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843B1 - 에코라이더 - Google Patents

에코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843B1
KR102534843B1 KR1020220151717A KR20220151717A KR102534843B1 KR 102534843 B1 KR102534843 B1 KR 102534843B1 KR 1020220151717 A KR1020220151717 A KR 1020220151717A KR 20220151717 A KR20220151717 A KR 20220151717A KR 102534843 B1 KR102534843 B1 KR 10253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veling
guide
rail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길승환
어드벤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승환, 어드벤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길승환
Priority to KR1020220151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코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공중 체험기구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가 선 자세, 엎드린 자세, 앉은 자세 등 다양한 자세로 체험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롤리에 이탈방지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트롤리가 주행과정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트롤리에 설치되는 탑승부; 및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트롤리가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코라이더{ECO RIDER}
본 발명은 에코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공중 체험기구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가 선 자세, 엎드린 자세, 앉은 자세 등 다양한 자세로 체험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롤리에 이탈방지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트롤리가 주행과정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코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늘어나면서 과거에 비교해 자연스럽게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그 만큼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근래에는 산과 같이 고지대에 주행레일이나 와이어로프 또는 와이어를 설치하고, 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산림레포츠형 탑승놀이 기구인 집와이어나 롤러코스터 등의 공중이동시설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다.
이런 시설들은 높이가 다른 양 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에 레일이나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고,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Trolley, 일종의 도르래)를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걸어 양 편의높이 차에 따라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여 스릴과 함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야외 레포츠 또는 이를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런 시설들의 경우 트롤리에 레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되며, 롤러를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레일에서 트롤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그리고, 트롤리에는 탑승자가 신체에 직접 착용하게 되는 하네스를 장착하거나 또는 탑승자가 앉거나 혹은 서거나 엎드린 자세로 탑승하는 탑승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집와이어나 롤러코스터 공중이동시설이나 탑승자가 직접 페달링을 해서 공중 체험을 즐기는 공중 자전거 등에 적용되는 레일이나 와이어로프는 직선이나 경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목, 바위, 송전탑, 전신주 등의 장애물이 있는 구간에서는 이 장애물을 우회하기 위해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트롤리가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는 원심력과 편심력에 의해 한 곳으로 쏠리기 때문에 주행레일에서 이탈하여 지면으로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행레일이 장애물을 우회하도록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도록 하면서도 트롤리가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탈하는 것을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165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중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공중 체험기구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가 선 자세, 엎드린 자세, 앉은 자세 등 다양한 자세로 체험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롤리에 이탈방지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트롤리가 주행과정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에코라이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트롤리에 설치되는 탑승부; 및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트롤리가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부는, 탑승자가 일어선 상태로 탑승하도록 보드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탑승자가 누운 상태로 탑승하도록 하네스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탑승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도록 의자 형태로 형상된다.
또한, 상기 하네스 형상의 탑승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결합되며, 상기 하네스가 결속되는 복수개의 결속홀을 갖는 결속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외주연에 장착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주행레일을 연결하여 상기 주행레일의 사이에 연결되는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주행가이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축 설치되며,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이동과정에서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에 푸쉬 될 시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제1 이탈방지부; 상기 주행트롤리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축 설치되며,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대향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의 후방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이동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시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에 공동으로 연결설치되고, 탄성력을 통해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간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를 각각 원위치 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는 서로 교번되게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축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주행트롤리와 함께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 푸쉬되는 제1 푸쉬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축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주행트롤리와 함께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푸쉬면부에 후행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 푸쉬되는 제2 푸쉬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푸쉬면부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1 연동부; 상기 제1 연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푸쉬면부가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시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제2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의 일측이 관통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2 연동부;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는 지지구; 및 상기 작동부를 각각 감싸고 일측과 타측이 상기 지지구와 제2 연동부에 각각 지지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를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1 회동제한부; 및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를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2 회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2 회동제한부에 지지됨으로 인해 상기 제1 이탈방지부가 고정부에 푸쉬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구와 제2 연동부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푸쉬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제2 연동부를 하강시켜 상기 탄성부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2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주행트롤리 중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가이드는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행트롤리는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판재 유닛 및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하부의 위치되는 제3 판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복귀부는 상기 제2 판재 유닛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3 판재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복귀부가 상기 제3 판재 유닛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 판재 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주행트롤리가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탈될 시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측 일정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걸리는 낙하방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행트롤리를 구성하며,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하부 롤러가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이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직경 변화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변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가이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각각 관통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회동편의 회동각도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동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를 공동으로 관통하며, 상기 압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압축부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부가 복귀부를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본 발명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공중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공중 체험기구를 제공함에 있어, 탑승자가 선 자세, 엎드린 자세, 앉은 자세 등 다양한 자세로 체험하도록 할 수 있고,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트롤리에 이탈방지수단을 적용함으로써, 트롤리가 주행과정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탑승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 이탈방지부가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2 이탈방지부가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 이탈방지부와, 제2 이탈방지부와, 하부롤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2 이탈방지부와 제1,2 회동제한부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부가 이탈방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가변가이드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탑승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 이탈방지부가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2 이탈방지부가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 이탈방지부와, 제2 이탈방지부와, 하부롤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제1,2 이탈방지부와 제1,2 회동제한부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부가 이탈방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가변가이드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1)는,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주행레일(60)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트롤리(70)에 다양한 형태로 탑승할 수 있는 탑승수단을 적용하고, 주행트롤리(70)가 주행레일(60) 및 후술되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품으로써, 탑승부와, 주행가이드(10)와, 이탈방지부와, 부가 이탈방지부(50)와, 복귀부(40) 및 가변가이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행레일(60)은 와이어, 케이블, 금속재질의 레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레일(60)은 공중에 설치되며, 주행트롤리(70)는 공중에서 주행레일(60)을 따라 주행한다.
