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863B1 -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863B1
KR102545863B1 KR1020177031419A KR20177031419A KR102545863B1 KR 102545863 B1 KR102545863 B1 KR 102545863B1 KR 1020177031419 A KR1020177031419 A KR 1020177031419A KR 20177031419 A KR20177031419 A KR 20177031419A KR 102545863 B1 KR102545863 B1 KR 10254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bacteria
liquid medium
cultur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888A (ko
Inventor
다카노리 에구치
야스유키 모리시타
유키 츠카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디에스 바이오텍크
Publication of KR20170135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3/00Spore forming or isola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085Bacillus cere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09Bacillus circul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0Bacillus licheniform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1Bacillus mega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Bacillus polymyxa ; Paenibacillus polymyx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바실루스속 세균을, C/N 비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의 중량비) 가 4 보다 크고 9.5 미만인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SPORULATION METHOD OF BACILLUS BACTERIUM}
본 발명은,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실루스속 세균은 효소나 유용 물질의 생산, 발효 식품의 생산, 유기물의 분해, 미생물 농약이나 미생물 비료 등, 여러 가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 농약, 미생물 비료 등의 이용 상황에서는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균주라고 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아포를 형성할 수 없으면 제품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바실루스속 세균의 액체 배양에 자주 사용되는 배지로서, 영양 배지 (Nutrient Broth) (DIFCO), 루리아 베르타니 배지 (Luria Bertani broth), 트립티케이스 소이 배지 (Trypticase Soy Broth) (벡턴·디킨슨)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배지에서는 충분한 증식성이 얻어지지 않아, 거의 아포 형성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증식 후에 용존 산소 농도를 저하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양을 실시함으로써 아포 형성시키는 방법이 나타나 있지만, 어떤 종류의 바실루스속 세균에 있어서는, 동일한 수법을 사용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아포를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 본 방법에서는 배양 공정에 있어서 교반이나 통기 조건의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번잡해질 수 있다.
특허문헌 2 에 있어서, 탄소원을 모두 소비한 후에 장시간 배양을 계속함으로써 아포 형성시키는 방법이 나타나 있지만, 배양이 장기화되기 때문에 배양 비용이 높아져, 실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또, 어떤 종류의 바실루스속 세균에 있어서는, 동일한 수법을 사용하더라도 아포를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문헌 3 에 있어서, 배양액의 인산염 농도의 범위 및 배양 조건으로서 산소 공급량, 교반 속도의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아포를 생산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지만, 어떤 종류의 바실루스속 세균에 있어서는, 동일한 수법을 사용하더라도 효율적으로 아포를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 실시에 있어서는, 규정되는 배양 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배양 설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362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175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5542호
본 발명은, 일반적인 세균용 액체 배지에서는 아포 형성이 곤란한 바실루스속 세균에 대해, 효율적으로 아포를 생산할 수 있는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일반적인 세균용 액체 배지를 사용한 배양에 있어서 아포의 생산 효율이 충분하지 않은 바실루스속 세균에 대해서도, 효율적으로 균체를 증식시키고, 또한 아포를 형성시키는 데에 적합한 액체 배지 조성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바실루스속 세균을, C/N 비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의 중량비) 가 4.0 보다 크고 9.5 미만인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2]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C/N 비가 4.5 이상 9.5 미만인, [1] 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3]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C/N 비가 4.5 이상 7.5 이하인, [1] 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4]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C/N 비가 6.0 이상 7.5 이하인, [1] 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5]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탄소 함량이 50 g/ℓ 이하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6]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탄소 함량이 25 g/ℓ 이하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7]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칼륨 함량이 2.0 g/ℓ 미만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8]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칼륨 함량이 1.9 g/ℓ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9] 액체 배지에 포함되는 탄소원 및 질소원은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 (異化) 할 수 있는 탄소원 및 질소원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10]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탄소원은, 전분,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글리세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이노시톨,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자일리톨, 알코올, 유기산, 유기산염, 및 알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탄소원이고,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질소원은, 