼루타미드, 플루타미드, 니루타미드,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아나스트로졸, 엑세메스탄, 레트로졸,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토레미펜 시트레이트 등과 같은 호르몬성 약물 및 길항물질;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유사분열 억제제;
아미오다론 히드로클로라이드, 디곡신, 디소피라미드 포스페이트, 도페틸리드, 플레카이니드 아세테이트, 메실레틴 히드로클로라이드, 모리시자인 히드로클로라이드, 프로카이나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프로파페논 히드로클로라이드, 퀴니딘 술페이트, 퀴니딘 글루코네이트, 소탈롤 히드로클로라이드, 토카이니드 등과 같은 부정맥치료 약물;
이소소르바이드 디니트레이트,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프루시드 나트륨 등과 같은 니트레이트;
아세타졸라미드, 디클로르페나미드, 메타졸라미드 등과 같은 녹내장용 안약 약물;
탄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마갈드레이트 등과 같은 산-펩신 치료용 약물;
비스무트염, 시메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라니티딘, 미소프로스톨, 란소프라졸, 오메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수크랄페이트 등;
부클리진, 시클리진, 디멘히드리네이트, 디펜히드라민, 메클리진, 드로나비놀, 클로르프로마진, 페르페나진, 프로클로르페라진, 프로메타진, 티에틸페라진, 트리플루프로마진, 돌라세트론, 그라니세트론, 온단세트론, 덱사메타손, 라라제팜, 그라니세트론, 라모세트론, 아프레피탄트 등과 같은 진토제;
철염 등과 같은 조혈 약물;
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트리아미시놀론, 베타메타손, 덱사메타손, 플루드로코르티손 등과 같은 아드레날 호르몬;
아카르보스, 메트포르민, 나테글리니드, 레파글리니드, 아세토헥사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톨라자미드, 톨부타미드, 글리메프리드, 글리피지드, 글루부리드,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등과 같은 항당뇨병 약물;
노레틴드론, 노르게스트렐, 레보노르게스트렐 등과 같은 피임약;
에스트라디올 및 그의 에스테르, 에스트로겐, 에스트로피페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미페프리스톤, 노레틴드론 아세테이트, 프로게스테론, 랄옥시펜 등과 같은 여성 성 호르몬;
요오다이드, 레보티록신 나트륨, 리오티로닌 나트륨, 리오트릭스, 메티마졸, 프로필티오우라실 등과 같은 갑상선 및 항갑상선 약물;
아밀로리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부메타니드, 에타크린산, 푸로세미드, 토르세미드,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클로르티아지드, 클로르탈리돈, 인다파미드, 메토라존, 폴리티아지드, 퀸타존, 트리코메티아지드, 스피로노락톤, 트리암테렌 등과 같은 이뇨제;
킬레이트화된 마그네슘, 염화 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칼륨염 등과 같은 전해물질;
알로푸리놀, 콜히친, 프로베네시드, 술핀피라존 등과 같은 통풍 치료 약물;
알부테롤 술페이트, 몬텔루카스트 나트륨, 테오필린, 지레우톤 등과 같은 천식 치료제;
아크리바스틴, 아자타딘, 브로모페니라민 말레에이트, 카르비녹사민 말레에이트, 세티리진 히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에이트, 디펜히드라민 히드로클로라이드, 클레마스틴 푸마레이트, 시프로헤파딘 히드로클로라이드, 펙소페나딘, 히드록시진, 로라타딘, 데스로라타딘 등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덱스트로메토르판 히드로브로마이드, 구아이펜신, 슈도에페드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기침 억제 약물 또는 감기 치료 약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활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고분자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는 가용화 담체로서 사용되는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가리킨다.