주행레일(60)은 일반적인 케이블카나 리프트와 같이 지면에서 산이나 고층건물의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거나 또는, 산이나 고층건물의 일정 높이에서 지면으로 내려가도록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주행레일(60)을 공중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케이블(130)이 필요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트롤리(70)의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에 복수개의 서포트(100)를 설치하고, 각각의 서포트(100)의 상측과 주행레일(6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부(미도시) 및 주행가이드(1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부(80)를 와이어나 케이블로 연결하여 주행레일(60)을 공중에 고정하면 된다.
이러한 주행레일(60)을 공중에 고정하는 방식은 케이블카, 리프트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시스템이 포함하는 주행트롤리(70)의 탑재부(73)도 의자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스형태, 하네스 형태, 기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주행트롤리(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레일(60)의 상면을 따라 구름이동 하는 상부 롤러(71)와, 주행레일(60)의 저면을 따라 구름이동 하는 하부 롤러(72)와, 주행레일(6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다수개의 금속 판재가 일정한 형상으로 조합되되, 서로 볼트나 용접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모듈(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71)와 하부 롤러(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재부(73)가 주행레일(6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부 롤러(71) 또는 하부 롤러(7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은 케이블카, 리프트 등의 기술분야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모듈(74)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부 롤러(71)가 축 결합되는 제1,2 판재 유닛(741,742)과, 제2 판재 유닛(742)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판재 유닛(741)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3 판재 유닛(7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재 유닛(741)은 제2 판재 유닛(742) 및 제3 판재 유닛(743)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재 유닛(741)은 대략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상측과 하측이 주행레일(6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하부 롤러(72)는 제1 판재 유닛(741)의 하측과 제3 판재 유닛(743)의 사이에 축 결합되어 주행레일(60)의 저면을 따라 구름이동 될 수 있다.
탑승부(160a,160b,160c)는 주행레일(60)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트롤리(70)에 설치된다.
따라서, 탑승부(160a,160b,160c)에 탑승한 탑승자는 주행레일(60)이 제공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재미와 스릴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탑승부(16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일어선 상태로 탑승하도록 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마치 서핑을 하는 형태로 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탑승부(160a)는 결합바(161a)를 통해 주행트롤리(7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바(161a)는 저면이 탑승부(160a)의 후측 상면에 결합되고, 상측이 주행트롤리(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바(161a)의 상측은 제1 판재 유닛(74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3 판재 유닛(743)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 판재 유닛(741)과 제3 판재 유닛(743)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바(161a)는 탑승자가 자세를 낮추기 위해 허리를 숙여 상체를 앞으로 하고, 엉덩이를 뒤로 뺐을 때, 엉덩이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탑승부(160a)가 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바(161a)는 주행트롤리(7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바(161a)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약 10° 내지 30°정도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바(161a)를 주행트롤리(7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 탑승자가 에코라이더를 즐기는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마치 파도에서 서핑을 하는 듯한 재미와 스릴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탑승자를 탑승부(160a)에 안전하게 위치시켜 주기 위한 하네스(16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162a)는 복수개의 걸이끈(1621a)을 포함하고, 걸이끈(1621a)의 상단에는 후크나 버클로 형성되는 고정수단(162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판재 유닛(741)과 제3 판재 유닛(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후크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하네스(162a)를 착용한 상태에서 후크를 고정홀에 고정하면 탑승자를 탑승부(160a)에 안전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탑승부(16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지면을 보고 엎드려 누운 상태로 탑승하도록 하네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네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탑승부(160b)는 탑승자가 하늘을 보고 누운 상태로 탑승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네스 형상의 탑승부(160b)는 주행트롤리(70)에 결합되는 결속부(16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부(163b)는 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판재 유닛(74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3 판재 유닛(743)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 판재 유닛(741)과 제3 판재 유닛(743)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결속부(163b)의 저면에는 결속판(1631b)이 형성된다.
결속판(1631b)에는 복수개의 결속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네스 형상의 탑승부(160b)는 복수개의 걸이끈(161b)을 포함하고, 걸이끈(161b)의 상단에는 후크나 버클로 형성되는 고정수단(162b)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수단(162b)은 결속홀에 각각 결속되어 하네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탑승자가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62b)을 결속홀에 고정하면, 탑승자를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안전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탑승부(16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도록 의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편안하고 안전하게 앉은 상태에서 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탑승부(160c)는 결합프레임(162c)을 통해 주행트롤리(7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162c)은 탑승부(160c)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 수평부(1621c)와, 하부 수평부(1621c)의 일측에서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의자(161c)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경사부(1622c) 및 경사부(1622c)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수평부(1621c)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며, 주행트롤리(70)에 결합되는 상부 수평부(1623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622c)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 탑승부(160c)의 등받이를 경사진 구조로 제작하여 경사부(1622c)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부(160c)의 등받이에 등을 편안하게 기댄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를 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수평부(1623c)는 제1 판재 유닛(741)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3 판재 유닛(743)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 판재 유닛(741)과 제3 판재 유닛(743)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부 수평부(1623c)에 저면에는 탑승부(160c) 및 탑승자를 가려주는 가림막(1624c)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림막(1624c)에는 자외선 차단액이 코팅될 수 있다.
가림막(1624c)은 탑승부(160c) 및 탑승자의 상측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어, 빗물, 눈, 햇빛 등으로부터 탑승부(160c) 및 탑승자를 보호해 준다.
