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084B1 -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084B1
KR102538084B1 KR1020220147187A KR20220147187A KR102538084B1 KR 102538084 B1 KR102538084 B1 KR 102538084B1 KR 1020220147187 A KR1020220147187 A KR 1020220147187A KR 20220147187 A KR20220147187 A KR 20220147187A KR 102538084 B1 KR102538084 B1 KR 102538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accident
vessel
vuln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훈
박진형
박세길
조득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4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은,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선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선박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선박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ccident-vulnerable vessel monitoring support service}
본 발명은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은 해상 교통량의 폭주, 위험화물의 증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통항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해상교통관제시스템에는 선박교통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레이더(RADAR)와 자동선박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해상교통 관제 업무가 수행된다. 즉, 해상교통관제사는 주로, 레이더(RADAR)와 자동선박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초단파(VHF)를 이용한 음성 통신 장비를 사용하여 선박과 교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해상교통관제시스템이 설치된 관제 센터에서는 해상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선박이 어떠한 선박인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제 센터의 관제 화면에는 지도에 선박이나 항공기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고 옆에 간단한 선박명이나 항공기명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제 방식에서는 선박이 존재하는 위치와 해당 선박의 선박명을 확인할 수 있을 뿐, 해당 선박의 운항 경로에 기반하여 관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관제 방식은 관제사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관제사는 선박의 위치가 표시된 관제 화면을 집중하여 주시하고, 자신의 근무 경험을 토대로 선박들의 위치, 선박 상호 간의 거리 등을 확인하여 선박 간의 충돌 가능성을 예측해야만 한다.
이러한 관제 방법은 관제사의 경험에 의존하여 주관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사고 발생의 위험이 항시 존재할 뿐만 아니라, 해당 선박들의 운항 경로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관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이 수반된다. 또한, 관제사가 매시간 집중하여 해상 상황을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근무 시간이 계속될수록 피로도가 증가하여 부주의한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3906호(2017.02.01)
본 발명은 육상관제센터에서 선박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선박이 위험상황을 인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사고 발생 시 주변 선박 및 유관기관으로 사고상황을 전파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가 수행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은,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상기 선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선박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선박 식별자, 전자해도 상 선박 위치, 선박운항정보, 최근접거리(DCPA: Distance at Closest Point of Approach), 최근접시간(TCPA: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을 포함한다.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영역을 운항 중인 경우, 상기 선박이 취약상황인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최근접거리 및 최근접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에 도달하면, 충돌 위험 상황으로 간주한다.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통항금지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정되거나, 상기 선박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선박의 항해패턴이 미리 설정된 이상패턴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충돌 위험 상황으로 간주한다.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충돌 위험 상황인 것으로 간주되면, 상기 선박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선박 및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상기 선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선박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선박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육상관제센터에서 선박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선박이 위험상황을 인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사고 발생 시 주변 선박 및 유관기관으로 사고상황을 전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가 동작하는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전자해도의 영역 분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가 동작하는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의 운항을 지원하는 육상관제센터(20)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일 수 있다.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LTE-Maritime과 같은 해양통신망을 통해 선박(10)에 탑재된 선박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LTE-Maritime 및 자동선박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통해 선박(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선박(10)의 운항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적 개체일 수 있다. 서버가 복수의 물리적 개체로 나뉘어 구현될 때, 각각의 물리적 개체의 관리 주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버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DB가 포함될 수 있으며,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이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21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으로부터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선박 식별자(또는 선박명), 전자해도 상 선박 위치, 침로 및 속력과 같은 선박운항정보, 최근접거리(DCPA: Distance at Closest Point of Approach), 최근접시간(TCPA: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LTE-Maritime 및 자동선박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통해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수집된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선박(10)의 취약상황을 인식한다.
