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242B1 -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242B1
KR102541242B1 KR1020210115665A KR20210115665A KR102541242B1 KR 102541242 B1 KR102541242 B1 KR 102541242B1 KR 1020210115665 A KR1020210115665 A KR 1020210115665A KR 20210115665 A KR20210115665 A KR 20210115665A KR 102541242 B1 KR102541242 B1 KR 10254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panel
flange portion
panel unit
square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625A (ko
Inventor
유영흥
Original Assignee
유영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흥 filed Critical 유영흥
Priority to KR102021011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2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로서,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사각 홈(22)을 가긴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21)이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 사각 홈(12)을 가지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1)들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된 프레임 조립체가 패스너(2)로 건축물의 외벽(1)에 패스너(2)로써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의 전면에 외장 패널 유닛(30)이 클램프(50)로 프레임(11,21)의 사각홈(12,22)안에 압착고정되어,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클램프(50)로 결합한 부분에서 슬라이딩이 일어나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내진성을 가지고, 클램프의 전면에 클램프 커버(60)가 결합되어 코킹작업을 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exterior panel with anti-seismic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그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진 구조를 가지는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외벽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소위 '오픈 조인트(open joint)'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공법은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10)에 대해 수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전방에는 수직으로 돌출 연장된 수직 구획 레일(110)에 의해 복수의 수직 배수로(120)가 형성되며 후방 중심부에는 체결 연장부(130)가 수직으로 돌출 구비된 수직 지지대(100)와, 수직 지지대(10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수직 지지대(100)의 전방에 결합되고 전방에는 수평으로 돌출 연장된 수평 구획 레일(210)에 의해 복수의 수평 배수로(220)가 수직 배수로(120)와 만나도록 형성된 수평지지대(200)와, 수직 지지대(100) 및 수평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게 수직 지지대(100) 및 수평 지지대(2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마감 패널(300)과, 수직 지지대(100)의 전방 중심부 및 마감 패널(300)의 사이, 수평 지지대(200)의 전방 중심부 및 마감 패널(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좌우 전후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면 마감 패널(300)의 변위가 허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클립(400)을 포함하여 패널 조립체를 구성한다.
상기한 종래의 외장 패널 고정방법은 구성 부품의 개수가 많아 구성 부품을 일일이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에 시간이 걸려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구조가 복접하여 부품 조립에 정확성이 요구되는 등 숙련 작업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KR 10-2021454B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여, 구성 부품의 개수가 적어 조립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으며, 조립후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그 고정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은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지며,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과, 각각은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결합되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건축물의 외벽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의 전면에 설치되고, 각 셀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상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상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와 함께 상기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각 셀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부와, 각 셀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좌측 플랜지부와, 각 셀의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우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외장 패널 유닛(30);
상기 각 셀의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삽입된 좌측의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와 우측의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를 가압편으로 각 사각 홈의 바닥면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로 사각 홈의 바닥면에 체결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의 좌우 측편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 클램프;
상기 각 셀의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삽입된,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의 하부 플랜지부와 하측의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를 양단의 가압편으로 각 사각 홈의 바닥면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로 사각 홈의 바닥면에 체결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을 프레임의 사각홈 바닥에 압착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클램프;
상기 세로 클램프와 가로 클램프의 전방 개방부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전방 개방부와 상기 인접하는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 안으로 침투하지 않게 차단하는 클램프 커버;를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장 패널 유닛이 세라믹 박판이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 하부 플랜지부, 좌측 플랜지부 및 우측 플랜지부는 상기 세라믹 박판의 가장자리에 실리콘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고정나사로 상기 클램프를 사각홈에 체결함에 따라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의 가압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각 사각 홈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압착편을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외장 패널 유닛이 알루미늄 패널 또는 복합패널이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 하부 플랜지부, 좌측 플랜지부 및 우측 플랜지부는 상기 알루미늄 패널의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벤딩하여 연장한 연장부와, 상기 고정나사로 상기 클램프를 사각홈에 체결함에 따라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의 가압편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각 사각 홈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압착편을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 프레임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진 세로 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복수개를 배치하고,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진 가로 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배치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과 결합하여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제작한다.