이상 설명한 탑승부(16a,160b,160c)는 1인용 또는 2인용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전술한 주행트롤리(70) 및 후술되는 이탈방지부를 빗물, 눈, 각종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70)는 주행트롤리(7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그 전면과, 후면 및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70)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양측면이 제1 판재 유닛(741) 및 제3 판재 유닛(743)에 각각 볼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170)를 통해 상부 롤러(71)와 주행트롤리(70)를 감싸 보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 롤러(71)와 주행트롤리(7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부는 주행트롤리(70)가 주행레일(60) 및 후술되는 주행가이드(10)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부는 주행가이드(10)와,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와, 부가 이탈방지부(50)와, 복귀부(40) 및 가변가이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가이드(10)는 주행레일(60)과 함께 주행트롤리(70)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일 예로, 주행가이드(1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어 주행레일(60)의 전체 영역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일정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주행가이드(10)의 내면은 주행레일(60)의 외면에 용접고정 또는 프레스를 통한 압착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주행가이드(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가이드(10)들은 서로 분할되는 복수개의 주행레일(60)의 사이마다 각각 개재되어 다수개의 주행레일(60)을 일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주행가이드(10)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주행레일(60)의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의 주행레일(60)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가이드(10)의 직경이 주행레일(6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하부 롤러(72)는 주행가이드(10)가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주행가이드(10)는 도 7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부분에서부터 선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가이드(10)에는 하부 롤러(72)가 원활하게 구름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주행가이드(10)는 직선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는 주행트롤리(70)가 직진 이동하는 직진형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는 주행트롤리(70)가 커브이동 하는 커브형 주행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주행레일(60)은 일직선 형태나 사선 형태로 배치되어 주행트롤리(70)에 직진형태의 주행경로나 오르막 또는 내리막 형태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에 수목, 바위, 송전탑, 전신주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주행레일(60) 상에 장애물을 우회하여 피해갈 수 있는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가 곡선형 커브 형태의 주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행트롤리(70)가 직진 이동만 하는 경우 주행레일(60)에서 이탈하여 낙하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행트롤리(70)가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 즉, 곡선형 커브형태의 주행경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는 원심력과 편심력에 의해 한 곳으로 쏠리기 때문에 주행가이드(10)에서 이탈하여 지면으로 낙하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1)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를 통해 주행트롤리(70)가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주행레일(6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1)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를 통해 주행트롤리(70)가 주행레일(60)이나 주행가이드(10)의 직진구간과, 경사구간 뿐만 아니라 커브구간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주행트롤리(70)의 일측(좌측)과 타측(우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에 형성되는 고정부(80)에 따라 주행트롤리(7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주행트롤리(70)의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80)는 주행레일(60)과 주행가이드(1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형성되거나 또는, 좌측과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80)가 주행레일(60)과 주행가이드(1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형성되는 경우,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주행트롤리(7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80)가 주행레일(60)과 주행가이드(10)의 좌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주행트롤리(70)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80)가 주행레일(60)과 주행가이드(10)의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주행트롤리(70)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주행레일(60)의 우측면에만 고정부(8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는 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도 주행트롤리(70)의 우측에만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가 주행트롤리(7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후술되는 부가 이탈방지부(50)는 생략된다.
제1 이탈방지부(20)는 상측이 축(20a)에 장착되는 제1 밀착링(미도시)에 의해 제2 판재 유닛(742)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이탈방지부(20)는 축(20a)을 기준으로 그 아랫부분이 회동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부(20)의 하측에는 제1 푸쉬면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푸쉬면부(21)는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과 마주한다.
제1 푸쉬면부(21)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과 마주함에 따라, 커브구간에서 상,하부 롤러(71,72)나 결합모듈(74)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으로 밀리는 작용이 발생할 경우, 제1 푸쉬면부(21)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결합모듈(74), 상부 롤러(71), 하부 롤러(72) 등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푸쉬면부(21)는 주행트롤리(70)와 함께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부(80)에 의해 푸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푸쉬면부(21)는 고정부(80)에 밀리게 되어 제1 이탈방지부(20)가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푸쉬면부(21)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주행트롤리(70)가 저항 없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이탈방지부(30)는 대략 중앙부분이 축(30a)에 장착되는 제2 밀착링(미도시)에 의해 제2 판재 유닛(742)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이탈방지부(30)는 축(30a)에 장착되는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상측과 하측이 회동될 수 있다.
제2 이탈방지부(30)는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상측과 하측이 제2 판재 유닛(74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제2 이탈방지부(30)의 상측은 복귀부(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이탈방지부(20)의 하측에는 제2 푸쉬면부(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푸쉬면부(31)는 제1 푸쉬면부(21)와 후방 동일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과 마주한다.
제2 푸쉬면부(31)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과 마주함에 따라, 커브구간에서 상,하부 롤러(71,72)나 결합모듈(74)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으로 밀리는 작용이 발생할 경우, 제1 푸쉬면부(21)와 함께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결합모듈(74), 상부 롤러(71),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푸쉬면부(31)는 주행트롤리(70)와 함께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푸쉬면부(21)에 후행하여 고정부(80)에 의해 푸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 푸쉬면부(31)는 고정부(80)에 밀리게 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되어 주행트롤리(70)가 저항 없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브구간에서 제1 푸쉬면부(21)와 제2 푸쉬면부(31)가 서로 다른 고정부(80)를 동시에 타고 넘어 가면 주행트롤리(70)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는 서로 교번되게 서로 다른 고정부(80)에 푸쉬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배치 된다.
