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852B1 -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 Google Patents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852B1
KR102533852B1 KR1020220047466A KR20220047466A KR102533852B1 KR 102533852 B1 KR102533852 B1 KR 102533852B1 KR 1020220047466 A KR1020220047466 A KR 1020220047466A KR 20220047466 A KR20220047466 A KR 20220047466A KR 102533852 B1 KR102533852 B1 KR 10253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humidification
chamber
indoor unit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4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852B1/ko
Priority to KR1020230048600A priority patent/KR2023014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6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by using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제습 운전이 자동 개시되어,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건조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기의 내부와 증발기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기 내부에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운전시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재생 운전이 자동 개시되어, 제습 필터가 재생되고,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됨으로써, 고온 다습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실내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Mold preven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장착되어 실내기의 내부를 제습하는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냉방을 위한 공기조화기는 에어컨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에어컨은, 냉방 운전시 실내 공기가 실내기의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실내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된 응축수가 증발기의 주변에 맺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에 남아있는 응축수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발생되며, 실내의 공기 중으로 곰팡이가 퍼지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48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의 실내기 내부를 효율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는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를 향해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재작동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재생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를 향해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되도록 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서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습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습기 배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연결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습용 배기덕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증발기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제1개구홀을 통해 상기 배기실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제2개구홀을 통해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재생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습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습기 송풍기를 작동시켜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설정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되도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연결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습용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재생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습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에어컨은, 에어컨의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실내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실내기 배기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증발기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의 재작동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되도록 하는 상기 재생 운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제습 운전이 자동 개시되어,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건조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기의 내부와 증발기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기 내부에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운전시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재생 운전이 자동 개시되어, 제습 필터가 재생되고,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됨으로써, 고온 다습한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실내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는, 에어컨의 실내기(10)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습기로 인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 제습기이다.
상기 실내기(1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 패널(12)과, 상기 전면 패널(12)의 하측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전면 패널(12)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실내기 배기구(16)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상측에서 상기 실내기 배기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증발기(20)를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기 위한 실내기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에는 상기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개폐 가능한 제1댐퍼(15)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 배기구(16)에는 상기 에어컨의 운전모드에 따라 개폐가능한 제2댐퍼(1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실내기 흡기구(14)로 유입된 실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이다.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는, 제습기 케이스(110), 제습기 송풍기(120), 제습 필터(130), 재생 히터(1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는,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증발기(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20)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 패널(12)의 내측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후술하는 제습기 배기구(160)가 상기 증발기(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내부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기실(A), 제습실(D) 및 배기실(E)이 차례대로 구획되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기실(A)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흡기실(A)에는 제습기 흡기구(150)가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는, 상기 흡기실(A)에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를 향한 면에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이다.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기실(E)은, 상기 흡기실(A)로 유입되어 제습 또는 재생에 이용된 공기를 다시 배출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배기실(E)에는 제습기 배기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후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의 위치는 상기 증발기(20)의 후방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곳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는 출구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증발기(10)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실(D)은, 상기 흡기실(A)과 상기 배기실(E)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E)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실(D)은 통로나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실(D)의 내부에는 상기 재생 히터(140), 상기 제습 필터(130) 및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내의 공기를 유동 시킨다. 즉,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A)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실(E)을 향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습 필터(130)는, 상기 제습실(D)에 배치된다. 상기 제습 필터(130)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실(D)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필터이다. 상기 제습 필터(130)는,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제습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제는, 약 60 ℃이하의 저온에서도 충분한 재생이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어, 재생 운전시 고온 배기에 의해 에어컨의 냉방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63116호에 기재된 제습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과 자연 냉각 이후 상기 제습제의 함수율이 낮아진 상태에서 일반적인 설정습도인 50%까지는 흡습량의 변화가 커야만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제의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시 공기의 상대습도인 20%이하에서의 평형 함수량, 즉 흡습 능력이 낮은 제습제를 사용하여야 상기 재생 운전시 재생이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재생 히터(140)는, 상기 제습실(D)에서 상기 제습 필터(130)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재생 히터(140)는,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A)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130)로 유동하게 하는 가열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와 상기 재생 히터(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10)의 작동과 연계하여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와 상기 재생 히터(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컨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컨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센서들과,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습도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들은,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공기 온도센서(미도시), 재생공기 온도센서(미도시), 배출공기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흡입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흡입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흡기실(A) 또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재생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에서 상기 재생 히터(14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재생 히터(140)에서 가열되어 나와서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실(E)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배기실(E)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센서들은, 흡입공기 습도센서(미도시)와 배출공기 습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실내공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흡기실(A) 또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1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출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실(E)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배기실(E)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는,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검출하는 이슬점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이슬점 온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이슬점 온도에 따라 제습 운전 또는 재생 운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슬점 온도 검출부(미도시)는,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측정하는 이슬점 온도계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 온도를 도출하는 도출부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 온도를 직접 도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은, 상기 실내기의 작동 여부, 즉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제습 운전 또는 재생 운전에 대한 개시 신호를 입력할 경우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전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의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어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미리 설정된 제습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습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가 모두 차폐된 상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시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개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140)의 작동은 정지시킨다.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가 작동되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동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를 통해 상기 증발기(20)를 향해 배출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를 통해 건조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증발기(20)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증발기(20)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다시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 제습될 수 있다.
