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798B1 -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 Google Patents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798B1
KR102545798B1 KR1020220169088A KR20220169088A KR102545798B1 KR 102545798 B1 KR102545798 B1 KR 102545798B1 KR 1020220169088 A KR1020220169088 A KR 1020220169088A KR 20220169088 A KR20220169088 A KR 20220169088A KR 102545798 B1 KR102545798 B1 KR 102545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ap
sample collection
tub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웅
최진호
송시범
서영석
최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니젠
Priority to KR102022016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액이 수용되는 튜브본체(110)와, 상기 튜브본체(110)의 상단에 일정길이 형성된 캡결합단(120)을 갖는 튜브(100)와; 피검체표면을 닦아 표면에 검체가 체취된 검체채취헤드(210)와, 상기 검체채취헤드(2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로드(220)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된 검체채취지지축(230)을 갖는 검체채취부(200)와; 상기 검체채취부(200)의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검체채취부(200)와 고정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보관액과 상기 검체가 희석된 검체액을 외부로 배출될하는 분주구(320)가 형성된 캡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300)는, 상기 캡결합단(120)에 나사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분주구(320)가 돌출형성된 캡본체(310)와; 상기 캡본체(3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분주구(320)를 개폐하는 보조캡(340)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본체(110)와 상기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로드결합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결합관(330)은 상기 캡본체(3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된 원뿔유입구(331)와, 상기 원뿔유입구(33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검체채취로드(220)가 끼워지는 로드삽입관(333)과, 상기 로드삽입관(333)으로부터 상기 검체액배출공(321)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삽입되는 지지축결합관(335)을 포함하며,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이빨(23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의 내경은 상기 지지이빨(231)과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과 이웃된 지지이빨(231) 사이의 이격된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검체액이 상기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Swap container with swab fixing tooth}
본 발명은 스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검체채취지지축이 고정되게 지지하는 지지이빨이 형성된 스왑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손가락이나 기재, 식품 가공 시설, 의료 시설 등의 청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청정도 검사가 수행되었다. 청정도 검사방법의 하나로 세균배양법이 사용된다.
세균배양법은 면봉을 이용해 청정도를 검사할 피검체 표면을 닦아낸 후에 보관액이 담겨진 스왑용기 내부에 면봉을 넣고 밀봉한 후 보관액과 면봉에 묻은 검체를 교반하면 검체가 보관액과 균일하게 희석된 검체액이 형성된다. 대장균이나 대장균군 등의 균수를 측정하려면 검체액을 필름 배양지나 한천 배지등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세균수를 통해 청정도를 판별한다.
그런데, 종래 스왑용기는 검체가 체취된 면봉을 용기내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며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면봉을 캡에 정확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내부의 검체액을 외부로 누설없이 배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삭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658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가 묻은 검체채취부를 캡 내부에 지지이빨을 이용해 정위치시킬 수 있는 스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이빨 주변으로 검체액이동로를 형성시켜 검체액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스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왑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왑용기는, 보관액이 수용되는 튜브본체(110)와, 상기 튜브본체(110)의 상단에 일정길이 형성된 캡결합단(120)을 갖는 튜브(100)와; 피검체표면을 닦아 표면에 검체가 체취된 검체채취헤드(210)와, 상기 검체채취헤드(2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로드(220)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된 검체채취지지축(230)을 갖는 검체채취부(200)와; 상기 검체채취부(200)의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검체채취부(200)와 고정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보관액과 상기 검체가 희석된 검체액을 외부로 배출될하는 분주구(320)가 형성된 캡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300)는, 상기 캡결합단(120)에 나사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분주구(320)가 돌출형성된 캡본체(310)와; 상기 캡본체(3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분주구(320)를 