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109B1 - 순환형 코스터 - Google Patents

순환형 코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109B1
KR102476109B1 KR1020220050803A KR20220050803A KR102476109B1 KR 102476109 B1 KR102476109 B1 KR 102476109B1 KR 1020220050803 A KR1020220050803 A KR 1020220050803A KR 20220050803 A KR20220050803 A KR 20220050803A KR 102476109 B1 KR102476109 B1 KR 10247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traveling rail
traveling
rai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길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승환 filed Critical 길승환
Priority to KR102022005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형 코스터에 관한 것으로,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과 보조 주행 레일을 따라 카트가 주행하도록 하고, 카트를 주행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복수개의 이탈방지 회전체가 주행 레일 및 보조 주행 레일에 각각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행 레일에 대한 카트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직선코스 뿐만 아니라 내리막 경사코스와, 오르막 경사코스와, 내리막 경사 곡선 코스와, 오르막 경사 곡선 코스 등의 기본이 있는 코스에서도 안정적으로 자력 주행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는,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조 주행 레일부; 및 상기 주행 레일부와 보조 주행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며, 카트를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순환형 코스터{COASTER FOR CIRCULATION TYPE}
본 발명은 순환형 코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코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사지형의 기복 상태에서도 자력으로 주행이 가능한 순환형 코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늘어나면서 과거에 비교해 자연스럽게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현대인의 여가생활이 보다 중요해지면서 놀이문화의 중요성도 그 만큼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 놀이문화 중 탑승도구를 매개체로 하여 속도감 및 스릴 등의 유희를 만끽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그 탑승도구로서 레일 및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전동카트를 포함하는 코스터가 있다.
구체적으로, 코스터는 크게 출발지점부터 도착지점까지 설치되는 주행레일, 주행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동력원을 포함하는 주행부, 주행부의 동력으로 주행레일 따라 주행하는 전동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을 통해 주행레일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이에 카트가 산 위에서 산 아래 방향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산 아래에서 산 위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산악지역에 설치되는 주행레일은 경사, 수목, 암벽 등 지형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경사 기복이 있는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수목, 암벽, 바위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인력 및 장비가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주행레일은 탑승자에게 스릴감과 흥미를 주기 위해서도 직선구간과, 곡선 구간 및 회전구간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코스터는 상행시 직선 주행만 가능하고, 기복(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토목작업이나 브릿지를 설치하여 경사진 곳이라도 지면 기복 요철 없이 일정하게 지면 정지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코스터는 주행 레일에 대한 카트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없어, 주행레일을 직선코스로만 설치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주행 레일을 수목의 사이나 바위와 같은 장애물을 피해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수목을 제거하는 등 산림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중장비를 동원해야 함으로, 그 설치가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하며 비용 또한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동카트 시스템은 전륜 방식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구동할 수 없어 탑승자가 느끼는 스릴감과 흥미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동카트 시스템은 주행레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가 단순한 구조로 적용되기 때문에, 카트가 주행레일의 곡선구간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이탈하는 등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행레일에 대한 카트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켜, 카트가 주행레일의 곡선구간을 주행할 경우에도 이탈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02617호(2007. 03. 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과 보조 주행 레일을 따라 카트가 주행하도록 하고, 카트를 주행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복수개의 이탈방지 회전체가 주행 레일 및 보조 주행 레일에 각각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행 레일에 대한 카트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직선코스 뿐만 아니라 내리막 경사코스와, 오르막 경사코스와, 내리막 경사 곡선 코스와, 오르막 경사 곡선 코스 등의 기본이 있는 코스에서도 안정적으로 자력 주행하도록 할 수 있는 순환형 코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주행 레일에 대한 카트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카트가 주행 레일의 곡선형 터닝 구간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터닝을 할 때 탈선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주행 레일을 직선형 구간과 곡선형 터닝 구간 등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수목의 사이로 주행 레일을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산림의 훼손을 최호화 할 수 있는 순환형 코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카트를 후륜 구동방식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카트의 전방 측과 후방측에 작용하는 무게적인 배분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카트의 전방과 후방의 서스펜션 강도를 비슷하게 하면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순환형 코스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는,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조 주행 레일부; 및 상기 주행 레일부와 보조 주행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며, 카트를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카트의 후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보조 주행 레일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되는 한 쌍의 메인 회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경사진 구조로 상기 주행 레일부의 상부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 될 수 있는 한 쌍의 제1 이탈방지 회전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경사진 구조로 상기 주행 레일부의 하부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 될 수 있는 한 쌍의 제2 이탈방지 회전체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 레일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및 상기 주행 레일부와, 카트 및 카트에 탑승한 사용자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서포트를 보호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서포트의 하측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박스; 상기 수용박스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포트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상기 서포트와 