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039B1 -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039B1
KR101861039B1 KR1020170052337A KR20170052337A KR101861039B1 KR 101861039 B1 KR101861039 B1 KR 101861039B1 KR 1020170052337 A KR1020170052337 A KR 1020170052337A KR 20170052337 A KR20170052337 A KR 20170052337A KR 101861039 B1 KR101861039 B1 KR 10186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cover
opening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계승
Original Assignee
백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계승 filed Critical 백계승
Priority to KR102017005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 채취시에는 면봉과 연결부를 튜브부로부터 분리하여 채취하고, 검채 채취 후에는 다시 튜브부 내부로 재결합 후 커버부를 돌려줌으로써, 튜브부의 내부가 밀봉되어 검체가 누출되지 않기에 2차 감염이 방지되는 동시에 검체의 유효기간을 2 ~ 3년 이상으로 할 수 있지만, 검체의 변성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Pipette swap device for sampl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 채취시에는 면봉과 연결부를 튜브부로부터 분리하여 채취하고, 검채 채취 후에는 다시 튜브부 내부로 재결합 후 커버부를 돌려줌으로써, 튜브부의 내부가 밀봉되어 검체가 누출되지 않기에 2차 감염이 방지되는 동시에 검체의 유효기간을 2 ~ 3년 이상으로 할 수 있지만, 검체의 변성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검사 및 각종 질환 검사를 위한 모든 검체는 채취 즉시 검사실로 보내어 검사를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즉시 검사할 수 없을 때는 적당한 환경에서 보존하거나 적당한 장소로 수송해야 한다.
검체의 수송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검체의 종류(Blood, Pus, Urine, Stool, etc) 및 수송되는 세균의 배양 환경(호기성, 혐기성,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등)에 따라 주사기,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 플라스틱 튜브와 멸균처리된 일회용 면봉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품화된 수송배지 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수송배지 용기는 오직 미생물 검체 수송용으로만 고안된 제품으로서 채취 준비단계에서 일 포장단위에 하나의 수송배지가 담겨 있는 밀봉된 튜브와, 검체 채취를 위한 면봉이 따로 분리되어 포장되는 형태로 공급된다. 즉 배지(시약) 등이 저장된 튜브와 검체 채취 후 상기 배지에 잠기는 면봉을 낱개로 각각 별도 포장해야 하는데, 이는 기타 세균에 의한 사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만약 포장을 개봉하여 장시간 방치할 경우에는 면봉 혹은 배지가 기타 세균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시 방치된 수송배지 용기는 폐기해야 하는데, 이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검체 채취시에는 위생 장갑을 끼고 포장을 개봉하고 채취하게 되는데, 검체채취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밀봉된 봉투를 일일이 개봉하는 것이 검사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송배지 용기는 오직 미생물 검체의 채취 수송에만 목적을 둔 제품으로서, 자궁경부암 진단용 조직, 체액, 유전자 검사를 위한 DNA 등 다양한 검체를 이송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9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면봉과 연결부를 튜브부로부터 분리하여 채취하고, 검채 채취 후에는 다시 튜브부 내부로 재결합 후 커버부를 돌려줌으로써, 튜브부의 내부가 밀봉되어 검체가 누출되지 않기에 2차 감염이 방지되는 동시에 검체의 유효기간을 2 ~ 3년 이상으로 할 수 있지만, 검체의 변성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상측부가 연질의 유연성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실링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내주연이 하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와;
상기 커버부와 튜브부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중앙부에 어댑터의 관통홀을 커버부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앙부에는 실링부의 확관된 관통홀에 밀접하게 삽입되어 관통홀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가 돌출된 개폐부의 일단면에는 실링부의 외주연을 감싸서 관통홀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리브살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와 리브살 사이의 개폐부에는 어댑터의 관통홀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관통하여 튜브부에 전달되도록 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의 시약이 저장되며, 끝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튜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부가 연질의 유연성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실링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내주연이 하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와;
상기 커버부와 튜브부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중앙부에 어댑터의 관통홀을 커버부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중앙부에는 실링부의 확관된 관통홀에 밀접하게 삽입되어 관통홀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가 돌출된 개폐부의 일단면에는 실링부의 외주연을 감싸서 관통홀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리브살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와 리브살 사이의 개폐부에는 어댑터의 관통홀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관통하여 튜브부에 전달되도록 연결구가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의 시약이 저장되며, 끝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튜브부 내부를 밀봉하는 동시에 튜브부의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면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가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부는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어댑터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에는 연결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커버부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1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는 외주연이 결합부의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시, 결합부에 걸리도록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는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양측에 