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25B1 - 궤도주행 승물 - Google Patents

궤도주행 승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25B1
KR910000125B1 KR1019840000904A KR840000904A KR910000125B1 KR 910000125 B1 KR910000125 B1 KR 910000125B1 KR 1019840000904 A KR1019840000904 A KR 1019840000904A KR 840000904 A KR840000904 A KR 840000904A KR 910000125 B1 KR910000125 B1 KR 91000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frame
track
wheels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782A (ko
Inventor
가즈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고
가즈오 야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고, 가즈오 야마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고
Priority to KR10198400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25B1/ko
Publication of KR85000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궤도주행 승물
제1도는 두줄 레일에 의하여 구성되는 궤도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며,
제2도는 상기 궤도위를 주행하는 4륜차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상기 4륜차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위 제3도의 측면도이며,
제5도는 위 제3도의 후면도이고,
제6도는 주행중 상기 4륜차의 요부 작동상태를 표시한 평면도이며,
제7도는 상기 4륜차의 후측에 형성된 브레이크 절환기구의 확대 후면도이며,
제8도는 제7도의 브레이크 기구의 확대 축면도이며,
제9도는 상기 브레이크 절환기구에 있어서의 3개의 캠부분 구성을 나타낸 후면도이며,
제10a,b,c도는 제9도의 캠을 각각 별개로 취출하여 표시한 측면도이고,
제11a,b도는 상기 캠과 링크와의 각각 상이한 작동상태를 표시한 측면도이며,
제12도는 상기 브레이크 절환기구의 타실시예를 표시한 확대 후면도이고,
제13도는 제11도의 X-X선의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궤도 2 : 레일
3 : 프렛트홈 4 : 승객
5 : 4륜차 6 : 차체
6A,6B : 전,후부후레임 6C,6D : 좌우후레임
7 : 브라켓트 8 : 축받이
9 : 후륜차축 10 : 후륜
11 : 요동후레임 12 : 종축
13 : 전륜 지지후레임 14 : 전륜
15 : 접동 받침구 16 : U형 브라켓트
17 : 접동판 18 : 지지간
19 : 지지판 20 : 후륜 안내로울러
21 : 지지간 22 : 지지판
23 : 전륜 안내로울러 24 : 차륜 부상방지판
25 : 새들(Saddle) 받침통 26 : 새들 지지간
27 : 높이 조정지구 28 : 새들
35 : 파이프지구 31 : 등판
33 : 핸들 받침통 34 : 핸들 지지간
36 : 핸들 37 : 브레이크 레버
38 : 휀스 42 : 크랭크축
43 : 큰 스프로켓기어 44,45 : 크랭크
46,47 : 페달 48 : 체인
49 : 적은 스프로켓기어 50 : 체인 카버
54 : 브라켓트 55 : 밴드 브레이크
56 : 인장 와이어 57 : 권상용 훅크
58 : 역주방지용 훅크 61 : 권상체인
62 : 역주방지용 핀랙크 63 : 고정판
64 : 캠축 65 : 링크축
66 : 스리브 67A,67B,67C : 십자캠
67Aa,67Ba,67Ca : 돌기부 68A,68B : 링크
69,70 : 독그 71 : 강구(綱球)
72 : 인덱스 스프링 73 : 멈춤나사
74 : 스프링 75 : 복귀용 스프링
76A,76B : 튜브 77,78 : 브라켓트
79 : 교합 크랏치 79A : 홈
79' : 스라이드판 80 : 브레이크축
81 : 브라켓트 82 : 스리브
83 : 축통 84 : 회전축
85 : 요동판 86,87 : 독그
88 : 회동레버 89 : 조작판
90 : 고정핀 91 : 반전유지 스프링
본 발명은 좌우 두줄의 레일로된 구도위를 발의 힘을 이용하는 등의 인력 혹은 동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각종 유회용 4륜차 등을 대상으로한 궤도주행 승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배경과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유원지등에서 사용되는 궤도주행의 승물은 직선, 곡선 등 혼합된 코스로 만들어진 궤도위를 주행한다. 그리고, 궤도로서는 승물의 곡선주행이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1줄 레일이 채용되며, 또 이 레일로 주행하는 승물로서 사용되는 것은 과좌식(跨座式) 즉, 걸터 앉은식 또는 현가식(懸架式) 즉, 매달린식중 어느 식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한편 이 1줄 레일위를 주행하는 승물의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과좌식의 것에서는 차체 중심(重心)을 보다낮게 하기 위한 기구를 필요로하며, 현가식에서는 복잡한 안전기구를 여러 가지 구비할 필요가 있는 등 설계 제작에 상당한 복잡 곤난성을 수반함과 동시에, 차체 중량도 필연적으로 커지게 됨으로서, 예컨대 사용하는 승물이 죽답 구동식과 같은 경우에는 경쾌한 주행을 기대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1줄 레일을 좌우 두줄의 레일로 변경시킴과 동시에, 이 레일위를 안정하고 또 경쾌하게 주행시킬 수 있는 승물로서 4륜 구조의 것을 채용하는 것도 고려되나, 그러나, 이 경우 상기와 같이 구부러진 두줄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차체 전후의 차륜 혹은 그 전후 어느쪽 인가를 요동축에 의하여 요동시켜서 궤도의 커브에 대해 원만한 주행을 가능케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런류의 4륜 구조의 승물에 있어서, 종래 생각되어온 차축 요동 방식으로는 후륜차축을 차체에 고정적으로 형성하는 한편, 전륜자축을 차체 저부에 돌출한 접시에 요동자재한 접시받침을 통하여 부착하여, 주행중 커브에 이르렀을 때에는 좌우 전류의 레일에 강제적으로 안내되어 전류차축이 요동하고, 방향을 좌우로 바꾸어 곡선주행을 가능케한 구성의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급 커브에 적용이 되지 않음으로서 유원지등의 좁은 공간내에서의 레일 설치에 있어 급 커브의 채용에 따른 부지의 이용 혹은 주행시의 스릴감의 증대를 도모코저 해도 실현은 불가능에 가깝다.