(2) 상기 프레림 조립체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건축물의 외벽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수단으로 고정한다.
(3)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에 조립할 외장 패널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장 패널 유닛을 제작한다. 평판형 알루미늄 패널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를 각각 벤딩하여, 각 셀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상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하부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상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하부 플랜지부와 함께 상기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부와, 각 셀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부와, 각 셀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좌측 플랜지부와, 각 셀의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인접하는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와 함께 고정되는 우측 플랜지부를 구비한 외장 패널 유닛을 제작한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의 제작단계는 상부 플랜지부, 하부 플랜지부, 좌측 플랜지부, 우측 플랜지부가 각각 상기 알루미늄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벤딩하여 성형된 연장부와, 상기 각 연장부의 선단을 패널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벤딩하여 성형된 압착편과, 상기 압착편의 선단을 패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벤딩하여 성형한 테일부(tail portion)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플랜지부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4) 제작된 외장 패널 유닛을 각 셀의 정해진 위치에 예비 고정하는 단계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와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를 하나의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 배치하고, 사각 홈안에 배치된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과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를 각각 체결나사로 사각 홈의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들을 프레임에 예비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예비 고정 작업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외장 패널 유닛들의 프랜지부들을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 예비 고정한다.
(5)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들의 인접하는 2개의 플랜지부를, 프레임의 사각홈 바닥에 클램프의 가압편으로 눌러서 고정하는 단계
하나의 프레임의 사각홈 안에 체결나사로 예비 고정된 상기 예비 고정된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의 압착편과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의 압착편을, 클램프의 가압편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를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의 우측 플랜지부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좌측 플랜지부를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 바닥에 고정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클램프의 개방부에 클램프 커버를 끼워 마감처리한다.
그리고나서 좌측 플랜지부를 인접하는 다른 우측 플랜지부와 클램프로 고정하는 작업을 마친 다음, 하부 플랜지부와 하부에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를 하나의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서 서로 인접하게 끼워 넣은 후,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의 하측 플랜지부의 압착편과 하측에서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의 압착편을, 클램프의 가압편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를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상측 외장 패널 유닛의 하부 플랜지부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를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 바닥에 고정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클램프의 개방부에 클램프 커버를 끼워 마감처리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마다 외장 패널 유닛을 하나씩 조립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외장 패널 유닛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플랜지부들의 압착편들이 프레임의 사각 홈 바닥에 맞닿은 상태로 클램프의 가압편에 의해 눌려져 프레임의 사각 홈 바닥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므로, 외장 패널 유닛과 프레임의 조립부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코킹 작업 없이도 누수를 차단할 수 있고, 클램프가 외장 패널 유닛의 플랜지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구조이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시 클램프의 가압편과 외장 패널 유닛 플랜지부의 압착편 사이의 미끄럼 유동에 의해 진동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 구성 부품의 개수가 적어 조립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외장 패널 유닛이 건축물의 외측 벽면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장 패널 유닛을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가장자리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외장 패널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a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 안에 좌측 외장 패널 유닛과 우측 외장 패널 유닛의 플랜지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 안에 상측 외장 패널 유닛의 하부 플랜지부와 하측 외장 패널 유닛의 상부 플랜지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알루미늄 패널로 구성된 외장 패널 유닛의 가장자리를 벤딩하여 각 가장자리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구현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b는 알루미늄 패널로 구성된 외장 패널 유닛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를 결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세라믹 박판으로 구성된 외장 패널 유닛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를 결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클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의 C-C선 단면도로서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클램프의 전방 개방부에 결합되어 밀폐하는 클램프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외장 패널의 조립 방법을 구성하는 일단계로서, 도 5a에서 외장 패널 유닛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를 사각 홈안에 넣고 예비 고정한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예비 고정된 플랜지부에 클램프를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한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클램프의 전방 개방부에 클램프 커버를 끼워 마감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b의 세라믹 박판으로 이루어진 외장 패널 유닛을 프레임에 조립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a의 외장 패널 유닛을 프레임에 조립한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22)을 가지며,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21)과, 