'가용화 담체'는 활성 성분의 안정성 개선, 무정형화, 용해도 향상, 흡수 개선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담체 성분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가용화 담체로서 사용되는 고분자는 조성물 총중량 대비 7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의약품, 식품 및/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온에서의 그 성상(예컨대, 액상, 왁스 또는 고체상 등)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젤라틴(gelatin), 카제인(casein), 덱스트란(dextran), 아라비아고무(gum acacia), 트래거캔스 고무(tragacanth),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s), 카복시메틸 셀룰로스(carboxy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스(hydroxy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메틸세룰로오즈(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htha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cetate succinate), 메틸셀룰로스 비결정질 셀룰로스(noncrystalline cellulos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pyrrolidone), 폴록사머(poloxamers),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라이소자임(lysozyme), 알부민(albumin), 폴리아크릴릭에시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고분자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록사머,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활성성분과 고분자를 활용한 완제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완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경구 제제, 특히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의 안정성 개선, 결정형의 무정형화, 용해도 향상, 흡수 개선 등의 목적으로 고분자를 사용하여 완제를 제조하는 경우 완제에서 붕해, 분산, 용출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고분자를 사용하는 방식은 고체분산체를 이용하거나, 과립화 된 형태 혹은 고분자를 직접 혼합하여 완제 내에 존재하게 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어떤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고체분산체의 경우에는 분무 건조나, 용해 후 감압 건조나 침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과립화의 예로는 습식과립, 건식과립 등을 모두 포함한다. 습식과립은 하이스피드 믹서나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할 수 있고, 건식과립은 롤러컴팩터, 익스트루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붕해촉진제 - 발포성분
붕해 특성, 분산 특성, 용출 특성, 수용액 내에서의 용해 유지 특성 등이 완제에서도 유지 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분자들은 점성이 크고 결합력이 강해 완제의 붕해, 분산, 용출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히프로멜로오스(=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나 포비돈(=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은 친수성 고분자로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친수성 고분자와 활성 성분 및 기타 부형제로 이루어진 정제가 물을 만나면 고분자가 수화되어 팽윤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dry core 상태이던 정제에서 glassy layer를 형성한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이 층은 gel layer가 되어 diffusion layer을 형성하고, 이 diffusion layer을 통해 활성 성분 분자가 외부 media로 서서히 방출되는 것이다. 더 시간이 지나면 정제는 장의 연동 운동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정제의 표면에 침식이 일어나는 침식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활성 성분은 방출 지연을 보이게 된다. 이는 2280, 2910과 같은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지연 효과가 크다.
그러나 활성 성분은 대부분의 경우 제형이 체내에서 빠르게 붕해되어 단시간에 최종 용출율에 도달해야 한다. pH가 높아질수록 용해도가 낮아지는 활성 성분의 경우에는 특히 위장관 상부에서 최고 농도를 유지해야 흡수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고분자가 활성 성분의 방출 지연 효과로 오히려 흡수 개선의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정제의 형태로 완제를 만들 경우, 타정에 의해 형성된 정제의 붕해가 고분자에 의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붕해가 이루어지더라도 과립이나 덩어리 형태에서 이루어지는 분산 혹은 용출이 고분자에 의해 지연될 수 있다.