한편, 급 커브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좌우 전륜차축의 요동뿐 아니라, 좌우 후륜차축도 요동 가능하게 형성한 방식이 있으며, 이는 코너에서의 회전 변경이 적고, 상술한 부지 면적의 유효이용 및 주행시의 스릴감의 증대에 유리하며, 또 무리하게 구부러진 것이 없음으로 차륜의 레일에 대한 마찰 저항도 적기 때문에 자전거 등 발놀림 주행에서도 승객은 숨이 차는 일이 없다.
그러나, 그 반면 이 방식에서는 전륜차축에 대하여 후륜차축도 요동함으로서 그 후륜차축에 동력이 전달하기 위하여는 극히 복잡한 구동력 전달기구를 필요로하며, 유희승물로서는 적당하지 못하며, 특히 발놀림식의 승물의 경우 페달 장치와 큰 스프로켓에서 체인을 통하여 후륜차축의 적은 스프로켓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그 양 스프로켓은 체인이 꼬여 풀어지지 않도록 항상 일직선상에 위치시켜둠이 필요하며, 통상은 후류차축을 요동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 이런류의 유희용 궤도주행 승물에 있어서의 주행 궤도는 평탄한 코스만으로는 단순한 흥미이어서 기복이 있는 궤도 설계로서 산이나 골짜기나 이들과 연속된 기복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하강시의 타력주행을 하게 하기 위하여 승물을 높은 곳까지 올리는 구동부를 형성하여 코스를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궤도를 주행하는 승물에 있어서는 통상 승객 스스로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승객 자신의 판단으로 브레이크 장치를 조작하여 속도의 조정, 정지를 하여 주행을 즐겁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하여, 예컨대, 궤도 중간의 내리막 경사부를 타력만으로 혹은 그 타력에 승객의 발놀림 구동등을 가함에 따라 다음 오름 경사부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설계된 구간에서 때때로 승객이 임의로 브레이크를 걸면, 필요한 타력이 얻어지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오름 경사부를 오르지 못하고 곡부(谷部)에서 정지하여 지체 현상 혹은 후속차와의 충돌사고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궤도 중간에서 권상 장치 등에 의하여 차체를 높은 곳으로 끌어 올리거나, 혹은 프랫트홈에의 침입에 있어 시설 관리자가 외부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승물의 소정의 정지 위치까지 유도하거나 하는 구간에 있어서도 승객이 임의로 브레이크를 걸면 이 권상 장치 등의 강제기구의 고장 원인이 된다는 위험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두줄의 레일위를 주행하는 4륜식 승물로서 구성 그 자체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급 커브에서도 안정되고 원활한 주행이 가능할뿐 아니라 특히 유희시설의 발놀림식 3륜차 등에 가장 적합한 궤도주행 승물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의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이 브레이크를 걸어서는 안될 구간에서는 이 승객의 조작으로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도록하여 궤도 중간의 정차, 지체사고나 강제 구동기구의 고장 원인을 초래함이 없이 항상 원활한 운행이 이루어지는 궤도주행 승물을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요]
즉, 본 발명의 궤도주행 승물은 차체 및 이 차체의 전후 좌우에 부착된 합계 4개의 차륜을 보유하며, 이들 4개의 차륜이 서로 떨어져서 배치된 두줄의 레일에 각각 전접(轉接)하며, 이들 차륜의 적어도 한개를 구동륜으로 하고, 또한 나머지를 종동륜으로 하며, 이들 차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에 따라서 주행하는 궤도주행 승물에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차체를 구성하는 틀후레임은 전,후부 후레임 및 이들 전,후부 후레임을 연결하는 멤버로 구성되며, 상기 전부후레임 또는 후부후레임의 어느 한쪽에 이 한쪽의 후레임의 좌우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에 전접하는 차륜을 마련하며, 이들 차륜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틀후레임에 탄승객의 인력 또는 이 틀후레임에 탑재한 동력기 등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륜으로 하며, 상기 전부후레임 또는 후부후레임중의 상기 구동륜을 지탱한 후레임의 중간부에 종축을 마련하며, 이 종축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요동후레임의 일단을 축받이하며, 이 요동후레임의 상기 종축과의 축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며, 이 요동후레임의 타단을 상기 구동륜쪽의 후레임과 반대측의 전부후레임 또는 후부후레임쪽에 연장하며, 이 요동후레임의 타단부에 종동륜 지탱후레임의 중간부를 수평 및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종동륜 지탱후레임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레일에 전접되는 종동륜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구동륜측은 차체를 후레임에 대하여 요동하지 않는 정위치에 있어 동력 전달을 충실히 하며, 또 종동륜축은 요동후레임의 요동과 그 선단에 착지된 종동륜 지지후레임 자체의 회동 동작 등에 의하여 좌,우종동륜이 차체에 대해 좌우로 향함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궤도주행 승물에 있어서는 궤도 중간의 브레이크를 걸어서는 안되는 통행구간이 시단부에 형성한 독그(DOg)에 이르며, 브레이크 장치가 듣지 않으며, 또한 통행구간의 종단부에 마련한 독그에 이르러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정상으로 복귀하는 브레이크 절환기구를 갖춤으로서 궤도상을 주행하는 상기 승물 상호의 원활한 운행을 도모하게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궤도주행용 승물로서는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2인승용 발놀림식 4륜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수동등 승객이 신체를 움직이게 함으로서 주행구동 가능한 승물, 또 동력기를 탑재한 자동식 승물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며, 또 4륜차로서 구동륜은 차체의 전후 어느 축에 설정하여도 무방하나 이 경우 요동후레임이나 종동륜 지지후레임 등의 배치는 서로 반대로 함으로서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예]
제1도에 표시한 1은 2개의 레일(둥근 파이프레일)로된 궤도로서 다수의 지주(2')에 의하여 지상에서 비교적 높은 곳으로 지탱됨과 동시에 직선부와 각종 곡선부 및 오름, 내림 경사 등의 기복을 갖는 무단상의 코스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3은 프랫트홈이며 궤도(1)위에는 제2도시와 같이 2인의 승객 4명이 좌우로 나란히 탈 수 있는 4륜차(5)가 놓여져 있다.
이 4륜차(5)의 구성은 제3도-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차체(6)은 환강판(丸綱管) 혹은 각강관 등으로된 전,후부 후레임(6A),(6B)와 좌우 후레임(6C),(6D) 등을 용접하여 4변형상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차체(6)의 상기 후부후레임(6B)에는 그 축단쪽 하면에 각기 한쌍을 이룬 브라켓트(7)가 돌설되며, 이들 브라켓트(7)의 각 하단에 형설된 축받이(8)를 통하여 회전자재로 지지된 후륜차축(9)에 후륜(10)이 부착되어 있다.
