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035B1 -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035B1
KR101663035B1 KR1020140178518A KR20140178518A KR101663035B1 KR 101663035 B1 KR101663035 B1 KR 101663035B1 KR 1020140178518 A KR1020140178518 A KR 1020140178518A KR 20140178518 A KR20140178518 A KR 20140178518A KR 101663035 B1 KR101663035 B1 KR 10166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eat insulating
stud
coupled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154A (ko
Inventor
호진원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크 filed Critical (주) 세이크
Priority to KR102014017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035B1/ko
Priority to PCT/KR2015/013323 priority patent/WO2016093578A1/ko
Publication of KR2016007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만드는 조립식 주택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의 뼈대를 이루는 블럭과,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제1부재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는 단열판 및,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스터드몸체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쐐기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판이 상기 블럭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상기 스터드몸체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쐐기부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립식 주택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조립식 주택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에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기초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블럭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부재의 일단이 상기 하면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의 기둥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사각형의 단열판을 상기 블럭의 일면 공간에 맞게 다수개 배열한 후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스터드의 양측이 이웃하여 배열된 상기 단열판에 각각 삽입시켜 다수개의 상기 단열판을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이 상기 블럭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스터드의 일단이 상기 블럭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조립식 주택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이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 위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천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상기 블럭의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에 설치되면서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스터드(3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타공 및 규격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하여 시공도(조립도)에 맞게 피스나 볼팅 작업에 의해서 조립됨으로 인해 주택의 조립이 건식으로 신속하게 시공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이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자재의 무게를 현저하게 가벼워 주택의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A self-assembly house building it myself using block of cube type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건식으로 조립하여 주택을 시공할 수 있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가 점점 고갈되어 가고 이에 따라서 에너지 비용이 올라가서 에너지를 절감해야 하는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거의 대부분의 에너지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절감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수 없다. 또한 화석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 오염과 특히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로 말미암은 지구 온난화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고 있다.
국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3을 사용하는 주거 부문에서의 에너지 절감이야 말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가장 현질적인 방법중 하나이며,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절감을 위한 법제도가 강화되고 있고,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도 에너지절감을 위한 여러가지 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 주택은 열관류율을 극도로 낮게 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두께가 300mm (발포폴리스틸렌 단열재; EPS)정도 사용하고 있다. 이런 고단열 구조는 단열재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진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골조나 내력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벽돌로 조적하는 방법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골조나 내력벽 자체의 두께가 두껍고, 여기에 고도의 단열을 위한 두꺼운 단열재를 포함할 경우 전체 벽체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서 효율적인 공간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주택을 위해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골조 부재에 두꺼운 단열재를 붙여 사용하기 위하여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조, 조적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그 골조를 경량 스틸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새로운 구조 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골조를 경량 스틸 형강으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주택을 시공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즉, 구조물을 일일이 계산해서 시공해야 하고, 시공하는데 있어서 혼자 하지 못하고 크레인 같은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 시공시간이 오래걸리고,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주택을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6430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혼자 주택을 시공할 수 있도록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들이 큐브 형태의 블럭을 형성하고 단열판과 스터드가 상기 블럭에 일체화되게 시공됨으로써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반 사용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만드는 조립식 주택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의 뼈대를 이루는 블럭과,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제1부재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는 단열판 및,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스터드몸체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쐐기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판이 상기 블럭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상기 스터드몸체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쐐기부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조립식 주택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조립식 주택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에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기초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블럭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부재의 일단이 상기 하면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의 기둥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사각형의 단열판을 상기 블럭의 일면 공간에 맞게 다수개 배열한 후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스터드의 양측이 이웃하여 배열된 상기 단열판에 각각 삽입시켜 다수개의 상기 단열판을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이 상기 블럭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스터드의 일단이 상기 블럭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 조립식 주택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이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 위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천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제1부재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상기 블럭의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에 설치되면서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스터드(3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타공 및 규격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하여 시공도(조립도)에 맞게 피스나 볼팅 작업에 의해서 조립됨으로 인해 주택의 조립이 건식으로 신속하게 시공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이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자재의 무게가 현저하게 가벼워 주택의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스스로 손쉽게 주택을 조립할 수 있는 BIY(Build It Yourself) 타입의 주택으로서 많은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둘째, 본 발명은 단열판의 연결부위에 스틸스터드를 삽입하여 단열판과 스틸스터드가 일체가되도록 시공함으로써 견고하게 단열판 시공이 가능하다. 즉, 단열판 열결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스터드에 의해서 단열판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인해 단열판 연결부재로 인한 열교현상이 없으며, 스틸스터드와 단열판이 완벽하게 일체화되어 있어 시공 후 단열판의 탈락이나 부착위치가 틀어지는 일이 없고 단열판의 수축으로 인한 단열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스터드가 조립식 주택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오는 하중을 하면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시공됨으로써 주택의 구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 벽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스터드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블럭에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6a 내지 도6i는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에 의해서 3개의 조립식 주택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스터드에 관한 상세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블럭에 보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만드는 조립식 주택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의 뼈대를 이루는 블럭(100)과,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제1부재(110)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는 단열판(200) 및,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311)이 뚫려 있는 스터드몸체(310)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쐐기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110)에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30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블럭(100)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쐐기부(320)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블럭(100), 단열판(200) 및 스터드(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들을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건식공법을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반인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의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가 점점 고갈되어 가고 이에 따라서 에너지 비용이 올라가서 에너지를 절감해야 하는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거의 대부분의 에너지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절감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문제가 아닐수 없다. 또한 화석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 오염과 특히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로 말미암은 지구 온난화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고 있다.
