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418B1 -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418B1
KR102536418B1 KR1020210043842A KR20210043842A KR102536418B1 KR 102536418 B1 KR102536418 B1 KR 102536418B1 KR 1020210043842 A KR1020210043842 A KR 1020210043842A KR 20210043842 A KR20210043842 A KR 20210043842A KR 102536418 B1 KR102536418 B1 KR 10253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hole
inflator
rib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118A (ko
Inventor
이원석
오제형
고근홍
김치호
박한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04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인플레이터와 조립되어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공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플랜지부를 관통해서 스터드가 결합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의 외측에는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상기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공이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에어백 하우징을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하는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을 방지하고,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에어백 하우징의 평탄도를 유지해서 혼 조작시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AIRBAG HOUS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는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를 포함한 충격 감지 모듈 및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진다.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에 동심으로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 하우징(이하 '에어백 하우징'이라 약칭함)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에어백 하우징 기술을 개시해서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과 인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은 내부에 폴딩된 상태의 에어백(2)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백 하우징(1)의 개구에는 에어백 커버(도면 미도시)가 결합된다.
이러한 에어백 하우징(1)은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에 장착된다. 여기서, 에어백 하우징(1)은 차량의 경적을 울리기 위해,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에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에어백 하우징(1)의 유동에 의해 경적을 울리는 혼(horn)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 하우징(1)과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의 사이에는 혼 스프링(5)이 배치되고, 혼 스프링(5)은 에어백 하우징(1)과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혼 스프링(5)은 에어백 하우징(1)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핀(6)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에는 가이드 핀(6)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백 하우징(1)에는 인플레이터(7)가 장착되고, 에어백 하우징(1)과 인플레이터(7)는 가장자리 부분에 스터드(8)를 관통 결합한 후, 스터드(8)의 하단에 너트(도면 미도시)를 체결해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1)은 인플레이터(7)와 에에백 하우징(1)이 조립된 모듈 레벨의 가이드 핀(6) 치수가 에어백 하우징(1) 설계시 치수와 달라져서 가이드 핀(6)에 변위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가이드 핀(6)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원인은 인플레이터(7)와 에어백 하우징(1)을 관통 결합된 스터드(8)의 하단에 체결되는 상기 너트의 토크에 따른 영향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1)은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으로 인해,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하우징 평면의 평탄도가 유지되지 못하고 변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1)은 혼 조작시 작동이 불량해지고, 혼 조작을 위해 에어백 하우징(1)에 결합된 에어백 커버에 정상적인 조작력보다 큰 힘을 가해야 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10-1916002호(2018년 11월 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10-1916005호(2019년 1월 24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하우징을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하는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에어백 하우징의 평탄도를 유지해서 혼 조작시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은 인플레이터와 조립되어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공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플랜지부를 관통해서 스터드가 결합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의 외측에는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상기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에 의하면, 에어백 하우징을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하는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하우징에서 스터드가 결합되는 관통공 주변에 차단공을 형성해서 에어백 하우징과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스터드와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에 보강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보강 플레이트와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 가이드 핀의 상부 등 주요 부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에어백 하우징의 평탄도를 유지해서 혼 조작시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과 인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에어백 하우징에서 제1 관통공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B-B' 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C-C'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핀의 상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는 인플레이터(7)와 스티어링 휠(3)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원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백 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7)가 장착되는 장착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대략 각 꼭지점 부분에 스티어링 휠(3)의 아마츄어(4)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12)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백 하우징(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 핀(12)은 총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핀(12)에는 에어백 하우징(10)이 아마츄어(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혼 스프링(13)이 가이드 핀(12)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인플레이터(7)는 상기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플레이터(7)의 외주면에는 대략 판 형상으로 플랜지부(71)가 마련된다.