11은 차체(6) 하면측의 중앙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요동후레임이고, 이 후레임(11)의 후단 입상부(11a)는 후부후레임(6B)의 중간부에 형성한 종축(12)에 착설되어, 이에 따라 상기 요동후레임(11)은 이 종축(12)을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요동후레임(11)의 전단부는 전류 지지후레임(13)의 중간부에 관통한 회전자재한 요동축(13')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전류 지지후레임(13)의 자신은 상기 요동축(1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후레임(13)의 단부 내측쪽으로 후륜(10)과 같이 브라켓트 및 축받이(도시없음)을 통하여 전륜(14)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후레임(11)은 그 전단부의 내측쪽의 상면부에 접동 받침구(15)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받침구(15)에 대향한 차체(6)의 전부후레임(6A)의 하면에는 U형 브라켓트(16)가 돌설되어 이 브라켓트(16)의 하면에 옆길이의 접동판(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동판(17)을 요동후레임(11)의 상기 접동 받침구(15) 위에 접동 가능하게 재치함으로서 차체(6)는 소정 높이로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차체(6)의 후부후레임(6B)의 좌우 양단부터는 지지간(18)이 각각 수직 설치되며, 그 하단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출된 지지판(19)이 고정되고, 각 지지판(19)의 전후단부 하측에 후륜 안내로울러(20)가 회전자재로 축받이 되며, 레일(2)의 외측면에 전동(轉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차체의 전륜 지지후레임(13)의 좌우 양단에도 지지간(21)이 수직 설치되고, 그 각 하단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출한 지지판(22)가 고정되어 이 판의 전후단부 하측에 상기 후륜 안내로울러(20)와 같이 레일(2)의 외측면에 전동하는 전륜 안내로울러(23)가 회전자재로 축받이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판(19) 및 (22)의 각 중간부 하측에는 레일(2)의 하측면에 보이도록 돌출한 차륜 부상방지판(24)이 부착되어 있다. 차체(6)에 있어서의 좌,우 후레임(6C),(6D)의 중간부에는 상측으로 약간 뒤로 기울어진 새들(Saddle) 받침통(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새들 받침통(25)에는 새들 지지간(26)이 끼워져, 조정기구(27)에 의하여 상,하 높이가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새들 지지간(26)의 선단에는 새들(28)이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새들 지지간(26)의 상단부 후면에는 대체로 ㄴ자상의 지지파이프(29)가 돌설되어 있고, 이 지지파이프(29)의 상단부에는 상기 새들(28)의 상방부를 U자상으로 둘러싼 안전 후레임(30)이 부착됨과 동시에, 이 후레임(30)의 후부 내측에는 동판(3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안전 후레임(30)의 양측 전단부에는 제3도의 가상선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승객의 복부를 누르기 위하여 걸렸다 떨어졌다 가능한 한쌍의 안전밴드(32)가 부착되어 있다.
차체(6)의 좌우 후레임(6C),(6D)의 각 전단부에는 상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의 핸들 받침통(33)이 입설되고 각 핸들 받침통(33)에는 핸들 지지간(34)이 끼워지고, 파이프 멈춤구(35)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핸들 지지간(34)의 상단에는 핸들(36)이 부착되어 있다.
또, 37은 상기 핸들(36)의 우측 파수부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이다.
도시중 38은 차체 진행방향 우측에 평면 형상으로 돌출한 휀스(Fence)이고, 전단은 핸들 지지간(34)에 후방 하단은 우측후레임(6C)의 후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도시의 39,40은 차체의 전,후 후레임(6A),(6B)에 돌설된 범퍼로서 앞측 범퍼의상측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41은 승객의 휴대품 등을 수납하는 보관고이다.
