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267A -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 Google Patents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267A
KR20120131267A KR1020110049318A KR20110049318A KR20120131267A KR 20120131267 A KR20120131267 A KR 20120131267A KR 1020110049318 A KR1020110049318 A KR 1020110049318A KR 20110049318 A KR20110049318 A KR 20110049318A KR 20120131267 A KR20120131267 A KR 2012013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dium
handle member
couple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066B1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김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옥 filed Critical 김종옥
Priority to KR102011004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06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02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by impregnation, e.g. using swabs or loo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12M1/30Sampler being a swab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tube or bottl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0Petri dis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4Rotation or movement of the cells support, e.g. rotated hollow fi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돌출부재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내주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출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중앙관통공을 가지는 회전이동부재와, 상기 회전이동부재에 결합되며, 끝단에는 검사를 위한 검체와 접촉되는 멸균된 채집부를 포함하는 면봉부재와, 튜브 형상을 가지며, 일방향 끝단에는 세균배지로 이루어진 배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이동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부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손잡이부재와 결합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하는 것으로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Container device of sample tranpsort medium}
본 발명은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바로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이차 오염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구성물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검사를 위한 모든 검체는 채취 즉시 검사실로 보내어 감사를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즉시 검사할 수 없을 때는 적당한 환경에서 보존하거나 수송해야 한다.
검체의 수송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검체의 종류, 예를 들어 혈액(blood), 고름(pus), 단백질(urine), 대변(stool) 등이나 수송되는 세균의 배양 환경(혐기성, 호기성, 바이러스 등)에 따라 주사기, 멸균된 플라스틱 병 등 여러 가지 기구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각종 세균배지(a culture medium)를 담은 플라스틱 튜브와 멸균처리된 일회용 면봉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품화된 수송배지 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수송배지 용기는 채취준비단계에서 1포장단위로 된 봉투 내에 마개와 결합된 면봉과 배지가 장진된 플라스틱 튜브를 별도로 분리하여 1세트로 보급되고, 검체 채취단계에서는 봉투를 개봉하여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배지가 장진된 플라스틱 튜브속으로 삽입하고, 면봉과 결합된 마개를 닫아서 수송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검체 수송배지 용기는 상품화 시에 면봉이 튜브와 분리된 채 1체트로 보급되므로 면봉에 기타 세균의 사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포장이 필수적이고, 봉투를 개봉하여 장시간 방치할 경우에는 기타 세균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어서 봉투가 개봉된 채 장시간 경과한 수송배지 용기는 폐기하여야 하는 낭비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검체 채취 시에는 반드시 위생장갑을 끼고 봉투를 개봉하고 채취하게 되는 작업이어서 채집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밀봉된 봉투를 일일이 개봉하는 것이 채취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또한 종래의 수송배지 용기는 검체가 채취된 면봉을 튜브에 삽입할 때에 배지가 면봉의 채집부에 의하여 지나치게 유동이 일어나 검체가 배지 속에 손실되거나, 검체가 배지에 희석되어 온전한 검체보존에 장애가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튜브 속에 배지를 수용시킨 뒤, 튜브를 절단하여 면봉을 상기 배지 속에 수용시키는 것도 고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튜브를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하게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바로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이차 오염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구성물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나사부를 가지는 나사돌출부재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내주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출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중앙관통공을 가지는 회전이동부재와, 상기 회전이동부재에 결합되며, 끝단에는 검사를 요하는 검체와 접촉되는 멸균된 채집부를 포함하는 면봉부재와, 튜브 형상을 가지며, 일방향 끝단에는 세균배지로 이루어진 배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이동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부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손잡이부재와 결합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상기 손잡이부재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끝단은 상기 단턱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상기 손잡이부재의 외주에는 돌출된 외주돌출부가 형성되어, 인체가 상기 손잡이부재를 잡고 회전시킬 때 인체와 상기 손잡이부재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상기 회전이동부재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외주홈이 마련되며, 상기 튜브부재의 내주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상기 외주홈에 삽입되는 튜브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이동부재의 이동이 상기 튜브돌기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에 의하면, 간단하게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검체와 접촉된 채집부를 바로 세균배지에 수용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이차 오염의 염려가 전혀 없으며, 구성물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분리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분리사시도를,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100)는 손잡이부재(10)와, 나사돌출부재(20)와, 회전이동부재(30)와, 면봉부재(40)와, 튜브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나사돌출부재(20)는 상기 손잡이부재(1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나사부(22)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이동부재(3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내주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출부재(20)와 나사결합되는 중앙관통공(32)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면봉부재(40)는 상기 회전이동부재(30)에 결합되며, 끝단에는 검사를 요하는 검체와 접촉되는 멸균된 채집부(4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튜브부재(50)는 튜브 형상을 가지며, 일방향 끝단에는 세균배지로 이루어진 배지부(52)를 가지며, 상기 회전이동부재(30)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부(52)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손잡이부재(1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세균배지(혹은 균주배지)는 종래 공지된 조정물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10)에는 단턱(12)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50)의 끝단은 상기 단턱(12)의 끝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의 외주에는 돌출된 외주돌출부(14)가 형성되어, 인체가 상기 손잡이부재(10)를 잡고 회전시킬 때 인체와 상기 손잡이부재(10)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외주홈(34)이 마련되며, 상기 튜브부재(50)의 내주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상기 외주홈(34)에 삽입되는 튜브돌기(54)를 더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이동이 상기 튜브돌기(5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튜브부재(50)를 개방하여 상기 면봉부재(40)의 채집부(42)를 검사를 요하는 검체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검체가 상기 채집부(42)에 묻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튜브부재(50)를 상기 손잡이부재(10)에 결합시킨 뒤, 상기 손잡이부재(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이동부재(30)가 점차 상기 튜브부재(50)의 상기 배지부(5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채집부(42)가 상기 배지부(52) 속으로 진입하여 완벽한 검사를 요하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회전이동부재(30)는 상기 손잡이부재(10)와 결합된 상기 나사돌출부재(20)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마치 볼스크류의 이동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재(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이동부재(30)는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외주에 형성된 외주홈(34)에 상기 튜브부재(50)의 내주벽에 형성된 튜브돌기(54)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외주홈과 상기 튜브부재(50)의 튜브돌기(54)가 없다면, 상기 손잡이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이동이 가이드만 되지 않는다는 것일 뿐 이동되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손잡이부재(10)를 회전만 시키면 상기 채집부(42)가 상기 배지부(52)에 진입하게 되므로, 상기 튜브부재(50)와 상기 손잡이부재(10)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검사를 행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면 되므로 상기 튜브부재(50)를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 상 편리한 것이다.
10. 손잡이부재 12. 단턱
14. 외주돌출부 20. 나사돌출부재
22. 외주나사부 30. 회전이동부재
32. 중앙관통공 34. 외주홈
40. 면봉부재 42. 채집부
50. 튜브부재 52. 배지부