수용박스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형지지부; 상기 서포트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이 형성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감쌈부; 상기 서포트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이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3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이 형성된 제4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감쌈부; 상기 수용박스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과, 제3 체결홀 및 제4 체결홀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상기 서포트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유동억제부; 내부에 상기 수용박스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박스 형상의 금속 중량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서포트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상기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튜브; 상기 튜브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금속 중량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서포트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튜브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서포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는, 직선코스 뿐만 아니라 내리막 경사코스와, 오르막 경사코스와, 내리막 경사 곡선 코스와, 오르막 경사 곡선 코스 등의 기본이 있는 코스에서도 안정적으로 자력 주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지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과 보조 주행 레일을 따라 카트가 주행하도록 하고, 카트를 주행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복수개의 이탈방지 회전체가 주행 레일 및 보조 주행 레일에 각각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트를 주행시키기 위한 이동수단과, 복수개의 이탈방지 회전체가 주행 레일 및 보조 주행 레일에 각각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카트가 주행 레일의 곡선형 터닝 구간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터닝을 할 때 탈선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음 물론, 카트가 주행 레일의 회전 구간, 상향 경사 구간, 하향 경사 구간, 곡선 구간, 커브 구간 등을 모두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목의 사이로 주행 레일을 설치할 수 있어 자연 훼손을 최소화 하고 친환경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카트를 후륜 구동방식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카트의 전방 측과 후방측에 작용하는 무게적인 배분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카트의 전방과 후방의 서스펜션 강도를 비슷하게 하면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가 주행 레일부 및 보조 주행 레일부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주행부가 주행 레일부 및 보조 주행 레일부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는,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 및 주행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레일부(10)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카트(C)의 주행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출발 지점과 도착 지점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서포트(40)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레일부(10)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주행 레일부(10)는 출발 지점으로부터 도착 지점까지의 주행 구간 동안 점차 낮은 위치에서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지지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행 레일부(10)는 일정형태로 벤딩 되거나 직선형태를 유지하는 일정길이와 일정 직경을 같는 알루미늄(682모델) 파이프에 벤딩된 형태의 강관이나, 아연도 강관파이프에 벤딩된 형태의 강관으로 제작 될 수 있다.
주행 레일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부 및 곡선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주행 레일부(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주행경로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카트(C)에 탑승하여 주행 레일부(10)의 직선 구간 및 곡선 구간을 주행하는 탑승자에게 스릴감과 흥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출발 지점부터 도착 지점까지 평지, 오르막 경사, 내리막 경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 레일부(10)는 평지와 오르막 경사 및 내리막 경사에 대응되게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즉, 주행 레일부(10)에는 평지 구간과, 오르막 경사 구간 및 내리막 경사구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주행 레일부(10)를 따라 주행하는 카트(C)는 직진 주행, 상승 주행 및 하강 주행을 하게 된다.
한편, 보조 주행 레일부(20)는 주행 레일부(1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되는 주행본체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보조 주행 레일부(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행 레일부(10)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행부(30)는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수단(31) 및 이동수단(31)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32)을 포함하며, 카트(C)를 주행 레일부(10)의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주행부(30)는 케이스(33)와, 베이스부(34)와,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 및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33)는 카트(C)의 후면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케이스(33)는 카트(C)와 별도로 제작되어 커플러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볼트나 용접을 통해 다이렉트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33)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베이스부(34)와, 구동원과, 이동수단(31)과,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 및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33)는 이동수단(31)과,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 및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주행 레일부(10) 및 보조 주행 레일부(20)를 따라 각각 구름이동하도록 그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케이스(33)의 상면에는 카트(C)를 탑승하는 탑승자가 가방과 같은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구조의 보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관홈의 상면에는 카트(C)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소지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물망(미도시)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관홈의 내부 양측벽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리(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물망의 양측을 고리에 각각 걸어 고정하면 카트(C)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소지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34)는 케이스(33)의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베이스부(34)는 동력원(32)과 이동수단(31)과,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 및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동수단(31)은 베이스부(34)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 회전체(311)를 포함한다.
메인 회전체(311)는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회전체(311)는 베이스부(34)를 관통하여 베이스부(34)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회전체의 상측에는 동력원(3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피동풀리(60)가 장착된다.