다음에 발밟기 조작에 의하여 차체를 주행 구동시키기 위한 페달 장치로서는 새들 30의 직하방 즉, 좌,우 후레임(6C),(6D)의 중간부에 각각 관설된 크랭크축(42)와 이 축의 우측부에 형설한 큰 스프로켓기어(43)과 같이 상기 크랭크축(42)의 양단에 형설한 좌,우 크랭크(44),(45) 및 페달(46),(47) 등을 구비하며, 상기 큰 스프로켓기어(43)의 회전을 체인(48)을 통하여 연동하는 적은 스프로켓기어(49)가 상기 후륜차축(9)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50은 상기 큰 스프로켓기어(43)와 체인(48)의 전반부 등을 씨울 체인 카버이다.
또 차체(6)은 하측에는 좌,우 후레임(6C),(6D)에서 늘어진 매다는 지지간(51),(52)에 의하여 상판(53)이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페달(46),(47)의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그들의 하측을 씌워질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으며, 또 상판 중앙부의 전후방향에는 상기 요동후레임(11)의 요동에 지장이 없도록 단면상의 용출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로서는, 제5도시와 같이 후륜차축(9)의 각 내단에 후부후레임(6B)에서 늘어진 브라켓트(54)를 통하여 밴드 브레이크(55) 즉 드럼을 브레이크 슈로 조여줌으로서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36)에 형성한 상기 브레이크 레버(37)의 조작에 의하여 인장 와이어(56)를 통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요동후레임(11)의 전단부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후레임(11)을 협지할 양측에 권상용 훅크(57) 및 역주방지용 훅크(58)가 회동자재로 축받이 되어 있다. 이들 훅크는 그 자중으로 회동하고, 축지점의 후단측은 하강하여 하방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전단측은 상기 후레임(9)에 형성된 스톱퍼(59) 및 (60)에 당접함에 따라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훅크(57),(58)의 후단부가 제2도 및 제5도시와 같이 오름 경사구간의 레일(2) 사이를 따라 배설된 권상 체인(61) 및 역주방지용 핀랙크(62)에 각각 끼워져 차체의 인상 및 역주방지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된 4륜차는 4변형상을 이룬 차체(6)의 후부후레임(6B)에 형성된 종축(12)을 지점으로 좌우로 요동하는 요동후레임(11)과 이 후레임(11) 위에 접동 가능하게 재치 지지된 차체(6)의 전부 후레임(6A)와 같은 상기 요동후레임(11)에 형성된 요동축(13')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자재로 지지된 전륜지지후레임(13) 등을 갖는 구조에 의하여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가 레일(2)의 커브에 이르면 차체(6)의 하측에서 일어나는 요동후레임(11)의 요동과 동시에, 전륜 지지후레임(13) 및 전륜(14)이 레일을 따라 회동하는 것에 대하여 후부후레임(6B)측에 부착된 좌,우 후륜(10)의 차체 후레임에 대한 위치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체 후레임 자체는 커브의 진행방향에 대해 외레일측에 밀린 상태로 요동후레임(11) 및 전륜 지지후레임의 안내로 커브를 탈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당한 급 커브에 있어서도, 전후륜(10),(14) 및 안내로울러(20),(23)가 레일(2)에서 탈륜하거나 과대한 접동 저항을 받는 사례가 없으며, 원활하고 경쾌하며 안전한 곡선주행을 시킬 수 있다. 또 후륜차축(9)은 차체 후레임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관계를 유지함으로서 페달에서 체인(48)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후륜(10)으로의 구동 전달도 복잡한 전달기구를 요함이 없이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장치로서의 구성도 간소하여 중량의 경감도 도모하게 된다.