개폐하는 보조캡(340)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본체(110)와 상기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로드결합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결합관(330)은 상기 캡본체(3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된 원뿔유입구(331)와, 상기 원뿔유입구(33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검체채취로드(220)가 끼워지는 로드삽입관(333)과, 상기 로드삽입관(333)으로부터 상기 검체액배출공(321)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삽입되는 지지축결합관(335)을 포함하며,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이빨(23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의 내경은 상기 지지이빨(231)과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과 이웃된 지지이빨(231) 사이의 이격된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검체액이 상기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캡결합단(120)이 삽입되며 나사결합되는 튜브삽입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캡결합단(120)과 상기 튜브삽입홈(313)에는 복수개의 시작점을 갖는 나사산이 이중나선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캡(340)이 상기 캡본체(310)에 닫혔을 때, 상기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이 접촉되는 상면에는 검체액배출공(321)에 잔류하는 잔류검체액이 수용되는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삽입홈(313)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결합단(120)의 상단과 맞닿아 검체액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실링가드(315)가 구비된다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캡(340)의 일측에는 상기 캡본체(310)와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힌지(345)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힌지(34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캡(340)이 상기 캡본체(310)에 대해 개방될 때 90° 이상의 각도로 열려지게 상기 보조캡(340)을 지지하는 각도조절힌지(34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는 캡과 튜브가 되는 나사선을 이중나선구조로 형성하고, 나사선의 시작점을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복수개 위치시켜 반바퀴만 회전하더라도 캡과 튜브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이에 의해 캡과 튜브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의 캡결합단과 캡의 튜브삽입홈 사이에 실링가드를 형성하여 튜브의 검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검체채취부의 상단에 위치된 검체채취지지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이빨을 형성하고, 캡부의 지지축결합관에 지지이빨이 억지끼움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검체채취헤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검체액 이동통로를 설계하지 않고 이웃하는 지지이빨 사이의 통로를 통해 검체액이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보조캡의 각도조절힌지에 의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보조캡을 강바하여 개방하면, 90도 이상의 각도로 개방되어 분주구로 배출된 검체액이 보조캡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캡의 저면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의 캡부의 열림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1)의 보조캡(340)이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스왑용기(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왑용기(1)는 보관액이 수용되는 튜브(100)와, 피검체표면으로부터 검체를 닦아 스왑용기(1) 내부에 삽입되는 검체채취부(200)와, 튜브(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검체채취부(200)과 고정되고, 검체와 보관액이 희석된 검체액(A)이 외부로 배출되게 지지하는 캡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1)는 캡부(300)와 튜브(100)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결합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검체액(A)의 외부 누설이 방지되게 구비된다. 또한, 검체채취부(200)의 검체채취로드(220)와 캡부(300)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지지하며, 검체액(A)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스왑용기(1)의 측단면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스왑용기(1)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0)는 보관액이 수용되는 튜브본체(110)와, 튜브본체(110)의 상부에 연장되어 캡부(300)와 결합되는 캡결합단(120)과, 튜브본체(110)와 캡결합단(120)의 경계영역에 구비되어 캡부(300)의 결합위치를 제한하는 걸림턱(130)을 포함한다.
튜브본체(1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타원형 관 형태로 구비된다. 튜브본체(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내부의 검체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된다.
튜브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검체액(A)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힘(P)을 가하기 쉽도록 스퀴즈면(111)이 수평하게 일정면적 형성된다.
그리고, 스퀴즈면(111)에는 내부에 수용된 검체액(A)의 용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113)이 형성된다.