Claims (4)

  1.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재(10);
    상기 손잡이부재(10)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나사부(22)를 가지는 나사돌출부재(20);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관통된 구멍이되 내주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돌출부재(20)와 나사결합되는 중앙관통공(32)을 가지는 회전이동부재(30);
    상기 회전이동부재(30)에 결합되며, 끝단에는 검사를 요하는 검체와 접촉되는 멸균된 채집부(42)를 포함하는 면봉부재(40);
    튜브 형상을 가지며, 일방향 끝단에는 세균배지로 이루어진 배지부(52)를 가지며, 상기 회전이동부재(30)를 수용하며, 상기 배지부(52)가 위치된 방향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손잡이부재(10)와 결합되는 튜브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10)에는 단턱(12)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부재(50)의 끝단은 상기 단턱(12)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의 외주에는 돌출된 외주돌출부(14)가 형성되어, 인체가 상기 손잡이부재(10)를 잡고 회전시킬 때 인체와 상기 손잡이부재(10)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외주홈(34)이 마련되며,
    상기 튜브부재(50)의 내주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이며 상기 외주홈(34)에 삽입되는 튜브돌기(54)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이동부재(30)의 이동이 상기 튜브돌기(5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KR1020110049318A 2011-05-25 2011-05-25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KR10130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18A KR101309066B1 (ko) 2011-05-25 2011-05-25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18A KR101309066B1 (ko) 2011-05-25 2011-05-25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67A true KR20120131267A (ko) 2012-12-05
KR101309066B1 KR101309066B1 (ko) 2013-09-16

Family

ID=475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318A KR101309066B1 (ko) 2011-05-25 2011-05-25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68B1 (ko) 2020-07-07 2021-04-19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접촉 검체 채취 시스템
KR102247756B1 (ko) 2020-08-20 2021-06-03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스마트 기능이 탑재된 워크스루 선별진료소
KR102264483B1 (ko) 2020-07-07 2021-06-17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이동형 비접촉 검체 채취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02B1 (ko) * 2021-06-05 2022-10-25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보관용 용기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534A (ko) * 2004-07-13 2006-01-18 윤성필 배지용기
KR101000830B1 (ko) 2008-02-29 2010-12-14 엄경식 검체용 수송배지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68B1 (ko) 2020-07-07 2021-04-19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접촉 검체 채취 시스템
KR102264483B1 (ko) 2020-07-07 2021-06-17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이동형 비접촉 검체 채취부스
KR102247756B1 (ko) 2020-08-20 2021-06-03 주식회사 쉐어플러스 스마트 기능이 탑재된 워크스루 선별진료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066B1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39B1 (ko)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US6161712A (en) Ball and socket closure
KR101309066B1 (ko) 검체 수송배지 용기체
US20050106753A1 (en) Sanitary fluid collection, application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s of use of same
US20040267181A1 (en) Swab sample collection and recovery device
KR102043955B1 (ko) 검체 채취용 어댑터
JP5080395B2 (ja) 検体容器
KR20170073900A (ko)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101862988B1 (ko) 다단계 분리형 검체 수송 및 반응용기
KR20200022609A (ko) 검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검체 수송배지 용기
JP4824845B2 (ja) 採集容器アッセンブリ
KR101090140B1 (ko) 검체수송용기
KR101284703B1 (ko)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CA2245031C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006526404A (ja) ワンタッチ形検体輸送培地容器
AU743123B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KR20100042952A (ko) 검체수송용기
CN202649001U (zh) 小便标本无菌采集器
CN203178092U (zh) 大便标本处理管
CN201517968U (zh) 有孔痰液塑料采集瓶
CN218232389U (zh) 一种样本采集运送培养装置
CN204831852U (zh) 一种尿液取样器
CN201811859U (zh) 一种新型的标本收集杯
US20230093473A1 (en) Sampling kit for the transport of sputum
CN218710409U (zh) 一种用于富集和收集液体中细胞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