또 상기 4륜차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 커브의 주행도 가능함으로 유원지 등의 부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한 변화에 풍부한 궤도 조절이 가능하고도 또 2줄 레일을 채용함으로서 궤도 위에 여러 가지 기복이나 캔트(Cant)를 형설하는 등 스카이 사이크링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또 전륜 지지후레임(13)의 중간부에 지지된 요동후레임(11)의 전단부는 제6도시와 같이 차체의 주행궤도가 직선, 곡선부의 어느것에 있어서도 항상 레일(2),(2) 사이의 대체로 중심선상을 통과하게 되나, 이 전달부의 요동후레임(11)을 협지하는 양측 대향 위치에 권상용 훅크(57) 및 역주방지용 훅크(58)를 형성함에 따라, 오름 경사구간의 레일(2),(2) 사이에 형성한 권상체인(61) 및 역주방지 핀랙크(62)의 위치 결정은 용이하며, 또 양자의 계합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7도-제13도는 상기 4륜차에 형성한 브레이크 절환기구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먼저 그 일예를 제7도-제11도에 의거 설명하면,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차체(6)의 후부후레임(6B)에서 수직으로 떨어진 지지간(18)의 하단에 고정판(63)을 형성하고, 이 고정판(63)에는 이 판에 각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서로 평행 간격을 두고 연출한 캠축(64) 및 링크축(65)이 돌설되어 있으며, 모두 후륜(10)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축(64)에는 회전 스리브(66)을 통하여 3개의 십자캠(67A),(68B),(67C)이 각각 동축 일체로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축(65)에는 한쌍의 링크(68A),(68B)가 각각 별개로 회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십자캠중 양단에 한쌍의 링크(68A),(68B)는 같은 크기 같은 형으로 서로 45°위상에 있으며, 이들 각 캠이 갖는 돌기부(67Aa)… 및 (67Ca)…중 각기 직하방에 향한 상태의 돌기부가 제7도의 도시와 같이 레일(2)(2) 사이에 형성된 독그(69) 및 (70)에 닿으므로써 타축(打蹴)이 되어 45°씩 회전시키게 된다.
중간 십자캠(67B)에 대하여는 그 돌기부(67Ba)는 다른 십자캠의 돌기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방향은 상기 일단측의 십자캠(67A)과 동 위상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중간의 십자캠(67B)에는 그 일부에 직경방향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에는 강구(71)가 인덱스 스피링(72) 및 멈춤나사(73)를 통하여 끼워져 있고, 이 강구(71)는 캠축(64)의 외면 둘레방향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凹부(64A)…에 상기 스프링(72)의 미는 힘에 의하여 끼워지고, 십자캠(67A),(68B),(67C)의 회전을 일회에 45°씩 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링크(68A),(68B)는 링크축(65)에서 상측으로 돌출한 봉상의 것으로, 그 일측의 링크(68A)는 앞쪽으로 넘어지는 듯이 회동함으로서 상기 중간의 십자캠(67B)에 닿도록 이 캠(67B)과 대향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타측방의 링크(68B)는 회동해도 닿는 것이 없다.
또, 이 양 링크(68A),(68B)는 그 상단 편측부에 있어서 서로 스프링(74)에 의하여 둘러쌓인 것처럼 조여 묶여져 있다.
평상시에는 제3도시와 같이 서로 얹혀진 상태로 붙어 있음과 동시에, 복귀용 스프링(75)에 의하여 항상 후방으로 담겨져 있다.