즉,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 간의 간격은, 제1 이탈방지부(20)의 제1 푸쉬면부(21)가 전측에 위치한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갈 경우 제2 이탈방지부(30)의 제2 푸쉬면부(31)는 후측에 위치한 다른 고정부(80)와 접촉되지 아니하고, 제2 이탈방지부(30)의 제2 푸쉬면부(31)가 후측에 위치한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갈 경우 제1 이탈방지부(20)의 제1 푸쉬면부(21)는 전측에 위치한 다른 고정부(80)와 접촉되는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부가 이탈방지부(50)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의 반대편에서 주행트롤리(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 이탈방지부(50)는 고정부(80)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좌측면에만 형성된 경우 적용된다.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에 지지됨으로, 부가 이탈방지부(50)는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면을 지지하도록 제1 판재 유닛(741)의 상부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부가 이탈방지부(5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제1 판재 유닛(741)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 이탈방지부(50)는 주행트롤리(70)의 이동에 의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커브구간에서는 상,하부 롤러(71,72)나 결합모듈(74)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으로 밀리는 작용이 발생할 경우,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면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결합모듈(74), 상부 롤러(71),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귀부(40)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간 다음 원위치 즉,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우측면과 마주하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복귀부(40)는 제1 연동부(41)와, 작동부(42)와, 제2 연동부(43)와, 지지구(44)와, 탄성부(45)와, 제1 회동제한부(46) 및 제2 회동제한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동부(41)는 다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동부(41)는 제1 이탈방지부(2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제1 이탈방지부(20)와 연동작동 된다.
즉, 제1 푸쉬면부(21)가 고정부(80)에 푸쉬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제1 연동부(41)는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제1 연동부(41)의 일측면에는 작동부(42)가 결합되는 경사면(41a)이 형성된다.
작동부(42)는 그 하단이 제1 연동부(41)의 경사면(41a)에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부(42)는 경사진 구조를 이룬다.
작동부(42)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42)의 외주연에는 지지구(44)가 체결되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일 예로, 경사면(41a)에는 작동부(42)가 체결되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작동부(42)의 하단은 경사면(41a)에 용접결합 될 수 있다.
작동부(4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작동부(42)에는 후술되는 탄성부(45)의 탄성작용이 적용되는 바, 2개의 작동부(42)에 탄성부(45)를 각각 적용할 경우, 2개의 탄성부(45)가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에 복귀력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로 인해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에 의해 회동된 다음 신속하게 원위치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42)는 제1 연동부(41)가 고정부(80)에 푸쉬되는 제1 푸쉬면부(21)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제2 연동부(43)는 다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동부(43)에는 작동부(42)의 상측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부(42)의 일정영역은 제2 연동부(43)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작동부(42)는 관통홀을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제2 연동부(43)는 제2 이탈방지부(3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연동부(43)는 제2 이탈방지부(30)와 연동작동 된다.
즉,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에 푸쉬되어 축(30a)을 기준으로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제2 이탈방지부(30)의 상측은 축(30a)을 기준으로 진행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제2 연동부(43)는 작동부(42)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이탈방지부(30)가 탄성부(45)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제2 연동부(43)는 작동부(42)를 따라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연동부(41)와, 작동부(42) 및 제2 연동부(43)의 작동은 추후, 탄성부(45)와, 제1 회동제한부(46) 및 제2 회동제한부(47)와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지지구(44)는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구(44)는 작동부(42)의 하측 부분에 체결되어 탄성부(45)의 하단을 지지한다.
탄성부(45)는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탄성부(45)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5)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작동부(42)의 둘레면을 각각 감싼다.
탄성부(45)는 그 하측이 지지구(44)에 지지되고, 그 상측은 제2 연동부(43)의 저면에 지지된다.
탄성부(45)는 상승되는 제1 연동부(41) 및 제2 연동부(43)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원 상태로 팽창되면서 제1 이탈방지부(20) 및 제2 이탈방지부(30)에 복귀력을 부여한다.
탄성부(45)의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 회동제한부(46)는 제2 판재 유닛(742)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1 이탈방지부(20)의 상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1 이탈방지부(20)는 고정부(80)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고, 제1 회동제한부(46)에 의해 진행방향으로는 회동되지 못한다.
제2 회동제한부(47)는 제2 판재 유닛(742)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제2 이탈방지부(30)의 대략 중앙부분을 지지한다.
따라서, 제2 이탈방지부(30)의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고, 제2 회동제한부(47)에 의해 진행방향으로는 회동되지 못한다.
한편, 전술한 주행트롤리(70)의 제2 판재 유닛(742)은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3 판재 유닛(743)은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의 하부에 위치된다.
일 예로, 전술한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 및 복귀부(40)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재 유닛(742)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 및 복귀부(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판재 유닛(743)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도 14의 실시예에서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 및 복귀부(40)의 작동 및 기능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6 내지 도 9의 경우 제1 푸쉬면부(21)가 고정부(8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타고 넘어 가고, 도 14의 경우 제1 푸쉬면부(21)가 고정부(8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타고 넘어 간다는 점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다.
부가적으로,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 및 복귀부(40)가 제3 판재 유닛(743)에 설치되는 경우, 제2 판재 유닛(742)의 측면에는 낙하방지부(140)가 설치된다.