대두 유래 성분, 효모 유래 성분, 콘 유래 성분, 동식물 단백질 및 그 분해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암모니아,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글루타민산나트륨, 우레아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질소원인, [9] 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11] 바실루스속 세균이,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바실루스·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루스·푸밀루스 (Bacillus pumilus), 바실루스·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바실루스·투린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루스·포필리에 (Bacillus popilliae), 바실루스·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바실루스·리케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루스·피르무스 (Bacillus firmus), 바실루스·벨레젠시스 (Bacillus velezensis), 바실루스·스테아로써모필루스 (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루스·피치노티 (Bacillus pichinotyi), 바실루스·아시도칼다리우스 (Bacillus acidocaldarius), 바실루스·알카로필러스 (Bacillus alcalophilus), 바실루스·알칼리콜라 (Bacillus alkalicola), 바실루스·코아굴란스 (Bacillus coagulans), 바실루스·아조토포르만스 (Bacillus azotoformans), 바실루스·안트라시스 (Bacillus anthracis), 바실루스·시아멘시스 (Bacillus siamensis), 바실루스·바디우스 (Bacillus badius), 바실루스·바타비엔시스 (Bacillus bataviensis), 바실루스·브레비스 (Bacillus brevis), 바실루스·시클로헵타니쿠스 (Bacillus cycloheptanicus), 바실루스·서큘란스 (Bacillus circulans), 바실루스·아네우리니리티커스 (Bacillus aneurinilyticus), 바실루스·미굴라너스 (Bacillus migulanus), 바실루스·아비살리스 (Bacillus abyssalis), 바실루스·에스투아리 (Bacillus aestuarii), 바실루스·폴리믹사 (Bacillus polymyxa), 또는 바실루스·에스피 (Bacillus sp .) 인,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12] 바실루스속 세균이, 바실루스·시아멘시스 (Bacillus siamensis),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또는 바실루스·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인,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바실루스속 세균의 안정적인 증식, 아포 형성이 보여지고, 더욱 고농도로 증식시켜, 높은 비율로 아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실루스속 세균으로는 바실루스속으로 분류되는 세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바실루스·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바실루스·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루스·푸밀루스 (Bacillus pumilus), 바실루스·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바실루스·투린기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루스·포필리에 (Bacillus popilliae), 바실루스·세레우스 (Bacillus cereus), 바실루스·리케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루스·피르무스 (Bacillus firmus), 바실루스·벨레젠시스 (Bacillus velezensis), 바실루스·스테아로써모필루스 (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루스·피치노티 (Bacillus pichinotyi), 바실루스·아시도칼다리우스 (Bacillus acidocaldarius), 바실루스·알카로필러스 (Bacillus alcalophilus), 바실루스·알칼리콜라 (Bacillus alkalicola), 바실루스·코아굴란스 (Bacillus coagulans), 바실루스·아조토포르만스 (Bacillus azotoformans), 바실루스·안트라시스 (Bacillus anthracis), 바실루스·시아멘시스 (Bacillus siamensis), 바실루스·바디우스 (Bacillus badius), 바실루스·바타비엔시스 (Bacillus bataviensis), 바실루스·브레비스 (Bacillus brevis), 바실루스·시클로헵타니쿠스 (Bacillus cycloheptanicus), 바실루스·서큘란스 (Bacillus circulans), 바실루스·아네우리니리티커스 (Bacillus aneurinilyticus), 바실루스·미굴라너스 (Bacillus migulanus), 바실루스·아비살리스 (Bacillus abyssalis), 바실루스·에스투아리 (Bacillus aestuarii), 바실루스·폴리믹사 (Bacillus polymyxa), 또는 바실루스·에스피 (Bacillus sp .) 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바실루스·시아멘시스 (Bacillus siamensis) 또는 바실루스·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에는 C/N 비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의 중량비) 가 4.0 보다 크고 9.5 미만인 액체 배지를 사용한다. 여기에서, C/N 비는 4.5 이상 9.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상 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N 비는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C/N 비 =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탄소 함량의 합계 ÷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질소 함량의 합계.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액체 배지에 있어서는, 탄소 함량이 50 g/ℓ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ℓ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탄소 함량은 3 g/ℓ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탄소원 및 질소원은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화 가능한 탄소원으로서,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당 (전분,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글리세롤, 아라비노오스, 리보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이노시톨,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자일리톨 등), 알코올, 유기산, 유기산염, 알칸 또는 다른 일반적인 탄소원이 예시되고, 이화 가능한 질소원으로서, 대두 유래 성분, 효모 유래 성분, 콘 유래 성분, 동식물 단백질 및 그 분해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암모니아,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글루타민산나트륨, 우레아 등이 예시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액체 배지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고아포화율을 달성하기 위해, 칼륨 함량이 2 g/ℓ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9 g/ℓ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칼륨 함량은 0.2 g/ℓ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의 공급원으로서, 예를 들어, 대두 유래 성분, 효모 유래 성분, 콘 유래 성분, 동식물 단백질 및 그 분해물, KH2PO4, K2HPO4, KCl 등에서 적어도 1 종류 이상을 선택하여 배양을 실시한다.
