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47B1 -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47B1
KR102539747B1 KR1020200093870A KR20200093870A KR102539747B1 KR 102539747 B1 KR102539747 B1 KR 102539747B1 KR 1020200093870 A KR1020200093870 A KR 1020200093870A KR 20200093870 A KR20200093870 A KR 20200093870A KR 102539747 B1 KR102539747 B1 KR 10253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weight
based res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677A (ko
Inventor
김민우
김재송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52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174412A/zh
Priority to PCT/KR2020/009962 priority patent/WO2021020869A1/ko
Publication of KR2021001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08K5/3725Sulfides, e.g. R-(S)x-R'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배율, 셀 안정성 등 발포 특성이 우수하고 포름아마이드 등의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EXPANDABLE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발포 특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및 염화비닐을 50% 이상 함유한 혼성 중합체로서, 현탁중합과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는 범용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 중의 하나이다. 그 중에서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가소제(Plasticizer), 안정제(Stabilizer), 충전제(Filler), 발포제(Blowing Agent), 안료(Pigment), 점도 조절제(Viscosity Depressant), 이산화 티타늄(TiO2) 및 부원료를 혼합하여 플라스티졸(Plastisol) 형태 혹은 그래뉼(Granule) 형태로 가공되며 코팅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카렌다 성형 가공법을 통해 바닥재, 벽지, 타포린, 인조피혁, 장난감, 자동차 내장재, 자동차 하부 코팅재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벽지나 바닥재 등의 내부 인테리어 제품은 주거 및 사무 공간에서 가장 많이 노출되는 제품으로서, 60% 이상이 염화비닐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최근 벽지와 바닥재의 주요 쟁점은 친환경에 관한 것이며, 친환경성에 대한 판단 기준은 공기청정협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방출량에 따라 매겨지는 HB 등급(최우수, 우수, 양호까지 3단계)과 국내에서 환경호르몬 의심물질이라고 여겨지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BBP, DBP, DINP등) 함유여부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벽지와 바닥재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중에서 가소제는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액상 성분이며, 이러한 가소제의 예로 프탈레이트계 제품인 DEHP(Di-2-EthylHex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BBP(Butyl Benzyl Phthalate), DBP(Di-n-butyl phthalate)를 들 수 있으며, 특히 DINP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사회적으로 사람의 호르몬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로서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어 규제가 진행 중이다. 이에 최근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대신 DOTP(Dioctyl terephthalate) 등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놀이방 매트와 같은 발포 매트, 인조 피혁 등에 사용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기존에 발포제로 ADCA(Azodicarbonamide)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ADCA는 열 분해 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일종인 포름아마이드(Formamide)를 생성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ADCA를 대체할 발포제로서 OBSH(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가 사용되고 있으며, 친환경성을 고려하여 OBSH를 발포제로, DOTP를 가소제로 포함하는 발포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OBSH는 발포 시 가스 방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분해 온도가 낮아, 일반적인 염화비닐계 수지의 가공 조건에서 ADCA 발포제 대비 발포 배율, 발포 셀 안정성과 같은 발포 특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우수한 발포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포 배율, 발포 셀 안정성 등 발포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이 현저히 저감된 친환경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수지,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20:1 내지 7: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중합도가 800 이상 내지 1,700 미만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70 내지 100 중량부, 및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포성 염화 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안정제 및/또는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Ca-Zn계 화합물, K-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유기 Tin계 화합물,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및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벽지, 발포 매트, 바닥재, 인조 피혁, 또는 자동차 내장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함께 포함하여, 우수한 발포 특성을 나타낸다. 또,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및 ADCA를 포함하지 않아 환경 호르몬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 우려가 적어 친환경적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벽지, 발포 매트, 바닥재, 인조 피혁, 또는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발포 시트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겔링 속도 측정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라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OBSH)의 부족한 발포 성능을,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DEHCH)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음에 착안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 발포제인 OBSH를 사용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생이나 환경 호르몬 방출의 위험이 크게 감소된 친환경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염화비닐계 수지란 염화비닐계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이 외에 현탁제, 완충제, 및 중합 개시제 등을 혼합하여 현탁 중합, 미세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또는 미니에멀전 중합 등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로서, OBSH 발포제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가 800 이상 내지 1,700 미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의 중합도는 900 내지 1,500일 수 있다. 만일 염화비닐계 수지의 중합도가 1,700이상으로 너무 높은 경우, OBSH 발포제가 발포되는 온도에서 발포 시트가 형성되지 않고 기화된 발포제가 모두 빠져나가 발포가 원활히 일어나지 못할 수 있고, 반대로 중합도가 800 미만인 경우, 발포제가 기화되기 전 성형이 완료되어 발포가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 수지의 중합도는 JIS K 6720-2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Di(2-ethylhexyl)cyclohexane-1,4-dicarboxylate; DEHCH)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서 염화비닐계 수지의 가소제로 사용된다. DEHCH는 상온 및 저온 점도가 낮아 우수한 코팅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겔링 속도가 빠르고, 발포 물성이 우수하다. 또, 기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비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DOTP와 달리 분자 구조 내 벤젠 고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잠재적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79014939-pat00001