그리고, 이 일측방의 링크(68A)의 상단에는 상기한 밴드 브레이크(55)에 일단을 접속할 인장 와이어(56A)의 타단이 연결되며, 타측방의 링크(68B)의 상단에는 상술한 브레이크 레버(37)가 유도하는 인장 와이어(56)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들 각 와이어(56A),(56B)는 튜브(76A),(76B)내로 통하여 있어 이들 튜브(76A),(76B) 단부는 상기 링크축(65)에 일단을 고정하여 돌설한 브라켓트(77),(78)에 고착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복귀용 스프링(75)의 단부로 브라켓트(77)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캠식 브레이크 절환기구를 형성한 4륜차(5)에서는 평상시는 제8도의 상태에 있고, 여기서 승객이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 레버측 인장 와이어(56)를 당기면, 그 인장력에 의하여 복귀용 스프링(75)에 저항하여 타측방의 링크(68B)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듯이 회동되고, 여기에 스프링(74)의 작용으로 추종하도록 일측방의 링크(68A)도 제11a도와 같이 함께 회동하여 밴드 브레이크(55)측의 인장 와이어 (56A)를 당긴다.
따라서, 밴드 브레이크(55)는 정상적으로 후륜차축(9)에 제동작용을 동작한다.
한편, 4륜차(5)는 궤도의 내림 경사와 오름 경사 등이 연속하고 있어 브레이크를 걸어서는 안되는 통행구간에 이르면, 그 구간의 시단부에 형성한 독그(70)에 일단측의 십자캠(67A)의 돌기부(67Aa)가 닿고, 이것으로 3개의 십자캠(67A),(68B),(67C)이 일체로 45°만 회전하여 제11a도의 상태에서 동도면(B)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가령 승객(4)이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걸고져 할 경우, 레버측 인장 와이어(56)가 인장되는 것으로, 타측방의 링크(68B)가 전회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스프링(74)에 의하여 일측방의 링크(68A)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나, 그 일측방의 링크(68A)의 중간의 십자캠(68B)의 돌기부(67Ba)에 제11b도에서와 같이 당접되어 그 이상 전방으로 회동하지 않음으로서, 브레이크축 인장 와이어(56A)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밴드 브레이크(55)는 제동작용의 동작을 하지 않는다.
즉, 상기 구간에 들어가면 브레이크가 일체 듣지 않게 된다. 이것으로 4륜차(5)는 내림 경사부를 브레이크 없이 강하하여 충분한 타력을 얻어 다음의 오름 경사부를 단숨에 오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간의 종단부 즉, 오름 경사부와 오름 지점에 배치한 독그(69)에 타단측의 십자캠(67C)의 돌기부(67Ca)가 당접함에 따라 3개의 십자캠(67A),(68B),(67C)는 45°회전하여 제11a도의 상태로 복귀하고, 이것으로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37)의 조작으로 정상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타력주행을 필요로 하는 구간 이외에 예컨대 궤도(1)의 높은 곳에 권상체인(61)에 의하여 4륜차(5)를 강제 인상하는 구간에도 상기와 같이 독크(69),(70)를 형성하여 두면, 그 구간의 승객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을 불능하게 할 수 있어, 상기 권상체인(61) 등과 같이 강제적으로 조작하는 권상기구의 고장이나, 과부하방지에 보탬이 되게 된다.
한편, 제7도에서는 차체(6)의 후면 우측만을 도시하고, 좌측 절반의 도시를 생략 하였으나 그 좌측에는 같은 브레이크 절환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 좌우 승객의 각 브레이크 레버(37)에서 도출되는 인장 와이어(56)를 하나로 모으면, 좌우 어느 일방만에 밴드 브레이크(55)와 그 브레이크 절환기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절환기구의 타 실시예를 제12도, 제1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즉, 크럿치 방식으로서 후륜차축(9) 단부에 교합 크럿치(79)를 통하여 브레이크축(80)이 동축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축(80)은 후부후레임(6B)에서 줄어진 브라켓트(81)에 대하여 스리브(82)를 통하여 회전자재로 관통 지지되고 이 브레이크축(80) 타단에는 브라켓트(54)로 지지된 상기의 밴드 브레이크(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브라켓트(81)의 하단부에는 축통(83)이 형성되고, 이 축통(83)에는 그것을 상하로 관통하는 회전축(8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84)의 하단에는 제1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둔각으로 굴곡한 요동판(85)이 부착되어서, 이 요동판(85)의 양단부가 레일(2)측에 형성한 독그(86),(87)에 번갈아 당접하여, 회전축(84)와 일체로 왕복 회동한다.
