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615A -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615A
KR20210049615A KR1020190134124A KR20190134124A KR20210049615A KR 20210049615 A KR20210049615 A KR 20210049615A KR 1020190134124 A KR1020190134124 A KR 1020190134124A KR 20190134124 A KR20190134124 A KR 20190134124A KR 20210049615 A KR20210049615 A KR 2021004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meat
tube
collec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281B1 (ko
Inventor
백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13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2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육류검체를 채취한 스크레이퍼부를 튜브부에 보관하여 수송함으로써, 육류검체를 육류에서 바로 채취해서 튜브부에 밀폐보관한 뒤 실험실까지 수송하기에 육류검체가 노출되지 않아 세균 등이 침투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육류검체의 변질 등이 발생하지 않아 육류검체의 gDNA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 실험의 효율이 증대되며, 상기 튜브부에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채워져 있기에 튜브부에 육류검체를 투입한 후 실험실까지 수송되는 과정에서 육류검체 중 핵산을 보존 및 핵산을 추출할 때의 전단계인 세포 용해(Lysis) 기능을 추가하여 안정적인 핵산 확보 및 쉽고 빠르게 핵산을 추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Scraper Swap Device for Meat Specimen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육류검체를 채취한 스크레이퍼부를 튜브부에 보관하여 수송함으로써, 육류검체를 육류에서 바로 채취해서 튜브부에 밀폐보관한 뒤 실험실까지 수송하기에 육류검체가 노출되지 않아 세균 등이 침투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육류검체의 변질 등이 발생하지 않아 육류검체의 gDNA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 실험의 효율이 증대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검체를 진단 및 분석을 위한 채취(SALIVA)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진행된다.
일반적인 스왑(SWAB)으로 채취하는 방법(소량의 샘플)과 SALIVA COLLECTION KIT(대량샘플)를 이용하여 육류를 조각으로 절단하여 채취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대부분이 육류를 조각으로 절단해서 채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여기서, 기존 육류 검체 채취는 육고기(ex. 소고기)을 가위 및 칼등으로 육류을 절단하여 큰튜브(50ml conical tube등) 및 지퍼백 등에 담아서 실험실로 보낸다. 실험실에서는 육류에서 유전자를 추출하기 위해서 육고기를 작게 잘라서 Bead등을 이용한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파쇄한 다음 Lysis buffer을 추가후 gDNA을 추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육류 검체 채취 과정 중에서 도마 위에 육류를 놓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세균 등이 침투하고, 큰튜브 또는 지퍼백으로 수송시,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정확한 gDNA을 추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716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육류검체를 채취한 스크레이퍼부를 튜브부에 보관하여 수송함으로써, 육류검체를 육류에서 바로 채취해서 튜브부에 밀폐보관한 뒤 실험실까지 수송하기에 육류검체가 노출되지 않아 세균 등이 침투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육류검체의 변질 등이 발생하지 않아 육류검체의 gDNA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 실험의 효율이 증대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에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채워져 있기에 튜브부에 육류검체를 투입한 후 실험실까지 수송되는 과정에서 육류검체 중 핵산을 보존 및 핵산을 추출할 때의 전단계인 세포 용해(Lysis) 기능을 추가하여 안정적인 핵산 확보 및 쉽고 빠르게 핵산을 추출할 수 있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는 스크레이퍼부와;
상기 스크레이퍼부의 끝단부가 체결되어 지지하는 스크레이퍼 캡부와;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튜브 캡부와;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와 튜브 캡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 캡부와 튜브 캡부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부와;
상기 튜브 캡부 또는 스크레이퍼 캡부와 연결되어 내부가 개폐되고, 채취한 육류검체를 수송시,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와 연결시켜 내부에 스크레이퍼부가 보관되는 튜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도록 채취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채취돌기는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육류를 용이하게 긁을 수 있으며, 상기 채취돌기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에 체결되어 헤드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부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채취돌기에 의해 채취한 육류검체가 외부로 흘러나지 않도록 차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부의 외주연에는 헤드부에 의해 육류검체 채취시, 지지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보강리브가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지지부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채취돌기와 차단턱은 헤드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방향에 상관없이 육류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 캡부의 내측면에는 스크레이퍼부의 지지부가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의 내주연에는 튜브부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돌출된 스크레이퍼 캡부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가 연결시 튜브부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리브돌기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 캡부의 내주연에는 튜브부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 캡부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가 연결시 튜브부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밀착돌기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부에는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는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육류검체를 채취한 스크레이퍼부를 