국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1/3을 사용하는 주거 부문에서의 에너지 절감이야 말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가장 현질적인 방법중 하나이며,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절감을 위한 법제도가 강화되고 있고,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도 에너지절감을 위한 여러가지 공법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에너지 절감 주택은 열관류율을 극도로 낮게 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두께가 300mm (발포폴리스틸렌 단열재; EPS)정도 사용하고 있다. 이런 고단열 구조는 단열재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진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골조나 내력벽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벽돌로 조적하는 방법이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골조나 내력벽 자체의 두께가 두껍고, 여기에 고도의 단열을 위한 두꺼운 단열재를 포함할 경우 전체 벽체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서 효율적인 공간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주택을 위해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골조 부재에 두꺼운 단열재를 붙여 사용하기 위하여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철근콘크리트조나 철골조, 조적조 등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그 골조를 경량 스틸 형강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새로운 구조 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골조를 경량 스틸 형강으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주택을 시공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즉, 구조물을 일일이 계산해서 시공해야 하고, 시공하는데 있어서 혼자 하지 못하고 크레인 같은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등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함으로 시공시간이 오래걸리고,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주택을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혼자 주택을 시공할 수 있도록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들이 큐브 형태의 블럭을 형성하고 단열판과 스틸스터드가 상기 블럭에 일체화되게 시공됨으로써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반 사용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이 일정간격으로 타공 및 규격화되어 있어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하여 시공도(조립도)에 맞게 피스나 볼팅 작업에 의해서 조립됨으로 인해 주택의 조립이 건식으로 신속하게 시공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이 작업자가 손쉽게 운반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자재의 무게가 현저하게 가벼워 주택의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스스로 손쉽게 주택을 조립할 수 있는 BIY(Build It Yourself) 타입의 주택으로서 많은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판의 연결부위에 스틸스터드를 삽입하여 단열판과 스틸스터드가 일체가되도록 시공함으로써 견고하게 단열판 시공이 가능하다. 즉, 단열판 열결시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어 시공이 간편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스터드에 의해서 단열판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 인해 단열판 연결부재로 인한 열교현상이 없으며, 스틸스터드와 단열판이 완벽하게 일체화되어 있어 시공 후 단열판의 탈락이나 부착위치가 틀어지는 일이 없고 단열판의 수축으로 인한 단열판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터드가 조립식 주택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오는 하중을 하면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시공됨으로써 주택의 구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 벽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블럭(100)은 조립식 주택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막대형상의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구성이다. 블럭(100)은 지반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로 기초(20)를 형성한 후 그 위에 시공될 수 있다. 제1부재(110)는 막대형상으로 단면이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단면이 'ㄴ'형상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부재(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것으로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의 뼈대를 이루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제1부재(110)는 레고와 같이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주택을 시공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을 위한 제1관통공(110)이 뚫려 있다. 제1부재를 이용하여 큐브 형태의 블럭을 만드는 방법은 4개의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사각형 형태의 블럭(100)의 하면을 만들고, 또 다른 제1부재(110)의 일단이 상기 블럭(100)의 하면 꼭지점 내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블럭(100)의 기둥 부분을 형성하고 다시 4개의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사각형 형태의 블럭(100)의 상면을 만든 후 상기 상면을 블럭(100)의 기둥 부분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블럭(1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0)의 결합부위에 결합부위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커넥터(130)를 결합시켜 결합부위를 강화할 수 있다. 제1부재(110)는 서로 결합이 용이하도록 양 끝단을 일부 절단하여 서로 맞물리 수 있도록 가공할 수 있다. 제1관통공(120)은 작업자가 조립식 주택을 조립도에 따라 스스로 시공할 때 부재들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뚫려 있는 구멍이다. 즉, 제1관통공(120)은 작업자가 원하는 조립식 주택의 형상에 맞게 조립할 수 있도록 뚫려 있는 구멍이다. 제1관통공(120)의 크기는 피스나 볼트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는 크기이다. 제1부재(11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서 작업자가 주택을 완성하는데 있어서 스스로 조립을 할 수 있는 무게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판(200)은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제1부재(110)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일례로 단열판(200)은 제1부재(110)가 결합되어 구성된 큐브 형태 블럭(100)의 측면(4면)과 상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단열판(200)은 때에 따라서 블럭(100)의 하면에 바닥 단열재 대신에 시공될 수 있다. 단열판(200)은 뒤에서 설명하는 스터드(300)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블럭(100)의 일측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럭(100)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결합된 쐐기부(320)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방법으로 단열판(200)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단열판(200)은 블럭(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단열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주택의 조립시 사용되는 통상의 단열판이 사용된다.
스터드(300)는 스터드몸체(310)와 쐐기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110)에 각각 결합되는 방법으로 블럭(10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311)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강재부재(평면 양측에 평판을 각각 결합시킨 형태)로서 시공되는 단열판(200)의 크기에 맞게 길이가 가공되는 부재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열판(200)이 주택의 벽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내부의 평면이 설치되는 단열판(200)들의 경계면(단열판들이 상호 맞닿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단열판(2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기준을 잡아주는 부재이다. 제2관통공(311)은 스터드몸체(310)가 단열판(200)에 설치될 때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구멍이다. 또한, 제2관통공(311)은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의 부착상태가 불량하거나 부착부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구멍이다. 즉, 제2관통공(311)을 통해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할 수 있는 구멍이다.