히프로멜로오스와 같은 점도가 높은 친수성의 고분자를 함유한 정제는 물에 닿으면 표면의 고분자가 수화되어 막을 형성하여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막는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붕해제의 사용, 다량의 부형제의 사용 등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붕해제를 사용할 경우, 물을 정제 내부로 끌어들여 모관 작용을 통한 습윤이나, 붕해제 자체의 팽윤에 의한 작용으로 제형의 붕해 및 분산 및 용출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희석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분자들을 서로 분리되게 하여 붕해 지연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붕해제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최종 제형이 수분에 민감하게 되어 안정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희석제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최종 제형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물과 접촉하는 순간 물리적 힘으로 고분자 입자간의 간격을 띄워 주어 gel layer의 형성을 막아 붕해를 촉진하는 설계의 정제 조성을 고안하였다. 이를 위해 발포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pH 조절제 및 제산제로 사용되는 탄산수소나트륨은 산성 용액 내에서 CO2 기체를 생성하며 이 때 생기는 압력 변화로 정제의 부피를 빠르게 팽창시켜, 정제 내부로의 수분의 침투와 붕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액 조건에서 NaHCO3를 포함한 정제 표면의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aHCO3(s) + HCl(aq) → NaCl(aq) + H2O(l)+CO2(g)
발포성을 나타내는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제제에는 발포제 또는 산성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로는 알칼리금속 탄산염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중조), 탄산칼륨 또는 탄산수소칼륨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발포제가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가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발포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다른 성분의 함량 저하로 인하여 제제 제조가 곤란해질 수 있으며, 과도한 발포성능으로 인해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소량의 수분 노출에도 기포가 발생하여 안정성의 저하를 나타낼 수 있다. 발포제는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7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성화제로는 구연산, 호박산, 주석산, 아스코르빈산, 푸마르산, 사과산, 아세틸살리실산 및 니코틴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연 산 또는 주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산성화제가 발포제 100 중량부 대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산성화제를 넣지 않는 경우에는 위산이 그 역할을 하게 되며,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저하되며, 제제의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산성화제를 제형 내에 함께 포함시킬 경우에는 제형이 제조 중이나 보관 중에 공기 중의 수분을 끌어 당길 경우에도 서로 반응을 하여 발포될 수 있으므로, 공정 중이나 보관 중에 수분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경구제의 경우 복용 후 정제가 강한 산성인 위액에 바로 노출되게 되므로, 산성화제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발포제(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만을 첨가제로 적용한 제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라페닙 나노입자에 더해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가적인 구성성분들의 예는 용해 보조제, 희석제, 붕해제, 활택제와 코팅기제를 포함한다.
상기 용해 보조제로는 고분자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기능기로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 with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s a functional group),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co-(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80,000 g/mole일 수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 g/mole 미만이면 수용해도 개선 효과가 낮을 우려가 있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0 g/mole을 초과하면 붕해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상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과립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유드라짓® E PO(에보닉, 독일) 또는 유드라짓® E 100(에보닉, 독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47,000 g/mole일 수 있다.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활성 성분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5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활성 성분의 수용해도 개선 및 생체이용율의 개선 정도가 미미하여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제제(예를 들어, 정제)가 커지게 되어 환자가 복용할 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예를 들어, 유당(무수물 또는 수화물, 예를 들어 일수화물), 셀룰로스 분말,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규화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스타치, 디칼슘 포스페이트,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만니톨, 말티톨, 솔비톨, 자일리톨, 락토스, 덱스트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말토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유당,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의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타치, 유당과 미세결정질 셀룰로스의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희석제는 결합제의 역할을 함께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전체 제제(예: 정제)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1 내지 6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2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희석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타정성이 낮아지게 되는 등 제제로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제제가 커지게 되어 환자가 복용할 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예를 들어,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CrosCMC-N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크로스포비돈(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L-HPC(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전분(밀, 쌀,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전분, 감자 전분의 소디움 글리콜레이트,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CrosCMC-Na)이나 L-HPC(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혹은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전체 제제(예: 정제) 무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2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붕해 속도 지연에 의한 용출 속도 지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타정 장애 등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푸마르산, 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칼슘, 소디움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전분(밀, 쌀,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활석, 고도 분산형(콜로이드형) 실리카,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전체 제제(예: 정제) 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0.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활택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타정 장애 등의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용출 지연이나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코팅기제는 친수성 고분자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및 칼슘염), 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L-HPC(저치환도의 HPC), 폴리비닐알콜, 아크릴산 및 그의 염의 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콜리돈(Kollidon)®VA64, 바스프(BASF)), 폴리코트 아이알(Polycoat IR), 젤라틴, 구아 고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알기네이트, 잔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폴리코트 아이알(Polycoat IR)일 수 있다.