스퀴즈면(111)의 하부에는 부식 처리된 부식처리면(111a)이 일정면적 구비되어 사용자가 샘플 번호 등을 쉽게 메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캡결합단(1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본체(110)의 상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캡본체(310)의 내부에 나사결합된다. 캡결합단(120)이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21a)과 제2나사산(121b)이 2중나선구조로 구비된다. 제1나사산(121a)과 제2나사산(121b)은 나사산의 시작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튜브(100)에 캡부(300)를 결합시킬 때 캡결합단(120)에 캡부(300)의 튜브삽입홈(313)을 끼우고 반바퀴(180도)만 회전해도 캡부(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즉, 나사산이 1개만 형성되는 경우 한바퀴(360도) 회전시켜야만 캡부(300)의 결합이 완료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나사산(121a,121b)이 2중으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사산의 시작점이 위치되어 반바퀴만 회전시켜도 캡부(300)의 결합이 완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캡결합단(120)과 튜브본체(110)의 경계영역에는 걸림턱(130)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걸림턱(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300)가 튜브(100)에 결합될 때 캡본체(310)의 하부를 걸림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검체채취부(200)는 캡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검체면의 표면에서 검체를 체취한 후 튜브(100) 내부에 수용된다. 검체채취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검체채취로드(220)와, 검체채취로드(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검체면과 접촉되며 표면에 검체가 체취되는 검체채취헤드(210)와, 검체채취로드(220)의 상부에 연장되어 캡부(300)에 고정결합되는 검체채취지지축(230)을 포함한다.
검체채취헤드(210)는 검체 체취가 용이하도록 일정 면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검체채취헤드(210)는 코튼재질로 형성되거나, PU(Polyurethane) 재질로 형성되거나, 나일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검체채취로드(2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300)의 로드결합관(330)에 삽입되어 검체채취부(200)가 캡부(300)에 고정되게 한다.
검체채취로드(220)는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검체채취지지축(230)은 검체채취로드(220)의 중심영역에 단면이 원형 형태로 구비된다. 검체채취지지축(230)은 검체채취로드(220) 보다 작은 면적으로 검체채취로드(220)와 연결영역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검체채취지지축(23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지지이빨(23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지지이빨(231)은 검체채취지지축(230)의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6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지지축(230)에 형성된 지지이빨(231)의 높이는 지지축결합관(335)의 내경에 지지이빨(231)이 억지끼움 될 수 있는 높이로 구비된다. 복수개의 지지이빨(231)이 지지축결합관(335)의 내벽면에 접촉되며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지지축결합관(335)에 고정되게 한다.
이 때, 이웃하는 지지이빨(231) 사이의 이격공간이 검체액이동로(338)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0)를 따라 이동된 검체액(A)이 이웃하는 지지이빨(231) 사이의 검체액이동로(338)를 따라 이동한 후 분주구(320)로 배출된다.
검체채취로드(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300)에 형성된 로드삽입관(333)에 삽입되고, 검체채취지지축(230)은 로드삽입관(333)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축결합관(335)에 끼워져 위치가 고정된다.
캡부(300)는 튜브(10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캡부(300)는 검체채취부(200)와 고정된 상태에서 검체채취헤드(210)가 검체를 체취할 수 있게 지지하고, 튜브(100)에 결합된 후 검체액(A)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5는 캡부(300)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보조캡(340)의 열림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300)는 튜브(100)에 나사결합되는 캡본체(310)와, 캡본체(31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검체액(A)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주구(320)와, 캡본체(310)와 분주구(320)의 내부를 관통하여 검체채취부(200)와 고정되고 튜브본체(110) 내부의 검체액(A)을 분주구(320)로 이동시키는 로드결합관(330)과, 캡본체(31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캡(340)을 포함한다.
캡본체(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검체채취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캡본체(310)를 손으로 잡고 검체채취부(200)를 가압하여 검체채취헤드(210)에 검체가 체취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검체채취헤드(210)와 검체채취로드(220)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검체채취부(2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캡본체(310)는 걸림턱(130)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태로 구비된다. 캡본체(3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방향 요철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캡본체(310)의 일측 외주면에는 보조캡(34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하부손가압면(311)이 일정면적 움푹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하부손가압면(311)은 보조캡(340) 표면의 손가락가압판(342)과 맞닿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하부손가압면(311)과 손가락가압판(342)에 접촉시키고 손가락가압판(342)의 상단을 밀어 가압하면 보조캡(340)이 개방되게 한다.