튜브부에 보관하여 수송함으로써, 육류검체를 육류에서 바로 채취해서 튜브부에 밀폐보관한 뒤 실험실까지 수송하기에 육류검체가 노출되지 않아 세균 등이 침투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육류검체의 변질 등이 발생하지 않아 육류검체의 gDNA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어 실험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에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채워져 있기에 튜브부에 육류검체를 투입한 후 실험실까지 수송되는 과정에서 육류검체 중 핵산을 보존 및 핵산을 추출할 때의 전단계인 세포 용해(Lysis) 기능을 추가하여 안정적인 핵산 확보 및 쉽고 빠르게 핵산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 캡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 캡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유체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레이퍼 캡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 캡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는 스크레이퍼부(10)와,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와, 커넥터부(40)와, 튜브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레이퍼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는 장치로써, 헤드부(11)와, 지지부(12)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11)는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도록 채취돌기(13)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채취돌기(13)는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육류를 용이하게 긁을 수 있으며, 상기 채취돌기(13)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많은 양의 육류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취돌기(13)는 육류에 대고 긁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쉽게 육류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1)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채취돌기(13)에 의해 채취한 육류검체가 외부로 흘러나지 않도록 차단턱(14)이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턱(14)이 헤드부(11)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면서 전면측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차단턱(14) 내측에 채취돌기(13)에 의해 채취한 육류검체를 담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차단턱(14)의 내측에 채취돌기(13)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1)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에서 기술한 채취돌기(13)와 차단턱(14)이 형성되는데, 즉, 상기 채취돌기(13)와 차단턱(14)은 헤드부(11)의 양면에 형성되어 육류검체를 편리하게 채취하는 동시에 많은 양의 육류검체를 채취할 수 있어 실용적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2)는 헤드부(1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끝단부는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체결부(21)의 체결홈(22)에 체결되어 육류검체 채취시, 헤드부(11)를 지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외주연에는 헤드부(11)에 의해 육류검체 채취시, 지지부(12)의 구부러짐,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 보강리브(15)가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5)는 지지부(12)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크레이퍼부(10)를 통해 채취된 육류검체 채취 무게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No. 검체 채취 무게(g)
2회 4회 양면 채취
채취돌기 각도
40˚
채취돌기 각도
15˚
채취돌기 각도
40˚
채취돌기 각도
15˚
채취돌기 각도
15˚
1 0.022 0.041 0.019 0.04 0.081
2 0.019 0.045 0.02 0.041 0.079
3 0.018 0.039 0.021 0.039 0.08
4 0.025 0.038 0.022 0.038 0.078
5 0.019 0.041 0.018 0.04 0.082
6 0.023 0.038 0.023 0.038 0.078
7 0.022 0.04 0.02 0.041 0.079
8 0.02 0.039 0.019 0.041 0.083
9 0.017 0.044 0.021 0.04 0.08
10 0.015 0.043 0.021 0.039 0.077
11 0.028 0.042 0.018 0.038 0.082
12 0.022 0.04 0.019 0.041 0.078
13 0.021 0.038 0.021 0.04 0.081
14 0.023 0.039 0.022 0.038 0.08
15 0.019 0.04 0.021 0.041 0.081
16 0.018 0.041 0.02 0.039 0.078
17 0.02 0.04 0.021 0.04 0.081
18 0.021 0.039 0.019 0.038 0.079
19 0.018 0.041 0.018 0.04 0.08
20 0.021 0.038 0.02 0.041 0.078
평균 0.02 0.04 0.02 0.04 0.08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부(10)의 끝단부가 체결되어 지지하는 캡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측면에는 스크레이퍼부(10)의 지지부(12)가 체결되도록 체결홈(22)이 형성된 체결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21)의 체결홈(22)은 스크레이퍼부(10)의 지지부(12)가 체결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수직 단면상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부(10)의 지지부(12)가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1)가 돌출된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50)가 연결시 튜브부(5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리브돌기(23)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브돌기(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체결부(21)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리브돌기(23)는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주연과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주연과의 사이에 튜브부(50)의 개방된 일측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주연에는 튜브부(50)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외주연 끝단부에는 튜브 캡부(3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부(40)를 지지하도록 지지돌기(2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24)는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커넥터부(40)의 끝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튜브 캡부(3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튜브부(5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캡이다.
