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771B1 -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 Google Patents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771B1
KR101826771B1 KR1020170092585A KR20170092585A KR101826771B1 KR 101826771 B1 KR101826771 B1 KR 101826771B1 KR 1020170092585 A KR1020170092585 A KR 1020170092585A KR 20170092585 A KR20170092585 A KR 20170092585A KR 101826771 B1 KR101826771 B1 KR 10182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plate body
coupled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보성
서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외 벽체 및 천장 등에 부착되는 금속제 판상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외곽부가 절곡된 금속제 판체(10) 및 배판(20)을 상호 결합하되, 판체(10) 배면에 접합된 스터드볼트(15)가 배판(20)에 압입 형성된 요입부(25)에 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판상 마감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확보하고,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PLATES COMBINATION TYPE SKIN BOARD}
본 발명은 건물 내외 벽체 및 천장 등에 부착되는 금속제 판상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외곽부가 절곡된 금속제 판체(10) 및 배판(20)을 상호 결합하되, 판체(10) 배면에 접합된 스터드볼트(15)가 배판(20)에 압입 형성된 요입부(25)에 체결되는 것이다.
건물의 벽체 및 천장 등 노출면에는 미관은 물론 건축물의 내식성(耐蝕性) 및 내후성(耐朽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판상 마감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물용 판상 마감재는 금속, 석재, 목재, 콘크리트, 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중 금속은 중량에 비하여 강도가 크고 성형성이 뛰어나며 규격화가 용이하여 건축용 판상 마감재의 소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제 판상 마감재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492009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492009호를 비롯한 종래의 금속제 판상 마감재는 도 1에서와 같이, 장방형 금속제 판체(10) 외곽부를 직각 절곡하고, 절곡부의 배후에 브래킷(19)을 접합하여, 설치 대상 벽면에 기 부착된 프레임(18)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후방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판상 마감재의 외형이 형성되고 휨 및 비틀림 강성이 부여되는 것으로서, 동 도면의 부분절단 부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판체(10)의 배후부가 개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단층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구조적 강성은 물론 단열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가질 뿐 아니라, 판체(10) 전후방 온도차로 인하여 판체(10) 배후부에 결로(結露) 현상이 빈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판체(10) 배후부가 완전히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바, 판상 마감재 내부에 발포합성수지 등을 충전하여 단열성을 부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장방형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절곡되어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판체(10)의 외곽부에는 판체(10) 단부가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곽판부(11)가 형성되어 배후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고, 판체(10)의 배후에는 배판(20)이 결합되되, 배판(20)의 외곽부에는 배판(20) 단부가 전방으로 직각 절곡된 배판곽부(21)가 형성되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며, 판체(10)의 곽판부(11) 내면에 배판(20)의 배판곽부(21) 외면이 밀착되면서 판체(10)와 배판(20)이 상호 결합되고, 판체(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5)가 접합되고, 배판(20)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5) 다수가 형성되되, 요입부(25)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배판(20) 본체와 만곡부(28)로 연결되는 평판부(27)가 형성되며, 평판부(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6)이 천공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6)을 통과하여 평판부(27)에 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는 일단이 폐합되고 폐합부에는 통공(31)이 천공된 지지관(30)이 결합되되, 지지관(30)의 통공(31)측 단부가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는 판체(10)와 평행한 대상체(帶狀體)로서 스터드볼트(15) 말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43)이 천공된 보강대(40)가 결합되되, 보강대(40)의 측단부에는 직각 절곡된 각벽부(41)가 형성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보강대(40)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각벽부(41) 말단이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이다.
또한, 상기 판체(10)와 배판(20) 사이에는 판재가 절곡된 절곡봉(50)이 내장되되, 절곡봉(50)은 판체(10) 및 배판(20)과 평행한 밀착판(51)과 밀착판(51)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52)으로 구성되며,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밀착판(51)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측판(52)의 말단부가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판상 마감재의 구조적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단열성을 확보하고,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판상 마감재 내부 공동에 발포합성수지 등 충전재를 주입함으로써,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판상 마감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6은 지지관이 적용된 본 발명의 대표 단면도
도 7은 보강대가 적용된 본 발명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8은 절곡봉이 적용된 본 발명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제 판재가 절곡되어 제작되는 판상 마감재이며,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판체(10) 외곽부가 배후측으로 절곡되어 곽판부(11)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은 장방형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절곡되어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장방형 판체(10)의 상, 하, 좌, 우 외곽부에는 판체(10) 단부가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곽판부(11)가 형성되어 배후부가 개방된 함체(函體)가 형성되며, 여기서 판체(10) 상, 하, 좌, 우의 곽판부(11)는 동일한 폭을 가진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판체(10)의 배후에는 역시 금속제 판체(10)인 배판(20)이 결합되는데, 배판(20)의 상, 하, 좌, 우 외곽부에는 배판(20) 단부가 전방으로 직각 절곡된 배판곽부(21)가 형성되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며, 여기서 배판(20) 상, 하, 좌, 우의 배판곽부(21) 역시 동일한 폭을 가진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판체(10)의 곽판부(11) 내면에 배판(20)의 배판곽부(21) 외면이 밀착되면서 판체(10)와 배판(20)이 상호 결합되는데, 동 도면에서와 같이, 판체(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5)가 판체(10)와 직각으로 접합되고, 이들 스터드볼트(15)에 배판(20)이 체결됨으로써, 판체(10)와 배판(20)간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배판(20)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5) 다수가 형성되되, 요입부(25)는 판재가 내측으로 원형으로 압입되면서 배판(20) 본체와 만곡부(28)로 연결되는 평판부(27)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입부(25)의 압입 형성은 금속제 판재인 배판(20)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수행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요입부(25)의 평판부(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6)이 천공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수나사인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6)을 통과하여 요입부(25)내에서 노출되며, 노출된 스터드볼트(15)의 수나사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스터드볼트(15)가 평판부(27)에 정착됨과 동시에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 및 너트가 요입부(25)에 수용된다.