낙하방지부(1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낙하방지부(140)는 전면과 후면 및 저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이 수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주행트롤리(70)가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지진이나 기타 각종 요인에 의해 이탈하게 될 경우, 낙하방지부(140)가 주행트롤리와 함께 하강하다가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의 상측 일정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걸리게 되어 주행트롤리(7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탑재부(73)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가변가이드(150)는 주행트롤리(70)를 구성하는 지지브라켓(75)이 주행가이드(10) 또는 주행레일(60)의 직경 변화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6를 기준으로 제3 판재 유닛(743)의 후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75)이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브라켓(75)에는 주행가이드(10)와 주행레일(60)을 순차적으로 따라 이동하는 전술한 하부 롤러(72)가 축 결합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가이드(10)의 직경이 주행레일(6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에서 주행가이드(10)로 이동할 시에는 지지브라켓(75)이 서로 벌어져야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에서 주행가이드(1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코라이더(1)는 주행트롤리(70)에 가변가이드(150)를 적용하여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에서 주행가이드(10)로 이동할 때에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75)이 자연스럽게 서로 벌어지도록 하고,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에서 주행레일(60)로 이동할 때에는 지지브라켓(75)이 자연스럽게 서로 오므려지도록 하였다.
가변가이드(150)는 회전축(151)과, 회동편(152)과, 압축부(153)와, 가이드레일(154) 및 부가 복귀부(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51)은 지지브라켓(75)에 각각 관통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1)의 일측과 타측은 지지브라켓(75)의 전측과 후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회전축(151)의 일측은 제1 판재 유닛(734)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주행트롤리(70)를 구성하는 제4 판재 유닛(744) 및 제4 판재 유닛(744)의 일측면에 설치된 원형 블록 형상의 회전가이드(156)에 각각 관통설치된다.
회전축(151)은 제1 판재 유닛(734) 및 회전가이드(156) 상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51)은 지지브라켓(75)과 함께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51)은 지지브라켓(75)의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75)은 하부 롤러(72)가 주행레일(60)에서 주행가이드(10)로 이동하게 되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75)은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에서 주행레일(60)로 이동하게 되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편(152)은 회전축(151)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회동편(152)은 회전축(151) 중 지지브라켓(75)의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에 장착된다.
회동편(152)에는 회전축(151)이 장착되는 장착홀(152a) 및 장착홀(152a)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키홈(152b)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151)에는 키홈(152b)에 삽입되는 사각블록 형상의 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편(152)에는 키홈(152b) 대신 키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51)의 키가 키홈(152b)에 삽입됨으로 인해 회동편(152)은 회전축(15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편(152)은 회전축(151)의 회전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만 회동된다.
이때, 회동편(152)은 일종의 캠 운동을 하는 것으로, 대략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부(153)는 회동편(152)의 상측에 각각 축 결합된다.
압축부(153)는 후술되는 가이드레일(154) 상에서 주행트롤리(70)의 진행 방향으로 전진되거나 또는 진행 반대 방향으로 후진될 수 있다.
이때, 압축부(153)는 회전편의 회동각도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부(153)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레일(154)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54)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적용되며, 2개의 압축부(153)를 공동으로 관통할 수 있다.
도면에는 압축부(153)들에 2개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54)이 2개로 적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가이드레일(154)은 원형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154)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압축부(153)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레일(154)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구(157a)가 각각 장착된다.
지지구(157a)는 부가 복귀부(155)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아울러, 지지구(157a) 중 가이드레일(154)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지지구(157a)는 가이드레일(154)에 고정된다.
그리고, 압축부(153)와 각각 접촉되는 지지구(157b,157c)는 중공을 포함하여 압축부(153)와 함께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부가 복귀부(155)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복귀부(155)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이드레일(154)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부가 복귀부(155)는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이동하는 압축부(153)에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3(a)은 좌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우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보다 직경이 작은 주행레일(60)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좌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은 좌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에 가압되어 하측으로 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우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은 주행가이드(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주행레일(60)에 접촉됨으로 상측으로 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는 좌측에 위치한 지지구(157b)를 밀어 좌측에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를 압축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우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는 우측에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의 영향을 받는 지지구(157c)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밀린 상태가 된다.
즉, 우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는 우측에 위치한 지지구(157c)를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우측에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가 팽창된 상태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3(a)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를 통과하여 주행레일(60)에 위치되면 좌측에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가 팽창되어 원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좌측에 위치한 지지구(157b) 및 좌측에 위치한 압축부(153)가 우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좌측에 위치한 회동편(152)은 우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된다.
따라서, 좌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과, 회동편(152)과, 압축부(153) 및 부가 복귀부(155)는 우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과, 회동편(152)과, 압축부(153) 및 부가 복귀부(155)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3(b)는 우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의 정중앙 즉, 직경이 가장 넓은 곳에 접촉되고, 좌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우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은 우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가 주행가이드(10)의 중앙부분에 가압되어 하측으로 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좌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75)은 주행가이드(10)의 경사면에 접촉됨으로 상측으로 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우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는 우측에 위치한 지지구(157c)를 밀어 우측에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를 압축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좌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도 좌측에 위치한 지지구(157b)를 밀어 부가 복귀부(155)를 압축시킨 상태가 된다. 이때, 우측에 위치한 압축부(153)가 좌측에 위치한 압축부(153)보다 부가 복귀부(155)를 더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하부 롤러(72) 모두가 주행가이드(10)를 통과하여 주행레일(60)에 위치되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한 부가 복귀부(155)가 팽창되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경우 좌측에 위치한 지지구(157b) 및 좌측에 위치한 압축부(153)가 우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좌측에 위치한 회동편(152)은 우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동된다.