상기 코팅기제는, 코팅전 정제(나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2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7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코팅기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나정의 전체 표면 중 일부가 코팅기제로 덮여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용출 속도의 과도한 지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팅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코팅의 효율성, 활성 성분의 안정성, 외관, 색상, 보호, 유지, 결합, 성능 개선, 제조 공정 개선 등의 부가적인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코팅층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생물학적 불활성 성분은 가소제, 활택제, 착색제, 착향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소포제, 방습제(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소제는 각 코팅층에 사용되는 전체 고분자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예컨대, 0.1 내지 100 중량%), 구체적으로 50 중량% 이하(예컨대, 0.1 내지 5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30 중량% 이하(예컨대,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아세틴,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및 세토스테아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활택제는 각 코팅층에 사용되는 전체 고분자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예컨대,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푸마르산, 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칼슘, 소디움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전분(밀, 쌀,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활석, 고도 분산형(콜로이드형) 실리카,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제나 캡슐에 있어서 정제나 캡슐의 물리적인 특성, 제조성, 압축성, 외관, 기호, 약물의 안정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안정화제, 가용화제, 감미제, 교미제, 안료, 습윤제, 충전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활택제, 가용화제, 완충제, 감미제, 흡착제, 교미제, 결합제, 현탁화제, 경화제, 항산화제, 광택제, 착향제, 향미제, 안료, 코팅제, 습윤제, 습윤 조정제, 충전제, 소포제, 청량화제, 저작제, 정전 방지제, 착색제, 당의제, 등장화제, 연화제, 유화제, 점착제, 점증제, 발포제, pH조절제, 부형제, 분산제, 붕해제, 방수제, 방부제, 보존제, 용해 보조제, 용제, 유동화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고체분산체 제조: 타크로리무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0.5g과 타크로리무스 0.5g을 에탄올 35g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믹서를 이용하여 약 300μm 이하로 분쇄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고체분산체 제조: 타크로리무스
2.5g의 HPMC 2910 및 34.375g의 물을 정량하여 혼합하고, 거품이 일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0.5g의 타크로리무스 및 51.5625g의 에탄올을 정량한 후 혼합 및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타크로리무스 용액 및 상기 HPMC 수용액을 넣어 균질하게 혼합한 후 0.825g의 탈크를 정량하여 첨가 및 침전이 생기지 않도록 계속 교반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유동층 코팅기(GPCG1, GLATT)의 프로세스 에어(process air)를 44℃/0.17바(bar)로 맞춘 후 가온시켜 프로덕트 챔버 내의 온도를 29-30℃로 유지하였다. 유동층 코팅기에 10g의 미세결정 셀룰로오스(cp-102)를 넣고 상기 코팅액을 분사 공기 속도 0.65ml/분으로 하여 프로덕트 챔버 내로 분사시켰다. 코팅이 진행됨에 따라 프로세스 에어 압력을 0.17바에서 0.25바까지 단계적으로 올리며 분사하였다. 이후 약 30분간 추가 건조하여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고체분산체 제조: 페노피브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Macrogol 6000, Sanyo chemical industries, 일본) 20g과 폴록사머 188(Lutrol F68, BASF, 독일) 40g을 비커에 넣고 약 90℃로 가열하여 녹이며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완전히 용융된 후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2910(Pharmacoat 606, ShinEtsu, 일본) 20g을 앞의 용융액에 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여기에 페노피브레이트 20g을 넣고 교반하며 용융하였다. 완전히 용융, 혼합된 후 4시간 동안 별도의 용기에 넓게 펼쳐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완전히 굳은 덩어리를 적당한 크기로 부수고, 이를 800μm stainless steel sieve가 장착된 ERWEKA AR402(ERWE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미립자로 분쇄하여 고체분산체를 얻었다.
제조예 4. 고체분산체 제조: 페노피브레이트
HPMC(2910 series, ShinEtsu Chemical., 이하 동일) 10g을 물 90g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10% w/w 용액을 제조하였다. 페노피브레이트 2g을 에탄올 200g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두 용액을 다시 혼합하고 교반하여 침전이 없는 용액을 만들었다. 페노피브레이트와 HPMC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5(페노피브레이트 중량:HPMC 중량)였다.
위의 용액을 BUCHI사의 노즐식 분무건조기(Mini spray dryer B-290, Buchi)에서 주입공기 온도 90℃, 주입량 3mL/min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비교적 구형의 평균 입자크기 50μm의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미립구를 얻었다.