동력원(32)은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원(32)은 베이스부(34)의 저면에 볼팅결합된다. 동력원(32)의 모터축은 베이스부(34)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모터축에는 구동풀리(50)가 장착된다.
구동풀리(50)와 피동풀리(60)는 하나의 밸트(70)를 통해 연결된다.
밸트(70)는 구동풀리(50)와 피동풀리(60)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어, 메인 회전체(311)에 연속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밸트(70)는 일정영역이 텐션롤러(100)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가압될 수 있다.
텐션롤러(100)는 베이스부(34)의 상면에 축 고정된다. 따라서, 밸트(70)는 일정한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상태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밸트(70)가 구동풀리(50)와 피동풀리(60)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됨으로, 동력원(32)의 동력이 메인 회전체(311)에 전달된다.
따라서, 메인 회전체(311)는 동력원(3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자리 회전되어 보조 주행 레일부(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구름이동된다. 결국, 카트(C)가 탑승자를 싣은 상태에서 주행 레일부(10)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메인 회전체(311)는 보조 주행 레일부(20)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이동하기 때문에 주행 레일부(10)의 곡선구간을 통과할 때, 카트(C)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주행 레일부(10)나 보조 주행 레일부(20)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는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34)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34)의 저면에는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가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80)이 형성된다.
브라켓(8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베이스부(34)의 저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80)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들은 브라켓(80)에 각각 축을 통해 결합되었을 때, 그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이지는 경사각을 갖는다.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는 각각 주행 레일부(10)의 상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메인 회전체(311)가 동력원(32)의 동력으로 보조 주행 레일부(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는 주행 레일부(10)의 상부 일측면과 타측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게 된다.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는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34)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베이스부(34)의 저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결합되는 설치바(90)가 각각 형성된다.
설치바(9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베이스부(34)의 저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설치바(9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들은 설치바(90)에 각각 축을 통해 결합되었을 때, 그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는 경사각을 갖는다.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는 각각 주행 레일부(10)의 하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메인 회전체(311)가 동력원(32)의 동력으로 보조 주행 레일부(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는 주행 레일부(10)의 하부 일측면과 타측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는 메인 회전체(311)가 보조 주행 레일부(20)의 일측과 타측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구름이동되고,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가 주행 레일부(10)의 상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구름이동되며,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주행 레일부(10)의 하부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구름이동되는 구조로써, 메인 회전체(311)와,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 및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고루게 분포된 상태로 주행 레일부(10) 및 보조 주행 레일부(20)에 각각 접촉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카트(C)가 주행 레일부(10) 및 보조 주행 레일부(20)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카트(C)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주행 레일부(10)나 보조 주행 레일부(20)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주행부(30)가 카트(C)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륜 구동방식으로 카트(C)를 주행시킬 수 있는바, 카트(C)의 전방 측과 후방측에 작용하는 무게적인 배분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카트(C)의 전방과 후방의 서스펜션 강도를 비슷하게 하면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곡선구간을 통해 코너링 시에는 코너링 성능을 우수하게 하여 카트(C)가 주행레일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탈방지 회전체(35)가 경사진 구조로 주행 레일부(10)의 상부에 접촉되며, 제2 이탈방지 회전체(36)가 경사진 구조로 주행 레일부(10)의 하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동부가 주행 레일부(10) 및 보조 주행 레일부(20)에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카트(C)가 주행 레일부(10)의 직진 구간, 곡선 구간, 오르막 경사구간 및 내리막 경사구간 등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착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보강부(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형 코스터에 적용된 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와, 주행부(30)와, 카트(C)와, 탑승자 등의 하중은 서포트(40)의 하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와, 주행부(30), 카트(C),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포트(40)를 보강해줄 필요가 있다.