상기 제습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흡입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 온도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한 배출공기 온도의 변화가 설정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제1온도차 이내일 경우, 상기 제습 필터(130)가 습기로 포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1분이고, 상기 제1온도차는 1℃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면서, 공기의 습도는 감소하고 흡착열 방출로 공기의 온도는 증가하는 바, 상기 제습 필터(130)가 흡착된 습기로 포화되어 습기 제거율이 감소하면 온도 변화와 습도 변화가 거의 없어지므로,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어 상기 실내기가 정지시,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 필터(130)로 제습한 후 상기 증발기(20)를 향해 토출함으로써,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증발기(20)의 수분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의 내부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10)가 정지되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10)가 작동 중일 때 건조시키는 경우보다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습 운전시 제거된 습기는 상기 제습 필터(130)에 저장됨으로써, 실내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 필터(130)는 항균과 항곰팡이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는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습 운전이 자동 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의 작동 신호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예를 들어, 풍속 센서나 온도 센서 등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습 운전의 개시와 종료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제습 운전 시점이나 제습 운전 주기에 따라 상기 제습 운전의 개시와 종료가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습 운전 시점은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의 재생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재시작되어 상기 실내기가 재작동시, 미리 설정된 재생 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재생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개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가 모두 개방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 흡기구(14)를 통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 배기구(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상태이다.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와 상기 재생 히터(140)를 모두 작동시킨다.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가 작동되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는 실내로부터 흡입된 공기이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재생 히터(1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상기 재생 히터(140)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130)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를 통해 상기 증발기(20)를 향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에어컨이 냉방 운전 중이므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는 상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20)의 후방으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도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 배기구(160)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증발기(20)에서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배출된 후,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와 함께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운전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에서 냉각 제습된 후 실내로 토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재생 운전시 실내 공기가 가습되거나 실내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재생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재생공기의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 온도차 이내이면,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최소 온도차는 1℃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재생 운전 동안,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상기 재생 히터(140)에서 나온 재생공기의 온도와 거의 비슷해지면, 상기 제습 필터(130)의 재생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재생 운전의 종료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와 상기 재생 히터(1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재생 히터(140)는 상기 재생 공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최고값, 예를 들어 60℃이상이 되지 않도록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히터(140)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때,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최고값 미만인 범위내에서만 상승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재생공기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해 과열 소손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개시되어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면, 상기 재생 운전이 자동 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의 작동 신호 수신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의 작동 개시시, 예를 들어, 풍속 센서나 온도 센서 등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재생 운전의 개시와 종료가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재생 운전 시점이나 재생 운전 주기에 따라 상기 재생 운전의 개시와 종료가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재생 운전 시점은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개시됨으로써,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된 후 실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가습되지 않으므로 실내 공기의 쾌적도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20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210)의 제습기 배기구(260)가 제습용 배기구(261)와 재생용 배기구(262)를 포함하고, 배기 댐퍼(270)와 제습용 배기덕트(280)를 더 포함한 구성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이하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260)는 2개의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는, 상기 배기실(E)에서 상기 캐비닛(11)의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실(E)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1)의 증발기(20)의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이다.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는, 상기 배기실(E)에서 상기 캐비닛(11)의 증발기(20)의 후방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실(E)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1)의 증발기(20)의 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이다.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기 댐퍼(270)는, 상기 배기실(E)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 및 상기 제습실(D)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배기 댐퍼(270)는, 상기 배기실(E)의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3개의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 및 상기 제습실(D)의 출구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삼방향 댐퍼이다.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20)의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덕트이다.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의 일단은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증발기(2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는 상기 전면 패널(12)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12)에 형성된 제1개구홀을 통해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12)에 형성된 제2개구홀을 통해 상기 증발기(20)의 전방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는 상기 전면 패널(12)의 외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습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의 토출구는 개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그릴이나 체크 밸브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20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제습 운전 또는 재생 운전에 대한 개시 신호를 입력할 경우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전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200)의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미리 설정된 제습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습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가 모두 차폐된 상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시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시간 동안 개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140)의 작동은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기 댐퍼(270)가 상기 제습실(D)의 출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를 개방시키고,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가 작동되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250)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동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와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증발기(20)의 전방을 향해 배출된다.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280)를 통해 상기 증발기(20)의 전방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습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2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20)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 제습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증발기(20)를 보다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증발기(20)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다시 상기 제습기 흡기구(25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130)에서 제습될 수 있다.