캡본체(310)의 외주연에는 보조캡지지턱(312)이 단차지게 구비된다. 보조캡지지턱(312)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340)이 닫혔을 때 보조캡(340)의 하단부 내측에 걸림지지되어 보조캡(340)이 닫힌 상태가 구속되게 한다.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삽입홈(313)이 함몰형성된다. 튜브삽입홈(313)에는 튜브(100)의 캡결합단(120)이 나사결합되어 삽입된다. 이를 위해 튜브삽입홈(313)에는 캡결합단(120)의 제1나사산(121a)과 제2나사산(121b)에 대응되는 암나사산(313a)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중나선구조로 형성된 제1나사산(121a)과 제2나사산(121b)에 암나사산(313a)이 함께 결합되며 캡부(300)를 반바퀴만 회전하여도 캡부(300)와 튜브(10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튜브삽입홈(313)의 상단에는 점차 외측을 향해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실링가드(315)가 구비된다. 실링가드(315)는 튜브삽입홈(313)에 캡결합단(120)이 나사결합되며 삽입될 때 캡결합단(120) 상부의 삽입끝단(123)과 밀접 접촉되며 검체액(A)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실링가드(315)는 외측으로 점차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삽입끝단(123)을 튜브삽입홈(313)을 형성하는 내벽면으로 가압하여 실링가드(315)와 튜브삽입홈(313) 및 삽입끝단(123)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여 검체액(A)의 외부 누설을 차단한다.
분주구(320)는 캡본체(310)의 중심영역에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튜브(100) 내부에 수용된 검체액(A)이 외부로 액적 형태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분주구(320)는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분주구(320)의 상면에는 로드결합관(330)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검체액(A)을 배출하는 검체액배출공(321)이 관통형성된다. 검체액배출공(321)은 사용자가 튜브본체(110)의 스퀴즈면(111)을 가압할 때 검체액(A)이 액적 형태로 맺혀지며 한 방울씩 외부루 배출되게 한다.
이 때, 도 7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액배출공(321)이 형성된 분주구(320)의 외주면에는 보조캡결합턱(321a)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캡본체(310)에 보조캡(340)이 닫혀졌을 때 실링돌기(344a)와 맞물리며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된 후 검체액배출공(321) 주변에 잔류하는 잔류검체액(A)이 보조캡(340) 내부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차단된다.
로드결합관(33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본체(310)와 분주구(320) 내부에 검체액배출공(321)과 연통되게 관통형성되어 검체채취부(200)가 캡부(300)에 고정되게 지지하고, 사용자가 스퀴즈면(111)을 가압할 때 튜브(100) 내부의 검체액(A)이 검체액배출공(321)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로드결합관(330)은 캡본체(310)의 하부로부터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원뿔유입구(331)과, 원뿔유입구(331)로부터 수직하게 관통형성되어 검체채취로드(220)가 삽입되는 로드삽입관(333)과, 로드삽입관(333)의 상부로부터 검체액배출공(321)까지 연장형성된 지지축결합관(335)을 포함한다.
원뿔유입구(331)는 캡본체(310)의 하부에서 튜브삽입홈(313)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로드삽입관(333)을 향해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튜브(100)를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퀴즈면(111)을 가압하면 튜브(100) 내부의 검체액(A)이 로드삽입관(333)을 향해 이동되게 한다.
또한, 원뿔유입구(331)는 스왑용기 제조과정에서 캡부(300)와 검체채취부(200)의 결합을 위해 사용자가 검체채취지지축(230)을 원뿔유입구(331)에 삽입하고 캡부(300)를 튜브(100)에 나사결합하면, 원뿔유입구(331)이 경사면을 따라 검체채취지지축(230)과 검체채취로드(220)가 지지축결합관(335)과 로드삽입관(333)에 삽입되며 고정이 되게 안내한다.
