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002B1 -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 Google Patents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002B1
KR101916002B1 KR1020170016394A KR20170016394A KR101916002B1 KR 101916002 B1 KR101916002 B1 KR 101916002B1 KR 1020170016394 A KR1020170016394 A KR 1020170016394A KR 20170016394 A KR20170016394 A KR 20170016394A KR 101916002 B1 KR101916002 B1 KR 10191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irbag housing
drive airbag
housing
arm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358A (ko
Inventor
유재호
윤종길
이원석
이경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7001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0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며, 아마츄어에 안착되고, 가이드 핀을 감싸는 스프링에 의해 아마츄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가이드 핀의 중심축과 스프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스프링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구성을 마련하여, 코일 형상의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중심축을 가이드 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프링이 아마츄어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성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The drive airbag housing}
본 발명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츄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드라이브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에 동심으로 장착되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이 장착된다.
한편, 차량의 경적을 울리기 위해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유동에 의해 경적을 울리는 혼(horn)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핀(3)과 혼 스프링(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혼 스프링(2)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과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과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미도시)의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혼 스프링(2)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에 배치된 가이드 핀(3)을 감싸게 배치된다.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미도시)는 가이드 핀(3)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가진다.
그러나, 혼 스프링(2)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에 안착될 때, 스프링의 중심축(C2)은 가이드 핀의 중심축(C1)으로부터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미도시)에 안착되는 혼 스프링(2)의 안착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혼 스프링(2)의 일측이 가이드 홈(미도시) 등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유동에 불완전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혼 스프링(2)의 안착 위치를 정렬하면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과 아마츄어(미도시)를 조립하는 경우, 그 조립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용이하게 조립하고,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며, 아마츄어에 안착되고, 가이드 핀을 감싸는 스프링에 의해 아마츄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가이드 핀의 중심축과 스프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스프링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은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코일 형상으로 연장되며, 수용홈은 스프링에 대응하여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제 1 측에서 제 2 측까지 부채꼴의 호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스프링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면을 가지며, 하우징 안착면을 기준으로 수용홈의 깊이는 스프링의 코일 형상에 대응하여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채꼴의 각도는 90도 이상 27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채꼴의 호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하우징 안착면을 기준으로한 수용홈의 깊이는 0 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형상의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수용홈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중심축을 가이드 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이 아마츄어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스프링 탄성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중심축과 가이드 핀의 중심축 사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이격도를 안정적인 범위 내로 제한 할 수 있으므로, 아마츄어에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핀과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및 스티어링 휠을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과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과 아마츄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핀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수용홈의 연장 방향에 따른 수용홈의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용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 및 스티어링 휠(300)을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과 스프링(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과 아마츄어(31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은 스티어링 휠(300)의 아마츄어(310)에 동심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에어백 커버(200)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차량의 경적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커버(200)를 누를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이 아마츄어(31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아마츄어(310)를 향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이동에 의해, 경적을 울릴 수 있는 혼(horn) 스위치(미도시)가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에어백 커버(200)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사이에 드라이브 에어백(미도시)이 배치된다.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은 그 중심에 관통홀을 가진다. 인플레이터(500)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인플레이터(500)는 드라이브 에어백(미도시)에 연결되므로, 인플레이터(50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드라이브 에어백(미도시)을 팽창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핀(110)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스프링(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은 가이드 핀(110)과 수용홈(130)을 포함한다. 가이드 핀(110)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하우징 안착면(150)으로부터 아마츄어(310)를 향하여 돌출된다. 아마츄어(310)는 가이드 홈(311)을 가지며, 가이드 핀(110)이 가이드 홈(311)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400)은 가이드 핀(110)을 감싸게 배치되며, 아마츄어(310)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400)은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코일 형상으로 연장된다.
아마츄어(310)는 가이드 핀(110)의 안정적인 안내를 위해 가이드 홈(311)으로 연결되는 확장 가이드 홈(311a)을 더 가질 수 있다. 확장 가이드 홈(311a)의 내경은 가이드 홈(311)의 내경으로부터 점점 더 크게 확장된다. 그러나, 스프링(400)의 형상 때문에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이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스프링(400)은 확장 가이드 홈(311a)에 끼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은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과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을 일치시키기 위해 스프링(400)이 안착되는 수용홈(130)을 가진다. 적어도 코일 형상의 스프링(400)의 일단이 수용홈(130)에 삽입되면,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을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과 동일 축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이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으로부터 기울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핀(110)은 그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걸림 돌기(111)를 가진다.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은 가이드 핀(110)의 하부에 배치된 관통홀(170)을 가진다. 관통홀(170)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을 사출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3개의 관통홀(170)이 가이드 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개의 걸림 돌기(111)가 12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 돌기(111)는 하우징 안착면(150) 및 수용홈(130)에 배치된 스프링(400)의 일측을 지지하여 스프링(4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수용홈(130)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제 1 측(A1)에서 제 2 측(A2)까지 부채꼴의 호(L) 형상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부채꼴의 각도(B)는 90도 이상 270도 이하 일 수 있다. 부채꼴의 각도(B)가 90도 이상 270도 이하인 경우,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이 기울어져 발생되는 이격도(D)가 안정적인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격도(D)는 2 mm 이내 일 수 있다. 즉, 수용홈(130)에 삽입된 스프링(400)의 길이에 따라, 스프링(400)과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이 동일 축상에 배치되거나, 이격도(D)가 안정적인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400)이 가이드 홈(311)에 끼워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수용홈(130)의 연장 방향에 따른 수용홈(130)의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용홈(13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수용홈(130)의 깊이(H)는 하우징 안착면(150)을 기준으로 스프링(400)의 코일 형상에 대응하여 수용홈(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거나,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부채꼴의 호(L)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하우징 안착면(150)을 기준으로 한 수용홈의 깊이(H)는 0 일 수 있다. 수용홈(130)의 깊이(H)가 점차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것은 스프링(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술한 이격도(D)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수용홈(130)의 깊이(H)는 제 1 측(A1)에서 제 2 측(A2)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며, 제 1 측(A1)과 제 2 측(A2) 사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도(D)를 안정적인 범위내로 제한하기에 효과적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수용홈(130)의 깊이(H)가 제 1 측(A1)에서 제 2 측(A2)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기만 한다. 이 경우, 제 2 측(A2)에서 스프링(400)의 일단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형상의 스프링(400)의 적어도 일부가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의 수용홈(130)에 삽입되어 스프링(400)의 중심축(C2)을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400)이 아마츄어(310)의 가이드 홈(311)에 끼워져 스프링(400) 탄성을 변형(왜곡)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400)의 중심축(C2)과 가이드 핀(110)의 중심축(C1) 사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이격도(D)를 안정적인 범위 내로 제한 할 수 있으므로, 아마츄어(310)에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100)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110 : 가이드 핀
130 : 수용홈
150 : 하우징 안착면
170 : 관통홀
200 : 에어백 커버
300 : 스티어링 휠
310 : 아마츄어
400 : 스프링
500 : 인플레이터
C1 : 가이드 핀의 중심축
C2 : 스프링의 중심축