이렇듯, 요입부(25) 내부에 스터드볼트(15) 및 너트로 구성되는 정착부를 수용함으로써, 완성된 판상 마감재의 배후면에 불필요한 돌출부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판상 마감재의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판체(10)와 배판(20)을 이격하여 판상 마감재 내부에 공동(空洞)을 형성함으로써, 판상 마감재의 단열성을 획기적으로 항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 금속제 판상 마감재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결로 현상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판체(10)와 배판(20) 사이의 공동에 발포합성수지 등의 충전재를 주입, 충전함으로써, 본 발명 적용 판상 마감재의 단열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 일단이 폐합되고 폐합부에는 통공(31)이 천공된 지지관(30)을 결합하여, 지지관(30)의 통공(31)측 단부가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스터드볼트(15) 체결점에서 판체(10)와 배판(20)을 일층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지관(30)의 연장을 변경함으로써, 판체(10)와 배판(20)의 규격 변경 없이도 판상 마감재의 두께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터드볼트(15)에 결합되는 지지관(30)은 스터드볼트(15)의 접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管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에 밀착되는 지지관(30) 단부를 폐합하고, 이 폐합부 외곽을 만곡처리하며, 폐합부 중심부에 스터드볼트(15) 말단부가 통과하는 통공(31)을 천공함으로써, 스터드볼트(15)와 지지관(30)의 결합시 작업 편의성을 확보하고, 지지관(30)에 의한 평판부(27)의 안정적인 밀착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판체(10)와 배판(20) 사이에 각각 보강대(40) 및 절곡봉(50)을 내장하여 완성된 판상 마감재의 휨 및 비틀림 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도 7에서와 같이,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는 판체(10)와 평행한 대상체(帶狀體)로서 스터드볼트(15) 말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43)이 천공된 보강대(40)가 결합되되, 보강대(40)의 측단부에는 직각 절곡된 각벽부(41)가 형성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보강대(40)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각벽부(41) 말단이 밀착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판체(10)와 배판(20) 사이에는 판재가 절곡된 절곡봉(50)이 내장되되, 절곡봉(50)은 판체(10) 및 배판(20)과 평행한 밀착판(51)과 밀착판(51)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52)으로 구성되며,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밀착판(51)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측판(52)의 말단부가 밀착된다.