보강부(110)는 서포트(40)를 보강하기 위해 수용박스(111)와, 파형지지부(112)와, 제1 감쌈부(113)와, 제2 감쌈부(114)와, 유동억제부(115)와, 금속 중량부(116)와, 측정부(117)와, 지지판(118)과, 튜브(119)와, 하우징(120) 및 펌프(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지면에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박스(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서포트(40)의 하측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파형지지부(112)는 수용박스(111)의 수용공간에 각각 수용되고, 서포트(40)의 전,후,좌,우 방향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서포트(40)의 전,후,좌,우측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측과 하측이 서포트(40)와 수용박스(111)에 각각 경사진 구조로 결합된다.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40)를 완충지지하도록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형지지부(112)는 서포트(40)의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서포트(40)가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와, 주행부(30)와, 카트(C)와, 탑승자 등의 하중이나, 지진, 기타 각종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감쌈부(113)는 서포트(40)의 좌측면에 접촉되고, 제1 체결홀(1131a)이 형성된 제1 부재(1131) 및 제1 부재(113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40)의 전면과 후면의 1/2영역에 접촉되며, 제2 체결홀(1132a)이 형성된 제2 부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쌈부(114)는 서포트(40)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제3 체결홀(1141a)이 형성된 제3 부재(1141) 및 제3 부재(1141)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서포트(40)의 전면과 후면의 나머지 1/2영역에 접촉되며, 제4 체결홀(1142a)이 형성된 제4 부재(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억제부(115)는 수용박스(111)의 외부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1131a)과, 제2 체결홀(1132a)과, 제3 체결홀(1141a) 및 제4 체결홀(1142a)에 각각 체결되며 그 끝단이 서포트(40)를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서포트(40)의 유동을 억제하여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와, 주행부(30)와, 카트(C) 및 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유동억제부(115)로 서포트(40)를 고정한 다음에는 수용박스(111)를 금속 중량부(116)의 내부공간에 수용한다.
금속 중량부(11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의 수용공간에는 수용박스(111)가 수용된다.
금속 중량부(116)는 서포트(4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려고 할 때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무게는 약 50kg~200kg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중량부(116)는 자체적으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서포트(40)의 유동도 억제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4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포트(4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측정부(117)는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 측정기나, 기타 마주하는 사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기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18)은 서포트(4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튜브(119)는 서포트(40)의 전면과, 후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측에 지지판(118)이 각각 결합된다.
튜브(119)의 내부공간에는 약 80%~90%의 물이 채워져 있다.
튜브(119)는 물이 채워질수록 점진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9)는 대략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튜브(119)가 각각 수용된다.
하우징(120)은 금속 중량부(116)의 상면에 고정되어 튜브(119)의 유동을 방지한다.
펌프(121)는 별도의 물저장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튜브(119)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측정부(117)는 서포트(40)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한 서포트(4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전송한다.
제어부는 측정부(117)에서 신호가 전송될 경우, 펌프(121)를 작동시켜 튜브(119)의 내부에 약 20% ~ 10%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튜브(119)를 팽창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측정부(117)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을 경우, 관리자용 휴대 단말기, 관리자 PC에 서포트(40)의 이상 사실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튜브(119)가 팽창되면 지지판(118)이 서포트(40)에 밀착되어 지지하게 된다.
지지판(118)이 서포트(40)를 지지하고, 튜브(119)가 일정 중량 상태에서 지지판(118)을 지지함으로, 서포트(4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진의 영향이 작용하더라도, 서포트(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119)에 채워지는 물의 양은 주행 레일부(10)와, 보조 주행 레일부(20)와, 주행부(30)와, 카트(C)와, 탑승자의 크기나 무게에 대응되게 상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원을 인가 받아 작동되는 히팅선 또는 히팅코일로 형성되는 보온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20)의 외면 또는 내면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측정기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으로 적용되어,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을 시,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온도측정기는 전술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측정기는 기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는 온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온도를 전송 받고, 만약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예를 들어, 얼음이 어는 온도인 0℃일 경우, 보온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튜브(119)의 내부에 채워진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측정기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1 ℃ 이상일 경우, 보온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은 주행 레일부(10)(10)의 직선구간(10a) 및 곡선구간(10b)을 모두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부(30)재(32b)가 곡선구간(10b)에 의해 방향전환을 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될 때, 주행부(30)(30)가 주행 레일부(10)(10) 및 주행가이드(20b)에서 이탈되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행 레일부 20 : 보조 주행 레일부
30 : 주행부 31 : 이동수단
311 : 메인 회전체 311a : 회전축
32 : 동력원 33 : 케이스
34 : 베이스부 35 : 제1 이탈방지 회전체
36 : 제2 이탈방지 회전체 40 : 서포트