각각은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1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결합되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C)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는 건축물의 외벽(1)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패스너(fastner, 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의 전면에는 외장 패널 유닛(30)이 결합된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은 알루미늄 패널, 복합패널, 및 세라믹 박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은 어느 경우에도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에 좌측 플랜지부(40a)이 구비되고, 우측 가장자리에는 우측 플랜지부(40b)가 구비되고, 상측 가장자리에는 상측 플랜지부(40c)가 구비되며, 하측 가장자리에는 하측 플랜지부(40d)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부들(40a-40d)을 모두 같은 사이즈와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각각 구분하여 지칭한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셀(c)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상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상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함께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부(40c)와, 각 셀(C)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인접하는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와 함께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부(40d)와, 각 셀(c)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22)에, 인접하는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함께 고정되는 좌측 플랜지부(40a)와, 각 셀(c)의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22)에, 인접하는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와 함께 고정되는 우측 플랜지부(40b)를 구비한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은 알루미늄 패널, 복합패널 및 세라믹 박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알루미늄 패널로 구성된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를 각각 벤딩하여, 각 가장자리에 각각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알루미늄 패널 또는 복합패널 경우, 상부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를 각각 후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벤딩하여, 각 가장자리에 절곡부(31)를 구비한다. 각 절곡부(31)에는 각각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가 리벳(46)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플랜지부들을 절곡부에 연결하는 수단을 리벳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접합수단, 예컨대 용접, 보울트-너트 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는 각각 외장 패널 유닛(30)의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벤딩하여 형성한 절곡부(31)에 리벳으로 결합되어 연장된 연장부(41)와, 상기 각 연장부(41)의 선단을 패널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벤딩하여 구비된 압착편(43)과, 상기 압착편(43)의 선단을 패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벤딩하여 성형한 테일부(44)를 가진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세라믹 박판인 경우, 상기 상부 플랜지부, 하부 플랜지부, 좌측 플랜지부 및 우측 플랜지부는 상기 세라믹 박판의 가장자리에 실리콘재 접착제(47)로 결합되는 연장부(41)와, 상기 각 연장부(41)의 선단을 패널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벤딩하여 구비된 압착편(43)과, 상기 압착편(43)의 선단을 패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벤딩하여 성형한 테일부(44)를 가진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의 플랜지부와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들을 세로 프레임(21) 또는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안에 함께 삽입하여, 플랜지부(40a-40d)들의 압착편(43)을 체결나사(P2)로 프레임의 사각홈(22,12)의 바닥에 체결하여 예비적으로 프레임(21,11)에 고정하고, 그리고나서, 고정나사(P1)로 프레임의 사각 홈(12,22)에 체결되는 클램프(50)의 가압력으로 2개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플랜지부를 눌러서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 고정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40a, 40b)를 프레임의 사각 홈(22) 바닥에 체결나사(P2)로 체결하기 전에 사각 홈(22) 바닥에 우레탄 방수시트(23)를 접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우레탄 방수시트(23)는 체결나사(P2) 또는 고정나사(P1)가 체결되면서 사각 홈(22)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클램프(50)는 도 6a 및 도 6b,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P1)가 체결될 때 헤드부가 안착하는 고정나사 시트(51), 상기 고정나사(P2)가 고정나사 시트(51)를 관통하여 프레임(11,21)의 사각 홈(12,22)의 바닥에 체결될 때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40a-40d)의 압착편(43)을 프레임(11,21)의 바닥에 눌러주는 가압편(52), 및 상기 고정나사 시트(51)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내측벽 선단에 걸림턱(55)이 구비된 클램프 커버 결합부(54)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50)는 편의 상 상기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에 조립되는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우측 플랜지부(40a,40b)를 고정하는 세로 클램프와,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조립되는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하부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가로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들 세로 클램프와 가로 클램프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동일한 방식으로 플랜지부들을 프레임의 사각 홈(12,22)에 고정하므로 동일한 부호 5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세라믹 박판으로 구성된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프레임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클램프(50)는 상기 각 셀(C)의 세로 프레임의 사각 홈에 삽입된 좌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의 압착편(43)과 우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의 압착편(43)을 하나의 세로 클램프(50)의 가압편(52)으로 사각 홈(22)의 바닥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P1)로 사각 홈(22)의 바닥에 체결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우측의 플랜지부(40a,40b)를 한꺼번에 압착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로 클램프(50)도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셀(c)의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삽입된,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의 압착편(43)과 하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의 압착편(43)을 가압편(52)으로 각 사각 홈(12)의 바닥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P1)로 사각 홈(12)의 바닥에 체결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30)을 프레임의 사각홈 바닥에 압착 고정한다.