또, 회전축(84) 상단에는 회동레버(88)가 형성되어, 이 회동레버(88)의 선단에 조작핀(89)이 입설되어 있고, 이 조작핀(89)의 상단이 상기 교합 크럿치(79)의 스라이드판(79')측의 홈(79A)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한편, 회동레버(99)는 그 조작핀(89)과 축통(83)에서 입설된 고정핀(90)과의 사시에 형성한 반전유지 스프링(91)에 의하여 회동위치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크럿치식 브레이크 절환기구를 구비한 4륜차(5)에 있어서는, 평상시는 제12도의 상태로 교합 크럿치(79)가 ON하고 있어 후륜차축(9)에 대해 브레이크(80)은 일체로 회전하는 연동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주행중에 승객(4)이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 인장 와이어(56)을 당기면, 밴드 브레이크(55)의 작용으로 브레이크축(80) 및 교합 크럿치(76)을 통하여 후륜차축(9)에 정상적인 제동작용이 동작한다.
한편, 4륜차(5)가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를 걸어서는 아니되는 구간에 오면, 그 시단부의 독그(86)에 요동판(85)의 일단측부가 당접되어 회동하고, 이와 일체로 회전축(84)을 통하여 회동레버(88)가 회동하고, 조작핀(89)을 제13도 가상선에서 표시한 위치에 이동시킨다.
이 조작핀(89)의 이동으로 교합 크럿치(79)의 홈(79A)을 갖는 스라이드핀(79')가 브레이크축(80)을 따라 이동하여 교합이 풀린다.
이로서, 크럿치(79)는 OFF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가령 승객이 수동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걸고져 할 때, 인장 와이어(56)가 당겨지는 것으로 밴드 브레이크(55)가 브레이크축(80)의 회전을 멈추도록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교합 크럿치(79)는 OFF 상태에 있음으로서 후륜차축(9)의 회전에는 하동 제동력이 미치지 않으며, 4륜차(5)는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상태에서 주행해 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간의 종단부의 독그(87)에 요동판(85)의 타단측부는 당접하여 회전축(84)과 동시에 회동레버(88)가 앞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조작핀(89)이 제12도 실선 표시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교합 크럿치(79)는 제12도 표시의 ON 상태가 되고,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37)의 조작으로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고, 상술한 캠식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2줄의 레일위를 주행하는 4륜차 승물이면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또 급 커브에서도 안정되고 경쾌하게 주행해 갈 수 있는, 특히 유희시설의 발밟는 자전거에 가장 적합한 승물이 된다.
또 궤도 중간의 승객이 브레이크를 걸어서는 아니되는 구간에서는 이 승객의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가 듣지 않게 되며, 그 구간을 지나면 정상적인 브레이크 작용을 할 수가 있게 되며, 궤도 중간에서의 정차, 체류, 사고나 강제 구동기구의 고장원인을 초래함이 없이 항상 원활한 운행이 도모된다.

Claims (8)

  1. 차체 및 이 차체의 전후 좌우에 부착된 합계 4개의 차륜을 보유하며, 이들 4개의 차륜이 서로 떨어져서 배치된 두줄의 레일(2)(2)에 각각 전접하며, 이 차륜의 적어도 한개를 후륜(10)으로 하고, 나머지를 전륜(14)으로 하며, 이들 차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에 따라 주행하는 궤도주행 승물에 있어서, 상기 차체를 구성하는 전부후레임(6A), 후부후레임(6B) 및 이들 전,후부 후레임(6A),(6B)를 연결하는 좌,우 후레임(6C),(6D)으로 형성되는 차체(6)와 이 차체(6)의 상기 전부후레임(6A) 또는 후부후레임(6B)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며, 이 한쪽의 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레일(2)(2)에 전접하며, 이 차체(6)에 탄 승객의 인력 또는 이 차체(6)에 탑재한 동력기 등의 동력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회전 구동되는 후륜(10),(10)과 상기 차체(6)에 있어서의 전부후레임(6A) 또는 후부후레임(6B)중의 상기 구동륜을 지탱한 후레임의 중간부에 마련된 종축(12)과 전단부 또는 후단부의 어느 것이든 일단부가 상기 종축(12)에 회동 가능하게 추착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출하며, 상기 종축과의 추착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탱된 요동후레임(11)과 이 요동후레임(11)의 타단부에 그 중간부가 수평 및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전륜 지지후레임(13)과 이 전륜 지지후레임(13)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어 각각 상기 레일(2),(2)에 전접되는 전륜(14),(14)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후레임(11)의 타단부 근방에 상기 차체(6)에 있어서의 전부후레임(6A) 또는 후부후레임(6B)중의 다른쪽의 후레임을 지탱하고 또한 이 요동후레임(11)이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지기구인 접동 받침구(15), U형 브라켓트(16) 및 접동판(17)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 요동후레임(11)의 타단부 근방의 상면과 상기 다른쪽의 후레임의 하면에 형성한 접동 받침구(15) 및 접동판(17)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후레임(11)의 타단부 근방에 권상용 훅크(57)를 마련하며, 이 권상용 훅크(57)는 궤도의 올라가는 구간에서의 레일(2),(2) 사이에 부설한 권상체인(61)에 걸어 맞추어서 이 올라가는 구간을 강제적으로 인상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후레임(11)의 타단부 근방에 역주방지용 