50 : 구동풀리 60 : 피동풀리
70 : 밸트 80 : 브라켓
90 : 설치바 100 : 텐션롤러
110 : 보강부 111 : 수용박스
112 : 파형지지부 113 : 제1 감쌈부
1131 : 제1 부재 1131a : 제1 체결홀
1132 : 제2 부재 1132a : 제2 체결홀
114 : 제2 감쌈부 1141 : 제3 부재
1141a : 제3 체결홀 1142 : 제4 부재
1142a : 제4 체결홀 115 : 유동억제부
116 : 금속 중량부 117 : 측정부
118 : 지지판 119 : 튜브
120 : 하우징 121 : 펌프

Claims (3)

  1. 주행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레일부;
    상기 주행 레일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조 주행 레일부; 및
    상기 주행 레일부와 보조 주행 레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을 포함하며, 카트를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카트의 후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경사진 구조로 상기 주행 레일부의 상부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 될 수 있는 한 쌍의 제1 이탈방지 회전체;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설치바;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경사진 구조로 상기 주행 레일부의 하부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 될 수 있는 한 쌍의 제2 이탈방지 회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상기 보조 주행 레일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따라 각각 구름이동되는 한 쌍의 메인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회전체는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피동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동력원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결합되되, 상기 동력원의 모터축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동력원의 모터축에는 구동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는 하나의 밸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밸트는 상기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메인 회전체에 연속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밸트는 그 일정영역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축 고정되는 텐션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는 상기 제1 이탈방지 회전체가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베이스부의 저면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순환형 코스터.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0803A 2022-04-25 2022-04-25 순환형 코스터 KR10247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03A KR102476109B1 (ko) 2022-04-25 2022-04-25 순환형 코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803A KR102476109B1 (ko) 2022-04-25 2022-04-25 순환형 코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109B1 true KR102476109B1 (ko) 2022-12-09

Family

ID=8444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803A KR102476109B1 (ko) 2022-04-25 2022-04-25 순환형 코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42B1 (ko) * 2022-11-14 2023-05-26 길승환 이탈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시스템
KR102534843B1 (ko) * 2022-11-14 2023-05-26 길승환 에코라이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17B1 (ko)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US20110017092A1 (en) * 2009-07-23 2011-01-27 Maurer Soehne Gmbh & Co. Kg Coaster
KR200453068Y1 (ko) * 2010-08-16 2011-04-05 (주)공간예술 레일을 이용한 활주 레포츠 장치
KR101346433B1 (ko) *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KR102101515B1 (ko) * 2019-12-07 2020-04-17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레일용 트롤리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KR102248542B1 (ko) * 2020-12-02 2021-05-06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레일 바이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17B1 (ko)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US20110017092A1 (en) * 2009-07-23 2011-01-27 Maurer Soehne Gmbh & Co. Kg Coaster
KR200453068Y1 (ko) * 2010-08-16 2011-04-05 (주)공간예술 레일을 이용한 활주 레포츠 장치
KR101346433B1 (ko) *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KR102101515B1 (ko) * 2019-12-07 2020-04-17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레일용 트롤리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KR102248542B1 (ko) * 2020-12-02 2021-05-06 (주)신흥이앤지 익사이팅 레일 바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42B1 (ko) * 2022-11-14 2023-05-26 길승환 이탈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시스템
KR102534843B1 (ko) * 2022-11-14 2023-05-26 길승환 에코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109B1 (ko) 순환형 코스터
US7624684B2 (en) Cable suspended, self leveling tram with self-propelled tractor bogie
US3861315A (en) Universal transportation system based on a cable suspended duo-rail railroad
US3838648A (en) Personal transportation system
ES2309774T3 (es) Vehiculo monorrail.
JP3782798B2 (ja) モノレール装置
KR100765359B1 (ko) 산악용 모노레일시스템
EP0223848A1 (en) Automatic, rail-based transportation system
US3244113A (en) Suspended aerial rail, rapid transit system
US3970300A (en) Recreational facility slide
US3669026A (en) Transportation system
KR101217805B1 (ko) 쌍줄 짚라인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ES2309566T3 (es) Sistema de transporte completamente automatico.
JPH11512360A (ja) 半剛性フィンを利用した輸送システム
US2699199A (en) Aerial lift and passenger chair therefor
KR101161612B1 (ko) 무벌식(無伐式) 자연보호형 모노레일 시공방법 및 이에적합한 작업대차 및 이송대차
CN113085906B (zh) 一种空中自行车及空中娱乐系统
KR102636027B1 (ko) 신축 이음 장치
KR102534842B1 (ko) 이탈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시스템
US2200965A (en) Passenger carriage for ski or like elevated ways
EP3702231A1 (en) String track structure
ZA200100392B (en) Recreational apparatus.
KR102534843B1 (ko) 에코라이더
CN215097545U (zh) 一种空中自行车及空中娱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