그래서 인플레이터(7)는 에어백 하우징(10)의 상부에서 장착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터드(8)를 관통시킨 후, 스터드(8)의 하단에 너트를 체결해서 에어백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 하우징(10)에는 스터드(8)가 관통 결합되는 제1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인플레이터(7)의 플랜지부(71)에는 제1 관통공(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공(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에어백 하우징에서 제1 관통공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4)과 장착공(11) 사이에는 제1 리브(15)가 형성되고, 제1 관통공(14)의 외측에는 제2 리브(16)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15)와 제2 리브(16)는 각각 인플레이터(7)의 플랜지부(7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플랜지부(7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리브(15)는 장착공(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리브(15)의 중앙부와 제2 리브(16)는 각각 제1 관통공(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2 리브(16)의 외측에는 스터드(8) 하단에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가이드 핀(1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공(17)은 제2 리브(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몰론, 차단공(17)은 호 형상뿐만 아니라, 직선 형상이나 '<' 형상, 'ㄷ'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터드가 결합되는 관통공 주변에 차단공을 형성해서 에어백 하우징과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스터드와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에어백 하우징(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보강 플레이트(20)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0)는 철과 같이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고, 에어백 하우징(10)의 성형 작업시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에어백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강 플레이트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과 대응되도록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0)의 중앙부에는 에어백 하우징(10)의 장착공(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21)이 형성되고, 보강 플레이트(20)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에어백 하우징(10)의 하단 각 꼭지점 부분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0)의 각 변에는 각각 에어백 하우징(10) 하판의 상단부, 하단부 및 양측단부에 대응되는 4개의 제1 보강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U' 형상이 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보강부(23)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에 보강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보강 플레이트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강부를 형성해서 면적을 증대함으로써, 에어백 하우징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 하판의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에서, 에어백 하우징(10)의 장착공(11) 주변에는 제2 보강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C-C'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2 보강부(30)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11)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리브(31)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4 리브(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리브(31)는 제1 및 제2 리브(15,16)와 함께, 인플레이터(7)의 플랜지부(7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장착공(11) 가장자리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리브(31)는 대략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공(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32)는 장착공(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32)의 높이는 제3 리브(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아마츄어(4)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후크가 결합되도록, 장착공(11)을 중심으로 전측과 양측에 결합홈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각 결합홈부(18)를 따라 보강부재(19)가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19)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19)는 하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결합홈부(18)를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2 보강부(30)는 제4 리브(32)와 장착공(11)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부(18) 사이를 연결해서 강성을 보강하는 제5 리브(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5 리브(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리브(32)와 양측의 결합홈부(18)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에 제2 보강부를 적용해서 장착공 주변 및 에어백 하우징 하판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각 가이드핀(12)의 상부에 보강돌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핀의 상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보강돌부(40)는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서 각 가이드 핀(12)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보강돌부(40)는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 상면보다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강돌부(40)는 에어백 하우징(10)의 일측벽과 서로 연결되어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 및 측벽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돌부(40)에는 살파기 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하우징(1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전측에 마련된 한 쌍의 보강돌부(40) 사이와 후측에 마련된 한 쌍의 보강돌부(40) 사이에는 각각 제6 리브(4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6 리브(41)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서 제6 리브(41)는 대략 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6 리브(41)는 직선 형상, 격자 형상, 물결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에서 각 가이드핀의 상부 두께를 보강하고, 복수의 리브를 적용해서 에어백 하우징 하판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에어백 하우징(10)의 상부에 인플레이터(7)를 배치하고, 인플레이터(7)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에어백 하우징(10)에 결합한다.
그러면, 인플레이터(7)의 플랜지부(71)는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 상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리브(15,16)와 장착공(11) 주변에 형성된 제3 리브(31)에 안착된다.
이때,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보강 플레이트(20)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에어백 하우징(10)과 일체로 성형된 상태이다. 여기서, 보강 플레이트(20)에는 에어백 하우징(10) 하판의 전단부, 후단부 및 양측단부에 대응되도록, 4개의 제1 보강부(23)가 형성되고, 각 제1 보강부(23)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밴딩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이다.
그리고 에어백 하우징(10)의 하판에는 제2 보강부(30)를 이루는 제3 및 제4 리브(31,32)가 장착공(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리브(32)와 양측 결합홈부(18) 사이는 복수의 제5 리브(33)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은 하판에 보강 플레이트(20)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제1 보강부(23) 및 제2 보강부(30)가 마련되어 강성이 보완됨에 ㄸ따라,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 등에 의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스터드(8)를 인플레이터(7)의 플랜지부(71)에 형성된 제2 관통공(72)과 에어백 하우징(10)에 형성된 제1 관통공(14)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결합하고, 스터드(8)의 하단에 너트를 체결한다.
이때, 제1 관통공(14)의 외측에는 스터드(8) 하단에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가이드 핀(1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공(17)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가이드 핀(12)에는 스터드(8)와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전달되지 못한다.