그 밖의 배지 성분으로는, 아포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바실루스속 세균의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량 금속염 등의 배지 성분을 첨가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배양 조건으로는, 통상적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액체 배양에 사용되는 조건이면 되는데, 예를 들어, 20 ∼ 40 ℃ 에서, 호기 조건 (예를 들어, 산소 농도 15 ∼ 50 %) 에서, 교반하면서, 10 ∼ 100 시간 배양하는 조건이 예시된다. 배지의 pH 는 6.5 ∼ 8.5 가 바람직하고, 7.0 ∼ 8.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N 비의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기 전에, 전배양을 실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높은 아포화율 (예를 들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의 바실루스속 세균의 균체가 얻어진다. 이러한 높은 아포화율의 바실루스속 세균의 균체는, 적절히 배지의 농축 또는 제거, 건조 등의 조작을 실시한 다음에, 원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5720 주의 평가>
500 ㎖ 삼각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표 1 에 기재된 종농도가 되도록, 글루코오스 (와코 순약), 탈지 대두 분말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 효모 엑기스 (Difco), CSL (Corn Steep Liquor : ROQUETTE), 펩톤 (Difco), KH2PO4 (와코 순약) 를 함유하고, 또한 MnCl2 (와코 순약) 를 100 ppm, NaCl (와코 순약) 을 400 ppm, MgCl2 (와코 순약) 를 250 ppm, CaCl2 (와코 순약) 를 75 ppm, FeSO4 (와코 순약) 를 0.3 ppm 함유시킨 배지를 각각 100 ㎖ 씩 제작하고, 실리콘 마개를 끼워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실시하였다 (글루코오스는 메일라드 반응을 피하기 위해, 별도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혼합하였다).
먼저, 보통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생육시킨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5720 주의 콜로니로부터 1 백금이를 취하여, 표 1 의 배지 조건 1 에 기재된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하룻밤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전배양액을 얻었다.
얻어진 전배양액으로부터 3 ㎖ 를, 표 1 에 기재된 각종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40 시간 ∼ 72 시간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 후, 광학 현미경 및 세균용 셀 카운터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균체 농도 및 균체의 아포화율을 계측하였다.
균체 농도, 아포 농도, 아포화율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배양액 중에 증식된 바실루스·심플렉스균을 멸균수, 0.01 % Tween 20 액 등으로 희석한 후에, 균체 농도 (영양 세포 및 아포), 아포 농도를 세균용 셀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하였다. 아포화율은 아포 농도 ÷ 균체 농도로 산출하였다.
C/N 비는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의 중량비로부터 산출하였다.
C/N 비 =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탄소 함량의 합계 ÷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질소 함량의 합계.
각 배지 성분의 탄소 함량의 측정은, 산 중에서 가수분해한 후 소모기법으로 환원당 농도를 정량 후, 전체 당량 (糖量) 에 0.4 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각 배지 성분의 질소 함량의 측정은, 켈달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배지 성분에 포함되는 칼륨 함량의 측정은, 원자 흡광 광도법 (측정 파장 766.5 ㎚) 에 의해 실시하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1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C/N 비가 9.5 이상의 조건에 있어서, 균체의 증식은 보이지만, 아포화율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한편, C/N 비가 4.0 이하의 조건에 있어서, 균체의 증식은 보이지만, 아포화율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또, 칼륨 함량은 0.2 ∼ 1.9 g/ℓ 의 범위가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2
실시예 2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04473 주의 평가>
500 ㎖ 삼각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표 3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 3 의 종농도가 되도록, 글루코오스 (와코 순약), 탈지 대두 분말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 효모 엑기스 (Difco), CSL (ROQUETTE), 펩톤 (Difco), KH2PO4 (와코 순약) 를 함유하고, 또한 각각 MnCl2 (와코 순약) 를 100 ppm, NaCl (와코 순약) 을 400 ppm, MgCl2 (와코 순약) 를 250 ppm, CaCl2 (와코 순약) 를 75 ppm, FeSO4 (와코 순약) 를 0.3 ppm 함유시킨 배지를 각각 100 ㎖ 씩 제작하고, 실리콘 마개를 끼워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실시하였다 (글루코오스는 메일라드 반응을 피하기 위해, 별도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혼합하였다).