쐐기부(320)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부재이다. 쐐기부(320)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부재로 밑변이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구성으로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있는 쐐기부(320)가 주택의 벽면에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단열판(2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쐐기부(320)는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쐐기부(320) 사이의 공간에 주택의 구조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철근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쐐기부(320)의 설치간격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할 수 있으면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밑변의 끝점 사이가 10mm 내지 100mm로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쐐기부(320)는 외형이 다각형으로 되어 있어 단열판(200)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하중)에 의해서 쉽게 단열판(200)과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예로 쐐기부(320)는 제1삼각형(321) 밑변이 제2삼각형(322)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부재로 상기 제2삼각형(322)의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쐐기부(320)가 삼각형 2개가 결합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열판(200)에 삽입되는 경우 각 꼭지점이 외부에서 오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단열판(200) 내부에서 지지되어 스터드(300)와 단열판(200)이 외부하중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은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쐐기부(3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시킨 고정돌기(3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23)는 쐐기부(320)가 단열판(200)에 삽입된 후 외부 충격(하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쐐기부(3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시킨 부재이다. 고정돌기(323)는 소요되는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 다양한 모양으로 절개되어 절곡될 수 있다. 고정돌기(323)가 절곡되는 각도는 10도 내지 60도 이내로 절곡시켜 지지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일예로 고정돌기(323)는 삼각형 모양으로 절개될 수 있는데 꼭지점이 쐐기부(320)의 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되 밑변이 절곡부가 되도록 꼭지점을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일정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스터드(3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제작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위하여 블럭(100)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본원발명에서 설명할 때 각 부재들의 결합은 작업자가 조립도에 따라 손쉽게스스로 조립할 수 있도록 피스나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3관통공(410)이 뚫려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인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구조계산에 따라 취약한 단면이 있는 제1부재(110)의 일측에 1개 이상이 제1관통공(120)과 제3관통공(4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조정하여 결합되는 부재이다. 즉, 보강부재(400)는 블럭이 설계하중을 버티지 못할 경우 취약한 단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순히 제1부재(110)에 얹어 놓아 피스나 볼트로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보강부재(400)의 길이는 단면이 취약한 부분에 단면적을 증가시켜 취약한 단면을 보강시키는 구성으로 구조설계에 따라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400)는 하나의 보강부재로 안되면 다수의 보강부재가 손쉽게 겹쳐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보강부재(4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제작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위하여 블럭(100)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본원발명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에 제4관통공(510)이 다수개 뚫려 있는 결합판(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판(500)은 조립식 주택의 설계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블럭(100)이 서로 결합될 때 결합되는 각 블럭(100)의 꼭지점에 상기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4관통공(5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결합하여 블럭(100)들이 일체화시키는 부재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6a 내지 도6i는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원발명인 조립식 주택의 시공방법에 의해서 3개의 조립식 주택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발명은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립식 주택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조립식 주택(10)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에 기초(20)를 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기초(20)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블럭(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이 상기 하면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100)의 기둥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사각형의 단열판(200)을 상기 블럭(100)의 일면 공간에 맞게 다수개 배열한 후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스터드(300)의 양측이 이웃하여 배열된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시켜 다수개의 상기 단열판(200)을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블럭(100)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스터드(300)의 일단이 상기 블럭(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조립식 주택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f)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 위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천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럭(100)의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에 설치되면서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스터드(3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a)단계 내지 (g)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들을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건식공법을 사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고 일반인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 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의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주택(10)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위의 조립식 주택(10)에서 설명되어 진 것으로 한다.