상기 제습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자동 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 운전의 개시와 종료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신호의 수신 여부와 별도로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200)의 재생 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의 시작시 미리 설정된 재생 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재생 운전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개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실내기 흡기구(14)와 상기 실내기 배기구(16)가 모두 개방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 흡기구(14)를 통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 배기구(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상태이다.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와 상기 재생 히터(140)를 모두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기 댐퍼(270)가 상기 제습실(D)의 출구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습용 배기구(261)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습기 송풍기(120)가 작동되면,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습기 흡기구(150)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실내기(10)의 내부 공기는 실내로부터 흡입된 공기이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재생 히터(1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상기 재생 히터(140)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130)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130)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를 통해 상기 증발기(20)의 후방을 향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에어컨이 냉방 운전 중이므로,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는 상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20)의 후방으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도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생용 배기구(262)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증발기(20)에서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 운전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20)에서 냉각 제습된 후 실내로 토출되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재생 운전시 실내 공기가 가습되거나 실내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개시되면 자동 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재생 운전의 개시와 종료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여부와 별도로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서 측정한 값에 따라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200)가 상기 증발기(20)보다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100)(200)가 상기 증발기(20)의 상측, 예를 들어 상기 증발기(20)보다 후류측에 배치될 경우, 상기 실내기 배기구(16) 주변을 보다 잘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내기 배기구(16) 주변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실내기 11: 캐비닛
12: 전면 패널 14: 실내기 흡기구
16: 실내기 배기구 20: 증발기
100,200: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10: 제습기 케이스 120: 제습기 송풍기
130: 제습 필터 140: 재생 히터
150,250: 제습기 흡기구 160,260: 제습기 배기구
261: 제습용 배기구 262: 재생용 배기구
270: 배기 댐퍼 280: 제습용 배기덕트

Claims (14)

  1.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기 흡기구와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실내기 배기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실내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에어컨의 실내기의 내부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여 상기 배기실을 향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습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향한 면에는 상기 증발기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습기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어 상기 실내기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배출하여 상기 실내기의 내부와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재시작되어 상기 실내기의 재작동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는 상기 재생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를 향해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되도록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2.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는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재작동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재생 운전을 수행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를 향해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 제습되도록 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서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보다 하부에 설치된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연결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습용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증발기보다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는, 상기 실내기의 전면 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제1개구홀을 통해 상기 배기실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면 패널에 형성된 제2개구홀을 통해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재생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습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습도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습기 송풍기를 작동시켜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설정 습도 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2. 삭제
  13.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증발기의 전방을 연결하여, 상기 제습용 배기구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습용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재생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제습용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와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습용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되는 제습제를 이용한 에어컨의 실내기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4. 에어컨의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실내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실내기 배기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된 증발기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재생 히터와;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기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실내기의 증발기의 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습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를 상기 증발기의 후방을 향해 배출하기 위한 재생용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실의 출구, 상기 제습용 배기구 및 상기 재생용 배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정지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는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는 작동 정지시켜, 상기 실내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키도록 하는 상기 제습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실내기의 재작동시, 상기 제습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실내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재생 히터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을 통해 상기 실내기의 내부로 배출시켜 상기 재생 운전을 수행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를 구비한 에어컨.
KR1020220047466A 2022-04-18 2022-04-18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253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66A KR102533852B1 (ko) 2022-04-18 2022-04-18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20230048600A KR20230149242A (ko) 2022-04-18 2023-04-1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66A KR102533852B1 (ko) 2022-04-18 2022-04-18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600A Division KR20230149242A (ko) 2022-04-18 2023-04-1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852B1 true KR102533852B1 (ko) 2023-05-18

Family

ID=865452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66A KR102533852B1 (ko) 2022-04-18 2022-04-18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20230048600A KR20230149242A (ko) 2022-04-18 2023-04-1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600A KR20230149242A (ko) 2022-04-18 2023-04-1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38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212A (ko) * 2004-05-2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및 제습장치와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0784844B1 (ko) 2006-06-29 2007-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의 응축수 건조장치
JP2008175488A (ja) * 2007-01-19 2008-07-31 Toshiba Kyaria Kk 吸着再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212A (ko) * 2004-05-21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및 제습장치와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0784844B1 (ko) 2006-06-29 2007-1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어컨의 응축수 건조장치
JP2008175488A (ja) * 2007-01-19 2008-07-31 Toshiba Kyaria Kk 吸着再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242A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147A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CN109099647A (zh) 干燥间
JP3704778B2 (ja) 静止型除湿装置
KR102495773B1 (ko) 건장고
KR100530530B1 (ko) 가습기 및 상기 가습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장치
CN115956181A (zh) 空调机
KR102533852B1 (ko)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1258391B1 (ko)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제습 냉방기
JP3838629B2 (ja) 除湿システム
KR102489554B1 (ko) 소형 제습기
KR200363897Y1 (ko) 습도조절을 위한 환기시스템
WO2022074920A1 (ja) 空気調和機
JP4710313B2 (ja) 除湿装置
CN116157633A (zh) 空调机
CN113623758A (zh)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6420049A (zh) 换气装置及包括换气装置的空调机
KR102438815B1 (ko) 소형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22060874A (ja) 空気調和機
JP3700223B2 (ja) 乾燥換気装置
CN215412200U (zh) 一种空调系统
JP5631148B2 (ja) 屋内用除湿装置
KR20230155068A (ko)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KR100624729B1 (ko) 공기조화기
JP2000093698A (ja) 衣類乾燥機
KR200435911Y1 (ko) 데시칸트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