커버부와 튜브부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부의 내주연 중앙부에는 개폐부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의 내주연에는 커버부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2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토퍼는 커버부의 제 1 스토퍼와 접촉되어 커버부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부의 타측 중앙부는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기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결합홈에는 튜브부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튜브부 내에 구비되는 면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부의 배출구 외부에는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내부면에는 배출구에 삽입되어 배출구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출부는 튜브부의 끝단부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의 내부에는 튜브부의 끝단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튜브부 내의 검체 및 시약이 배출구 측으로 가이드하는 리브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의 내부 바닥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내부면에는 배출구에 삽입되어 배출구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는 검체 채취시에는 면봉과 연결부를 튜브부로부터 분리하여 채취하고, 검채 채취 후에는 다시 튜브부 내부로 재결합 후 커버부를 돌려줌으로써, 튜브부의 내부가 밀봉되어 검체가 누출되지 않기에 2차 감염이 방지되는 동시에 검체의 유효기간을 2 ~ 3년 이상으로 할 수 있지만, 검체의 변성 여부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는 커버부(10)와, 어댑터(20)와, 연결부(30)와, 튜브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10)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의 유연성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0)는 몸체가 연질의 탄성체인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부 압력에 의해 내측으로 압력이 전달되고, 상기 연질의 몸체인 커버부(10)의 일측은 개방되는데, 상기 개방된 일측에는 연결부(30)와 연결되도록 결합부(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1)를 통해 시약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의 개방된 내부에는 어댑터(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11)의 외주연에는 연결부(3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커버부(10)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1 스토퍼(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1)는 커버부(10)의 몸체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연결부(30)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커버부(10)를 외부에서 눌러도 결합부(11)는 변형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스토퍼(12)는 커버부(10)가 연결부에서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 연결부(30)의 내주연에 형성된 제 2 스토퍼(31)에 결착되면서 커버부(10)가 더 이상 회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0)를 회전방향으로 억지로 회전시키면 제 1 스토퍼(12)와 제 2 스토퍼(31)가 탈락되면서 커버부(10)가 연결부(30)에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0)의 내부에는 시약이 구비되는데, 상기 시약은 균주 배양, 보존을 위한 배지 또는 조직, 체액 보존을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1) Guanidine thiocyanate
2) Tris
3) EGTA
4) Mercaptoethanol
5) Sarcosyl
6) Trehalos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약을 사용하지만, 상기 시약은 피펫 스왑장치의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어댑터(adaptor,20)는 도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0)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중앙부에 커버부(10)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20)는 외주연이 결합부(11)의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20)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결합부(11)의 내부에 결합시, 결합부(11)에 걸리도록 단턱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어댑터(20)는 "ㅗ" 형태로 단턱부(21)가 어댑터(2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결합부(11)에 어댑터(20)가 결합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20)의 일측 중앙부 즉, 단턱부(21)가 형성된 측의 일측면 중 중앙부에는 연결부(30)의 개폐부(32)와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실링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22)는 중앙부에 관통홀(23)이 연통되는데, 상기 실링부(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23)은 내주연이 하측으로 확관되는 형태 즉, 상협하광인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30)의 차단부(33)와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22)가 돌출된 어댑터(20)의 일면에는 연결부(30)의 리브살(34)이 삽입되도록 삽입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4)은 연결부(30)의 리브살(34)에 맞춰 평면상 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30)의 리브살(34)과 차단부(33)가 어댑터(20)의 삽입홈(24)과 실링부(22)의 관통홀(23)에 각각 밀접하게 삽입되어 연결부(30)에 의해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0)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0)와 튜브부(40)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양측 내주연에는 커버부(10)와 튜브부(40)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0)가 결합되는 연결부(30)의 내주연에는 커버부(10)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2 스토퍼(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토퍼(31)는 커버부(10)의 제 1 스토퍼(12)와 접촉되어 커버부(10)의 회전반경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의 내부 중앙부에는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커버부(10)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32)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관통된 연결부(30)의 내부를 차단하는 동시에 실링부(22)의 관통홀(23)을 개폐하는 것이다.