상기 세로 클램프(50)와 가로 클램프(50)의 클램프 커버 결합부(54)사이로 개방된 전방 개방부에는 도 7의 클램프 커버(60)가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이 상기 전방 개방부와 상기 인접하는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 안으로 침투하지 않게 차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1) 프레임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 (도 2 참조)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22)을 가진 세로 프레임(21)을,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복수개를 배치하고,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진 가로 프레임(11)을,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배치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용접(W)으로 결합하여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C)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제작한다.
(2) 상기 프레림 조립체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단계 (도 4a 및 도 4b 참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건축물의 외벽(1)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프레임(11,21)을 건축물의 외벽(1)에 고정 수단인 파스너(2)로 고정한다.
(3)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에 조립할 외장 패널 유닛(30)을 제작하는 단계(도 3 및 도 5a 참조);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장 패널 유닛(30)을 제작한다.
외장 패널 유닛(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를 가진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각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와, 상기 각 연장부의 선단을 패널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벤딩하여 형성한 압착편(43)과, 상기 압착편(43)의 선단을 패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벤딩하여 성형한 테일부를 가지는 플랜지부를 성형하고, 이렇게 성형된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플랜지부(40c, 40d, 40a, 40b)의 각 연장부(41)를 패널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외장 패널 유닛(30)을 제작한다.
(4) 제작된 외장 패널 유닛(30)을 각 셀(C)의 정해진 위치에 예비 고정하는 단계(도 8 참조)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를 하나의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안에 배치하고, 사각 홈(22) 안에 배치된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과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를 각각 체결나사(P2)로 사각 홈(22)의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30)들을 프레임(21)에 예비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예비 고정 작업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외장 패널 유닛(30)들의 플랜지부들을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 예비 고정한다.
또, 상기한 외장 패널 유닛(30)의 측편을 예비고정 작업과는 별도로,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30C)를 가로 프레임(11)에 고정한다. 즉,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a)를 하나의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안에 배치하고, 사각 홈(12) 안에 배치된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각각 체결나사(P2)로 사각 홈(12)의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30)들을 프레임(21)에 예비적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예비 고정 작업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외장 패널 유닛(30)들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부들을 가로 프레임의 사각 홈안에 예비 고정한다.
(5) 예비 고정된 2개의 플랜지부들을, 프레임의 사각홈 바닥에 클램프(50)로 눌러서 압착 고정하는 단계(도 9 참조)
하나의 프레임(11,21)의 사각홈(12,22) 안에 체결나사(P2)로 예비 고정한 다음, 상기 예비 고정한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의 압착편(43)과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의 압착편(43)을, 클램프(50)의 가압편(52)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50)를 고정나사(P1)로 프레임의 사각홈(12,22)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를 세로 프레임(21) 에 고정한다.
그리고, 좌측 플랜지부를 인접하는 다른 우측 플랜지부와 클램프로 고정하는 작업을 마친 다음,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에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안에 서로 인접하게 넣은 후,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의 압착편(43)과 하측에서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의 압착편(43)을, 클램프(50)의 가압편(52)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50)를 고정나사(P1)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 바닥에 체결하여, 상측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 바닥에 고정한다.