아울러, 우측에 위치한 지지구(157c) 및 우측에 위치한 압축부(153)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우측에 위치한 회동편(152)은 좌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이탈방지부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이탈방지부(1)의 작동 및 특유의 효과는 도2 내지 도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주행트롤리(70)는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주행하게 되며,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 및 부가 이탈방지부(50)로 인해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주행트롤리(70)는 주행레일(60)의 직선구간, 직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 및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에 배치된 고정부(80)를 각각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탈방지부(20)가 선행하여 고정부(80)들을 통과하게 되고, 이어서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들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1 이탈방지부(20)의 제1 푸쉬면부(21)는 고정부(80)에 의해 푸쉬될 시,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해당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제1 푸쉬면부(21)가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이에 비례하여 제1 연동부(41) 및 작동부(42) 및 지지구(44)가 일률적으로 소정거리 상승하게 된다.
특히, 지지구(44)가 상승되면 탄성부(45)가 지지구(44)와 제2 연동부(43)의 사이에서 압축되며, 결국, 탄성부(45)는 이 압축작용에 의해 제1 이탈방지부(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 제2 연동부(43)도 작동바와 함께 상승하게 되지만 제2 이탈방지부(30)가 제2 회동제한부(47)에 지지됨으로 인해, 제2 연동부(43)의 상승거리가 제한되어, 탄성부(45)가 지지구(44)와 제2 연동부(43)의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푸쉬면부(21)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45)가 원상태로 팽창된다.
탄성부(45)가 팽창되면 작동바 및 제1 연동부(41)가 하강되며, 이로 인해 제1 이탈방지부(20)가 진행방향 즉, 원위치로 회동되어 다시 주행트롤리(70)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주행가이드(10)의 좌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제1 이탈방지부(2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제2 이탈방지부(30)는 고정부(8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이탈방지부(30)는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지 않기 때문에 주행트롤리(70)가 주행가이드(10)의 좌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탈방지부(2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간 이후에 제2 이탈방지부(30)가 후행하여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와 접촉되면, 제2 이탈방지부(30)는 축(30a) 설치된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하측은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상측은 진행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로 인해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제2 이탈방지부(30)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정부(80)와 접촉에 의해 중앙에 위치된 축(30a)을 기준으로 회동되는데, 이 경우 제2 이탈방지부(30)는 그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제2 푸쉬면부(31)가 형성된 하측영역은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상측영역은 진행방향으로 회동된다.
아울러, 제2 이탈방지부(30)의 하측영역은 상승하는 형태로 회동되고, 상측영역은 하강하는 형태로 회동된다.
따라서, 제2 연동부(43)가 제2 이탈방지부(30)의 회동각에 대응되게 작동부(42)를 따라 하강되면서 탄성부(45)를 압축시키게 된다. 즉, 탄성부(45)는 지지구(44)에 지지된 상태로 제2 연동부(43)에 의해 압축된다.
결국, 탄성부(45)는 이 압축작용에 의해 제2 이탈방지부(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준비를 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푸쉬면부(31)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45)가 원상태로 팽창된다.
탄성부(45)가 팽창되면 제2 연동부(43)가 작동부(4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제2 연동부(43)는 제2 이탈방지부(30)의 상측에 결합됨으로, 제2 이탈방지부(3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 일측면에 지지된다.
이때,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제1 이탈방지부(20)는 고정부(8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이탈방지부(20)는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지 않기 때문에 주행트롤리(70)가 주행가이드(10)의 좌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이탈방지부(20)와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에 의해 서로 교번되게 작동하게 되고, 제1 이탈방지부(2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는 제2 이탈방지부(30)가 주행레일(60) 또는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제2 이탈방지부(30)가 고정부(80)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는 제1 이탈방지부(20)가 주행레일(60) 또는 직선이나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부가 이탈방지부(50)가 주행레일(60) 또는 직선이나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의 타측면에 항상 지지되기 때문에 주행트롤리(70)가 주행레일(60) 또는 직선이나 곡선형상의 주행가이드(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트롤리(70) 및 탑재부(73)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행트롤리(70)가 주행레일(60) 또는 주행가이드(10)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국, 탑재부(73)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보강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서포트(100)는 비교적 긴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전도될 위험이 있으며, 탑재부(73) 및 탑승자의 하중은 서포트(100)의 하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포트(100)를 보강해줄 필요가 있다.
보강부(110)는 서포트(100)를 보강하기 위해 수용박스(111)와, 파형지지부(112)와, 제1 감쌈부(113)와, 제2 감쌈부(114)와, 유동억제부(115)와, 금속 중량부(116)와, 측정부(117)와, 지지판(118)과, 튜브(119)와, 하우징(120) 및 펌프(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지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서포트(100)의 하측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파형지지부(112)는 수용박스(111)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서포트(100)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서포트(10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서포트(100)와 수용박스(111)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된다.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100)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100)의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서포트(100)가 탑재부(73)와, 탑승자 등의 하중이나, 지진, 기타 각종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감쌈부(113)는 서포트(100)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1131a)이 형성된 제1 부재(1131) 및 제1 부재(113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1132a)이 형성된 제2 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쌈부(114)는 서포트(100)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1141a)이 형성된 제3 부재(1141) 및 제3 부재(114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1142a)이 형성된 제4 부재(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억제부(115)는 수용박스(111)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1131a)과, 제2 체결홀(1132a)과, 제3 체결홀(1141a) 및 제4 체결홀(1142a)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서포트(1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서포트(100)의 유동을 억제하여 주행가이드(10)와, 주행레일(60)과, 탑재부(73) 및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유동억제부(115)로 서포트(100)를 고정한 다음에는 수용박스(111)를 금속 중량부(116)의 내부공간에 수용한다.
금속 중량부(11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의 수용공간에는 수용박스(111)가 수용된다.
금속 중량부(116)는 서포트(10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려고 할 때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무게는 약 50kg~200kg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는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서포트(100)의 유동도 억제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포트(10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부(117)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기나, 기타 마주하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기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18)은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튜브(119)는 서포트(10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지지판(118)이 각각 결합된다.