(개폐부(32)가 실링부(22)의 관통홀(23)을 개폐하는 방식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32)는 연결부(30)의 내부 중앙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 원판형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개폐부(32)의 일측 즉, 어댑터(20)의 실링부(22)와 접촉되는 일면의 중앙부에는 실링부(22)의 확관된 관통홀(23)에 삽입되어 관통홀(23)을 차단하는 차단부(3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33)는 실링부(22)의 관통홀(23)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상협하광의 깔대기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32)의 일단면(차단부(33)가 형성된 일면)에는 실링부(22)의 외주연을 감싸서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리브살(34)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리브살(34)은 원통형으로 중앙부에 차단부(33)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살(34)의 내주연과 차단부(33) 사이에 어댑터(20)의 실링부(22)가 위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부(33)와 리브살(34) 사이의 개폐부(32)에는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관통하여 튜브부(40)에 전달되도록 연결구(3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35)는 장홀로써, 평면상 호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32)의 타측 즉, 차단부(33)의 반대측 일면 중앙부는 중앙부에 결합홈(37)이 형성된 결합돌기(36)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6)의 결합홈(37)에는 튜브부(40)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면봉(50)이 탈부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면봉(50)은 튜브부(40)의 내부에 구비되어 면봉(50)의 끝단부를 통해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봉(50)은 연결부(30)가 튜브부(40)에서 이탈시, 연결부(30)와 동시에 이탈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36)의 결합홈(37) 내주연에는 면봉(50)의 결합시, 면봉(5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돌기(38)가 결합홈(37)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8)는 결합홈(37)의 내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렇듯, 상기 다수개의 고정돌기(38) 중앙부에 면봉(5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튜브부(40)는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10)의 시약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튜브부(40)는 투명한 관 형태로써, 내부에 구비된 검체 또는 시약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40)는 연결부(30)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40)의 내부 바닥면은 면봉(50)의 끝단부를 통해 검체의 채취가 용이하거나 하측으로 이송하기 편리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부(40)의 상광하협 형태의 바닥면 중앙부측에는 외부로 검체가 배출되도록 배출구(61)가 돌출 형성되고, 배출구(61) 외부에는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62)가 더 형성되며, 상기 덮개(62)의 내부면에는 배출구(61)에 삽입되어 배출구(61)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6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62)는 튜브부(40)의 외측에 힌지 연결되어 덮개(62)가 튜브부(40)에서 이탈되지 않게 개폐 가능한 구조이거나, 튜브부(40)에서 완전 이탈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 2 실시예)
도 1 내지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는 커버부(10)와, 어댑터(20)와, 연결부(30)와, 튜브부(40)와, 배출부(60)로 구성된다.
제 2 실시예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 기술한 커버부(10)와, 어댑터(20)와, 연결부(30)와는 동일한 구성, 구조 및 기능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하지 않는다.
다만, 제 2 실시예의 튜브부(40)는 연결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10)의 시약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튜브부(40)는 투명한 관 형태로써, 내부에 구비된 검체 또는 시약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40)는 양끝단부의 외주연에 연결부(30), 배출부(6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60)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부(4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튜브부(40)에 검체 및 시약의 혼합물이 저장되도록 튜브부(40)의 내부를 밀봉하는 동시에 튜브부(40)의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면에 배출구(6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61)는 배출부(60)의 외부에 돌출 형성되는데, 배출구(61)가 형성된 배출부(60)의 일면 즉 내부 바닥면은 튜브부(40)의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배출구(61)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6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61)가 형성된 배출부(60)의 외주연에는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62)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62)의 내부면에는 배출구(61)에 삽입되어 배출구(61)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6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62)는 배출부(60)의 외측에 힌지 연결되어 덮개(62)가 배출부(60)에서 이탈되지 않게 개폐 가능한 구조이거나, 배출부(60)에서 완전 이탈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60)의 내주연에는 튜브부(40)의 끝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60)의 내부에는 튜브부(40)의 끝단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튜브부(40) 내의 검체 및 시약이 배출구(61) 측으로 가이드하는 리브돌기(64)가 돌출 형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배출부(60)는 튜브부(40)와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 및 튜브부(40)의 점검 등 다양한 기능에서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된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의 사용방법은 우선, 튜브부(40)의 내부에 검체를 투입한 뒤, 연결부(30)에 나사결합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의 타측에는 커버부(10)가 나사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커버부(10)의 결합부(11)에는 어댑터(20)가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0)의 내부에는 시약이 저장된 상태이다.