Claims (5)

  1.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며, 아마츄어에 안착되고, 가이드 핀을 감싸는 스프링에 의해 아마츄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에 있어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스프링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면을 가지며,
    스프링은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코일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안착면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수용홈은 가이드 핀의 중심축과 스프링의 중심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코일 형상의 스프링 단부에 대응되도록,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의 제 1 측에서 제 2 측까지 부채꼴의 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은 스프링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면을 가지며,
    수용홈의 깊이는 하우징 안착면을 기준으로 스프링의 코일 형상에 대응하여 제 1 측에서 제 2 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채꼴의 각도는 90도 이상 270도 이하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5. 제 3 항에 있어서,
    부채꼴의 호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하우징 안착면을 기준으로한 수용홈의 깊이는 0 인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KR1020170016394A 2017-02-06 2017-02-06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KR10191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94A KR101916002B1 (ko) 2017-02-06 2017-02-06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94A KR101916002B1 (ko) 2017-02-06 2017-02-06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58A KR20180091358A (ko) 2018-08-16
KR101916002B1 true KR101916002B1 (ko) 2018-11-08

Family

ID=6344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394A KR101916002B1 (ko) 2017-02-06 2017-02-06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0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18A (ko) 2021-04-05 2022-10-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20230001060A (ko) 2021-06-25 2023-01-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혼 플레이트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20230110089A (ko) 2022-01-14 2023-07-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936A (ja) 2008-09-16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組付方法
KR101272240B1 (ko) 2011-02-24 2013-06-11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936A (ja) 2008-09-16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及びその組付方法
KR101272240B1 (ko) 2011-02-24 2013-06-11 주식회사 코모스 차량용 스티어링 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18A (ko) 2021-04-05 2022-10-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20230001060A (ko) 2021-06-25 2023-01-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혼 플레이트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KR20230110089A (ko) 2022-01-14 2023-07-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58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002B1 (ko) 드라이브 에어백 하우징
US6231068B1 (en) Seat mounted air bag module
US20100066062A1 (en) Steering wheel with airbag device
US10166944B2 (en) Air bag system
JP5448829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装置
KR102005738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288751B1 (ko) 에어백 장착장치
US10196028B2 (en) Steering wheel
EP4091908A1 (en)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JP200551140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機構
CN107848481B (zh) 方向盘单元
US20190275976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916005B1 (ko) 드라이버 에어백 하우징
JP2007145149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支持構造
US20230406252A1 (en)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7074769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を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接続するための方法
KR101684963B1 (ko) 차량용 혼 스위치 장치
JP6207080B2 (ja) ハンドル
JP6275489B2 (ja) ハンドル
KR10253641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JP6498994B2 (ja) ハンドル
KR102487881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101712239B1 (ko) 소음 발생 저감을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JP6180837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63823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