즉, 별도로 검체채취부(200)를 캡부(300)에 고정하는 작업이 없이 검체채취부(200)를 튜브(100)에 넣고 튜브(100)의 상부로 돌출된 검체채취로드(220)와 검체채취지지축(230)을 원뿔유입구(331)에 넣고 캡부(30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검체채취부(200)를 캡부(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로드삽입관(3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로드(220)의 단면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로드(220)의 상부가 끼워지게 한다.
이 때, 로드삽입관(333)과 검체채취로드(220) 사이에는 검체액(A)이 이동될 수 있는 미세한 유격이 존재하게 구비된다.
지지축결합관(335)은 로드삽입관(333)의 상단으로부터 검체액배출공(321)까지 연장형성된다. 지지축결합관(3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로드삽입관(333)의 중심영역에 원형형태로 구비된다.
이 때, 도 6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결합관(335)은 검체채취지지축(230)의 외주면에 돌출된 지지이빨(231)과 접촉되며 검체채취부(200)가 캡부(300)에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지지이빨(231) 사이의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검체액(A)이 분주구(320)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지지축결합관(335)의 길이는 검체채취지지축(230)의 길이(ℓ1)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스왑용기(1)를 뒤집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본체(110)를 가압하면 검체액(A)이 로드결합관(330)의 원뿔유입구(331)로 이동된 후 로드삽입관(333)과 검체채취로드(220) 사이이 틈으로 이동되고, 지지축결합관(335)과 지지이빨(231) 사이의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이동된 후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삽입되지 않은 지지축결합관(335)의 상부공간을 경유하여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지지이빨(231)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록 지지축결합관(335)과의 결합력은 향상되고 검체액(A)의 배출량은 줄어들 수 있다.
보조캡(340)은 캡본체(310)에 상하로 회동되며 캡본체(310)의 분주구(320)를 개폐한다. 보조캡(34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본체(310)와, 보조캡본체(310)가 캡본체(310)에 회동되게 지지하는 연결힌지(345) 및 각도조절힌지(347)를 포함한다.
보조캡본체(310)는 분주구(320)를 덮을 수 있는 높이를 갖는 원통형 함체로 구비된다. 보조캡본체(310)의 판면에는 손가락가압판(342)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가압하여 보조캡(340)을 개방할 수 있게 지지한다.
보조캡본체(310)의 내측 상면에는 도 7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340)이 닫혔을 때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과 결합되어 검체액배출공(321)에 잔류하는 잔류검체액의 누설을 차단하는 잔류검체액수용홈(343)과,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의 주변에 형성된 잔류검체액주변수용홈(344)이 판면에 대해 함몰되게 형성된다.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은 검체액배출공(321) 내부로 삽입되는 배출공삽입돌기(343a)의 중심영역에 함몰형성되어 검체액배출공(321)을 막아 검체액배출공(321)을 통한 검체액(A)의 외부 누설을 차단한다.
또한,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은 검체액배출공(321)에 맺혀있던 잔류검체액 액적을 수용하여 잔류검체액이 주변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잔류검체액주변수용홈(344)은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의 주변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검체액배출공(321)에 맺혀있던 잔류검체액 액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잔류검체액주변수용홈(344)의 주변으로는 분주구(320)의 보조캡결합턱(321a)에 맞물려 검체액(A)의 외부 이동을 방지하는 실링돌기(344a)가 구비된다. 실링돌기(344a)는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의 주변으로 링형태로 돌출형성되어 분주구(320)의 보조캡결합턱(321a)과 맞물린다.
이러한 잔류검체액수용홈(343,344)에 의해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 주변에 맺혀있던 잔류 검체액(A)이 보조캡(340)이 닫혀질 때 흩어지며 주변으로 누설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힌지(345)는 보조캡(340)이 캡본체(310)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하고, 각도조절힌지(347)는 보조캡(340)이 개방될 때 90도 이상의 각도로 한번에 개방될 수 있게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힌지(345)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한 쌍의 연결힌지(345) 사이에 각도조절힌지(347)가 구비된다.