이렇게, 상기 튜브부(40)가 연결부(30)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부(10)를 오픈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상기 커버부(10)의 제 1 스토퍼(12)와 연결부의 제 2 스토퍼(31)가 상호 결착될 때까지 회전(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음)시키면 개폐부(32)의 차단부(33)에 밀접하게 접촉하고 있던 실링부(22)가 차단부(33)에서 이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커버부(10)의 외부를 사용자가 압박하면 커버부(10) 내의 시약이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되고, 상기 시약은 실링부(22)의 확관된 관통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된 시약은 개폐부(32)의 리브살(34)에 의해 차단되어 개폐부(32)의 연결구(35)로만 이송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구(35)를 통해 관통된 시약은 튜브부(40) 내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렇듯, 간단하면서 간편하게 커버부(10)의 시약을 튜브부(40) 내에 투입시키고,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부(10)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링부(22)의 확관된 관통홀(23)이 개폐부(32)의 차단부(33)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튜브부(40) 내의 검체 및 시약이 연결부(30)를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되어 2차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운송된 피펫 스왑장치에서 검체를 배지에 접종시키기 위해 우선, 덮개(62)를 오픈한 상태에서 배출구(61)를 배지의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커버부(10)를 오픈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링부(22)가 차단부(33)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커버부(10)의 외부를 사용자가 압박하면 커버부(10) 내의 공기 압력에 의해 튜브부(40) 내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배출구(61)를 통해 배지에 분사되는 방식으로 접종시키는 것이다.
10 : 커버부 11 : 결합부
12 : 제 1 스토퍼
20 : 어댑터 21 : 단턱부
22 : 실링부 23 : 관통홀
24 : 삽입홈
30 : 연결부 31 : 제 2 스토퍼
32 : 개폐부 33 : 차단부
34 : 리브살 35 : 연결구
36 : 결합돌기 37 : 결합홈
38 : 고정돌기
40 : 튜브부 50 : 면봉
60 : 배출부 61 : 배출구
62 : 덮개 63 : 밀봉돌기
64 : 리브돌기

Claims (9)

  1. 상측부가 연질의 유연성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되는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10)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10)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23)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실링부(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23)은 내주연이 하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20)와;
    상기 커버부(10)와 튜브부(40)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중앙부에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커버부(10)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32)의 중앙부에는 실링부(22)의 확관된 관통홀(23)에 밀접하게 삽입되어 관통홀(23)을 차단하는 차단부(3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33)가 돌출된 개폐부(32)의 일단면에는 실링부(22)의 외주연을 감싸서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리브살(3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33)와 리브살(34) 사이의 개폐부(32)에는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관통하여 튜브부(40)에 전달되도록 연결구(35)가 형성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10)의 시약이 저장되며, 끝단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61)가 형성되는 튜브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2. 상측부가 연질의 유연성과 탄성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시약이 개방된 일측으로 이송되는 커버부(10)와;
    상기 커버부(10)의 개방된 일측에 일체형으로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10)의 시약이 이송되는 관통홀(23)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실링부(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22)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23)은 내주연이 하측으로 확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어댑터(20)와;
    상기 커버부(10)와 튜브부(40)를 상호 연결해주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중앙부에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커버부(10)의 회전에 따라 개폐하는 개폐부(32)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32)의 중앙부에는 실링부(22)의 확관된 관통홀(23)에 밀접하게 삽입되어 관통홀(23)을 차단하는 차단부(3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33)가 돌출된 개폐부(32)의 일단면에는 실링부(22)의 외주연을 감싸서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리브살(3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33)와 리브살(34) 사이의 개폐부(32)에는 어댑터(20)의 관통홀(23)을 통해 이송된 시약이 관통하여 튜브부(40)에 전달되도록 연결구(35)가 형성되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통되도록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검사할 검체 및 커버부(10)의 시약이 저장되는 튜브부(40)와;