보통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생육시킨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04473 주의 콜로니로부터 1 백금이를 취하여, 표 3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에 기재된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하룻밤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전배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04473 주의 전배양액으로부터 각각 3 ㎖ 를, 표 3 에 기재된 각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40 시간 ∼ 72 시간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 후, 광학 현미경 및 세균용 셀 카운터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균체 농도 및 균체의 아포화율을 계측하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3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NBRC104473 주에 대해서도 실시예 1 과 동일한 경향이 보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4
실시예 3
<대용량 배양계에서의 평가>
5 ℓ 용 배양조를 사용하여, 표 5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 3 의 종농도가 되도록, 글루코오스 (와코 순약), 탈지 대두 분말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 효모 엑기스 (Difco), CSL (ROQUETTE), 펩톤 (Difco), KH2PO4 (와코 순약) 를 함유하고, 또한 각각 MnCl2 (와코 순약) 를 100 ppm, NaCl (와코 순약) 을 400 ppm, MgCl2 (와코 순약) 를 250 ppm, CaCl2 (와코 순약) 를 75 ppm, FeSO4 (와코 순약) 를 0.3 ppm 함유시킨 배지를 각각 2,000 ㎖ 씩 제작하고,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실시하였다 (글루코오스는 메일라드 반응을 피하기 위해, 별도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혼합하였다).
보통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생육시킨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5720 의 콜로니로부터 1 백금이를 취하여, 500 ㎖ 용 삼각 플라스크에 제작한 실시예 1 (표 1)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의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하룻밤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전배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5720 주의 전배양액으로부터 각각 60 ㎖ 를, 표 5 에 기재된 각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400 rpm 의 조건으로 40 시간, 통기 교반 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 후, 광학 현미경 및 세균용 셀 카운터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균체 농도 및 균체의 아포화율을 계측하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5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C/N 이 일정한 범위이면, 대용량 배양계에서도, 바실루스·심플렉스 NBRC15720 주의 50 % 이상의 아포화율이 얻어졌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6
실시예 4
<대용량 배양계에서의 바실루스·시아멘시스의 평가>
5 ℓ 용 배양조를 사용하여, 표 7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 3 의 종농도가 되도록, 글루코오스 (와코 순약), 탈지 대두 분말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 효모 엑기스 (Difco), CSL (ROQUETTE), 펩톤 (Difco), KH2PO4 (와코 순약) 를 함유하고, 또한 각각 MnCl2 (와코 순약) 를 100 ppm, NaCl (와코 순약) 을 400 ppm, MgCl2 (와코 순약) 를 250 ppm, CaCl2 (와코 순약) 를 75 ppm, FeSO4 (와코 순약) 를 0.3 ppm 함유시킨 배지를 각각 2,000 ㎖ 씩 제작하고,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실시하였다 (글루코오스는 메일라드 반응을 피하기 위해, 별도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혼합하였다).
보통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생육시킨 바실루스·시아멘시스의 콜로니로부터 1 백금이를 취하여, 500 ㎖ 용 삼각 플라스크에 제작한 표 7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의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하룻밤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전배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바실루스·시아멘시스의 전배양액으로부터 각각 60 ㎖ 를, 표 7 에 기재된 각종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400 rpm 의 조건으로 40 시간, 통기 교반 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 후, 광학 현미경 및 세균용 셀 카운터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균체 농도 및 균체의 아포화율을 계측하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7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C/N 이 일정한 범위이면, 대용량 배양계에서, 바실루스·시아멘시스의 88 % 이상의 아포화율이 얻어졌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8
실시예 5
<대용량 배양계에서의 바실루스·메가테리움의 평가>
5 ℓ 용 배양조를 사용하여, 표 9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 3 의 종농도가 되도록, 글루코오스 (와코 순약), 탈지 대두 분말 (아지노모토 헬시 서플라이), 효모 엑기스 (Difco), CSL (ROQUETTE), 펩톤 (Difco), KH2PO4 (와코 순약) 를 함유하고, 또한 각각 MnCl2 (와코 순약) 를 100 ppm, NaCl (와코 순약) 을 400 ppm, MgCl2 (와코 순약) 를 250 ppm, CaCl2 (와코 순약) 를 75 ppm, FeSO4 (와코 순약) 를 0.3 ppm 함유시킨 배지를 각각 2,000 ㎖ 씩 제작하고, 오토클레이브 멸균을 실시하였다 (글루코오스는 메일라드 반응을 피하기 위해, 별도 멸균한 후 무균적으로 혼합하였다).