(6) 상기 클램프의 전면 개방부에 클램프 커버(60)를 결합하여 마감처리한다(도 10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외장 패널 유닛(30)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패널로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40)를 별도로 제작하여 외장 패널 유닛(30)에 결합하는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1: 건축물의 외벽
2: 패스너(fastener)
11: 가로 프레임
12: 사각 홈
21: 세로 프레임
22: 사각 홈
23: 투명 우레탄 시트
40a, 40b, 40c, 40d: 플랜지부
41: 연장부
43: 압착편
44: 테일부(tail portion)
50: 클램프
51: 고정나사 시트(seat)
52: 가압편
54: 결합부
55: 걸림턱
60: 클램프 커버

Claims (7)

  1.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로서,
    상기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는
    각각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22)을 가지며,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21)과, 각각은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12)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결합되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C)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로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건축물의 외벽(1)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조립체를 건축물의 외벽(1)에 고정하는 패스너(2);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의 전면에 설치되고, 각 셀(C)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상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함께 삽입되어 상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함께 상기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부(40c)와, 각 셀(C)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인접하는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와 함께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부(40d)와, 각 셀(C)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에, 인접하는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좌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함께 고정되는 좌측 플랜지부(40a)와, 각 셀(C)의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에, 인접하는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와 함께 삽입되어 상기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b)와 함께 고정되는 우측 플랜지부(40b)를 구비한 외장 패널 유닛(30);
    상기 각 셀(C)의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에 삽입된 좌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우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를 가압편(52)으로 각 사각 홈(22)의 바닥면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P1)로 사각 홈의 바닥면에 체결하여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우 측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50);
    상기 각 셀(C)의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삽입된,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양단의 가압편(52)으로 각 사각 홈(12)의 바닥에 누른 상태로 고정나사(P1)로 사각 홈(12)의 바닥에 체결하여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외장 패널 유닛(30)을 프레임(11)의 사각홈(12) 바닥에 압착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50); 및
    상기 클램프(50)의 개방부에 결합되어 외부 이물질이 인접하는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 안으로 침투하지 않게 차단하는 클램프 커버(6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는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선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나사(P1)로 상기 클램프(50)를 사각 홈(12,22)에 체결함에 따라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50)의 가압편(5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각 사각 홈(12,22)의 바닥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압착편(43)과, 상기 압착편(43)의 폭방향 외측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테일부(44)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50)는 상기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에 조립되는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우측 플랜지부(40a, 40b)의 연장부(41)를 사각 홈(22)의 바닥면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세로 클램프(50)와,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에 조립되는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하부 플랜지부(40c,40d)를 고정하는 가로 클램프(5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50)는 고정나사(P1)로 프레임에 체결될 때 고정나사 헤드부가 안착하는 고정나사 시트(51), 상기 고정나사(P1)가 고정나사 시트(51)를 관통하여 프레임(11,21)의 사각홈의 바닥에 체결될 때 체결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40a-40d)의 압착편(43)을 프레임의 사각 홈(12,22)에 눌러주는 가압편(52), 및 상기 고정나사 시트(51)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내측벽 선단에 걸림턱(55)이 구비된 클램프 커버 결합부(54)를 구비한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알루미늄 패널 또는 복합패널이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의 연장부(41)는 상기 알루미늄 패널 또는 복합패널의 가장자리를 후방으로 벤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이 세라믹 박판이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의 연장부(41)는 선단부가 상기 세라믹 박판의 가장자리에 접착제(47)로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4. 삭제