(a)단계는 조립식 주택(10)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에 기초(2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a)단계는 조립식 주택(10)이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지반에 기초(2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기초(20)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어 시공될 수 있는데 일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b)단계는 상기 기초(20)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인 블럭(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b)단계는 기초(20) 위에서 제1부재(110)가 결합되어 사각형 형태의 일정한 틀을 만드는 단계이다.
(c)단계는 블럭의 기둥을 만드는 단계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이 상기 하면의 내측 꼭지점에 결합되어 블럭(100)의 기둥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블럭(100)의 기둥과 하면이 결합되는 꼭지점 부분에 내측 꼭지점 부분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 커넥터가 결합되어 기둥과 하면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d)단계는 블럭(100)의 일면에 시공되는 단열판(200)에 스터드(300)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상세하게는 사각형의 단열판(200)을 상기 블럭(100)의 일면 공간에 맞게 다수개 배열한 후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스터드(300)의 양측이 이웃하여 배열된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시켜 다수개의 상기 단열판(200)을 일체화시키는 단계이다.
단열판(200)은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제1부재(110)가 이루는 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일례로 단열판(200)은 제1부재(110)가 결합되어 구성된 큐브 형태 블럭(100)의 측면(4면)과 상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단열판(200)은 때에 따라서 블럭(100)의 하면에 바닥 단열재 대신에 시공될 수 있다. 단열판(200)은 뒤에서 설명하는 스터드(300)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블럭(100)의 일면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블럭(100)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결합된 쐐기부(320)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방법으로 단열판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단열판(200)은 블럭(100)의 일면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단열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주택의 조립시 사용되는 통상의 단열판이 사용된다.
스터드(300)는 스터드몸체(310)와 쐐기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110)에 각각 결합되는 방법으로 블럭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311)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강재부재(평면 양측에 평판을 각각 결합시킨 형태)로서 시공되는 단열판(200)의 크기에 맞게 길이가 가공되는 부재이다. 스터드몸체(310)는 단열판(200)이 주택의 벽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내부의 평면이 설치되는 단열판(200)들의 경계면(단열판들이 상호 맞닿은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단열판(2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기준을 잡아주는 부재이다. 제2관통공(311)은 스터드몸체(310)가 단열판(200)에 설치될 때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구멍이다. 또한, 제2관통공(311)은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의 부착상태가 불량하거나 부착부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발포우레탄을 주입하는 구멍이다. 즉, 제2관통공(311)을 통해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의 시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발포우레탄을 주입하여 스터드몸체(310)와 단열판(200)이 밀착되게 할 수 있는 구멍이다.