연결힌지(345)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연결힌지(345a)와 보조캡연결힌지(345b)가 서로 동일한 길이와 크기로 구비되어 보조캡(340)이 캡본체(310)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각도조절힌지(347)는 캡본체(310)와 연결된 제1각도조절힌지(347a)의 길이(ℓ3)가 보조캡(340)과 연결된 제2각도조절힌지(347b)이 길이(ℓ2) 보다 현저히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340)이 개방되기 시작되면 제1각도조절힌지(347a)의 길이만큼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보조캡(340)이 열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캡(340)의 개방각도(α)는 최소 90도가 넘는 각도로 개방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힌지(345)가 완전히 펴지는 180도 각도에서 회동이 멈춰지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힌지(347)에 의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 힘으로 보조캡(340)을 개방할 때 보조캡(340)이 90도 이상 각도로 열려 분주구(320)를 통해 검체액(A)을 외부로 배출할 때 검체액(A)이 보조캡(340)과 닿아 보조캡(340)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에 검체액(A)을 분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왑용기 제조사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0), 검체채취부(200) 및 캡부(300)를 각각 제조한다. 튜브(100)의 내부에는 보관액이 충진된다.
그리고, 검체채취부(200)를 튜브(100) 내부에 검체채취헤드(210)가 보관액에 수용되게 삽입한다. 튜브(100) 상부로 돌출된 검체채취지지축(230)을 캡부(300)의 원뿔유입구(331)에 삽입하며 작업자는 캡본체(310)의 튜브삽입홈(313)을 캡결합단(120)에 끼우며 회전시켜 제1나사산(121a)과 제2나사산(121b)이 암나사산(313a)에 나사결합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원뿔유입구(331)에 위치된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캡부(300)와 튜브(100)의 결합압력에 의해 로드결합관(330) 내부로 삽입되며 검체채취로드(220)와 검체채취지지축(230)이 로드결합관(330) 내에 고정된다.
이 때, 지지이빨(231)들은 지지축결합관(335)의 내벽면과 접촉되며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지지축결합관(335)의 중심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스왑용기(1)는 피검체대상의 표면의 검체를 체취하기 위해 피검체대상이 있는 장소로 옮겨진다.
사용자는 캡부(300)를 반대로 회전시켜 튜브(100)와 분리한다. 이 때, 캡부(300)에는 검체채취부(200)가 결합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캡부(300)의 캡본체(310)를 손으로 잡고 희망하는 피검체대상 표면에 검체채취헤드(210)를 가압하며 문질러 검체채취헤드(210) 표면에 검체가 체취되게 한다.
검체가 체취된 검체채취헤드(210)를 튜브본체(110)의 보관액에 삽입하고 캡본체(310)를 캡결합단(120)에 삽입한 후 반바퀴 회전시켜 튜브(100)와 캡부(300)를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료되면 스왑용기(1)를 흔들어 검체와 보관액이 희석된 검체액이 형성되게 한다.
검체액의 형성이 완료되면, 보조캡(340)을 개방하고 튜브(100)를 뒤집어 분주구(320)를 이용해 검체액을 배양키트 또는 실험키트에 배출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캡(340)이 닫혀져 있는 캡부(300)의 손가락가압판(342)을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보조캡(340)을 개방한다. 보조캡(34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힌지(347)의 회동력에 의해 90도 이상 회동되며 개방된다.
튜브(100)를 뒤집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퀴즈면(111)의 양쪽에 압력(P)을 가하면 튜브(100) 내부의 검체액(A)이 로드결합관(330)을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삽입관(333)과, 지지축결합관(335) 그리고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분주구(320)이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된다.