제조예 5. 고체분산체 제조: 페노피브레이트
HPMC 450g을 물 2550g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15% w/w 용액을 만들었다. 페노피브레이트 90g을 에탄올 5500g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두 용액을 다시 혼합하고 교반하여 침전이 없는 용액을 만들었다. 페노피브레이트와 HPMC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5 였다.
위의 용액을 아토마이져식 분무건조기(DJE-003R, 동진기연)에서 분무온도 110℃, 주입량 45mL/min, 아토마이져 속도 3,500rpm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비교적 구형의 50μm 크기의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미립구를 얻었다.
제조예 6. 고체분산체 제조: 심바스타틴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제조예 2와 같은 방식으로 혼합하여 노란 빛을 띠는 맑은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기포가 사라지도록 방치하였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1
위의 용액을 아토마이져식 분무건조기에서 분무온도 100℃, 주입량 45mL/min, 아토마이져 속도 3,500rpm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고체분산체 형태의 비교적 구형의 50μm 크기의 심바스타틴 미립구를 얻었다.
제조예 7. 고체분산체 제조: 칸데살탄
하기 표 2과 같은 조성비로 제조예 2와 같은 방식으로 혼합하여 노란 빛을 띠는 맑은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기포가 사라지도록 방치하였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2
위의 용액을 아토마이져식 분무건조기에서 분무온도 100℃, 주입량 45mL/min, 아토마이져 속도 3,500rpm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고체분산체 형태의 비교적 구형의 칸데살탄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는 고체분산체 형태로 50μ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8. 고체분산체 제조: 타크로리무스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비로 제조예 2와 같은 방식으로 혼합하여 노란 빛을 띠는 맑은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기포가 사라지도록 방치하였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3
위의 용액을 아토마이져식 분무건조기에서 분무온도 100℃, 주입량 45mL/min, 아토마이져 속도 3,500rpm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고체분산체 형태의 비교적 구형의 타크로리무스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는 50μ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9. 고체분산체 제조: 세레콕시브
HPMC 6g을 물 60g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10% w/w 용액을 만들었다. 세레콕시브 2g과 폴록사머 188 2g을 에탄올 200g에 넣어 40~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두 용액을 다시 혼합하고 교반하여 침전이 없는 용액을 만들었다. 세레콕시브:HPMC:폴록사머 188의 비율은 1:3:1 이었다.
위의 용액을 GLATT사 노즐식 분무건조기(Mini Glatt)에서 주입공기 온도 65~75℃, 주입량 1~3mL/min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세레콕시브 함유 고체분산체 미립자를 얻었다.
제조예 10. 고체분산체 제조: 세레콕시브
PVP K30 2g, 폴록사머 407 2g을 에탄올 60mL이 담긴 비이커에 넣고 40~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세레콕시브 2g을 추가로 넣어 투명하게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레콕시브:PVP K30:폴록사머 407의 비율은 1:1:1 이었다.
위의 용액을 GLATT사 노즐식 분무건조기(Mini Glatt)에서 주입공기 온도 55~65℃, 주입량 1~3mL/min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세레콕시브 함유 고체분산체 미립자를 얻었다.
제조예 11. 고체분산체 제조: 세레콕시브
HPC-SSL 2g, 폴록사머 407 2g을 에탄올 60mL이 담긴 비이커에 넣고 40~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세레콕시브 2g을 추가로 넣어 투명하게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레콕시브:HPC-SSL:폴록사머 407의 비율은 1:1:1 이었다.
위의 용액을 GLATT사 노즐식 분무건조기(Mini Glatt)에서 주입공기 온도 65℃, 주입량 1~3mL/min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세레콕시브 함유 고체분산체 미립자를 얻었다.
제조예 12. 고체분산체 제조: 세레콕시브
HPC-SL 240g, PVP K 30 240g, 폴록사머 407 480g을 에탄올 14.4L이 담긴 용기에 넣고 40~5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세레콕시브 480g을 추가로 넣어 투명하게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레콕시브:HPC-SL:PVP K30:폴록사머 407의 비율은 1:0.5:0.5:1 이었다.