튜브(119)의 내부공간에는 약 80%~90%의 물이 채워져 있다.
튜브(119)는 물이 채워질수록 점진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9)는 대략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튜브(119)가 각각 수용된다.
하우징(120)은 금속 중량부(116)의 상면에 고정되어 튜브(119)의 유동을 방지한다.
펌프(121)는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튜브(119)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100)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한 서포트(1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전송한다.
제어부는 측정부(117)에서 신호가 전송될 경우, 펌프(121)를 작동시켜 튜브(119)의 내부에 약 20% ~ 10%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튜브(119)를 팽창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측정부(117)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관리자 PC에 서포트(100)의 이상 사실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튜브(119)가 팽창되면 지지판(118)이 서포트(100)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지지판(118)이 서포트(100)를 지지하고, 튜브(119)가 일정 중량 상태에서 지지판(118)을 지지함으로, 서포트(1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의 영향이 작용하더라도, 서포트(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119)에 채워지는 물의 양은 서포트(100), 탑재부(73),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게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히팅선 또는 히팅코일로 형성되는 보온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2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측정기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되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시,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온도측정기는 전술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측정기는 기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온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온도를 전송 받고, 만약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얼음이 어는 온도인 0℃일 경우, 보온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1 ℃ 이상일 경우, 보온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코라이더는 서포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서포트(100) 및 탑재부(73)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에코라이더 10 : 주행가이드
20 : 제1 이탈방지부 20a.30a : 축
21 : 제1 푸쉬면부 30 : 제2 이탈방지부
31 : 제2 푸쉬면부 40 : 복귀부
41 : 제1 연동부 41a : 경사면
42 : 작동부 43 : 제2 연동부
44 : 지지구 45 : 탄성부
46 : 제1 회동제한부 47 : 제2 회동제한부
50 : 부가 이탈방지부 60 : 주행레일
70 : 주행트롤리 71 : 상부 롤러
72 : 하부 롤러 73 : 탑재부
74 : 결합모듈 741 : 제1 판재 유닛
742 : 제2 판재 유닛 743 : 제3 판재 유닛
744 : 제4 판재 유닛 75 : 지지브라켓
80 : 고정부 100 : 서포트
110 : 보강부 111 : 수용박스
112 : 파형지지부 113 : 제1 감쌈부
1131 : 제1 부재 1131a : 제1 체결홀
1132 : 제2 부재 1132a : 제2 체결홀
114 : 제2 감쌈부 1141 : 제3 부재
1141a : 제3 체결홀 1142 : 제4 부재
1142a : 제4 체결홀 115 : 유동억제부
116 : 금속 중량부 117 : 측정부
118 : 지지판 119 : 튜브
120 : 하우징 121 : 펌프
130 : 고정케이블 140 : 낙하방지부
150 : 가변가이드 151 : 회전축
152 : 회동편 152a : 장착홀
152b : 키홈 153 : 압축부
154 : 가이드레일 155 : 부가 복귀부
156 : 회전가이드 157a,157b,157c : 지지구
160a,160b,160c : 탑승부 161a : 결합바
162a : 하네스 1621a, 161b : 걸이끈
1622a,162b : 고정수단 163b : 결속부
1631b : 결속판 161c : 의자
162c : 결합프레임 1621c : 하부 수평부
1622c : 경사부 1623c : 상부 수평부
1624c : 가림막 170 : 커버

Claims (10)

  1.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트롤리에 설치되는 탑승부; 및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트롤리가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레일의 외주연에 장착되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주행레일을 연결하여 상기 주행레일의 사이에 연결되는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주행가이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축 설치되며,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이동과정에서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부에 푸쉬 될 시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제1 이탈방지부;
    상기 주행트롤리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축 설치되며,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대향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의 후방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일측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고, 그 이동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시 진행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가는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에 공동으로 연결설치되고, 탄성력을 통해 상기 고정부를 타고 넘어간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를 각각 원위치 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는 서로 교번되게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에코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탑승자가 일어선 상태로 탑승하도록 보드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탑승자가 누운 상태로 탑승하도록 하네스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탑승자가 앉은 상태로 탑승하도록 의자 형태로 형상되며,
    상기 하네스 형상의 탑승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결합되며, 상기 하네스가 결속되는 복수개의 결속홀을 갖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축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주행트롤리와 함께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 푸쉬되는 제1 푸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는, 상기 주행트롤리에 축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측면과 마주하며, 상기 주행트롤리와 함께 주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푸쉬면부에 후행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진행 반대방향으로 푸쉬되는 제2 푸쉬면부를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푸쉬면부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1 연동부;
    상기 제1 연동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푸쉬면부가 상기 고정부에 푸쉬될 시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제2 이탈방지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의 일측이 관통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와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제2 연동부;
    상기 작동부에 장착되는 지지구; 및
    상기 작동부를 각각 감싸고 일측과 타측이 상기 지지구와 제2 연동부에 각각 지지되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를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1 회동제한부; 및
    상기 주행트롤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를 진행 반대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제2 회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가 상기 제2 회동제한부에 지지됨으로 인해 상기 제1 이탈방지부가 고정부에 푸쉬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구와 제2 연동부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제1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제2 이탈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푸쉬되어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제2 연동부를 하강시켜 상기 탄성부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2 이탈방지부에 복귀력이 부여되는 에코라이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트롤리 중 상기 제1 이탈방지부 및 제2 이탈방지부가 설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주행레일 또는 주행가이드의 다른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주행트롤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가이드는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코라이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트롤리는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판재 유닛 및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하부의 위치되는 제3 판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복귀부는 상기 제2 판재 유닛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3 판재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탈방지부와, 상기 제2 이탈방지부 및 상기 복귀부가 상기 제3 판재 유닛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 판재 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주행트롤리가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상기 주행레일에서 이탈될 시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상기 주행레일의 상측 일정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걸리는 낙하방지부가 형성되는 에코라이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트롤리를 구성하며, 상기 주행가이드 또는 주행레일의 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하부 롤러가 각각 축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이 상기 주행레일과 주행가이드의 직경 변화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가이드 하는 가변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가이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각각 관통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회동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회동편의 회동각도와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동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를 공동으로 관통하며, 상기 압축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압축부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부가 복귀부를 포함하는 에코라이더.