여기서, 상기 튜브 캡부(30)의 내주연에는 튜브부(50)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 캡부(3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50)가 연결시 튜브부(5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밀착돌기(31)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돌기(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튜브 캡부(30)의 내주연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밀착돌기(31)와 튜브 캡부(30)의 내주연 사이에 튜브부(50)의 개방된 일측이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 캡부(30)는 스크레이퍼 캡부(20)와 대칭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외주연 둘레와 동일한 둘레로 형성되어야 커넥터부(40)에 의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 캡부(30)의 외주연 끝단부에는 스크레이퍼 캡부(2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부(40)를 지지하도록 지지돌기(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32)는 튜브 캡부(3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커넥터부(40)의 끝단부가 지지된다. 즉,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지지돌기(24)에 지지된 커넥터부(40)의 반대측을 튜브 캡부(30)의 지지돌기(32)에 의해 지지하여 커넥터부(40)가 튜브 캡부(30) 및 스크레이퍼 캡부(20)의 외주연에 결합시, 쉽게 빠지지 않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4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를 연결시키는 장치로, 사용방식에 따라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를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넥터부(40)에 의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육류검체를 채취시에는 튜브 캡부(30)가 튜브부(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부(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만들고, 육류검체의 채취가 완료되어 튜브부(50)에 투입 보관할 때는 커넥터부(40)를 통해 튜브 캡부(30)를 튜브부(50)에서 탈락시킨 뒤 스크레이퍼부(10)를 튜브부(50)에 투입한 후 스크레이퍼 캡부(20)를 튜브부(50)에 체결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40)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작동시킬 때 쉽게 힘이 전달되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커넥터부(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41)는 커넥터부(40)의 외주연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40)의 내주연에는 내부에 결합되는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가 빠지지 않도록 빠짐방지돌기(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빠짐방지돌기(42)는 커넥터부(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40)의 내주연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부(5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개방되어 내부에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저장되고, 상기 튜브부(50)는 투명한 관 형태로써, 내부에 구비된 수송배지 및 육류검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부(50)는 스크레이퍼 캡부(20) 또는 튜브 캡부(30)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일측 끝단부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50)의 내부 바닥면은 튜브부(50) 내에 투입된 스크레이퍼부(10) 및 육류검체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중앙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시약 Stock Conc. Working Conc. 비고
EDTA 0.5M 0.02M
Tris-HCl 1M 0.05M
NaCl - 1.1M
CTAB - 1%
Tween-20 - 0.5%
2-mercaptoethanol - 0.2%
pH 8.0
10 : 스크레이터부 11 : 헤드부
12 : 지지부 13 : 채취돌기
14 : 차단턱 15 : 보강리브
20 : 스크레이퍼 캡부 21 : 체결부
22 : 체결홈 23 : 리브돌기
24,32 : 지지돌기
30 : 튜브 캡부 31 : 밀착돌기
40 : 커넥터부 41 : 이탈방지돌기
42 : 빠짐방지돌기
50 : 튜브부

Claims (8)

  1.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는 스크레이퍼부(10)와;
    상기 스크레이퍼부(10)의 끝단부가 체결되어 지지하는 스크레이퍼 캡부(20)와;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와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튜브 캡부(30)와;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 캡부(20)와 튜브 캡부(30)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부(40)와;
    상기 튜브 캡부(30) 또는 스크레이퍼 캡부(20)와 연결되어 내부가 개폐되고, 채취한 육류검체를 수송시,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와 연결시켜 내부에 스크레이퍼부(10)가 보관되는 튜브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부(10)는,