쐐기부(320)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부재이다. 쐐기부(320)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부재로 밑변이 스터드몸체(310)의 양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구성으로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있는 쐐기부(320)가 주택의 벽면에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단열판(2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쐐기부(320)는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쐐기부(320) 사이의 공간에 주택의 구조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철근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쐐기부(320)의 설치간격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할 수 있으면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밑변의 끝점 사이가 10mm 내지 100mm로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쐐기부(320)는 외형이 다각형으로 되어 있어 단열판(200)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하중)에 의해서 쉽게 단열판(200)과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예로 쐐기부(320)는 제1삼각형(321) 밑변이 제2삼각형(322)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부재로 상기 제2삼각형(322)의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쐐기부(320)가 삼각형 2개가 결합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열판(200)에 삽입되는 경우 각 꼭지점이 외부에서 오는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단열판(200) 내부에서 지지되어 스터드(300)와 단열판(200)이 외부하중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은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쐐기부(3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시킨 고정돌기(3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23)는 쐐기부(320)가 단열판(200)에 삽입된 후 외부 충격(하중)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쐐기부(3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절곡시킨 부재이다. 고정돌기(323)는 소요되는 외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면 다양한 모양으로 절개되어 절곡될 수 있다. 고정돌기(323)가 절곡되는 각도는 10도 내지 60도 이내로 절곡시켜 지지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일예로 고정돌기(323)는 삼각형 모양으로 절개될 수 있는데 꼭지점이 쐐기부(320)의 삽입방향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절개하되 밑변이 절곡부가 되도록 꼭지점을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겨 일정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다.
스터드(3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제작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위하여 블럭(100)과 동일한 재료가 사용된다.
(e)단계는 블럭(100)의 기둥 사이에 단열판(200)을 시공하여 조립식 주택(10)의 벽체를 만드는 단계로서 상세하게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블럭(100)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즉, 단열판(200)에 결합된 스터드(300)의 하면이 블럭(100)의 하면에 있는 제1부재(110)의 내측 일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고정되어 블럭의 일면 공간을 단열판으로 메우는 단계이다. 조립식 주택(10)의 설계에 따라 블럭의 측면 공간 중 하나 이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b)단계 내지 (e)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후에 블럭(100)의 하면에 바닥재를 시공할 수 있다. 바닥재는 바닥단열재, 전기온수판넬, 바닥마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단계는 블럭(100)의 상면에 단열판(200)을 시공하여 조립식 주택(10)의 천정를 만드는 단계로서 상세하게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 위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f)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e)단계에서 시공된 단열판의 상단 위에 얹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천정을 만드는 단계이다.
(g)단계는 (b)단계와 같이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결합된 후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단계로서 상세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럭(100)의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에 설치되면서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스터드(3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블럭(100)의 상면 내측으로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이 삽입되면서 설치될 때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스터드(300)의 타단이 블럭(100)의 상면에 있는 제1부재(110)의 내측 일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블럭(100)의 상면이 설치된다.
본원발명의 조립식 주택은 기본적으로 (b)단계 내지 (g)단계의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데 작업자의 의중에 따라 (b)단계 내지 (g)단계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조립식 주택이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조립식 주택이 복층으로 형성되도록 시공될 수 있고, 횡으로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복층으로 일부는 횡으로 다수개가 복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다수개의 조립식 주택이 시공될 때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3관통공(410)이 뚫려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인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보강부재(400)는 상기 (b)단계 내지 (g)단계로 이루어진 조립식 주택의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될 때 구조계산에 따라 취약한 단면이 있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측에 1개 이상이 상기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3관통공(4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조정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400)는 (b)단계 내지 (g)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중에서 구조계산에 따라 취약하다고 표시되는 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다수개의 조립식 주택이 시공될 때 다수개의 조립식 주택이 일체화되도록 결합부위에 결합판을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판 형상의 부재로 일측에 제4관통공(510)이 다수개 뚫려 있는 결합판(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합판(500)은 상기 (b)단계 내지 (g)단계로 이루어진 조립식 주택의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될 때 결합되는 각 블럭(100)의 꼭지점에 상기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4관통공(5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블럭(100)들이 일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주택 20 : 기초
100 : 블럭 110 : 제1부재
200 : 단열판
300 : 스터드
310 : 스터드몸체 320 : 쐐기부
400 : 보강부재

Claims (5)

  1.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여 만드는 조립식 주택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서로 결합되어 큐브 형태의 뼈대를 이루는 블럭(100);