  5. 내진 구조의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 방법으로서,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22)을 가진 세로 프레임(21)을, 횡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복수개를 배치하고, 사방이 측벽으로 막힌 중공형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전방 측벽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사각 홈을 가진 가로 프레임(11)을, 종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배치하여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동일평면 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교차하는 부분에서 상기 세로 프레임(21)과 용접(W)으로 결합하여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개의 사각형 셀(C)을 형성하는 프레임 조립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건축물의 외벽(1)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프레임(11,21)을 건축물의 외벽(1)에 고정 수단인 파스너(2)로 고정하는 단계;
    상,하,좌,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각 셀(C)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40c), 하부 플랜지부(40d), 좌측 플랜지부(40a) 및 우측 플랜지부(40b)는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41)와, 상기 연장부(41)의 선단에서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압착편(43)과, 상기 압착편(43)의 폭방향 외측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테일부(44)를 가지는, 외장 패널 유닛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각 셀(C)마다 외장 패널 유닛(30)을 하나씩 배치하고,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와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를 하나의 세로 프레임(21)의 사각 홈(22)안에 배치하고, 사각 홈(22) 안에 배치된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과 우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를 각각 체결나사(P2)로 사각 홈(22)의 바닥에 체결하며,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a)를 하나의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안에 배치하고, 사각 홈(12) 안에 배치된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의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각각 체결나사(P2)로 사각 홈(12)의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30)을 프레임(11, 21)에 예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예비 고정한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의 압착편(43)과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의 압착편(43)을, 클램프(50)의 가압편(52)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50)를 고정나사(P1)로 프레임의 사각홈(12,22) 바닥에 체결하여, 외장 패널 유닛(30)의 좌측 플랜지부(40a)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우측 플랜지부(40b)를 세로 프레임(21)에 고정하고, 하부 플랜지부(40d)와 하측에 인접하는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안에 서로 인접하게 넣은 후, 상측의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의 압착편(43)과 하측에서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의 압착편(43)을, 클램프(50)의 가압편(52)들이 눌러주도록 클램프(50)를 고정나사(P1)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 바닥에 체결하여, 상측 외장 패널 유닛(30)의 하부 플랜지부(40d)와 인접한 다른 외장 패널 유닛(30)의 상부 플랜지부(40c)를 가로 프레임(11)의 사각 홈(12) 바닥에 고정하여, 외장 패널 유닛(30)들을 프레임(11, 21)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클램프의 전면 개방부에 클램프 커버(60)를 결합하여 마감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의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 유닛(30)은, 알루미늄 패널, 복합패널, 및 세라믹 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 내진 구조의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 방법.
KR1020210115665A 2021-08-31 2021-08-31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KR10254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665A KR102541242B1 (ko) 2021-08-31 2021-08-31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665A KR102541242B1 (ko) 2021-08-31 2021-08-31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25A KR20230032625A (ko) 2023-03-07
KR102541242B1 true KR102541242B1 (ko) 2023-06-07

Family

ID=8551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665A KR102541242B1 (ko) 2021-08-31 2021-08-31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2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673A (ja) * 1993-11-25 1995-06-13 Fuji Seiko Kk 化粧パネルの取付構造
JPH08284358A (ja) * 1995-04-11 1996-10-29 Mitsubishi Chem Corp 外装パネル
KR20190129425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다금산업 외벽패널의 설치구조
KR102021454B1 (ko) 2018-12-27 2019-09-16 라인강건산업주식회사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625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8344B1 (en) Modular wall structural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H0358010B2 (ko)
KR102541242B1 (ko) 내진 구조를 가진 건축 외장 패널의 고정장치 및 고정 방법
KR101826762B1 (ko) 판재 접합형 판상 마감재
KR101509885B1 (ko) 오픈조인트 방식의 마감판넬 설치구조
KR101065186B1 (ko) 점 지지 방식의 유리 커튼 월 시스템
JP4133530B2 (ja) 間仕切パネル
KR20150101553A (ko) 지주 결합용 고정앵글을 이용한 방음판 고정장치
KR101826764B1 (ko) 판재 결속형 판상 마감재
KR101786617B1 (ko) 확장성이 강화된 조립 벤치
US4106255A (en) Wall panel assemblies
CN217151747U (zh) 一种高强度护翼注胶组角片
CN210685083U (zh) 一种装配式轻质隔墙系统
CN209874241U (zh) 一种装配式墙板的连接扣合结构
KR102310734B1 (ko) 창호 프레임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창호
EP0961040A1 (en) Assembly of profiles to form a rigid frame.
KR101892480B1 (ko) 방범 방충용 도어 프레임의 조립 구조
JP2560455Y2 (ja) 枠体の連結構造
JP2024050117A (ja) つなぎ用金具のガイド治具
JP3308215B2 (ja) 戸 体
JPH1162030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及びその連結構造
JP4198546B2 (ja) 遮音パネル
JP2008297863A (ja) 建築構造体
KR101826771B1 (ko)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JP2006104774A (ja) 建築部材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