훅크(58)를 마련하며, 이 역주방지용 훅크(58)는 궤도의 올라가는 구간에서의 레일 사이에 부설한 역주방지용 핀랙크(62)에 걸어 맞추어서 이 올라가는 구간에서 역주가 방지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6)에 승객의 조작에 의해 후륜(10)의 제동을 하는 브레이크 장치인 브레이크 레버(37), 밴드 브레이크(55) 및 인장 와이어(56)를 마련하며, 이 브레이크 장치에는 궤도(1)의 브레이크 금지구간의 시단부에 위치하는 레일(2),(2) 사이에 돌설한 독그(69)와의 충돌에 의해 승객이 브레이크 조작을 하여도 제동이 듣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궤도의 브레이크 금지구간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레일(2),(2) 사이에 돌설한 독그(70)와의 충돌에 의해 제동작용을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는 브레이크 절환기구인 십자캠(67A),(67B),(67C), 링크(68A),(68B) 및 교합 크럿치(79)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승객이 조작 가능한 브레이크 레버(37)와 구동륜의 제동을 하는 밴드 브레이크(55)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37)의 작동을 밴드 브레이크(55)에 전달하는 인장 와이어(56)와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절환기구는 궤도의 브레이크 금지구간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독그(69),(70)에 충돌함으로써 회동되는 십자캠(67A)(67B)과 상기 인장 와이어(56)의 도중에 마련되어 이 십자캠(67A)이 시단부의 독그(69)에 부딪쳐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여도 밴드 브레이크(55)의 제동이 불능으로 되며, 이 십자캠(67B)이 종단부의 독그(70)에 부딪쳐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레버(37)를 조작하면 밴드 브레이크(55)의 제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복귀되는 연결수단인 권상용 훅크(57), 한쌍의 링크(68A),(68B)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절환기구는 브레이크 장치인 브레이크 레버(37), 밴드 브레이크(55) 및 인장 와이어(56)와 후륜(10)과의 사이에 마련한 교합 크럿치(79)와 궤도의 브레이크 금지구간의 시단부 및 종단부에 마련한 독그(86),(87)에 충돌하여 회동 됨으로써 상기 교합 크럿치(79)의 연결 및 절단을 바꾸는 요동판(8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주행 승물.
KR1019840000904A 1984-02-24 1984-02-24 궤도주행 승물 KR91000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904A KR910000125B1 (ko) 1984-02-24 1984-02-24 궤도주행 승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0904A KR910000125B1 (ko) 1984-02-24 1984-02-24 궤도주행 승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782A KR850005782A (ko) 1985-09-26
KR910000125B1 true KR910000125B1 (ko) 1991-01-21

Family

ID=1923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904A KR910000125B1 (ko) 1984-02-24 1984-02-24 궤도주행 승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658B2 (en) 2005-10-18 2011-01-04 Soo Haeng Lee Human powered rail bik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24B1 (ko) * 2010-06-16 2010-10-19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유원시설용 궤도형 승마 놀이기구
KR100987925B1 (ko) * 2010-06-21 2010-10-18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1658B2 (en) 2005-10-18 2011-01-04 Soo Haeng Lee Human powered rail b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782A (ko) 198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4425A (en) Cable skydiving
US3913929A (en) Low center of gravity cycle
CA2032085A1 (en) Exercise treadmill
US4548136A (en) Track-traveling four-wheel vehicle
US4750737A (en) Bicycl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KR910000125B1 (ko) 궤도주행 승물
US4335658A (en) Downhill slide system
US8156873B1 (en) Rail bike
US20040231553A1 (en) Amusement device
US4271762A (en) Pleasure vehicle and a transport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US4533152A (en) Automatic variable speed lever action drive
CN218740173U (zh) 增强亲子互动的户外无动力过山车系统
JPS6310374Y2 (ko)
KR200377562Y1 (ko) 모노레일바이크
JPH0440710Y2 (ko)
JPH0211105Y2 (ko)
DE19923235A1 (de) Belustigungsvorrichtung; Drachenflieger geführt an verschiedenen Aufhängungen
KR200239837Y1 (ko) 핸들과 발판으로 움직이는 승마.
KR102517846B1 (ko) 직선형 및 곡선형 혼합 구조의 연속빌레이 시스템
JPS6319382B2 (ko)
CA1221392A (en) Track-traveling four-wheel vehicle
JP2567181B2 (ja) 軌道走行乗物の逆走防止装置
JPS5934542Y2 (ja) 軌条走行自転車
CN106494543A (zh) 平面运动休闲自行车
JPH03364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