즉, 가이드 핀(12)에 스터드(8)와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전달되는 경우, 가이드 핀(12)에 변위가 발생함에 따라, 가이드 핀(12)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1)에서는 인플레이터(7) 조립 이전과 이후에 각각 에어백 하우징(1)의 전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핀(6)과 후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핀(6)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쌍 가이드 핀(6) 사이의 거리가 인플레이터(7) 조립 이후에 약 0.3㎜ 내지 0.4㎜ 정도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각 쌍 가이드 핀(6)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 에어백 하우징(1)의 유동이 불량해짐에 따라, 혼 조작시 작동이 불량해질 수 있다.
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10)에서는 각 쌍 가이드 핀(12) 사이의 거리 변화는 약 0.04㎜, 0.07㎜와 같이 0.1㎜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가이드 핀 사이의 거리 변화가 획기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을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하는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에서 스터드가 결합되는 관통공 주변에 차단공을 형성해서 에어백 하우징과 인플레이터를 고정하는 스터드와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에 보강 플레이트를 적용하고, 보강 플레이트와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 가이드 핀의 상부 등 주요 부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에어백 하우징의 평탄도를 유지해서 혼 조작시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을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하는 가이드 핀의 변위 발생을 방지하고, 인플레이터가 조립되는 에어백 하우징의 평탄도를 유지해서 혼 조작시 작동 불량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기술에 적용된다.
1: 에어백 하우징 2: 에어백
3: 스티어링 휠 4: 아마츄어
5: 혼 스프링 6: 가이드 핀
7: 인플레이터 71: 플랜지부
72: 제2 관통공 8: 스터드
10: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11: 장착공 12: 가이드 핀
13: 혼 스프링 14: 제1 관통공
15: 제1 리브 16: 제2 리브
17: 차단공 18: 결합홈부
19: 보강부재
20: 보강 플레이트 21: 통공
22: 연장부 23: 제1 보강부
30: 제2 보강부 31: 제3 리브
32: 제4 리브 33: 제5 리브
40: 보강돌부 41: 제6 리브

Claims (7)

  1. 인플레이터와 조립되어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장착공과,
    상기 인플레이터의 플랜지부를 관통해서 스터드가 결합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의 외측에는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너트 체결시 발생하는 응력이 상기 아마츄어에 결합되는 가이드 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판은 강성을 보완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인서트 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각 변에는 제1 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면적을 확대하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공은 상기 제1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상방으로 제1 및 제2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 주변에는 제2 보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장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리브와 제4 리브 및
    스티어링 휠의 결합후크가 결합되는 결합홈부와 상기 제4 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5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리브는 상기 제4 리브와 결합홈부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 하판의 상면과 단차지게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부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일측벽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1020210043842A 2021-04-05 2021-04-05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10253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42A KR102536418B1 (ko) 2021-04-05 2021-04-05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42A KR102536418B1 (ko) 2021-04-05 2021-04-05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8A KR20220138118A (ko) 2022-10-12
KR102536418B1 true KR102536418B1 (ko) 2023-05-26

Family

ID=8359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42A KR102536418B1 (ko) 2021-04-05 2021-04-05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4699A (ja) * 2013-07-25 2015-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5024704A (ja) 2013-07-25 2015-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5131580A (ja) 2014-01-14 2015-07-2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002B1 (ko) 2017-02-06 2018-11-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KR101916005B1 (ko) * 2017-02-15 2019-01-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드라이버 에어백 하우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4699A (ja) * 2013-07-25 2015-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5024704A (ja) 2013-07-25 2015-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5131580A (ja) 2014-01-14 2015-07-2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18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567B2 (en) Airbag-equipped steering wheel device
US6951349B2 (en) Cover for air bag device
US5320380A (en) Cover for an airbag assembly
JP5708993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5873408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US10994684B2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6908102B2 (en) Airbag apparatus
KR10253641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JP6807023B2 (ja) 衝撃吸収部材
CN111746660B (zh) 前围上盖板构造
US11459012B2 (en) Steering wheel core metal
JP7228661B1 (ja) 圧力センサ配置構造
KR100745452B1 (ko)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JP2017177930A (ja) ハンドル
JP609924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体
KR20240077813A (ko)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JP5761104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21191655A (ja) 衝撃吸収部材の位置ずれ規制構造
JP579595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WO2018061751A1 (ja) エアバッグリ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96028B2 (ja) ハンドル
JP3888106B2 (ja) ガーニッシュ
JP2020192914A (ja) 車両用リアバン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