검체액배출공(321)을 통해 검체액(A)은 액적 형태로 한방울씩 배출된다. 검체액(A)의 배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보조캡(340)을 닫는다. 이 때, 도 7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삽입돌기(343a)와 실링돌기(344a)가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과 보조캡결합턱(321a)에 결합되어 검체액(A)의 외부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잔류검체액수용홈(343)과 잔류검체액주변수용홈(344)에 검체액배출공(321)에 잔류하던 잔류검체액이 수용되어 외부로 검체액(A)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왑용기는 캡과 튜브가 되는 나사선을 이중나선구조로 형성하고, 나사선의 시작점을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복수개 위치시켜 반바퀴만 회전하더라도 캡과 튜브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이에 의해 캡과 튜브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의 캡결합단과 캡의 튜브삽입홈 사이에 실링가드를 형성하여 튜브의 검체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면봉부의 상단에 위치된 검체채취지지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이빨을 형성하고, 캡부의 지지축결합관에 지지이빨이 억지끼움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면봉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검체액 이동통로를 설계하지 않고 이웃하는 지지이빨 사이의 통로를 통해 검체액이 이동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보조캡의 각도조절힌지에 의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보조캡을 강바하여 개방하면, 90도 이상의 각도로 개방되어 분주구로 배출된 검체액이 보조캡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왑용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스왑용기 100 : 튜브
110 : 튜브본체 111 : 스퀴즈면
111a : 부식처리면 113 : 눈금
120 : 캡결합단 121a : 제1나사산
121b : 제2나사산 123 : 삽입끝단
130 : 걸림턱 200 : 면봉부
210 : 면봉 220 : 검체채취로드
230 : 검체채취지지축 231 : 지지이빨
300 : 캡부 310 : 캡본체
311 : 하부손가압면 312 : 보조캡지지턱
313 : 튜브삽입홈 313a : 암나사산
315 : 실링가드 320 : 분주구
321 : 검체액배출공 321a : 보조캡결합턱
330 : 로드결합관 331 : 원뿔유입구
333 : 로드삽입관 335 : 지지축결합관
338 : 검체액이동로 340 : 보조캡
342 : 손가락가압판 343 : 잔류검체액수용홈
343a : 배출공삽입돌기 344 : 잔류검체액주변수용홈
344a : 실링돌기 345 : 연결힌지
345a : 본체연결힌지 345b : 보조캡연결힌지
347 : 각도조절힌지 347a : 제1각도조절힌지
347b : 제2각도조절힌지
A : 검체액

Claims (5)

  1. 보관액이 수용되는 튜브본체(110)와, 상기 튜브본체(110)의 상단에 일정길이 형성된 캡결합단(120)을 갖는 튜브(100)와;
    피검체표면을 닦아 표면에 검체가 체취된 검체채취헤드(210)와, 상기 검체채취헤드(2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된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로드(220)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된 검체채취지지축(230)을 갖는 검체채취부(200)와;
    상기 검체채취부(200)의 검체채취로드(220)와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검체채취부(200)와 고정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보관액과 상기 검체가 희석된 검체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분주구(320)가 형성된 캡부(300)을 포함하며,
    상기 캡부(300)는,
    상기 캡결합단(120)에 나사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분주구(320)가 돌출형성된 캡본체(310)와;
    상기 캡본체(3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분주구(320)를 개폐하는 보조캡(340)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본체(110)와 상기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이 연통되게 관통형성되는 로드결합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결합관(330)은 상기 캡본체(3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원뿔형태로 형성된 원뿔유입구(331)와, 상기 원뿔유입구(33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검체채취로드(220)가 끼워지는 로드삽입관(333)과, 상기 로드삽입관(333)으로부터 상기 검체액배출공(321)까지 연장형성되어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이 삽입되는 지지축결합관(335)을 포함하며,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이빨(231)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이빨(231)은 상기 검체채취지지축(230)의 높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의 내경은 상기 지지이빨(231)과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결합관(335)과 이웃된 지지이빨(231) 사이의 이격된 검체액이동로(338)를 통해 검체액을 상기 검체액배출공(321)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왑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310)의 내부에는 상기 캡결합단(120)이 삽입되며 나사결합되는 튜브삽입홈(313)이 형성되고,