    사각형의 판 부재로 상기 블럭(100)의 일면에 설치되는 단열판(200);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311)이 뚫려 있는 스터드몸체(310)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쐐기부(3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1부재(110)에 각각 결합되는 스터드(300); 및,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3관통공(410)이 뚫려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인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재(400)는 구조계산에 따라 취약한 단면이 있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측에 1개 이상이 상기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3관통공(4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조정하여 결합되고,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블럭(100)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될 때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쐐기부(320)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2. 삭제
  3. 사용자가 조립식 주택을 직접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조립식 주택(10)이 시공될 위치의 지반에 기초(20)를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기초(20)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블럭(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이 상기 하면의 꼭지점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100)의 기둥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d) 사각형의 단열판(200)을 상기 블럭(100)의 일면 공간에 맞게 다수개 배열한 후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스터드(300)의 양측이 이웃하여 배열된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시켜 다수개의 상기 단열판(200)을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블럭(100)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스터드(300)의 일단이 상기 블럭(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조립식 주택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d)단계에서 제작된 상기 단열판(200)이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 위에 설치되어 조립식 주택의 천정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관통공(120)이 뚫려 있는 제1부재(110)가 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상기 블럭(100)의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f)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단열판(200)에 설치되면서 상기 (e)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스터드(300)의 타단에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3관통공(410)이 뚫려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동일한 형상인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재(400)는 상기 (b)단계 내지 (g)단계로 이루어진 조립식 주택의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될 때 구조계산에 따라 취약한 단면이 있는 상기 제1부재(110)의 일측에 1개 이상이 상기 제1관통공(120)과 상기 제3관통공(410)이 동일한 선상에 있도록 조정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300)는
    단면이 'ㄷ'자형 형상인 부재로 평면 일측에 다수의 제2관통공(311)이 뚫려 있는 스터드몸체(310)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판 부재로 밑변이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 결합되는 쐐기부(320)로 구성되고,
    상기 블럭(100)의 일면에 다수개가 시공되는 상기 단열판(200)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스터드몸체(310)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쐐기부(320)가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20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의 시공방법.
  5. 삭제
KR1020140178518A 2014-12-11 2014-12-11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6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18A KR101663035B1 (ko) 2014-12-11 2014-12-11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15/013323 WO2016093578A1 (ko) 2014-12-11 2015-12-07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518A KR101663035B1 (ko) 2014-12-11 2014-12-11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54A KR20160071154A (ko) 2016-06-21
KR101663035B1 true KR101663035B1 (ko) 2016-10-06

Family

ID=5610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518A KR101663035B1 (ko) 2014-12-11 2014-12-11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3035B1 (ko)
WO (1) WO2016093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7048A (zh) * 2019-02-21 2019-05-03 四川建安装配式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箱式建筑模块及装配式建筑主体结构
CN109707049A (zh) * 2019-02-21 2019-05-03 四川建安装配式工程科技股份有限公司 保温隔音墙板以及装配式建筑主体结构
CN113833123B (zh) * 2021-10-08 2022-11-22 广州宇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绿色节能房屋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217220A (zh) * 2022-07-08 2022-10-21 山东七星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房屋建筑体系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634B1 (ko) * 2009-07-13 2009-10-23 금강공업 주식회사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682A (ja) * 2004-05-06 2005-11-17 Katori:Kk 複合ボード及び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方法
KR100643075B1 (ko) 2006-01-05 2006-11-13 주식회사 광스틸 모듈형 조립식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6934B1 (ko) * 2010-04-09 2010-08-18 노희숙 조립식 건물 구조체
KR101169904B1 (ko) * 2010-04-15 2012-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접합부 및 단열패널 접합부의 형성방법
KR20120079259A (ko) * 2011-01-04 2012-07-12 강용욱 단열구조를 구비하는 모듈화된 이동식 건축물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634B1 (ko) * 2009-07-13 2009-10-23 금강공업 주식회사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3578A1 (ko) 2016-06-16
KR20160071154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035B1 (ko) 큐브형태의 블럭을 이용한 자가 조립형 주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101618341B1 (ko) 고밀도 발포폴리스틸렌(eps)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및 조립식 하우스용 부재
KR101348054B1 (ko) 유닛모듈라 주택의 철골 구조물
KR101731493B1 (ko) 단열 내력패널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910173B1 (ko) 조립식 모듈, 조립식 주택 및 조립식 주택 시공방법.
KR102073639B1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20120124927A1 (en) Foam injected wall panel
KR20090088479A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
KR101443567B1 (ko) 유닛구조체용 보
KR101409229B1 (ko)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KR100435045B1 (ko) 조립식 건축벽체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KR2004626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축 구조체
JP3112386U (ja) 組立式建物
KR200377456Y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101575570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RU127774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модуль
KR101409221B1 (ko)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JP2005344501A (ja) 型枠支保工兼用内外装材の施工方法
JP5528127B2 (ja) 建築構造材および門型フレーム、建物の施工方法
KR20170087847A (ko) 벽 없는 집
JP2018115491A (ja) 建物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