상기 DEHCH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20 중량부, 또는 70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DEHCH의 함량이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 가공이 어려우며, OBSH의 발포 성능 보완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DEHCH 함량이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가공이 어려우며, 겔링이 너무 느려져서 발포제가 기화할 때 발생하는 가스가 셀을 형성하지 못하고 다 빠져나가 발포성이 열세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로 DEHCH 만을 단독으로 포함하고, DEHCH 이외의 가소제를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OBSH)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서 발포제로 사용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79014939-pat00002
상기 OBSH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2 중량부, 또는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OBSH의 함량이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발포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2 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 셀의 안정성이 열세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OBSH는 ADCA와 달리 포름아마이드, 암모니아 등의 유해 성분 발생이 적어 친환경적이다. 그러나 OBSH의 가스 방출량은 약 125 ml/g 정도로 ADCA(약 220 ml/g)에 미치지 못하고, 분해 온도가 157 내지 160 ℃로 낮아, 동일 가공 조건에서 발포 성능이 ADCA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DEHCH를 가소제로 사용함으로써 OBSH의 부족한 발포 성능을 보완하였다.
상기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의 중량비는 20:1 내지 7:1, 또는 10:1 내지 7:1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가소화 효과와 동시에 우수한 발포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발포제로서 상기 OBSH 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OBSH 이외의 발포제를 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DEHCH 가소제와 함께 발포제로 OBSH만을 사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발포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50 내지 120 중량부, 및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0.5 내지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70 내지 100 중량부, 및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충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물성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염화비닐계 수지에서 HCl이 분리되어 발색단인 폴리엔 구조를 형성하여 주쇄의 절단, 가교 현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물성 변화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Ca-Zn계 화합물, K-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유기 Tin계 화합물,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안정제로 보다 구체적인 예는 Ca-Zn계 화합물; K-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머캡티드(Mercaptide)계 화합물, 말레인산계 화합물 또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과 같은 유기 Tin계 화합물; Mg-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Pb-스테아레이트, Cd-스테아레이트, 또는 Ba-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또는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등이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K-Zn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K-Zn계 복합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가 포함된다. 안정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열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충전제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의 생산성, 건조 상태의 감촉(Dry touch)감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및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충전제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경우, 치수안정성과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10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된 경우, 발포 표면이 좋지 않으며,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가소제로 DEHCH, 발포제로 OBSH,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DEHCH 및 OBSH를 함께 포함하여 기존의 ADCA 발포제와 유사한 수준의 우수한 발포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상기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벽지, 발포 매트, 바닥재, 인조 피혁,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고, 포름아마이드 등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발생시키는 발포제를 배제하여 인체 유해성이 크게 저감된 바, 놀이방용 매트 등 유해 물질의 배제가 요구되는 분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품은 그 용도에 따라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 안정제, 충진제, 및/또는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벽지, 발포 매트, 바닥재, 인조 피혁,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및 발포 시트의 제조>
실시예 1
폴리비닐클로라이드(중합도 10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 DEHCH 90 중량부, 발포제로 OBSH 10 중량부를 계량하고 Mixer로 15분 동안 혼합하여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플라스티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소제로 DEHCH 8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가소제로 DEHCH 7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중합도 폴리비닐클로라이드(중합도 17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OTP) 90 중량부, 발포제로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5 중량부를 계량하고 Mixer로 15분 동안 혼합하여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플라스티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중합도 폴리비닐클로라이드(중합도 170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 DOTP 90 중량부, 발포제로 OBSH 10 중량부를 계량하고 Mixer로 15분 동안 혼합하여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플라스티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가소제로 DOTP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발포 시트 제조 및 발포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플라스티졸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종이 위에 1.0 mm 두께로 코팅한 후 190 ℃ 내지 230 ℃ 오븐에서 80 내지 160초 동안 열을 가하여 발포시켜 발포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 발포 시트의 두께를 측정하고, 발포 셀의 균일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도 1은 각 발포 시트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2) 겔링 속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플라스티졸을 SVNC 장비를 이용하여 120 ℃에서 겔링 속도를 측정하였다. SVNC 장비에서 겔링이 진행될수록 진폭(amplitude)이 감소하는데, 이 값이 감소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겔링 속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도 2는 겔링 속도 측정 그래프이다.