보통 한천 평판 배지 상에 생육시킨 바실루스·메가테리움의 콜로니로부터 1 백금이를 취하여, 500 ㎖ 용 삼각 플라스크에 제작한 표 9 에 기재된 배지 조건 1 의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150 rpm 으로 하룻밤 진탕 배양을 실시하여, 전배양액을 얻었다. 얻어진 바실루스·메가테리움의 전배양액으로부터 각각 60 ㎖ 를, 표 9 에 기재된 각종 배지에 무균적으로 식균하고, 37 ℃, 400 rpm 의 조건으로 40 시간, 통기 교반 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배양 후, 광학 현미경 및 세균용 셀 카운터를 사용하여, 배양액 중의 균체 농도 및 균체의 아포화율을 계측하였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09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C/N 이 일정한 범위이면, 대용량 배양계에서, 바실루스·메가테리움의 78 % 이상의 아포화율이 얻어졌다.
Figure 112017107226099-pct00010

Claims (12)

  1. 바실루스속 세균을, C/N 비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의 중량비) 가 4.5 이상 9.5 미만이고, 칼륨 함량이 1.9 g/ℓ 이하인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바실루스·시아멘시스 (Bacillus siamensis),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및 바실루스·메가테리움 (Bacillus megaterium) 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C/N 비가 4.5 이상 7.5 이하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배양에 사용하는 액체 배지의 C/N 비가 6.0 이상 7.5 이하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탄소 함량이 50 g/ℓ 이하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배지에 있어서의 탄소 함량이 25 g/ℓ 이하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배지에 포함되는 탄소원 및 질소원은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탄소원 및 질소원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탄소원은, 전분,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글리세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이노시톨, 만니톨, 소르비톨, 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셀로비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자일리톨, 알코올, 유기산, 유기산염, 및 알칸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탄소원이고, 바실루스속 세균이 이화할 수 있는 질소원은, 대두 유래 성분, 효모 유래 성분, 콘 유래 성분, 동식물 단백질 및 그 분해물,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암모니아,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글루타민산나트륨, 우레아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질소원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실루스속 세균이, 바실루스·심플렉스 (Bacillus simplex) 인, 바실루스속 세균의 아포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7031419A 2015-04-09 2016-04-08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KR102545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9951 2015-04-09
JP2015079951 2015-04-09
PCT/JP2016/061604 WO2016163534A1 (ja) 2015-04-09 2016-04-08 バチルス属細菌芽胞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888A KR20170135888A (ko) 2017-12-08
KR102545863B1 true KR102545863B1 (ko) 2023-06-20

Family

ID=5707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19A KR102545863B1 (ko) 2015-04-09 2016-04-08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08545B2 (ko)
EP (1) EP3282008B1 (ko)
JP (1) JP6876603B2 (ko)
KR (1) KR102545863B1 (ko)
CN (1) CN107532138A (ko)
CA (1) CA2982088C (ko)
DK (1) DK3282008T3 (ko)
ES (1) ES2776823T3 (ko)
PL (1) PL3282008T3 (ko)
WO (1) WO2016163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4062A (zh) * 2016-10-07 2019-05-24 出光兴产株式会社 芽孢杆菌属细菌的培养方法和有用物质的制造方法
JP6996680B2 (ja) 2017-09-25 2022-01-17 出光興産株式会社 細菌菌体の製造方法
WO2020009097A1 (ja) * 2018-07-06 2020-01-09 Iga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石油関連物質により汚染された環境の除染方法および使用する資材
WO2021021608A2 (en) * 2019-07-26 2021-02-04 American Sterilizer Company Liquid sporulation method and sporulation broth
CN112194528B (zh) * 2020-10-22 2022-04-01 安徽科技学院 一种畜粪便生物发酵颗粒有机肥及其生产工艺
CN113774002B (zh) * 2021-11-02 2024-03-01 浙江珲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解淀粉芽孢杆菌培养基及其应用