즉,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의 위치정보 수신에 따라 각종 선박에 대한 대용량 데이터가 저장된 선박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10)의 세부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세부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10)이 취약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 데이터베이스에는 선박제원, 항해계획, 사고이력, 해상교통정보, 해사안전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선박(10)이 미리 설정된 위험영역을 운항 중인 경우, 해당 선박(10)이 취약상황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선박(10)은 관심선박으로 지정되어 항상 취약상황인 것으로 간주되어 항상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통항분리대, 교통량 혼잡해역, 조업구역, 강조류 해역, 기상 악화 지역, 관심선박, 사고다발 해역 등에서 운항 중인 선박(10)을 식별하여 선박(10)의 취약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선박(10)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의 최근접거리 및 최근접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에 도달하면, 충돌 위험 상황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이 통항금지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정되거나, 선박(10)과 장애물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근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선박(10)의 항해패턴이 미리 설정된 이상패턴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충돌 위험 상황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해 위험도 평가를 통해 선박(10)이 충돌 위험 상황인 것으로 간주되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선박 단말(100)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예를 들어, 해경, VTS 센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대응 및 지원을 위하여, 선박(10)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 또는 주변선박의 선박 단말(100)은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위험상황 또는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사고가 발생한 선박(10)으로부터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선박(10)의 사고 발생을 인지하거나, 선박(10)과 장애물 간의 거리 또는 최근접거리 및 최근접시간이 미리 설정된 사고발생치 이하인 경우, 선박(1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고대응 지원 개념과 같이, 선박(10)의 사고상황 인지부터 사고 대응 및 지원까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 단말(100)로부터 최적 안전항로 요청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연안여객선, 소형선박, 어선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사고취약선박 또는 사전에 서비스 요청된 선박이 최적 안전항로를 요청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최적 안전항로 요청의 수신에 따라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기 위하여,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S53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수집된 선박(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선박(10)의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 안전항로를 선박 단말(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의 안전성, 경제성 및 최적 운항소요시간이 고려된 미리 설정된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안전항로를 탐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전자해도의 영역 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7을 참조하기로 한다.
S61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 단말(100)로부터 전자해도 요청을 수신한다.
S62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전자해도 요청의 수신에 따라 선박 단말(10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박 단말(100)은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 단말(1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된 선박(10)이 사용하는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선박 단말(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전자해도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시스템(EDUS: ENC Download & Update Service)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의 확인,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의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해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영역별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81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 단말(100)로부터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S82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도선지원 정보 및 예선지원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선지원 정보는 도선사가 선박(10)을 부두에 안전하게 접이안시킬 수 있도록, 도선 구역의 기상정보, 교통정보, 선박(10)의 운동특성, 부두와의 거리, 횡이동 속도, 선박 예상 이동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선사가 탑승한 선박(10)의 선박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예선지원 정보는 예인선이 도선사의 명령에 따라 선박(10)을 안전하게 전이안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안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박(10)을 예인하는 예인선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91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 단말(100)로부터 해양 안전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S920 단계에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해양 안전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이 출항하기 전인 경우, 해상안전정보, 항해간행물, 해양기상정보, 동적 수로정보, 출항지에서 도착지에 이르는 항해 참조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선박(10)이 운항 중인 경우, 해사안전 긴급 정보, 운항 중 업데이트된 해양기상정보, 도착지 항에 대한 간행물 및 업데이트된 동적 수로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부(230) 및 인터페이스부(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ROM,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터페이스부(24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선박
100: 선박 단말
20: 육상관제센터
200: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통신부
240: 인터페이스부

Claims (7)

  1.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가 수행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상기 선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선박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최적 안전항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적 안전항로 요청의 수신에 따라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선박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 안전항로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전자해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해도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선박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된 선박이 사용하는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도선지원 정보 및 예선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해양 안전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해양 안전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정보는 선박 식별자, 전자해도 상 선박 위치, 선박운항정보, 최근접거리(DCPA: Distance at Closest Point of Approach), 최근접시간(TCPA: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을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영역을 운항 중인 경우, 상기 선박이 취약상황인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 안전항로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안전성, 경제성 및 최적 운항소요시간이 고려된 미리 설정된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안전항로를 탐색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자해도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시스템(EDUS: ENC Download & Update Service)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의 확인,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의 생성을 수행하고,