KR1020220151717A 2022-11-14 2022-11-14 에코라이더 KR10253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717A KR102534843B1 (ko) 2022-11-14 2022-11-14 에코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717A KR102534843B1 (ko) 2022-11-14 2022-11-14 에코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43B1 true KR102534843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717A KR102534843B1 (ko) 2022-11-14 2022-11-14 에코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43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0590U (ko) * 1979-06-14 1980-12-25
US5884564A (en) * 1997-04-15 1999-03-23 Custom Conveyor & Supply Corp. Anti-backup device for power-and-free conveyor systems
EP1086868B1 (de) * 1999-09-24 2003-11-12 High Technology Investments B.V. Doppelwirkende Rollenbatterie für Stützen von Einseilumlaufbahnen, insbesondere Sesselliften und Kabinenbahnen
KR20060127709A (ko) * 2005-06-08 2006-12-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주기
US20080169454A1 (en) * 2007-01-16 2008-07-17 Pomagalski Sa. Multiple sheave assembly system with compression and support sheaves of an aerial ropeway transport installation rope
US20120160122A1 (en) * 2010-12-28 2012-06-28 Lerner Shawn Geoffrey Trolley for downhill zip line thrill ride
KR101316563B1 (ko) 2009-11-27 2013-10-15 스카이라인집라인 글로벌 엘엘씨 짚라인 트롤리 시스템
US20140360398A1 (en) * 2013-06-05 2014-12-11 Nelson Hyde Chick Foiling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US10065507B1 (en) * 2017-10-06 2018-09-04 Zip-Flyer, Llc Speed restriction systems using eddy currents
US20200206641A1 (en) * 2018-02-03 2020-07-02 Christopher Michael Flynn Wire Rope and Track Transport System
KR102177753B1 (ko) * 2020-07-15 2020-11-11 장석만 무선 조종이 가능한 와이어 이송 트롤리
KR102476109B1 (ko) * 2022-04-25 2022-12-09 길승환 순환형 코스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0590U (ko) * 1979-06-14 1980-12-25
US5884564A (en) * 1997-04-15 1999-03-23 Custom Conveyor & Supply Corp. Anti-backup device for power-and-free conveyor systems
EP1086868B1 (de) * 1999-09-24 2003-11-12 High Technology Investments B.V. Doppelwirkende Rollenbatterie für Stützen von Einseilumlaufbahnen, insbesondere Sesselliften und Kabinenbahnen
KR20060127709A (ko) * 2005-06-08 2006-12-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주기
US20080169454A1 (en) * 2007-01-16 2008-07-17 Pomagalski Sa. Multiple sheave assembly system with compression and support sheaves of an aerial ropeway transport installation rope
KR101316563B1 (ko) 2009-11-27 2013-10-15 스카이라인집라인 글로벌 엘엘씨 짚라인 트롤리 시스템
US20120160122A1 (en) * 2010-12-28 2012-06-28 Lerner Shawn Geoffrey Trolley for downhill zip line thrill ride
US20140360398A1 (en) * 2013-06-05 2014-12-11 Nelson Hyde Chick Foiling
KR101627291B1 (ko) * 2015-01-07 2016-06-03 어드벤처닷케이알(주) 스마트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저스포츠용 하강시설물
US10065507B1 (en) * 2017-10-06 2018-09-04 Zip-Flyer, Llc Speed restriction systems using eddy currents
US20200206641A1 (en) * 2018-02-03 2020-07-02 Christopher Michael Flynn Wire Rope and Track Transport System
KR102177753B1 (ko) * 2020-07-15 2020-11-11 장석만 무선 조종이 가능한 와이어 이송 트롤리
KR102476109B1 (ko) * 2022-04-25 2022-12-09 길승환 순환형 코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4425A (en) Cable skydiving
KR101442314B1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US3861514A (en) Straddle-form ski lift
US8641542B2 (en) Stationary track with gimbaled rider carriages amusement ride
US20090078148A1 (en) Suspended coaster rail apparatus and method
KR101031354B1 (ko) 승마 연습용 안전 장치
CN111469865B (zh) 缆索运送系统
KR102476109B1 (ko) 순환형 코스터
JP2006502795A (ja) 複数定員娯楽乗物
US20060137563A1 (en) Multi-capacity amusement ride
KR102534843B1 (ko) 에코라이더
KR102191731B1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KR102534842B1 (ko) 이탈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시스템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KR102505777B1 (ko) 이탈방지 및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반자동 탑승카트
US2582201A (en) Ski lift
US3401643A (en) Ski lift control mechanism
JP4507299B2 (ja) 遊戯乗物および乗物遊戯設備
KR102230853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KR102517846B1 (ko)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WO2005099847A1 (en) Amusement ride
KR910000125B1 (ko) 궤도주행 승물
RU2414277C1 (ru) Аттракцион
EP1389148A1 (en) Amusement r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