KR102508900B1 (ko) * 2021-12-08 2023-03-10 전라북도 순창군(농업기술센터장) 식물 생장 촉진 및 식물병방제 활성 기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생장기 또는 결실기의 작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미생물 배양배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81B2 (ko) 1972-01-14 1977-03-09
JPH0479879A (ja) 1990-07-23 1992-03-13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納豆菌の液体培養法
JP2000217567A (ja) 1999-01-29 2000-08-08 Yakult Honsha Co Ltd バチルス属細菌の芽胞化方法
JP2007195542A (ja) 2005-12-27 2007-08-09 Kumiai Chem Ind Co Ltd 微生物農薬の調製に適したバシルス属細菌の胞子の製造方法
JP4968816B2 (ja) 2006-03-08 2012-07-04 日本曹達株式会社 バチルス属細菌の芽胞形成方法
JP2008199980A (ja) 2007-02-21 2008-09-04 Chisso Corp 高密度納豆菌胞子の製造法
US9839222B2 (en) * 2014-08-28 2017-12-12 Universidad Eafit Process for increasing biomass and spores produc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of the bacillus genu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microbiol Biotechnol. 1998, 49:758-765.*
Appl Microbiol Biotechnol. 2010, 85:1353-136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282008T3 (da) 2020-03-16
JP6876603B2 (ja) 2021-05-26
KR20170135888A (ko) 2017-12-08
ES2776823T3 (es) 2020-08-03
WO2016163534A1 (ja) 2016-10-13
JPWO2016163534A1 (ja) 2018-02-01
PL3282008T3 (pl) 2020-05-18
EP3282008A4 (en) 2018-08-22
CA2982088C (en) 2022-07-19
US20190048311A1 (en) 2019-02-14
CA2982088A1 (en) 2016-10-13
CN107532138A (zh) 2018-01-02
US11008545B2 (en) 2021-05-18
EP3282008B1 (en) 2019-12-25
EP3282008A1 (en)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863B1 (ko) 바실루스속 세균 아포의 제조 방법
KR102533305B1 (ko) 바실루스속 세균의 배양 방법 및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Hmidet et al. Enhancement of surfactin and fengycin production by Bacillus mojavensis A21: application for diesel biodegradation
Dubinina et al. Spirochaeta perfilievii sp. nov., an oxygen-tolerant, sulfide-oxidizing, sulfur-and thiosulfate-reducing spirochaete isolated from a saline spring
Silvi et al. Physiologic and metabolic characterization of a new marine isolate (BM39) of Pantoea sp. producing high levels of exopolysaccharide
Oraei et al. Optimization of effective minerals on riboflavin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ATCC 6051 using statistical designs
Lee et al. Improved production of poly-γ-glutamic acid by Bacillus subtilis D7 isolated from Doenjang,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Chesters et al. Nutritional factors in relation to growth and fat synthesis in Mortierella vinacea
JP2009028030A (ja) シデロフォアの製造方法
Vastrad et 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neomycin by Streptomyces fradiae NCIM 2418 in solid state fermentation
MacPherson et al. Nutritional studies on Desulfovibrio desulfuricans using chemically defined media
JP4901372B2 (ja) デフェリフェリクリシン高生産変異株、シデロフォア生産用の液体培地、シデロフォアの製造方法
Chen et al. Optimizing culture medium for debittering constitutive enzyme naringin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oryzae JMU316
KR102490149B1 (ko) 세균 균체의 제조 방법
Shaikh et al. PRODUCTION OF PENICILLIN ACYLASE BY BACILLUS SUBTILIS
CN102660493A (zh) 木霉菌产孢培养基及产孢方法
Dinu et al. Biodegradation of karathane using adapted Pseudomonas aeruginosa in scale up process
Petrila et al. Review on the Optimization of Lipopeptides Production
Pagare et al. Production and enzyme activity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from Aspergillus niger and Bacillus subtilis
Herbst Kinetic evaluation of lipopeptide production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Upadhyay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m Bacillus sp. ND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