위의 용액을 아토마이져식 분무건조기에서 주입공기 온도 55~65℃, 주입량 20~100mL/min, 아토마이져 속도 3,500~4,500rpm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였다.
제조예 13. 고체 분산체 제조: 이매티닙
구연산 0.30g을 정제수 50ml에 완전히 녹인 후, 이매티닙 유리염기 2g을 가하여 녹였다. 폴리비닐피롤리돈 K25(Kollidon®25, BASF, 독일) 0.25g을 에탄올 50ml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 용액에 가하여 교반하여 투명한 액체가 되도록 하였다.
완전히 용해 및 혼합된 용액을 GLATT사 노즐식 분무건조기(Mini Glatt) 에서 주입공기 온도 65~75℃, 주입량 1~3mL/min 조건으로 분무 건조시켜 이매티닙 함유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4. 고체 분산체 제조: 소라페닙
소라페닙 토실레이트(결정형 Ⅲ형) 2.67 g과 Eudragit E 100 5.34 g을 150ml의 EtOH에 녹인 후(37℃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소라페닙 토실레이트와 Eudragit E의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수율은 65%였다.
제조예 15. 고체 분산체 제조: 소라페닙
소라페닙 토실레이트 III형 7.2g, 히프로멜로오스 1.8g, 포비돈 0.7g, 폴록사머 0.2g를 혼합하여 제조한 고체분산체에 유드라짓 E 2.9g을 혼합하고 체과하여 소라페닙 고체분산체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16. 고체 분산체 제조: 수니티닙
수니티닙 유리염기 4g, 히프로멜로오스 8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8:2)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7. 고체 분산체 제조: 다사티닙
다사티닙 무수물 6.2g, 히프로멜로오스 12.4g, 트윈 80(Tween 80) 0.62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8. 고체 분산체 제조: 파조파닙
파조파닙 염산염 10g, 히프로멜로오스 10g, 트윈 80(Tween 80) 1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9. 고체 분산체 제조: 라파티닙
라파티닙 디토실레이트 10g, 히프로멜로오스 10g, 트윈 80(Tween 80) 1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0. 고체 분산체 제조: 악시티닙
악시티닙 3g, 히프로멜로오스 4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1. 고체 분산체 제조: 카보잔티닙
카보잔티닙 말산염 3g, 히프로멜로오스 3g 트윈 80(Tween 80) 1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2. 고체 분산체 제조: 포나티닙
포나티닙 3g, 히프로멜로오스 6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수율은 62%였다.
제조예 23. 고체 분산체 제조: 반데타닙
반데타닙 3.5g, 히프로멜로오스 3.5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8:2)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4. 고체 분산체 제조: 닐로티닙
닐로티닙 염산염 3g, 히프로멜로오스 6g, 트윈 80(Tween 80) 0.5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7:3)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5. 고체 분산체 제조: 에베로리무스
에베로리무스 3g, 히프로멜로오스 9g을 에탄올과 물 (에탄올:물=8:2) 혼합 용매에 녹인 후,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증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벽면에 형성된 고체분산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5에서 얻은 고체분산체 혼합물 12.8g, 만니톨 3.4g, 전분글리콜산나트륨 0.8g, 탄산수소나트륨 1.3g을 체과하여 혼합한 후, 이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g을 체과하여 넣어 최종 혼합을 하였다. 이 혼합물을 1정당 350.0mg 중량을 기준으로 11mm 원형 펀치(punch)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5에서 얻은 고체분산체 혼합물 12.9g, 만니톨 2.0g, 전분글리콜산나트륨 0.8g, 탄산수소나트륨 2.6g을 체과하여 혼합한 후, 이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g을 체과하여 넣어 최종 혼합을 하였다. 이 혼합물을 1정당 350.0mg 중량을 기준으로 11mm 원형 펀치(punch)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15에서 얻은 고체분산체 혼합물 12.9g, 만니톨 1.5g, 전분글리콜산나트륨 0.8g, 탄산수소나트륨 3.2g을 체과하여 혼합한 후, 이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g을 체과하여 넣어 최종 혼합을 하였다. 이 혼합물을 1정당 350.0mg 중량을 기준으로 11mm 원형 펀치(punch)로 타정하였다.