이러한 보강대(40) 및 절곡봉(50)을 판체(10)와 배판(20) 사이에 구성함으로써, 판체(10)외 배판(20)간의 견고한 결속을 도모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판체(10) 또는 배판(2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10 : 판체
11 : 곽판부
15 : 스터드볼트
18 : 프레임
19 : 브래킷
20 : 배판
21 : 배판곽부
25 : 요입부
26 : 체결공
27 : 평판부
28 : 만곡부
30 : 지지관
31 : 통공
40 : 보강대
41 : 각벽부
43 : 결합공
50 : 절곡봉
51 : 밀착판
52 : 측판

Claims (4)

  1. 장방형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절곡되어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판체(10)의 외곽부에는 판체(10) 단부가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곽판부(11)가 형성되어 배후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고, 판체(10)의 배후에는 배판(20)이 결합되되, 배판(20)의 외곽부에는 배판(20) 단부가 전방으로 직각 절곡된 배판곽부(21)가 형성되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며, 판체(10)의 곽판부(11) 내면에 배판(20)의 배판곽부(21) 외면이 밀착되면서 판체(10)와 배판(20)이 상호 결합되고, 판체(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5)가 접합되고, 배판(20)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5) 다수가 형성되되, 요입부(25)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배판(20) 본체와 만곡부(28)로 연결되는 평판부(27)가 형성되며, 평판부(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6)이 천공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6)을 통과하여 평판부(27)에 정착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는 일단이 폐합되고 폐합부에는 통공(31)이 천공된 지지관(30)이 결합되되, 지지관(30)의 통공(31)측 단부가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2. 장방형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절곡되어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판체(10)의 외곽부에는 판체(10) 단부가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곽판부(11)가 형성되어 배후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고, 판체(10)의 배후에는 배판(20)이 결합되되, 배판(20)의 외곽부에는 배판(20) 단부가 전방으로 직각 절곡된 배판곽부(21)가 형성되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며, 판체(10)의 곽판부(11) 내면에 배판(20)의 배판곽부(21) 외면이 밀착되면서 판체(10)와 배판(20)이 상호 결합되고, 판체(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5)가 접합되고, 배판(20)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5) 다수가 형성되되, 요입부(25)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배판(20) 본체와 만곡부(28)로 연결되는 평판부(27)가 형성되며, 평판부(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6)이 천공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6)을 통과하여 평판부(27)에 정착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판체(10)의 스터드볼트(15)에는 판체(10)와 평행한 대상체(帶狀體)로서 스터드볼트(15) 말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43)이 천공된 보강대(40)가 결합되되;
    보강대(40)의 측단부에는 직각 절곡된 각벽부(41)가 형성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보강대(40)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각벽부(41) 말단이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3. 장방형 금속제 판체(10)의 외곽부가 절곡되어 구성되는 판상 마감재로서, 판체(10)의 외곽부에는 판체(10) 단부가 후방으로 직각 절곡된 곽판부(11)가 형성되어 배후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고, 판체(10)의 배후에는 배판(20)이 결합되되, 배판(20)의 외곽부에는 배판(20) 단부가 전방으로 직각 절곡된 배판곽부(21)가 형성되어 전면부가 개방된 함체가 형성되며, 판체(10)의 곽판부(11) 내면에 배판(20)의 배판곽부(21) 외면이 밀착되면서 판체(10)와 배판(20)이 상호 결합되고, 판체(1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스터드볼트(15)가 접합되고, 배판(20)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25) 다수가 형성되되, 요입부(25)에는 판재가 내측으로 압입되면서 배판(20) 본체와 만곡부(28)로 연결되는 평판부(27)가 형성되며, 평판부(27)의 중심부에는 체결공(26)이 천공되어,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스터드볼트(15)의 말단부가 체결공(26)을 통과하여 평판부(27)에 정착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에 있어서,
    판체(10)와 배판(20) 사이에는 판재가 절곡된 절곡봉(50)이 내장되되, 절곡봉(50)은 판체(10) 및 배판(20)과 평행한 밀착판(51)과 밀착판(51)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52)으로 구성되며;
    판체(10)와 배판(20)의 결합시 배판(20) 요입부(25)의 평판부(27) 내측 면에는 밀착판(51) 표면이 밀착되고, 판체(10) 내면에는 측판(52)의 말단부가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4. 삭제
KR1020170092585A 2017-07-21 2017-07-21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KR10182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85A KR101826771B1 (ko) 2017-07-21 2017-07-21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85A KR101826771B1 (ko) 2017-07-21 2017-07-21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771B1 true KR101826771B1 (ko) 2018-02-07

Family

ID=6120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85A KR101826771B1 (ko) 2017-07-21 2017-07-21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7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00A (ja) * 1999-09-08 2001-03-2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建築用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00A (ja) * 1999-09-08 2001-03-21 Sumitomo Metal Steel Products Inc 建築用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762B1 (ko) 판재 접합형 판상 마감재
US11339568B2 (en) Construction system for a module of a building
US9441356B2 (en) Modular building system
KR101129086B1 (ko) 커튼월 시스템
KR101618341B1 (ko)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1826764B1 (ko) 판재 결속형 판상 마감재
KR101826771B1 (ko) 판재 결합형 판상 마감재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KR101663035B1 (ko)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92009B1 (ko) 결속형 판상 벽면 마감재
JP5825591B2 (ja) 型枠兼用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US20070278381A1 (en) Exterior wall construction
EP0436632A1 (en) Prefabricated building.
KR102277884B1 (ko) 목재블록벽체
KR100710424B1 (ko) 벽체 구조물
JP2011219954A (ja) アンカープレートと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60179789A1 (en) Component for support structure
US10774859B2 (en) Strip and slot bonded joint
KR200459919Y1 (ko) 천장 마감재의 보강용 지지체 연결구
KR101671843B1 (ko) 밀착형 판상 벽면 마감재
JPS6038145Y2 (ja) 断熱パネルの連結構造
KR200306787Y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KR102300592B1 (ko) 판상 마감재 설치용 프레임
KR100465817B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