    도선지원 정보 및 예선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선사가 상기 선박을 부두에 안전하게 접이안시킬 수 있도록, 도선 구역의 기상정보, 교통정보, 상기 선박의 운동특성, 부두와의 거리, 횡이동 속도, 선박 예상 이동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도선지원 정보를 도선사가 탑승한 선박의 선박 단말로 전송하고, 예인선이 도선사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선박을 안전하게 접이안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정보를 포함하는 예선지원 정보를 상기 선박을 예인하는 예인선의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출항하기 전인 경우, 해상안전정보, 항해간행물, 해양기상정보, 동적 수로정보, 출항지에서 도착지에 이르는 항해 참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선박이 운항 중인 경우, 해사안전 긴급 정보, 운항 중 업데이트된 해양기상정보, 도착지 항에 대한 간행물 및 업데이트된 동적 수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최근접거리 및 최근접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에 도달하면, 충돌 위험 상황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충돌 위험 상황인 것으로 간주되면, 상기 선박이 위험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선박 및 상기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
  7.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취약상황으로 인식된 상기 선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선박이 사고상황임을 알리는 정보를 주변선박 및 미리 설정된 유관기관으로 전송하여 조기대응을 위한 사고상황 전파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최적 안전항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적 안전항로 요청의 수신에 따라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선박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의 최적 안전항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 안전항로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전자해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해도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선박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된 선박이 사용하는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출항에 필요한 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도선지원 정보 및 예선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박 단말로부터 해양 안전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해양 안전정보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선박 식별자, 전자해도 상 선박 위치, 선박운항정보, 최근접거리(DCPA: Distance at Closest Point of Approach), 최근접시간(TCPA: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을 포함하고,
    상기 선박의 취약상황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미리 설정된 위험영역을 운항 중인 경우, 상기 선박이 취약상황인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 안전항로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의 안전성, 경제성 및 최적 운항소요시간이 고려된 미리 설정된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안전항로를 탐색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를 상기 선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전자해도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시스템(EDUS: ENC Download & Update Service)과 연동하여, 사용자 인증, 전자해도 영역 및 업데이트 정보의 확인, 사용자 맞춤형 전자해도 정보의 생성을 수행하고,
    도선지원 정보 및 예선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선사가 상기 선박을 부두에 안전하게 접이안시킬 수 있도록, 도선 구역의 기상정보, 교통정보, 상기 선박의 운동특성, 부두와의 거리, 횡이동 속도, 선박 예상 이동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도선지원 정보를 도선사가 탑승한 선박의 선박 단말로 전송하고, 예인선이 도선사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선박을 안전하게 접이안시키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안전정보를 포함하는 예선지원 정보를 상기 선박을 예인하는 예인선의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박이 출항하기 전인 경우, 해상안전정보, 항해간행물, 해양기상정보, 동적 수로정보, 출항지에서 도착지에 이르는 항해 참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선박이 운항 중인 경우, 해사안전 긴급 정보, 운항 중 업데이트된 해양기상정보, 도착지 항에 대한 간행물 및 업데이트된 동적 수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KR1020220147187A 2022-11-07 2022-11-07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538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187A KR102538084B1 (ko) 2022-11-07 2022-11-07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187A KR102538084B1 (ko) 2022-11-07 2022-11-07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084B1 true KR102538084B1 (ko) 2023-05-30

Family

ID=8652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187A KR102538084B1 (ko) 2022-11-07 2022-11-07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885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엘케이웨이 해양 사고 통보 시스템
KR101703906B1 (ko) 2015-01-22 2017-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관제 시스템 및 그것의 선박 관제 방법
KR20170103326A (ko) * 2016-03-03 201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상 교통 경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15665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차세대 전자해도 시스템 기초 해양 안전 관리 서비스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885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엘케이웨이 해양 사고 통보 시스템
KR101703906B1 (ko) 2015-01-22 2017-0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관제 시스템 및 그것의 선박 관제 방법
KR20170103326A (ko) * 2016-03-03 201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상 교통 경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15665A (ko) * 2020-03-16 2021-09-27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차세대 전자해도 시스템 기초 해양 안전 관리 서비스의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9501B2 (en) Vessel monitoring system and vessel monitoring method thereof
US8674854B2 (en) Traff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of vehicle for each navigational situation
CN111260962B (zh) 一种船舶海上避碰预警方法、系统和海图机
JP6998576B2 (ja) 航路上のリスクに適応した航行支援方法及び航行支援システム
KR101918980B1 (ko) 실시간 복원성 지수를 이용한 대피 레벨 결정 기반 선박 사고시 안전한 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선박 항로 및 선박 조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0956B1 (ko) 이기종 통신망의 위치정보 통합 비교를 통한 선박 간의 충돌 예측 분석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1115532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ave slam monitoring of water vessels
KR101799012B1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30103984A (ko) 선박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9423A (ko) 우선 관제 대상 선정 장치와 방법 및 대상물 관제 장치
KR101069884B1 (ko) 충돌 회피 경로 설정 장치, 경로 제어 시스템 및 충돌 회피 경로 제어 방법
KR102201818B1 (ko) 해상교통 관제 교신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526160B1 (ko) 기상 정보를 활용한 무인 선박용 자동 항로 변경장치 및 그 방법
KR102524206B1 (ko) 해상 교통 경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5407786B (zh) 一种船舶全航程自动航行决策方法、装置、设备及介质
Baldauf et al. Potentials of e-navigation–enhanced support for collision avoidance
KR101463877B1 (ko)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내수면 수난구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2450B1 (ko) 최적 운항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538084B1 (ko) 사고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13077660A (zh) 应用于内河船舶的智慧桥梁避碰系统
JP5518154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982B1 (ko) 기상 및 연료를 고려한 실시간 항로 변경 시스템
KR102276677B1 (ko) 자율운항선박의 항로복원을 위한 원격제어 제어방법
KR102617986B1 (ko) 수리 매뉴얼 제공을 통한 선박 유지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