    상기 캡결합단(120)과 상기 튜브삽입홈(313)에는 복수개의 시작점을 갖는 나사산이 이중나선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왑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340)이 상기 캡본체(310)에 닫혔을 때, 상기 분주구(320)의 검체액배출공(321)이 접촉되는 상면에는 검체액배출공(321)에 잔류하는 잔류검체액이 수용되는 잔류검체액수용홈(343)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왑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삽입홈(313)의 상단에는 외측을 향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캡결합단(120)의 상단과 맞닿아 검체액의 외부 누설을 차단하는 실링가드(3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왑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340)의 일측에는 상기 캡본체(310)와 개폐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힌지(345)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힌지(34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캡(340)이 상기 캡본체(310)에 대해 개방될 때 90° 이상의 각도로 열려지게 상기 보조캡(340)을 지지하는 각도조절힌지(34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왑용기.
KR1020220169088A 2022-12-06 2022-12-06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KR102545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088A KR102545798B1 (ko) 2022-12-06 2022-12-06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088A KR102545798B1 (ko) 2022-12-06 2022-12-06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798B1 true KR102545798B1 (ko) 2023-06-21

Family

ID=8698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088A KR102545798B1 (ko) 2022-12-06 2022-12-06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544A (ko) * 2010-08-27 2013-10-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시료를 수집 및 주입하기 위한 장치
KR101861039B1 (ko) *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2265881B1 (ko) 2019-09-09 2021-06-16 이현숙 미생물 검출용 스왑장치
KR102458602B1 (ko) * 2021-06-05 2022-10-25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544A (ko) * 2010-08-27 2013-10-1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시료를 수집 및 주입하기 위한 장치
KR101861039B1 (ko) *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2265881B1 (ko) 2019-09-09 2021-06-16 이현숙 미생물 검출용 스왑장치
KR102458602B1 (ko) * 2021-06-05 2022-10-25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9802A (en)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incorporating a resilient elastomeric seal
JP2940618B2 (ja) 一体型の可撓性シールを組込んだ試料収集容器用ボール及びソケット蓋
US6136275A (en)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US6350415B1 (en)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incorporating a dimple locking mechanism
US4427634A (en) Apparatus for microscopic examination of specimens
EP0901824A2 (en)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incorporating septum
AU674605B2 (en) Liquid reagent container having a primary and secondary closure mechanism
KR102545798B1 (ko)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KR102545797B1 (ko)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댐퍼를 갖는 스왑용기
US3643672A (en) Contact lens case
JP2023071689A (ja) 条線を有する試験管およびこれを用いる流体移送方法
JP5802899B2 (ja) 採尿用容器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EP3423189B1 (en) Sample probe for dissolution testing and the like
CN211385119U (zh) 具有定位管盖功能的样品管盘
JP4175999B2 (ja) 検便用採便具
JP2023534148A (ja) サンプル前処理チューブ
JP2003057233A (ja) 真空の管および尿沈殿物の顕微鏡検査、化学及び微生物の分析のための方法
JP2017049034A (ja) 試験容器のキャップ開閉補助装置
CN112810989B (zh) 容器
CN215744988U (zh) 一种用于试剂撒漏的回收装置
KR20090104236A (ko) 수밀구조를 갖는 실험용 샘플용기의 뚜껑
JP3071174U (ja) 弾性エラストマーシールを組込んだ試料収集容器用ボール及びソケット蓋
JP3567025B2 (ja) 採便容器
EP0908237A2 (en) Ball and socket closure for specimen collection container incorporating a pouring 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