    상기 육류를 직접적으로 긁어서 육류검체를 채취하도록 채취돌기(13)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채취돌기(13)는 끝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육류를 용이하게 긁을 수 있으며, 상기 채취돌기(13)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의 끝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에 체결되어 헤드부(11)를 지지해주는 지지부(1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채취돌기(13)에 의해 채취한 육류검체가 외부로 흘러나지 않도록 차단턱(14)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의 외주연에는 헤드부(11)에 의해 육류검체 채취시, 지지부(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보강리브(15)가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15)는 지지부(12)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돌기(13)와 차단턱(14)은 헤드부(1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어 방향에 상관없이 육류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측면에는 스크레이퍼부(10)의 지지부(12)가 체결되도록 체결홈(22)이 형성된 체결부(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주연에는 튜브부(50)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1)가 돌출된 스크레이퍼 캡부(2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50)가 연결시 튜브부(5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리브돌기(23)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캡부(30)의 내주연에는 튜브부(50)와 연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 캡부(3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튜브부(50)가 연결시 튜브부(50)의 내주연과 밀착되어 지지해주는 밀착돌기(31)가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50)에는 육류검체의 핵산보존용 수송배지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KR1020190134124A 2019-10-25 2019-10-25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KR10228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24A KR102283281B1 (ko) 2019-10-25 2019-10-25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24A KR102283281B1 (ko) 2019-10-25 2019-10-25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15A true KR20210049615A (ko) 2021-05-06
KR102283281B1 KR102283281B1 (ko) 2021-07-29

Family

ID=7591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24A KR102283281B1 (ko) 2019-10-25 2019-10-25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103B1 (ko) 2022-02-28 2023-01-20 피엠더블유 주식회사 검체 채취용 스왑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169B1 (ko) 2015-12-21 2017-09-11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101861039B1 (ko) *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169B1 (ko) 2015-12-21 2017-09-11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검체 채취용 수송용기
KR101861039B1 (ko) * 2017-04-24 2018-05-24 백계승 검체 채취 및 수송용 피펫 스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281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51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samples on porous substrates
US20100210011A1 (en) Marking ear tag comprising a tissue sampling device
KR20210049615A (ko) 육류 검체 채취 및 수송용 스크레이퍼 스왑장치
DE602005008257D1 (de) System zum markieren eines biologischen objekts un
CN104764651A (zh) 一种液氮罐
CN204237790U (zh) 一种病毒采样管
CN211443187U (zh) 一种基于高通量测序的个体基因检测试剂盒
CN203997442U (zh) 一种液氮罐用冻存管保存架
CN113335731B (zh) 一种检测烟曲霉及肺孢子菌特异性基因的方法及试剂盒
US7619225B2 (en) Multifunction electron microscope specimen holder
CA2383554A1 (en) Methods for the detection, analysis and isolation of nascent proteins
CN207933471U (zh) 核酸试剂盒
TWI667342B (zh) 採便器
US4516438A (en) Standardized sampling hay probe
CN217487426U (zh) 一种封闭式载杆
CN115885032A8 (zh) 集成式智能核酸检测系统
CN219331728U (zh) 一种dhi采样架
CN215753846U (zh) 一种分子检测减震试剂盒
CN115722292B (zh) 一种地下水自然资源调查用分类收集装置及使用方法
CN216547515U (zh) 一种蛋白及抗体的检测试剂盒
CN214357551U (zh) 一种基于高通量快速检测的试剂盒
CN217893740U (zh) 一种现场dna提取拭子用保存盒
CN204335643U (zh) 冻存盒
CN217625007U (zh) 一种拼装式深孔板
CN213992060U (zh) 一种耳标钳连续打标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