    상기 튜브부(40)의 끝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튜브부(40) 내부를 밀봉하는 동시에 튜브부(40)의 내부에 저장된 검체 및 시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면에 배출구(61)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61)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62)가 형성되는 배출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는 연결부(3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결합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의 내부에 어댑터(20)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11)의 외주연에는 연결부(3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커버부(10)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1 스토퍼(1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는 외주연이 결합부(11)의 내부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협하광의 원뿔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20)의 외주연 일단부에는 결합부(11)의 내부에 결합시, 결합부(11)에 걸리도록 단턱부(2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는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양측에 커버부(10)와 튜브부(4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된 연결부(30)의 내주연 중앙부에는 개폐부(32)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가 결합되는 연결부(30)의 내주연에는 커버부(10)의 회전시, 소정간격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 2 스토퍼(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토퍼(31)는 커버부(10)의 제 1 스토퍼(12)와 접촉되어 커버부(10)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2)의 타측 중앙부는 중앙부에 결합홈(37)이 형성된 결합돌기(36)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36)의 결합홈(37)에는 튜브부(40)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튜브부(40) 내에 구비되는 면봉(5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40)의 배출구(61) 외부에는 배출되는 검체 및 시약을 개폐하는 덮개(6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62)의 내부면에는 배출구(61)에 삽입되어 배출구(61)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6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60)는 튜브부(40)의 끝단부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60)의 내부에는 튜브부(40)의 끝단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튜브부(40) 내의 검체 및 시약이 배출구(61) 측으로 가이드하는 리브돌기(6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60)의 내부 바닥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구(6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62)의 내부면에는 배출구(61)에 삽입되어 배출구(61)를 밀봉하도록 밀봉돌기(6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20170052337A 2017-04-24 2017-04-24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186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37A KR101861039B1 (ko) 2017-04-24 2017-04-24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37A KR101861039B1 (ko) 2017-04-24 2017-04-24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039B1 true KR101861039B1 (ko) 2018-05-24

Family

ID=6229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337A KR101861039B1 (ko) 2017-04-24 2017-04-24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03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55B1 (ko) 2018-08-23 2019-11-13 (주)블루진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용 어댑터
CN110514463A (zh) * 2019-09-29 2019-11-29 青岛爱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便样采集检测一体化目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10049615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KR102268418B1 (ko) 2020-12-29 2021-06-23 주식회사 마이크로진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왑장치
KR102343396B1 (ko) 2020-10-08 2021-12-27 한국기계연구원 스왑의 장착 및 수거가 가능한 검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체 채취방법
KR20220168304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의 장기보존이 가능한 내부 충진방식의 제습형 채취용 도구
KR20230019642A (ko) * 2021-08-02 2023-02-09 손동우 시료 채취 및 보관 분주를 위한 장치
KR102545797B1 (ko) * 2022-12-06 2023-06-21 주식회사 세니젠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댐퍼를 갖는 스왑용기
KR102545798B1 (ko) * 2022-12-06 2023-06-21 주식회사 세니젠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KR102615936B1 (ko) 2022-10-26 2023-12-20 (주)이엔비리서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25Y1 (ko) * 2003-12-31 2004-03-19 염한림 압출형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100042952A (ko) * 2008-10-17 2010-04-27 염성희 검체수송용기