실시예 4
제조예 15에서 얻은 고체분산체 혼합물 12.9g, 만니톨 1.0g, 전분글리콜산나트륨 0.8g, 탄산수소나트륨 3.7g을 체과하여 혼합한 후, 이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1g을 체과하여 넣어 최종 혼합을 하였다. 이 혼합물을 1정당 350.0mg 중량을 기준으로 11mm 원형 펀치(punch)로 타정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비율별 실시예 조성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4
실시예 5~14
제조예 16~25에서 얻은 고체분산체 1.8g, 만니톨 1g, 전분글리콜산나트륨 0.3g, 탄산수소나트륨 1g을 체과하여 혼합한 후, 이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05g을 체과하여 넣어 각각을 최종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1정당 200.0mg 중량을 기준으로 8.5mm 원형 펀치(punch)로 수동 타정하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각 정제 내 성분별 조성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5
시험예 1: 정제의 물성 측정
[마손도 측정]
마손도는 미국 약전 1216 Tablet Friability 항목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정제 10정에 대해 랩파인 마손율 시험기(friability tes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측정 시간= 4분).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6
[붕해 시험]
대한약전 제 10 개정의 붕해 시험법에 따라 각 실시예에 대해 n=3로 pH 1.2 용액에서 붕해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36991118-pat00007

Claims (13)

  1.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로서,
    활성 성분 및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붕해촉진제로서 발포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발포성분이 발포제만 포함하고 산성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활성 성분이 소라페닙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고,
    상기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가 히프로멜로스 및 유드라짓 E의 조합이고,
    상기 활성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조성물 총중량 대비 1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발포제를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고체분산체 형태인,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용해보조제로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6. (1) 활성 성분 및 가용화 담체로서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에 붕해촉진제로서 발포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발포성분이 발포제만 포함하고 산성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고,
    상기 활성 성분이 소라페닙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고,
    상기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가 히프로멜로스 및 유드라짓 E의 조합이고,
    상기 활성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를 조성물 총중량 대비 1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발포제를 수용성 또는 위용성 고분자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65553A 2017-10-31 2021-11-26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247A KR20230093401A (ko) 2017-10-31 2023-06-19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139 2017-10-31
KR20170144139 2017-10-31
KR1020180130400A KR102333609B1 (ko) 2017-10-31 2018-10-30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400A Division KR102333609B1 (ko) 2017-10-31 2018-10-30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247A Division KR20230093401A (ko) 2017-10-31 2023-06-19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002A KR20210149002A (ko) 2021-12-08
KR102546742B1 true KR102546742B1 (ko) 2023-06-23

Family

ID=663321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400A KR102333609B1 (ko) 2017-10-31 2018-10-30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10165553A KR102546742B1 (ko) 2017-10-31 2021-11-26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30078247A KR20230093401A (ko) 2017-10-31 2023-06-19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400A KR102333609B1 (ko) 2017-10-31 2018-10-30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247A KR20230093401A (ko) 2017-10-31 2023-06-19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80610B2 (ko)
EP (1) EP3705118B1 (ko)
JP (2) JP7458317B2 (ko)
KR (3) KR102333609B1 (ko)
WO (1) WO2019088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12258A1 (en) 2020-01-31 2022-09-29 Nanocopoeia, Llc Amorphous nilotinib microparticles and uses thereof
EP4142699A1 (en) 2020-04-30 2023-03-08 Nanocopoeia LLC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mprising amorphous solid dispersion of nilotinib