(3) 포름아마이드 방출 여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플라스티졸을 이용하여 제작한 발포시트를, 반지름 3cm의 원형태로 샘플링하여 40 ℃에서 1시간 동안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이후 발생하는 기체시료를 채취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포름아마이드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포 시트 두께(mm) 7.0 6.5 6.5 6.0 1.0 (발포되지 않음) 5.0
발포 셀 균일도 -
겔링 속도
포름아마이드 방출량(μg / m3) - - - 4031.85 - -
(매우 높음) ◎ > ○ > △ > X (매우 낮음)
발포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발포성이다. 발포성은 제품의 표면 상태, 발포 배율, 발포 셀의 크기 및 발포 셀의 균일성을 말한다.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면서도, 기존의 ADCA 발포제 및 DOTP 가소제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겔링 속도가 우수하면서, 동등 이상의 발포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2 및 3과 같이 DEHCH 가소제 및 OBSH 발포제의 조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발포가 일어나지 않거나, 발포성이 떨어지고, 겔링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염화비닐계 수지,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중합도가 900 내지 1,500 이고,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와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의 중량비는 10:1 내지 7:1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를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디(2-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레이트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상기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안정제 및/또는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Ca-Zn계 화합물, K-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유기 Tin계 화합물, 메탈릭 비누계 화합물,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이산화티탄, 카올린,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및 점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벽지, 발포 매트, 바닥재, 인조 피혁, 또는 자동차 내장재인, 성형품.
KR1020200093870A 2019-07-31 2020-07-28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253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52849.7A CN114174412A (zh) 2019-07-31 2020-07-29 发泡性氯乙烯树脂组合物
PCT/KR2020/009962 WO2021020869A1 (ko) 2019-07-31 2020-07-29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93425 2019-07-31
KR1020190093425 201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677A KR20210015677A (ko) 2021-02-10
KR102539747B1 true KR102539747B1 (ko) 2023-06-02

Family

ID=7456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870A KR102539747B1 (ko) 2019-07-31 2020-07-28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5056A1 (en) 2013-06-06 2014-12-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Dialkyl esters of 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 as plasticis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72B1 (ko) * 1998-11-10 2001-09-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발포제조성물
DE102010061866A1 (de) * 2010-11-24 2012-05-24 Evonik Oxeno Gmbh Verwendung von Di(2-ethylhexyl)terephthalat (DEHT) in verschäumbaren PVC-Formulierungen
KR101264148B1 (ko) * 2011-01-18 2013-05-1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디에틸헥실사이클로헥산을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12167232A (ja) * 2011-02-16 2012-09-06 Adeka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5056A1 (en) 2013-06-06 2014-12-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Dialkyl esters of 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 as plastici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677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1476B1 (en) Blowing Agent
RU240184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касающиеся пластификаторных композиций
KR20210032291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N110564080B (zh) 适合密封金属部件的增塑溶胶组合物
KR20090067946A (ko) 2차 가소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페이스트 pvc 플라스티졸
KR20210017660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EP1930366B1 (en) Low-color foam compositions
KR102539747B1 (ko)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US20050137341A1 (en) Foamable polyvinyl chloride compound tolerant of high heat conditions
KR102297786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2496350B1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CN114127177B (zh) 墙纸用氯乙烯树脂组合物
KR102658859B1 (ko)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762838B1 (ko) 고탄성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체
CN114174412A (zh) 发泡性氯乙烯树脂组合物
JP6370632B2 (ja) 水架橋性発泡樹脂組成物並びに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94804A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665296B1 (ko) 발포성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US20230167275A1 (en) Multilayer Floor Decorative Material
JPH0625496A (ja) プラスチゾル組成物
EP3208298A1 (en) Liquid carrier system for chemical foaming agents in foamed polystyrenes
JPH0449863B2 (ko)
KR20230069471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H07157587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210071221A (ko)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