KR20120019885A (ko) * 2010-08-27 2012-03-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검체 채취 및 주입 장치
KR20120128301A (ko) * 2011-05-17 2012-11-27 (주)오성엔지니어링 미생물 검체 채취 증균 사멸 배지
KR101265066B1 (ko) * 2012-01-10 2013-05-16 주식회사 에이엠디 검체수송 및 미생물 배양용 배지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25Y1 (ko) * 2003-12-31 2004-03-19 염한림 압출형 검체 수송배지 용기
KR20100042952A (ko) * 2008-10-17 2010-04-27 염성희 검체수송용기
KR20120019885A (ko) * 2010-08-27 2012-03-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검체 채취 및 주입 장치
KR20120128301A (ko) * 2011-05-17 2012-11-27 (주)오성엔지니어링 미생물 검체 채취 증균 사멸 배지
KR101265066B1 (ko) * 2012-01-10 2013-05-16 주식회사 에이엠디 검체수송 및 미생물 배양용 배지용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955B1 (ko) 2018-08-23 2019-11-13 (주)블루진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용 어댑터
CN110514463B (zh) * 2019-09-29 2024-04-16 青岛爱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便样采集检测一体化目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514463A (zh) * 2019-09-29 2019-11-29 青岛爱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便样采集检测一体化目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10049615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KR102283281B1 (ko) * 2019-10-25 2021-07-29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KR102343396B1 (ko) 2020-10-08 2021-12-27 한국기계연구원 스왑의 장착 및 수거가 가능한 검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체 채취방법
KR102268418B1 (ko) 2020-12-29 2021-06-23 주식회사 마이크로진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왑장치
KR20220168304A (ko) * 2021-06-16 2022-12-23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의 장기보존이 가능한 내부 충진방식의 제습형 채취용 도구
KR102580913B1 (ko) * 2021-06-16 2023-09-20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의 장기보존이 가능한 내부 충진방식의 제습형 채취용 도구
WO2023013978A1 (ko) * 2021-08-02 2023-02-09 손동우 시료 채취 및 보관 분주를 위한 장치
KR102623033B1 (ko) * 2021-08-02 2024-01-10 손동우 시료 채취 및 보관 분주를 위한 장치
KR20230019642A (ko) * 2021-08-02 2023-02-09 손동우 시료 채취 및 보관 분주를 위한 장치
KR102615936B1 (ko) 2022-10-26 2023-12-20 (주)이엔비리서치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분주가 가능한 파이펫 딜루언트
KR102545797B1 (ko) * 2022-12-06 2023-06-21 주식회사 세니젠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댐퍼를 갖는 스왑용기
KR102545798B1 (ko) * 2022-12-06 2023-06-21 주식회사 세니젠 검체채취지지축 고정 지지이빨을 갖는 스왑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39B1 (ko)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KR101777169B1 (ko)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101862988B1 (ko) 다단계 분리형 검체 수송 및 반응용기
JP5584287B2 (ja) 蓋体、収容装置、および試料採取方法
US20060039833A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dispensing system
JP5065503B2 (ja) 検査用キット
ES2866982T3 (es) Conjunto de recipiente de recogida de muestras
US6921395B2 (en) Liquid specimen collection system
KR102043955B1 (ko) 검체 채취용 어댑터
US20070025886A1 (en) Biological specimen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dispensing system
US9089841B2 (en) Method of sampling specimen, test method and dropping pipette and specimen sampler to be used therein
BR112014021121B1 (pt) receptor de urina
KR20130111544A (ko) 시료를 수집 및 주입하기 위한 장치
US5420018A (en) Device for the preservation and analysis of samples, in particular for bacteriological examinations,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development of isolation colonies, and a method for seeding the samples onto a culture medium in said device
JP2013228235A (ja) 検査用キット
JP2013245993A (ja) フィルタ器具及び検査用キット
FI68260C (fi) Provroer foer mikrobiologiska undersoekningar
US3420107A (en) Disposable urine specimen tube
KR20100120278A (ko) 검체수송용기
KR20100042952A (ko) 검체수송용기
KR20120131267A (ko)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KR101862991B1 (ko) 2차 감염 방지가 가능한 밀폐형 래피드 진단키트
KR101411459B1 (ko) Fob 검사를 위한 튜브
KR20100012312A (ko)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검체수송용기
US20240044868A1 (en) Controllably exposed chamber for biological speci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