IT202000027678A1 (it) * 2020-11-18 2022-05-18 Indena Spa Dispersioni solide amorfe di cabozantinib-(s)-malato e processi per la loro preparazione
CA3202761A1 (en) * 2020-11-25 2022-06-02 Nanocopoeia, Llc Amorphous cabozantinib particles and uses thereof
EP4032529A4 (en) * 2020-12-07 2022-11-16 Tianjin Creatron Biotechnology Co., Ltd. SORAFENIB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HIGH BIOAVAILABILITY AND USE THEREOF
US11590122B2 (en) * 2021-02-19 2023-02-28 Slayback Pharma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cabozantinib
CN113069418A (zh) * 2021-04-21 2021-07-06 海南通用三洋药业有限公司 一种阿莫西林颗粒的制备方法
CN114306271B (zh) * 2021-11-24 2023-04-07 石药集团中奇制药技术(石家庄)有限公司 一种仑伐替尼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6370B (en) 1996-12-25 2002-05-11 Yamanouchi Pharma Co Ltd Rapidly disintegr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02069932A1 (fr) 2001-03-05 2002-09-12 Nippon Shinyaku Co., Ltd. Compositions moussantes
KR100522239B1 (ko) * 2002-07-16 2005-10-18 주식회사 서울제약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하는 제어방출성의 경구용 제제
JP2009514884A (ja) 2005-11-04 2009-04-09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難溶性医薬活性剤の投与のためのカルボキシアルキルセルロースエステル
KR101381999B1 (ko) 2007-07-06 2014-04-14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위염 치료제의 효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가용화 위체류시스템 매트릭스 제제
AU2009224418B2 (en) 2008-03-11 2014-12-11 Aska Pharmaceutical Co., Ltd. Solid dispers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both
KR101071502B1 (ko) 2008-06-18 2011-10-10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을 포함하는 발포성 속붕해정
WO2010064100A1 (en) * 2008-12-04 2010-06-10 Intec Pharma Ltd. Baclofen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US20110071169A1 (en) * 2009-08-26 2011-03-24 Mai De Ltd Preparation of polymorphic form of lapatinib ditosylate
KR101257919B1 (ko) 2011-07-14 2013-04-30 주식회사 바이오파마티스 콜린 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19251A (zh) 2011-07-19 2012-01-18 淄博职业学院 阿司匹林双嘧达莫胃内漂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30068291A (ko) *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이매티닙 유리염기를 포함하는 고체분산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401A (ko) 2023-06-27
EP3705118A1 (en) 2020-09-09
JP7458317B2 (ja) 2024-03-29
KR20190049543A (ko) 2019-05-09
US11980610B2 (en) 2024-05-14
JP2022153652A (ja) 2022-10-12
EP3705118A4 (en) 2021-08-18
WO2019088669A1 (ko) 2019-05-09
EP3705118B1 (en) 2024-02-14
US20200261426A1 (en) 2020-08-20
JP2021501166A (ja) 2021-01-14
KR20210149002A (ko) 2021-12-08
KR102333609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742B1 (ko) 붕해가 개선된 경구용 고형 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82789B (zh) 控釋藥物組合物及其製備方法
US9526789B2 (en) Highly robust fast-disintegrating table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54803B2 (ja) 膣投与のための迅速溶解性錠剤組成物
DK2588086T3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4-AMINO-5-FLUORO-3- [6- (4-METHYLPIPERAZIN-1-YL) -1H-BENZIMIDAZOL-2-YL] -1H-QUINOLIN-2-ON-LACTATE MONOHYDRATE
KR101317592B1 (ko) 프레가발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비닐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위체류형 서방성 제제
US11839684B2 (en) Mucoadhes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A2686964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the production of rapidly disintegrating tablets
CA2501345A1 (en) Gastro-retentive levodopa delivery form
CA3114751A1 (en) Porous silica particle composition
JP6098634B2 (ja) 速崩壊性錠剤
TW201609195A (zh) 固體抗病毒劑型
TWI673069B (zh) 超高速崩解錠劑及其製造方法
JP4965096B2 (ja) 圧縮成型製剤
KR102220130B1 (ko) 유효 성분 조합물의 변형 방출을 위한 모놀리식 투여형
JP2006160627A (ja) 時限放出化方法
JP2006160626A (ja) 徐放化方法
JP6150564B2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
WO2003075918A1 (fr) Comprime contenant du chlorhydrate de pilsicainide (voie hum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